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954A -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954A
KR20030017954A KR1020010051604A KR20010051604A KR20030017954A KR 20030017954 A KR20030017954 A KR 20030017954A KR 1020010051604 A KR1020010051604 A KR 1020010051604A KR 20010051604 A KR20010051604 A KR 20010051604A KR 20030017954 A KR20030017954 A KR 20030017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sch
fast forward
transmit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573B1 (ko
Inventor
서명숙
이현우
최성호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573B1/ko
Priority to US10/222,175 priority patent/US7197021B2/en
Priority to JP2002241134A priority patent/JP3763805B2/ja
Priority to GB0219508A priority patent/GB2381166B/en
Priority to FR0210532A priority patent/FR2828968B1/fr
Priority to CN2008100922193A priority patent/CN101369863B/zh
Priority to CNA2006100088535A priority patent/CN1819482A/zh
Priority to CNB021498741A priority patent/CN100431312C/zh
Priority to DE10239068.1A priority patent/DE10239068B4/de
Publication of KR2003001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2Power control of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전용 채널 신호에서 파일롯을 검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대 잡음비와 미리 설정한 목표 신호대 잡음비의 차를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될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에 관한 제어 정보인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 및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에 대한 패킷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다중화하여 순방향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Description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ND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POWER LEVEL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CHE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역방향 제어채널에 대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과 순방향 공통 채널에 대한 전력 레벨을 결정하여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 칭한다.)방식은 UMTS(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순방향 데이터 채널인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High Speed - Downlink Shared Channel:HS-DSCH)과 이와 관련된 제어채널들을 포함한 데이터 전송방식을 총칭한다. 상기 HSDPA를 지원하기 위해서 적응적 변조방식 및 코딩 방식(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복합 재전송 방식(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라 함) 및 빠른 셀 선택(Fast Cell Select: 이하 "FCS"라 함)방식이 제안되었다.
첫 번째로, AMC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AMC 방식은 특정 기지국(Node B)과 단말기(UE: User Element)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채널의 변조방식과 코딩방식을 결정하여, 상기 기지국 전체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전송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AMC 방식은 복수개의 변조방식들과 복수개의 코딩방식들을 가지며, 상기 변조방식들과 코딩방식들을 조합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변조 및 코딩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변조방식들과 코딩방식들의 조합들 각각을 변조 및 코딩 스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함)라고 하며, 상기 MCS 수에 따라 레벨(level) 1에서 레벨(level) n까지 복수개의 MCS들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AMC 방식은 상기 MCS의 레벨(level)을 상기 UE(130)과 현재 무선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123)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Node B 전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식이다.
두번째로, HARQ 방식, 특히 다채널 정지-대기 혼화 자동 재전송 방식(n-channel Stop And Wait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이하 "n-channel SAW HARQ"라 칭한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HARQ 방식은 ARQ(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방식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2 가지 방안을 새롭게 적용한 것이다. 첫 번째 방안은 상기 HARQ는 UE와 Node B 사이에서의 재전송 요구 및 응답을 수행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안은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해당 데이터의 재전송 데이터와 결합(Combining)해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HSDPA 방식에서는 종래의 멈춤-대기 자동 재전송(Stop and Wait ARQ::SAW ARQ)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n-channel SAW HARQ라는 방식을 도입하였다. 상기 SAW ARQ방식의 경우 이전 패킷 데이터에 대한 ACK를 수신하여야만 다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데, 이렇게 이전 패킷 데이터에 대한 ACK를 수신한 후에만 다음 패킷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를 현재 전송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ACK을 대기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n-channel SAW HARQ 방식에서는 상기 이전 패킷 데이터에 대한 ACK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서 채널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n 개의 논리적인 채널(Logical Channel)들을 설정하고, 특정 시간 또는 채널 번호로 상기 n 개의 채널들 각각을 식별 가능하다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상기 UE는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한 패킷 데이터가 어느 채널을 통해 전송된 패킷 데이터인지를 알 수 있으며, 수신되어야 할 순서대로 패킷 데이터들을 재구성하거나, 해당 패킷 데이터를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CS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FCS 방식은 상기 HSDPA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가 셀 중첩지역, 즉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할 경우 복수개의 셀들 중 채널 상태가 좋은 셀을 빠르게 선택하는 방법이다. 상기 FCS 방식은 구체적으로,(1) 상기 HSDPA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가 이전 기지국과 새로운 기지국의 셀 중첩지역에 진입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복수의 셀들, 즉 복수개의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이하 "Radio Link"라 칭한다.)