KR20030018470A -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470A
KR20030018470A KR1020010052575A KR20010052575A KR20030018470A KR 20030018470 A KR20030018470 A KR 20030018470A KR 1020010052575 A KR1020010052575 A KR 1020010052575A KR 20010052575 A KR20010052575 A KR 20010052575A KR 20030018470 A KR20030018470 A KR 2003001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mobile phone
mobile
phone
call forw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형
Original Assignee
송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형 filed Critical 송진형
Priority to KR102001005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470A/ko
Publication of KR2003001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4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장착되는지 또는 탈착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외출 상태인지 귀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장착된 귀가 상태이면, 기 설정된 귀가 상태의 DTMF 신호를 일반전화 교환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일반전화 교환국이 이동전화 교환국으로 귀가를 알리고, 이동전화 교환국이 수신되는 이동전화로의 착신을 일반전화 교환국에 알려 일반전화로 착신되도록 한다.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탈착된 외출 상태이면, 기 설정된 외출 상태의 DTMF 신호를 일반전화 교환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일반전화 교환국이 착신전환될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판단하고, 수신되는 일반전화로의 착신을 이동전화 교환에 알려 이동전화로 착신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귀가시 또는 외출시에 일일이 착신 전환 기능 설정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상대방에게 이동전화 또는 일반전화중 하나의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게 하며, 전파 자원을 줄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The method of auto dialing for exchange between mobile phone and general telephone}
본 발명은 일반전화와 이동 전화간의 착신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댁내에 있으면 일반 전화로 전화가 착신되도록 하고, 댁외에 있으면 이동 전화로 착신되도록 자동 제어하는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화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는 그 편리성 때문에 현재 광범위하게 보급되어있다. 그러나, 이동전화는 전파라는 매체 특성상 통화 품질면에서 일반전화에 비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통화중 끊김이나 잡음 등의 문제가 있고, 음질도 일반 전화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통화 자체가 안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아직 과학적으로 규명되지 않았으나, 이동전화에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나온다고 많은 사람들은 믿고 있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집에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가 둘 다 있을 때는 일반전화를 쓰고 싶어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다.
상기와 반대로 일반전화로 걸려오는 전화를 이동전화로 받아야 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착신 기능을 가진 일반 전화를 이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착신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착신 기능을 가진 일반 전화(10)와, 이동 전화(20), 일반전화 교환국(교환기)(30)을 이용하여 발신자(40)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신호에 대응하여 일반전화(10)에서 이동 전화(20)로의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는, 종래의 착신 기능을 가진 일반 전화기(10)는 부재시 착신될 이동 전화의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3)와, 전화번호 입력, 기능 설정을 할 수 있는 다이얼 버튼(botton)부(11), 다이얼 버튼부(11)로부터 착신 전환 등의 기능 명령 신호, 발신 전화번호 등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13)에 저장된 내용을 읽어들이는 제어부(12),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착신 전환 신호를 유선 전화 라인을 통해 일반전화 교환국(30)으로 출력하는 착신 전환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착신 전환 신호는 일반 전화 회사가 약정한 신호로서, 규정된 착신 전환용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의 조합 + 착신 전환될 전화기의 전화번호이다. 예를 들면, 착신전환은 *+88+전화번호+* 이고, 착신해제는 #+88+*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얼 버튼부(11)를 조작하여 착신 기능 설정을 명령하면, 제어부(12)는 착신 모드를 설정하고, 메모리(13)에 저장된 착신 전환될 이동 전화(20)의 전화 번호를 읽어들여 착신 전환부(14)로 출력하여, 착신 전환부(14)에서 유선 전화 라인으로 착신 전환 신호가 일반전화 교환국(30)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러면, 발신자가 일반 전화기(10)로 착신을 요구하면, 일반전화 교환국(30)은 일반 전화기(10)의 착신 전화 요구에 따라 일반 전화기(10)가 요구하는 이동 전화(20)로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도 1을 참조로 한 종래 기술은 외출시 또는 귀가시 착신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착신 설정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외출과 귀가를 자동을 감지하여 이동 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을 자동을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신 설정을 위한 행동없이도 자동으로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에서 일반전화로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전화에서 이동전화로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댁내 부재를 판단하기 위해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올려지는 것과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기술과, 전화선을 통해 DTMF 신호를 보내는 기술을 이용한다. 즉, 이동 전환기가 충전기에 올려져 있으면 사용자가 댁내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서 분리되면 사용자가 외출하려함을 판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하려고 한다고 판단하면 유선 전화 라인을 통해 일반전화기의 통신 회사로 부재중임을 알려, 이후 일반 전화기로 착신되는 전화를 이동 전화로 착신되도록 하고, 또한 귀가시에는 이동 전화로 착신되는 전화를 일반 전화로 착신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외출 신호(일반전화에서 이동전화로의 착신전환 요구를 위한 다이얼번호+ 착신될 이동전화기의 전화번호 포함)와 귀가 신호(이동전화에서 일반전화로의 착신전환 요구를 위한 다이얼번호+ 착신될 일반전화기의 전화번호 포함)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이동전화기가 충전기에 놓여지거나 분리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회로, 감지회로에서 감지한 신호를 이동전화회사 또는 일반전화회사에 착신신호로 보내는 알림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장착 또는 탈착 여부를 판단하는 상황판단 단계;
상기 상황판단 단계에서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장착되면 귀가 상태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귀가 상태의 DTMF 신호를 이동전화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귀가대처 단계;
상기 이동전화 교환국은 입력되는 상기 귀가 상태의 DTMF 신호로 이동전화에서 일반전화로의 착신전환을 판단하고, 이후 이동전화로의 착신 요구가 수신되면 일반전화로 착신 전환시키는 일반전화착신 단계;
상기 상황판단 단계에서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탈착되면 외출 상태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외출 상태의 DTMF 신호를 일반전화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외출대처 단계;
상기 일반전화 교환국은 입력되는 상기 외출 상태의 DTMF 신호로 일반전화에서 이동전화로의 착신전환을 판단하고, 이후 일반전화로의 착신 요구가 수신되면 이동전화로 착신 전환시키는 이동전화착신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거소는 이동전화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전화가 있는 장소이고, 외출은 이동전화기의 주인이 가지고 나가는 등의 이유로 해서 이동 전화기가 거소에서 나오는 상황 또는 나와 있는 상황이며, 귀가는 이동전화기가 거소로 들어오는 상황 또는 들어와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착신통화전환 신호를 일반 전화기를 통해 유선으로 전화 회사에보내는 방법인 유선 방식과, 이동전화기를 통해 무선으로 전화 회사에 착신통화전환 신호를 보내는 방법인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 회사에 착신 전환을 알린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충전기(200)를 일반 전화교환국(30)과 일반 전화기(100)에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일반전화 교환국(30)에서 송신하는 통신 신호가 충전기(200)를 통해 일반전화기(100)로 입력되도록 하고, 일반전화기(100)의 출력 신호가 충전기(200)를 통해 일반전화 교환국(3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충전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전화 교환국(30)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인 LINE 단자(p1)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일반 전화기(100)와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인 PHONE 단자(p2)를 외주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충전기(200)는 이동 전화가 놓여져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부(210)를 가진다.
여기서, 감지부(210)는 충전기(200)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이동전화가 충전기(200)에 놓인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충전기(200)의 온(on)은 충전기(200)가 이동전화의 배터리로 전류를 인가하는 상태이고, 오프는 그 반대의 상태이다. 충전기(200)의 온/오프 상태는 보통 충전기(200)의 외부에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 여부에 따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감지부(210)는 충전기(200)에서 이동 전화로의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이동전화(20)로 전류가 공급됨이 감지되면 이동전화(20)가 충전기(200)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전화(20)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이동전화(20)가 충전기(200)에 놓여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 전화(100)는 다이얼 버튼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DTMF 발생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전화(20) 또한 상기 일반 전화(100)와 동일한 구성(110, 120, 130, 140)을 포함하고 있다.
다이얼 버튼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사용자가 이동전화기가 거소에서 외출할 때나, 거소로 귀가할 때에 전화통신회사에 보내는 외출 신호 및 귀가 신호를 미리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외출 신호 및 귀가 신호는 통신 회사가 규정한 착신전환시 요구되는 다이얼 버튼 신호의 조합 + 착신될 전화번호(착신전환: *+88+전화번호+*, 착신해제: #+88+*)이다. 즉, 외출 신호 및 귀가 신호는 사용자가 착신 요구를 위해 통신회사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이러한 착신 전환 기능은 현재 각 통신회사에서 서비스 중이다.