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와 Radio Link를 설정한 셀들의 집합을 액티브 셋(active set)이라 칭한다. (2) 상기 액티브 셋에 포함된 셀들 중에서 가장 양호한 채널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셀로부터만 HSDPA용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간섭(interference)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셋에서 채널상태가 가장 양호하여 HSDPA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셀을 베스트 셀(best cell)이라 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액티브 셋에 속하는 셀들의 채널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현재 베스트 셀보다 채널 상태가 더 좋은 셀이 발생할 경우 상기 현재의 베스트 셀을 새로 발생한 채널 상태가 더 좋은 셀로 바꾸기 위해 베스트 셀 지시자(Best Cell Indicator) 등을 상기 액티브 셋에 속해있는 셀들로 전송한다.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에는 베스트 셀로 선택된 셀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전송되고, 이에 상기 액티브 셋내의 셀들은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를 수신하고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에 포함된 셀 식별자를 검사한다. 그래서 상기 액티브 셋 내의 셀들 각각은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가 자신에게 해당하는 베스트 셀 지시자인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베스트 셀로 선택된 해당 셀은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HS-DSCH)을 이용해서 상기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HSDPA에서는 상기 새롭게 도입된 방안들, 즉 AMC 방식과, HARQ 방식과, FCS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제어신호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첫번째로, 상기 AMC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단말기 자신과 기지국간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알려주어야 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서 그 채널 상황에 따라 결정된 MCS 레벨(level)을 상기 단말기로 알려주어야 한다. 두 번째로, 상기 n-channel SAW HARQ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ACK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세 번째로 상기 FCS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가 가장 채널 상태가 양호한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 즉 베스트 셀을 지시하는 베스트 셀 지시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해야한다. 또한 상기 베스트 셀이 채널 상황에 따라 바뀔 경우 그 시점에서 상기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수신상황을 상기 기지국으로 알려주어야 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베스트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해야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순방향(downlink)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은 기존의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필드(field)와 단말기에게 수신해야 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HS-DSCH 지시자(Indicator)로 구성된다.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HS-DSCH 지시자는 해당 단말기로 수신해야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되는 HS-DSCH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해야 할 공통 제어 채널(SHCCH: SHared Control CHannel)의 채널화 코드를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HS-DSCH 제어정보들 중 일부, 예를 들어 MCS 레벨과 같은 제어 정보들이 상기 HS-DSCH 지시자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가 N(=N1+N2) 슬롯(slot) 단위로 전송되는 경우(즉, HSDPA 전송시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N 슬롯), TTI내에서 슬롯 구조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HS-DSCH 지시자는 N1슬롯에 나누어 전송되고 나머지 N2슬롯에서 HS-DSCH 지시자를 전송하는 부분은 불연속 전송(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으로 처리한다. 상기 도 1에서는 한 개의 슬롯을 통해서만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므로 상기 N1이 1인 경우를 가정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기지국은 HS-DSCH 채널의 제어를 위한 정보들(이하 HS-DSCH 제어정보)인 MCS 레벨, HS-DSCH 채널화 코드, HARQ 프로세스 번호, HARQ 패킷 번호 등은 상기 공통 제어 채널(Shared control channel, 이하 SHCCH)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HS-DSCH 제어 정보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MCS 레벨: HS-DSCH 채널에서 사용될 변조 및 채널 코딩 방법을 알려준다.
(2) HS-DSCH 채널화 코드: HS-DSCH 채널에서 특정 단말기를 위해 사용된 채널화 코드
(3) HARQ 프로세스 번호: n 채널 SAW HARQ를 사용하는 경우, HARQ를 위한 논리적인 채널 중에서 특정한 패킷이 속한 채널을 알려준다.
(4) HARQ 패킷 번호: FCS에서 베스트 셀이 바뀔 경우, 새로 선택된 베스트 셀에게 단말기가 HSDPA 데이터의 전송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순방향 패킷 데이터의 번호를 상기 단말기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SHCCH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채널화 코드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S-DSCH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HSDPA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이다. 그리고, 상기 도 1에서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시작 시점이 SHCCH, HS-DSCH의 시작 시점보다 빠른데, 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HS-DSCH 지시자를 읽어 해당 정보를 검출해 내기 전에는 나머지 두 채널이 상기 단말기에게 해당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HS-DSCH 지시자를 읽기 전에는 상기 단말기에게 해당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임시로 버퍼(buffer)에 저장해야 하므로 HS-DSCH 지시자를 읽을 시간적 여유를 둔 후, 이후 나머지 두 채널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버퍼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HS-DSCH 지시자 부분을 읽어 상기 단말기 자신이 수신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단말기 자신이 수신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SHCCH의 HS-DSCH 채널 제어를 위한 정보들을 읽은 후, 그 제어 정보들에 따라 HS-DSCH 채널을 통해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DPCH에는 기존의 HSDP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각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ata1과 Data2 필드는 상위 계층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혹은 음성 등의 전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TPC(Transfer Power Control: 전송 전력 제어) 필드는 역방향(uplink)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순방향(downlink)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TFCI(Transfer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는 상기 Data1과 Data2 필드의 전송 포맷 조합 정보를 전송한다. 