저장부(130)는 이동전화기(20)가 거소에서 외출하였을 때 일반전화 교환국(30)으로 보내는 외출 신호와, 이동전화기(20)가 거소로 귀가하였을 때 일반전화 교환국(30)으로 보내는 귀가 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귀가 신호는 일반전화(1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외출 신호는 이동 전화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있다.
DTMF 발생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기 외출 신호와 상기 귀가 신호를 DTMF 신호로 변환하고, 이 DTMF 신호를 일반전화 교환국(30)과 이동전화 교환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일반전화의 DTMF 발생부(140)에서 전송하는 DTMF 신호는 유선으로 전송되고, 이동전화(20)의 DTMF 발생부에서 전송하는 DTMF 신호는 무선으로 기지국에 전송되어 이동전화 교환국으로 전달된다.
일반전화 교환국(30)은 DTMF 발생부(140)에서 전송하는 DFMF의 외출 신호와 귀가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신호에 해당하는 모드(외출 모드, 귀가 모드)를 설정하고 입력받은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는 이미 공지되어 있듯이 일반 전화기의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은 2가지 경우가 있다. 첫 번째로는 이동 전화로 걸려온 전화를 일반 전화로 착신 전환시키는 제1 경우와, 일반전화로 걸려온 전화를 이동 전화로 착신 전환시키는 제2 경우이다.
우선 도 4를 참조로 제1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20)에서 일반전화(100)로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의 흐름도로서, 이동 전화(20)로 걸려온 전화를 귀가시에는 일반전화(100)로 착신전환을 하여 일반전화(100)로 받고, 외출시에는 착신전환을 해제하여 그대로 이동전화(20)로 받게 끔하는 과정을 보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충전기(200)의 PHONE 단자(P2)와 LINE 단자(P1)가 일반전화(100)와 일반전화 교환국(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충전기(200)를 경유한 일반전화(100)와 일반전화 교환국(30)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이얼 버튼부(11)를 조작하여 착신될 이동전화와 착신될 일반전화기 전화번호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착신될 일반전화기의 전화번호는 일반전화기 제작시 이미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귀가시 동작)
충전기(200)는 이동전화(20)가 충전기(200)에 장착되는 지를 판단한다(S410).
여기서, 이동전화(20) 사용자가 귀가하여 이동전화(20)를 충전기(200)에 올려놓으면 충전지(200)의 감지부(210)는 이를 감지하여 PHONE 단자(p2)를 통해 감지 신호를 일반 전화(100)에 전달한다.
일반 전화(100)의 제어부(120)는 감지부(210)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귀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귀가 신호(일반전화의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DTMF 발생부(140)로 전달한다. 그러면, DTMF 발생부(140)는 입력하는 일반전화의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시켜 자동 다이얼링으로 LINE 단자(p1)를 통해 일반전화 교환국(30)에 전달하고, 일반전화 교환국(30)은 인터넷 또는 그 밖의 네트워크를 통해 일반전화(100)로부터 수신한 DTMF 신호를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으로 전달한다(S411, S412).
그러면, 일반전화 교환국(30)은 입력하는 귀가 신호의 DTMF 신호로 이동전화(20)에서 일반전화로의 착신전환을 판단하여 설정된 착신전환 모드을 해제하고, 이동전화 교환국은 입력하는 귀가 신호의 DTMF 신호로 이동전화(20)에서 일반전화로의 착신 전환을 판단하여 착신 전환 모드을 설정하며, 착신전환될 이동전화와 일반전화번호를 판단, 저장한다(S413).
따라서, 상기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전화(20)(즉,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로 착신되는 착신 요구 신호는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에 우선 수신되고,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은 설정된 모드가 착신 전환 모드이므로 착신될 일반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신호를 일반전화 교환국(3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일반전화 교환국(30)은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으로부터 착신요청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전화와 착신전환되는 일반전화로 착신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이동전화의 착신요구신호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반전화로 전달되어, 착신자는 일반전화로 발신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전화로 걸려온 전화는 바로 일반전화 교환국(30)에 수신되어 일반전화(100)에 착신된다(S414).
(외출시 동작)
충전기(200)는 이동전화(20)가 충전기(200)에 탈착되는 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이동전화(20) 사용자가 외출하고자 충전기(200)에 장착된 이동전화(20)를 탈착하면 충전지(200)의 감지부(210)는 이를 감지하여 PHONE단자(p2)를 통해 감지 신호를 일반 전화(100)로 전달한다.
일반 전화(100)의 제어부(120)는 감지부(210)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외출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외출 신호(이동전화(20)의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DTMF 발생부(140)로 전달한다. 그러면, DTMF 발생부(140)는 입력하는 이동전화(20)의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변환시켜(S421), LINE 단자(p1)를 통해 일반전화 교환국(30)에 전달한다. 그러면, 일반전화 교환국(30)은 수신한 DTMF 신호를 인터넷 또는 그 밖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회사의 교환국으로 DTMF 신호를 전달한다(S421, S422).
일반전화 교환국(30)은 입력되는 외출 신호의 DTMF 신호로 일반전화에서 이동전화(20)로의 착신전환을 판단하여 착신 전환 모드를 설정하고, 착신될 이동전화번호를 판단하며, 이동전화 교환국은 입력되는 외출 신호의 DTMF 신호로 일반전화에서 이동전화(20)로의 착신 전환을 판단하여 착신 전환 모드를 해제한다(S423).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전화(20)(즉,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로 걸려오는 전화는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에 수신되고,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는 설정된 모드가 착신 전화 해제 모드이므로 바로 이동전화로 착신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일반전화로 걸려온 전화는 일반전화 교환국(30)에 수신되고, 일반전화 교환국(30)은 설정된 모드가 착신전화 모드이므로 착신 신호를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으로 전달하여 이동전화(20)에 착신되도록 한다(S424).
상기에서, 이동전화(20)가 충전기(200)에 장착된다라는 것은 이동전화(20)가 이전 상태에서 충전기(200)에 놓여있지 않았다는 것이고, 이동전화(20)가충전기(200)에 탈착된다라는 것은 이동 전화가 이전 상태에서 충전기(200)에 놓여져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동전화(20)가 장착 및 탈착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전 상태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뜻하므로 이 경우는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430).
상기에서는 일반전화 교환국(30)을 통한 이동전화(20)에서 일반전화로의 착신 전환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동전화에서 직접 이동전화 교환국으로 DTMF의 외출 신호 또는 귀가 신호를 전송하여 착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회사가 시내전화로 착신전환을 할 수 있는 ARS 서비스를 운용중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2, 도3, 도 4를 참조로 한 본 발명에서는 충전기(200)에 이동전화가 놓여져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신호를 일반전화(100)를 통해 일반전화 교환국(30)으로 전달하고, 일반전화 교환국(30)에서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으로 이동전화의 탈착 여부 즉, 모드 설정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작 뿐만 아니라, 이동전화의 탈착 여부를 이동전화를 통해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으로 전달하여, 이동전화회사의 교환국이 일반전화 교환국의 착신전화 모드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전화와 이동전화 모두를 통해 각각의 교환국으로 이동전화의 탈착 여부 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귀가시 또는 외출시에 일일이 착신 전환 기능 설정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방에게 이동전화 또는 일반전화중 하나의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게 하고, 전파 자원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전화 사용횟수를 줄여 전자파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게 한다.

Claims (4)

  1.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무선 이동통신망을 통해 타인과 통화를 하는 이동전화기, 상기 이동전화기의 배터리로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이동전화기로 전류가 공급되는지를 감지하여 이동전화기의 착탈 여부 신호를 발생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기의 착탈 여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일반전화망을 통해 사용자가 타인과 통화할 수 있게 하는 일반전화기를 포함하는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으로,
    상기 전화기가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장착되는지 또는 탈착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황판단 단계;
    상기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장착되면, 상기 전화기가 귀가 상태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귀가 상태의 DTMF 신호를 해당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귀가대처 단계;
    상기 일반전화기의 교환국과 이동전화기의 교환국은 상기 귀가 상태의 DTMF 신호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상기 일반전화기의 교환국은 착신전환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전화기의 교환국은 착신전환 모드를 설정하는 제1 착신전환 모드설정 단계;
    상기 상황판단 단계에서 이동 전화기가 충전기에 탈착되면 상기 전화기가 외출 상태로 판단하여 기 설정된 외출 상태의 DTMF 신호를 해당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외출대처 단계; 및
    상기 일반전화기의 교환국과 이동 전환기의 교환국은 상기 외출 상태의 DTMF 신호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상기 일반전화기의 교환국은 착신 전환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전화기의 교환국은 착신전화 모드를 해제하는 제2 착신전환 모드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상기 이동전화기 또는 상기 일반전화기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상기 이동전화기와 상기 일반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4.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무선 이동통신망을 통해 타인과 통화를 하는 이동전화기와, 상기 이동전화기와 연결되어 이동전화기의 배터리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일반전화망을 통해 사용자가 타인과 통화할 수 있게 하는 일반전화기를 포함하는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이동전화기의 배터리로 전류가 공급되는 지를 감지하여상기 이동 전화기의 착탈 여부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동전화기와 일반 전화기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입력 버튼으로 이루어져 해당 다이얼 버튼음을 발생하는 다이얼 버튼부와, 전화 교환국에 착신 전환을 요구하는 코드 정보와 착신될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외출 신호와 착신 해제을 요구하는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귀가 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상기 충전기에서 발생된 신호를 입력하여 받아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귀가 또는 외출 신호중 하나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정보에 해당하는 DTMF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귀가 또는 외출 신호에 해당하는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DTMF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DTMF 신호를 해당 교환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시스템.