파일럿(Pilot) 필드는 시스템에서 미리 약속된 파일럿 심볼열을 전송하는 필드로서 단말기가 순방향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HS-DSCH 지시자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Release-99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HS-DSCH 지시자가 기존의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HS-DSCH 지시자가 상기 기존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의 특정 필드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HS-DSCH 지시자를 기존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의 특정 필드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다른 채널화 코드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즉 제1전용물리채널(Primary DPCH, 이하 "P-DPCH"라 칭하기로 한다)와 제2전용 물리 채널(Secondary DPCH, 이하 "S-DPCH"라 칭하기로 한다)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HS-DSCH 지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S-DPCH는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상기 P-DPCH와 다르기 때문에 상기 P-DPCH에는 확산 계수(SF: Spreading Factor, 이하 "SF"라 칭하기로 한다)를 N으로, 상기 S-DPCH에는 SF를 M으로 할당한다. 상기 전송해야 하는 HS-DSCH 지시자의 데이터량이 작을 경우 상기 S-DPCH의 SF값인 M을 비교적 큰 값, 일 예로 M = 512 등의 비교적 큰 값을 할당하여 순방향 채널화 코드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을 지원하는 역방향(uplink) 전용 물리 데이터채널(DP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과 역방향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및 상기 HSDPA를 지원하기 위한 역방향 전용 물리 제어채널(HS-DPCCH: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이하 "HS-DPDCH"라 칭하기로 한다)에 별도의 채널화 코드를 할당하여 별개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역방향의 경우 모든 단말기들은 각각에 OVSF(Orthogonal Variable length Spreading Factor) 코드를 할당할 수 있으므로, 채널화 코드(channelization code) 자원이 풍부하다. 그리고 기존 역방향 제어채널을 수정할 경우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채널 구조의 복잡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채널 구조를 수정하기 보다는 별도의 새로운 채널화 코드를 이용해서 역방향 제어채널을 새로 정의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방향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의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슬럿들을 통해서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위 계층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역방향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의 한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 각각의 슬럿들은 파일럿(Pilot) 심볼, 전송 포맷 조합 표시(TFCI) 비트, 피드백 정보(FBI: Feed Back Information) 심벌 및 전송 출력 제어 심볼(TPC)로 구성된다. 상기 파일럿 심볼은 상기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복조할 때 채널추정 신호로 이용되며, 상기 TFCI 비트들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프레임동안 전송되는 채널들이 어떤 전송형태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FBI 심벌은 송신 다이버시티 기술의 사용 시에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 전력 제어(TPC) 심벌은 순방향 채널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심볼이다. 상기 역방향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은 직교코드를 이용하여 확산된 후 전송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확산 계수(spreading factor: SF)는 256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HSDPA에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인지신호(Acknowledgement : ACK)나 부정적 인지신호(Negative Acknowledgement : NACK)로 보내는데, 상기 ACK 및 NACK는 HSDPA를 지원하기 위한 HS-DPCCH을 통해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가 없어 ACK/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HS-DPDCH를 통해서 AMC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에게 채널품질을 보고하거나 FCS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에 가장 양호한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지시하는 최적 셀 통보신호 등과 같은 다른 정보들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HS-DPDCH가 별개의채널화 코드로 할당된 경우 전송 전력 제어는 기존의 DPCCH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DPCCH와 HS-DPCCH는 일정 전력비를 가지고 있으며 DPCCH의 전송 전력이 증가 또는 감소하면 상기 비만큼 HS-DPCCH의 전송 전력도 증가 또는 감소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적응적 변조방식 및 코딩 방식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적응적 변조방식 및 코딩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도 5의 (a)는 QPSK(Quadrature Pahse Shift Keying)의 신호 좌표(Signal Constellation)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QPSK 변조 방식은 상기 (a)와 같이 두 개의 전송 비트를 하나의 복소수 신호로 만드는 방식으로, 일 예로 00 비트는 1+j라는 복소수 신호로 변조된다. 여기서, 네 가지 복소수 신호들은 원점을 중심으로 한 원상에 위치하므로 모두 전송 전력이 동일하다. 한편, QPSK 신호는 신호 좌표 상에서 X축과 Y축에 의해 생긴 사분면 중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 가를 통해 복조 가능한데, 일 예로 수신 신호가 1 사분면에 존재하면 송신 신호는 00 비트로 복조할 수 있다. 즉, 상기 QPSK 변조 방식은 송신 신호의 결정 선(Decision line)이 X축과 Y축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도 5의 (b)와 (c)는 네 개의 전송비트를 하나의 복소수 신호로 변복조할 수 있는 16-QAM(Qau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신호 좌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c)는 HS-DSCH 채널이득이 상기 (b)보다 큰 경우이다. 이렇게 상기 HS-DSCH 채널 이득이 상기 (c)의 경우에서 상기 (b)의 경우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c)의 신호 좌표 상의 복소수 신호들의 원점과의 거리가 상기 (b)의 신호 좌표상의 복소수 신호들의 원점과의 거리보다 크게 된다. 상기 16-QAM은 네 비트에 따라 신호 좌표에 해당하는 하나의 복소수 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16-QAM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에 대한 복조는 상기 (b), (c)의 점선들을 결정 선으로 하여 결정 영역(Decision boundary)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6-QAM으로 변조된 신호는 복조시 채널이득에 따라 결정선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수신기에서는 상기 16-QAM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송신기의 채널 이득을 알아야만 한다. 물론, 상기 QPSK는 송신 전력에 관계없이 결정선이 결정되므로 수신기가 송신기의 채널이득을 몰라도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N-QAM일 때는 송신기, 즉 기지국이 수신기, 즉 단말기에게 채널이득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로 된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널 이득에 관한 제어 정보를 "HS-DSCH 전력 레벨"이라 하며, 상기 HS-DSCH 전력 레벨은 한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과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 이하 "CPICH"라 칭하기로 한다) 전력과의 비(또는 dB 단위로는 전력 차)로 정의된다. 상기 한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은 HSDPA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전체 전력 중 특정 채널화 코드로 구분된 특정 단말기에게 할당할 수 있는 전력이다.
도 6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송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P 비트로 표현하려면 한 코드에 대한 HS-DSCH의 전송 가능한 전력을 전송 전력 0부터 CPICH 전력까지 2P개의 영역으로 나눈다. 상기 도 6에는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2 비트로 표현하기 위해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이 (1), (2), (3), (4)의 네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일 예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의 전송 전력이 (2)영역에 속하면 기지국은 HS-DSCH 전력 레벨 값을 A로 정하고, 상기 HS-DSCH 전력 레벨값 A를 나타내는 10 비트를 순방향으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CPICH는 셀 전체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CPICH 전력은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보다 상대적으로 굉장히 크다. 그러므로 상기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과 CPICH 전력의 차가 크다면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전송 비트들이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의 QAM 복조를 위해 기지국이 HS-DSCH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고, 또한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DPCCH와 HS-DPCCH가 일정 전력비를 가지고서 전송 전력이 제어될 경우 전송 전력상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존재한 경우 채널 할당 구조를 개략적으로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단말기가 K개의 기지국들로부터 서비스를 받게 되는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SHO: Soft Handover Region)에 위치한 경우 채널 할당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 할당 구조에 따라서 송신 전력이 결정된다. 우선, 상기 단말기가 1번 기지국(Node B #1)으로부터 HSDPA 서비스를 받다가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상기 단말기는 새로운 기지국들과 함께 모든 기지국들로부터 동시에 HSDPA 서비스를 받게 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단말기는 상기 1번 기지국(Node B #1)으로부터 계속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다 채널 상황이 좋지 않으면 채널환경이 가장 좋은 다른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기 자신의 패킷 데이터 전송 상황을 알리고, 이후 상기 1번 기지국(Node B #1)과의 연결을 끊은 후 상기 채널 환경이 가장 좋은 새 기지국으로부터 HSDPA 서비스를 받는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한다. 그래서 상기 단말기는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만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음성 서비스는 기존의 방식대로 여러 기지국과 연결을 유지하는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를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HSDPA 서비스를 위한 채널들은 1번 기지국(Node B #1)으로부터, 음성 서비스를 위한 채널들, 즉 기존 Release-99 DPCH들은 모든 기지국들(Node B #2~Node B #K)으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역방향으로 모든 기지국들에 DPDCH, DPCCH을 전송하는 반면 ACK/NACK와 같은 HSDPA 서비스에 관련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HS-DPCCH는 HSDPA 서비스를 받는 1번 기지국(Node B #1)으로만 전송한다.
상기 기존 Release-99의 방식을 적용할 경우 기지국에 대한 단말기의 전송 전력 제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기지국이 역방향 DPCCH의 Pilot으로 역방향 신호대 간섭비(SIR: Signal-to-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대 간섭비를 목표 신호대 간섭비(Target SIR)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한 신호대 간섭비가 상기 목표 신호대 간섭비보다 작을 경우 순방향 DPCH의 TPC 필드로 역방향 전송전력을 증가하라는 명령을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고, 반대로 상기 측정한 신호대 간섭비가 상기 목표 신호대 간섭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순방향 DPCH의 TPC 필드로 역방향 전송 전력을 감소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도 7의 경우에서 상기 단말기에 대해서도 역시 상기 역방향 채널 전송 전력은 Release-99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모든 기지국들의 순방향 DPCH의 TPC 필드로 전송된 역방향 전송 전력 제어명령들 중 하나라도 역방향 전송 전력을 감소하라는 명령이 있으면 상기 단말기는 역방향 전송 전력을 감소시킨다. 즉, 1번 기지국(Node B #1)에 대한 역방향 채널환경이 열악할 경우 상기 1번 기지국(Node B #1)이 상기 단말기로 역방향 전송 전력을 증가하라는 명령을 내림에도 불구하고, 상기 1번 기지국(Node B #1)을 제외한 다른 기지국들 중 어떤 하나의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역방향 전송 전력을 감소하라는 명령을 전송하면 상기 단말기는 역방향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DPA 서비스를 제공하는 1번 기지국(Node B #1)이 계속해서 역방향 전송 전력 증가를 명령하여도 역방향 DPCCH의 전송 전력이 감소하고 이와 일정 비를 유지하며 같은 전송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HS-DPCCH 채널의 전송 전력 또한 감소한다.
이렇게 상기 단말기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해 있을 때 Release-99를 위한 역방향 DPDCH, DPCCH 채널들은 모든 기지국으로 전송되어 상위 레이어에서 합산되어 소프트 핸드오버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전송 전력을 어느 정도 감소시켜도 크게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HSDPA 서비스를 하기 위해 필요한 ACK/NACK 또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다른 제어정보들을 전송하는 HS-DPCCH는 오로지 1번 기지국(Node B #1)으로만 전송되므로 역방향 전송 전력이 감소하면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 전력 오프셋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속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결정된 전송 전력 오프셋을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전용 채널 신호에서 파일롯을 검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대 잡음비와 미리 설정한 목표 신호대 잡음비의 차를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역방향 전송 전력에 가산시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수신기와,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될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에 관한 제어 정보인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 및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에 대한 패킷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다중화하여 순방향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전용 채널 신호의 전송시구간내 임의의 슬럿에서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할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지시자가 존재하면, 상기 슬럿 이후의 슬럿들을 읽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혹은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검출하는 수신기와, 상기 검출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현재 전송되고 있는 순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의 전송전력에 가산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 상기 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으로 상기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전용 채널 신호에서 파일롯을 검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신호대 잡음비와 미리 설정한 목표 신호대 잡음비의 차를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될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에 관한 제어 정보인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 및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에 대한 패킷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다중화하여 순방향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전용 채널 신호의 전송시구간내 임의의 슬럿에서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할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지시자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고속 순방향패킷 접속 지시자가 존재하면, 상기 슬럿 이후의 슬럿들을 읽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 혹은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존재하면 