KR1020010052575A 2001-08-29 2001-08-29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20030018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75A KR20030018470A (ko) 2001-08-29 2001-08-29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75A KR20030018470A (ko) 2001-08-29 2001-08-29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470A true KR20030018470A (ko) 2003-03-06

Family

ID=2772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575A KR20030018470A (ko) 2001-08-29 2001-08-29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4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099A (ko) * 2002-05-22 2003-12-03 (주)티엠시코퍼레이션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40044776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국선전화기용 듀얼톤 다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방법
KR100777549B1 (ko) * 2001-09-25 2007-11-1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듀얼무선단말의 호처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892A (ko) * 1991-04-17 1992-11-21 정용문 무선전화기의 자동 통화 방법
KR970014031A (ko) * 1995-08-25 1997-03-29 김종태 전화기의 착신호 전환방법 및 그 장치
KR970078259A (ko) * 1997-09-30 1997-12-12 정용문 자동 착신 전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00041930A (ko) * 1998-12-24 2000-07-15 서평원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착신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10076651A (ko) * 2000-01-27 2001-08-16 오길록 착신전환 자동 설정/해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892A (ko) * 1991-04-17 1992-11-21 정용문 무선전화기의 자동 통화 방법
KR970014031A (ko) * 1995-08-25 1997-03-29 김종태 전화기의 착신호 전환방법 및 그 장치
KR970078259A (ko) * 1997-09-30 1997-12-12 정용문 자동 착신 전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00041930A (ko) * 1998-12-24 2000-07-15 서평원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착신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10076651A (ko) * 2000-01-27 2001-08-16 오길록 착신전환 자동 설정/해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549B1 (ko) * 2001-09-25 2007-11-1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듀얼무선단말의 호처리 방법
KR20030091099A (ko) * 2002-05-22 2003-12-03 (주)티엠시코퍼레이션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40044776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국선전화기용 듀얼톤 다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057B1 (ko) 입중계호에 응답하기 위한 방법 및 가입자 전화 시스템의 기지 장치
US5608782A (en) Telephone call connection method with automated paging and call bridging
KR100406071B1 (ko) 통신시스템
US6049719A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call diversion or forwarding
KR100247019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호전환시발신자이름표시방법
US6597766B1 (en) Telephone apparatus
US68737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uncing a message through a private branch exchange
KR20030018470A (ko)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JP3737273B2 (ja) ボタン電話装置及びその着信受付方法
JPH0750708A (ja) コードレ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500032B1 (ko)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H11215239A (ja) 電話通信システム、交換システム及び電話転送方法
KR0149154B1 (ko) 키폰시스템에서 국선 보류시 리콜 링 송출 제어방법
KR100602627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JP3016723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システム、自動着信方法および移動機
JP2000308141A (ja) 通信システム
KR100728433B1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방법
JP4623310B2 (ja) 通信装置
KR100598580B1 (ko) 부가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JPH05300244A (ja) 交換機における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装置
JPH1042370A (ja) 通信システム、コードレス電話の親機および携帯電話端末
JPH08256375A (ja) 基地局、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0295660A (ja) 通信方式およびその方式で使用する通信機器
JPH1011275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