현재 전송되고 있는 순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의 전송전력에 가산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으로 상기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이 존재하면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전력 레벨 값으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채널 이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채널 이득 값을 가지고서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적응적 변조방식 및 코딩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송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존재한 경우 채널 할당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공통 제어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비트값을 나타낸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수신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송수신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HSDPA 서비스를 위해 순방향으로 전송되는 채널과 함께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이 전송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는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제어 채널로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이 전송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송신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송신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3과 대응되는 기지국 수신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4와 대응되는 기지국 수신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수행과정을 순서도로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수행과정을 순서도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HS-DSCH: High Speed-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HS-DSCH"라 칭하기로 한다)의 전력 레벨을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HS-DSCH의 전력과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Common PIlot CHannel, 이하 "CPICH"라 칭하기로 한다)의 전력과의 비(또는 dB 단위로는 전력 차)로 정의하였다.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과 CPICH의 전력의 차가 크다면 HS-DSCH 전력 레벨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송 비트들이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CPICH은 셀 전체로 전송되는 채널이기 때문에 실제로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 크기가 상기 CPICH 전력 크기까지 증가하는 상황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HS-DSCH 전력 레벨을 상기 CPICH 전력을 기준으로 결정하지 않고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대 크기를 기준으로 하는 방식을 제안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상기 HS-DSCH의 전력의 최소 크기도 실제 상황에서는 0이 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소 크기와 최대 크기를 이용하여 HS-DSCH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HS-DSCH 전력 레벨을 P비트로 전송하기 위해서 HS-DSCH 전력의 최소 세기(Min)와 최대 세기(Max) 사이를 2P개의 영역으로 나눈다.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전력 레벨을 2비트로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2비트로 전송하려면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소 세기와 최대 세기 사이를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일 예로, 상기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상기 HS-DSCH의 전력이 영역 (5)에 속하면 기지국은 HS-DSCH 전력 레벨을 B로 결정하여 상기 B에 대응되는 비트값, 즉 11비트를 순방향으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와 동일한 비트수를 사용하여서도 정밀한 HS-DSCH 전력 레벨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서 단말기가 QAM 복조를 위해 필요한 상기 HS-DSCH 전력 레벨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상기 QAM 복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상기 HS-DSCH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비트들을 수신하여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 레벨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미리 HS-DSCH 전력의 최소 크기 및 최대 크기를 규약하여 인식하고 있어야만 하고, 상기 HS-DSCH 전력의 최소 크기 및 최대 크기는 상위 계층 제어정보 형태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된다. 또한 기지국은 셀로 전송할 수 있는 전체 전력 중에서 HSDPA를 위한 전력과 최대 할당할 수 있는 채널화 코드의 수도 정해 놓고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이 상기 두 정보도 상위 계층 제어정보로 단말기에게 전송한다면 상기 단말기는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대 세기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지국이 전체 전송 전력중 HSDPA를 위한 전력을 S, 최대 채널화 코드 수를 N으로 가질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기지국이 모든 채널화 코드들에 대해서 동일한 전력을 할당한다면 하나의 채널화 코드에 대한 전력은 S/N이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채널 상황이나 MCS 레벨에 따라 해당 채널화 코드에 전력을 할당하기 때문에 모든 채널화 코드들 각각에 동일한 전력을 할당하지는 않는다. 일 예로, 기지국이 QPSK로 변조되는 HS-DSCH 채널에 대해서는 전력을 낮게 할당하고 QAM 변조를 사용하는 HS-DSCH 채널에 대해서는 전력을 높게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지국이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전력을 S(K/N)만큼 가변적으로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K는 HS-DSCH 채널들 사이의 전력을 가변적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변적인 값이다. 어떤 한 채널에 대해서만 HSDPA를 위한 전력을 다 할당할 수는 없으므로 K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제한하여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최대 전력 세기를 제한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기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HSDPA를 위한 총 전력, 할당 가능한 코드 수, K의 값을 상위 계층 정보로 수신하면 S(K/N)의 식으로 계산하여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대 크기를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채널들은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 이하 DPCH 라 칭하기로 함)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HS-DSCH: High Speed-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HS-DSCH"라 칭하기로 함)의 제어를 위한 공통 제어 채널(SHCCH: SHared Control CHannel, 이하 SHCCH"라 칭하기로 함)이 있다. 그런데 상기 SHCCH로는 이미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MCS 레벨, HS-DSCH 채널화 코드, HARQ 프로세스 번호, HARQ 패킷 번호 등과 같은 다수의 제어정보들이 전송되고 있으므로 또 다른 제어 정보를 전송할 여유가 없다.
그런데 상기 도 1에서도 설명했듯이 TTI가 N(=N1+N2) 슬롯일 때 HS-DSCH 지시자는 N1슬롯에 나누어 전송되고 나머지 N2슬롯에서 HS-DSCH 지시자를 전송하는 부분은 DTX 처리된다. 그러므로 상기 HS-DSCH 전력 레벨값을 상기 DPCH에서 상기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지 않는 슬롯의 HS-DSCH 지시자 부분에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는 슬롯의 위치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상기 HS-DSCH 전송 전력 값이 전송되는 슬롯의 위치도 가변적이다. 또한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TTI 주기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 전송해야할 HS-DSCH 전력 레벨 값을 나타내는 비트들이 많을 경우는 일정 슬롯 주기나 프레임(frame) 단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도 9를 살펴보면, TTI내의 첫 번째 슬롯(slot#0)으로만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고 나머지 N-1슬롯들의 HS-DSCH 지시자 부분들 중 두 번째 슬롯(slot #1) 및 N번째 슬롯(slot#N-1)으로는 HS-DSCH 전력 레벨 값이 전송된다. 그리고 나머지 순방향 채널들, 즉 SHCCH와 HS-DSCH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은 HSDPA를 위한 HS-DSCH의 전력을 알려주기 위한 값이므로, 단말기가 상기 HSDPA 서비스를 받고 있을 경우에 상기 HSDPA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존재할 때만. 즉 HS-DSCH 지시자가 있으며, 또한 상기 HSDPA 데이터 변조 방식이 QAM 방식일 때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8에 의해 결정된 HS-DSCH 전력 레벨 값을 나타내는 비트가 K비트이고 상기 도 9와 같이 N-1 슬롯에 걸쳐 전송할 수 있는 비트가 n 비트이면 (n,K) 블록 코딩(block coding)과 같은 오류 정정 부호(error correction code)를 적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DPCH에는 기존의 HSDP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각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ata1과 Data2 필드는 상위 계층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혹은 음성 등의 전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TPC(Transfer Power Control: 전송 전력 제어) 필드는 역방향(uplink)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순방향(downlink)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TFCI(Transfer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는 상기 Data1과 Data2 필드의 전송 포맷 조합 정보를 전송한다. 파일럿(Pilot) 필드는 시스템에서 미리 약속된 파일럿 심볼열을 전송하는 필드로서 단말기가 순방향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HS-DSCH 지시자 및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은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Release-99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상기 도 10에서는 상기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 값이 기존의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하기 도 11에서는 상기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 값이 상기 기존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의 특정 필드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 값을 기존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의 특정 필드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다른 채널화 코드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즉 제1전용물리채널(Primary DPCH, 이하 P-DPCH 라 칭하기로 한다)와 제2전용 물리 채널(Secondary DPCH, 이하 S-DPCH 라 칭하기로 한다)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기 위한 S-DPCH는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상기 P-DPCH와 다르기 때문에 상기 P-DPCH에는 확산 계수(SF: Spreading Factor, 이하 SF"라 칭하기로 한다)를 N으로, 상기 S-DPCH에는 SF를 M으로 할당한다. 상기 전송해야 하는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 값의 데이터량이 작을 경우 상기 S-DPCH의 SF값인 M을 비교적 큰 값, 일 예로 M = 512 등의 비교적 큰 값을 할당하여 순방향 채널화 코드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도 10 및 도 11에서는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경우의 채널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공통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경우의 채널 구조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2는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공통 제어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S-DSCH 채널을 제어하는 상기 SHCCH을 통해서 HS-DSCH 채널화 코드, HS-DSCH 채널에서 사용될 변조 및 채널 코딩 방법을 알려 주는 MCS 레벨, 재전송을 위한 HARQ에 대한 정보들이 프로세스 번호와 패킷 번호 등이 전송된다. 이런 제어 정보들을 전송하는 필드중 일부 필드를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필드로 정의한다. 상기 제어 정보 중 MCS 레벨을 보아 HS-DSCH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되면 상기 SHCCH를 통해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HS-DSCH 채널이 상기 QAM 방식으로 변조되지 않을 경우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이 전송될 필드를 DTX하거나 더미(dummy) 비트를 삽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HS-DSCH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되지 않는 경우는 채널 상황이 좋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이 전송되는 필드에 높은 신뢰도를 가져야하는 HARQ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2의 (a)는 HS-DSCH 변조 방식이 QAM일 때 HS-DSCH 채널화 코드와 다른 제어 정보, MCS 레벨, HARQ 제어정보와 함께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경우의 SHCCH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12 (b)는 MCS 레벨에서 변조 방식이 QAM이 아닌 QPSK 또는 8-PSK인 경우로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HS-DSCH 전력 레벨 값이 전송되는 필드를 DTX 처리하거나 혹은 더미 비트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경우의 SHCCH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 12의 (c)는 변조 방식이 QAM이 아닌 경우 일반적으로 채널 상황이 열악한 경우이므로 HARQ 관련 제어정보를 원래의 HARQ 제어정보 필드와 함께 HS-DSCH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필드까지 확장하여 전송하는 경우의 SHCCH 채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12는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내에 상기 HS-DSCH 지시자 필드가 있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HS-DSCH 지시자를 위해 DPCH와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여 별개의 채널로 전송하는 구조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특히 하나의 전용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HS-DSCH 지시자와 HS-DSCH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는 경우의 기지국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HS-DSCH 순방향 데이터 패킷(HSDPA data packet)(1301)은 부호기(1302)로 입력되어져 터보 코딩(Turbo coding)되어 부호화 심벌들로 출력되고, 상기 부호화 심볼들은 레이트 매칭기(1303)로 입력되어 심볼 반복 및 천공등을 통해 레이트 매칭하여 전송시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전송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상기 레이트 매칭된 심볼들은 인터리버(1304)로 입력되어 인터리빙된 후 변조기(1305)로 출력되고, 상기 변조기(1305)는 상기 인터리버(1304)에서 출력된 신호를 QPSK, 8-PSK, M-ary QAM과 같은 신호로 변조하여 비트 스트림 형태로 직렬/병렬 변환기(1306)로 출력된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306)는 상기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두 개의 비트스트림들, 즉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병렬 변환한 후 확산기(1307)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1307)는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들을 동일한 채널화 코드(COVSF)를 사용해서 확산시켜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확산한 후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1307)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I는 덧셈기(1309)로, 비트 스트림 Q는 곱셈기(1308)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1308)는 상기 비트 스트림 Q를 -j와 곱한 후 상기 가산기(1039)로 출력하고, 상기 가산기(1309)는 상기 곱셈기(1308)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비트 스트림 I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가산기(1309)에서 출력된 신호는 곱셈기(1310)으로 출력되어 스크램블링 코드(CSCRAMBLE)와 곱해져 스크램블링된 후 곱셈기(1311)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1310)는 스크램블러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곰셈기(1311)는 상기 곱셈기(13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채널이득(1312)과 곱한후 합산기(134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이득은 HS-DSCH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일반적으로 확산 계수가 작을 때 큰 채널 이득이 곱해지며, 또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채널 이득 값이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HS-DSCH 채널 데이터가 상기 변조기(1305)에서 QAM 방식으로 변조되면 기지국은 단말기가 QAM 복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 레벨을 알려 준다. 또한 상기 채널 이득(1312)으로부터 상기 HS-DSCH 전력과 한 채널화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대 크기, 최소 크기를 이용하여 HS-DSCH 전력 레벨 결정기(1315)에서 HS-DSCH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HS-DSCH 전력 레벨에 상응하는 비트(1321)를 생성한다.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user dtat)(1316)는 부호기(120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레이트 매칭부(1318)에 의해 물리채널에서 전송될 비트수로 레이트 매칭된 후 인터리버(1319)로 출력된다. 상기 인터리버(1319)는 상기 레이트 매칭부(1318)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인터리빙한 후 변조기(1320)로 출력하고, 상기 변조기(1320)는 상기 인터리버(1319)에서 출력한 신호를 변조하여 다중화기(1327)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1327)는 스위치(1323)에 의해 전송시점이 구분된 HS-DSCH 지시자(1322)와 HS-DSCH 전력 레벨(1321), 전송 포맷 조합 표시(TFCI)(1324), 순방향 채널상태 추정을 위한 Pilot(1325), 역방향 전송전력 제어를 위한 TPC (1326)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생성하여 직렬/병렬 변환기(1328)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323)는 상기 HS-DSCH 지시자(1322)가 전송되어야 할 때는 상기 HS-DSCH 지시자(1322) 쪽으로, 상기 HS-DSCH 전력 레벨(1321)이 전송되어야 할 때는 상기 HS-DSCH 전력 레벨 (1321)쪽으로 온(On)시켜 상기 HS-DSCH 지시자(1322)와 상기 HS-DSCH 전력 레벨(1321)의 전송시점을 제어한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328)는 상기 다중화기(1327)에서 출력된 하나의 비트 스트림을 두 개의 비트스트림들, 즉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병렬 변환하여 확산기(1329)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1329)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328)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에 입력되도록 하여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채널 구분 코드(COVSF)를 곱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1329)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곱셈기(1330)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덧셈기(1331)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1330)는 상기 확산기(1329)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덧셈기(1331)로 출력한다. 상기 덧셈기(1331)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곱셈기(13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곱셈기(1332)로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1332)는 상기 덧셈기(1331)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곱셈기(133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1332)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곱셈기(1333)는 상기 곱셈기(133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 gain)(1334)과 곱한후 합산기(1343)로 출력한다.
한편, HS-DSCH 제어정보(1335)는 직렬/병렬 변환기(1336)로 입력되고,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336)는 상기 HS-DSCH 제어정보(1335)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확산기(1337)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1337)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들 각각은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으로 입력되어 채널화 코드(COVSF)와 곱셈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1337)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곱셈기(1338)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덧셈기(1339)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1338)는 상기확산기(1337)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덧셈기(1339)로 출력한다. 상기 덧셈기(1339)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곰셈기(1338)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곱셈기(1340)로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1340)는 상기 덧셈기(1339)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곱셈기(134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1340)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곱셈기(1341)는 상기 곱셈기(13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 gain)(1342)과 곱한후 상기 합산기(1343)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생성된 DPCH 신호, 즉 상기 곱셈기(1333)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생성된 SHCCH 신호, 즉 상기 곱셈기(1341)에서 출력된 신호 및 상기 생성된 HS-DSCH 신호, 즉 상기 곱셈기(1311)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합산기(1343)에서 합산된 후 필터(filter)(1344)로 출력된다. 상기 필터(1344)는 상기 합산기(1343)에서 출력한 신호를 필터링한 후 RF부(1345)로 출력하고, 상기 RF부(1345)는 상기 필터(1344)에서 출력한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346)를 통해 에어상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이 별도의 전용 물리 채널, 즉 S-DPCH를 통해서 전송될 경우에는 상기 도 13에서 설명한 기지국 장치를 일반 전용 물리 채널, 즉 P-DPCH에 사용되는 채널화 코드와 구분되는 채널화 코드를 상기 S-DPCH에 할당하는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하면된다.
상기 도 13에서는 상기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을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 장치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상기 HS-DSCH 지시자 및 HS-DSCH 전력 레벨을 SHCCH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 장치 구조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상기 도 14의 참조부호 1401 내지 1415의 동작들은 상기 도 13의 참조부호 1301 내지 1315까지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래서 HS-DSCH 전력 레벨 결정기(1415)에서 결정된 HS-DSCH 전력 레벨(1418)은 HS-DSCH 채널화 코드와 다른 제어 정보(1416), MCS 레벨(1417), HARQ 제어정보(1419)와 함께 다중화기 (1420)에 의해 다중화 된다. 상기 다중화기(14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직렬/병렬 변환기(1421)로 입력되고,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328)는 상기 다중화기(1420)에서 출력된 하나의 비트 스트림을 두 개의 비트스트림들, 즉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병렬 변환하여 확산기(1422)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1422)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421)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에 입력되도록 하여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채널 구분 코드(COVSF)를 곱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1422)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곱셈기(1423)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덧셈기(1424)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1423)는 상기 확산기(1422)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덧셈기(1424)로 출력한다. 상기 덧셈기(1424)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곱셈기(142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곱셈기(1425)로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1425)는 상기 덧셈기(1424)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곱셈기(142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1425)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곱셈기(1426)는 상기 곱셈기(142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 gain)(1427)과 곱한후 합산기(1445)로 출력한다.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user dtat)(1428)는 부호기(1429)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레이트 매칭부(1430)에 의해 물리채널에서 전송될 비트수로 레이트 매칭된 후 인터리버(1431)로 출력된다. 상기 인터리버(1431)는 상기 레이트 매칭부(14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인터리빙한 후 변조기(1432)로 출력하고, 상기 변조기(1432)는 상기 인터리버(1431)에서 출력한 신호를 변조하여 다중화기(1437)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1437)는 HS-DSCH 지시자(1433)와, 전송 포맷 조합 표시(TFCI)(1434), 순방향 채널상태 추정을 위한 Pilot(1435), 역방향 전송전력 제어를 위한 TPC(1436)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생성하여 직렬/병렬 변환기(1438)로 출력한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438)는 상기 다중화기(1437)에서 출력된 하나의 비트 스트림을 두 개의 비트스트림들, 즉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병렬 변환하여 확산기(1439)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1439)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1438)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에 입력되도록 하여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채널 구분 코드(COVSF)를 곱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1439)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곱셈기(1440)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덧셈기(1441)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1440)는 상기 확산기(1439)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덧셈기(1441)로 출력한다. 상기 덧셈기(1441)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곱셈기(14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곱셈기(1442)로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1442)는 상기 덧셈기(1441)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곱셈기(144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1442)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곱셈기(1443)는 상기 곱셈기(14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 gain)(1444)과 곱한후 합산기(1445)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생성된 DPCH 신호, 즉 상기 곱셈기(1443)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생성된 SHCCH 신호, 즉 상기 곱셈기(1426)에서 출력된 신호 및 상기 생성된 HS-DSCH 신호, 즉 상기 곱셈기(1411)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합산기(1445)에서 합산된 후 필터(filter)(1446)로 출력된다. 상기 필터(1446)는 상기 합산기(1445)에서 출력한 신호를 필터링한 후 RF부(1447)로 출력하고, 상기 RF부(1447)는 상기 필터(1446)에서 출력한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448)를 통해 에어상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도 12에서 설명했듯이 HS-DSCH 지시자가 DPCH와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여 별개의 채널로 전송되는 채널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해서, SHCCH로 HS-DSCH 전력 레벨을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장치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특히 상기 도 13에서 설명한 기지국 전송 장치에 대응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안테나(1501)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는 RF부(1502)에서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된 후 필터(1503)에서 필터링 된 후 곱셈기(1504),(1516),(1527)로 각각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1504),(1516),(1527)들 각각은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로서 상기 기지국 송신 장치에서 전송한 채널들에 대한 채널화 코드를 각각 곱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곱셈기(1504)는 순방향 데이터 채널인 HS-DSCH 신호를, 상기 곱셈기(1516)는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신호를, 상기 곱셈기(1527)은 SHCCH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1504)의 출력, 즉 복소수 출력은 1505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1506)에서 채널화 코드(COVSF)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 후 채널 보상기(1510)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곱셈기(1516)의 복소수 출력은 1517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1518)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역확산 된 후 채널 보상기(1519) 및 역다중화기(1507)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곱셈기(1527)의 복소수 출력은 1528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 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1529)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역확산된 후 채널 보상기(1530)로 출력된다. 상기 역확산기(1518)의 I, Q 출력신호는 상기 역다중화기(1507)로 출력되고, 상기 역다중화기(1507)는 상기 역확산기(1518)에서 출력한 신호를 다중화하여 파일럿(pilot)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파일럿은 채널 추정기(1509)로 입력되고, 상기 채널 추정기(1509)는 상기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 추정을 통한 채널추정치를 검출한 후 상기 채널 보상기(1509),(1519),(1530)으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채널보상기(1510), (1519)와 (1529)는 상기 채널추정치를 이용하여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채널보상기(1510)는 HS-DS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1519)는 전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1531)는 SHC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 보상기들(1510),(1519),(1530) 각각에서 출력된 신호들은 각각 병렬/직렬 변환기(1511),(1520),(1531)로 출력되며, 상기 병렬/직렬변환기(1511),(1520),(1531)는 상기 채널 보상기들(1510),(1519),(1530) 각각에서 출력된 신호들을 직렬 변환하여 각각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531)에서 출력된 신호는 최종적으로 HS-DSCH 제어정보(1532)로 출력되고,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5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역다중화기(1521)에 의해 TPC(1522), TFCI(1523), 스위치(1525)에 구분된 HS-DSCH 지시자(1524)와 HS-DSCH 전력 레벨(1526)을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521)는 순방향 데이터 신호 또한 출력하는데, 상기 순방향 데이터 신호는 복조기(1533)와 디인터리버(1534), 복호기(1535)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순방향 사용자 데이터(1536)로 최종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511)에서 출력된 신호는 복조기(1512)와 디인터리버(1513), 복호기(1514)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순방향 데이터 패킷(1515)으로 최종 출력된다. 이때, 상기 복호기(1514)는 상기 순방향 데이터 패킷(1515)이 QAM 변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한 HS-DSCH 전력 레벨(1526)을 이용하여 QAM 복조를 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특히 특히 상기 도 14에서 설명한 기지국 전송 장치에 대응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안테나(1601)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는 RF부(1602)에서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된 후 필터(1603)에서 필터링 된 후 곱셈기(1604),(1616),(1625)로 각각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1604),(1616),(1625)들 각각은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로서 상기 기지국 송신 장치에서 전송한 채널들에 대한 채널화 코드를 각각 곱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곱셈기(1604)는 순방향 데이터 채널인 HS-DSCH 신호를, 상기 곱셈기(1616)는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신호를, 상기 곱셈기(1627)은 SHCCH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1604)의 출력, 즉 복소수 출력은 1605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1606)에서 채널화 코드(COVSF)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 후 채널 보상기(1610)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곱셈기(1616)의 복소수 출력은 1517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1618)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역확산 된 후 채널 보상기(1619) 및 역다중화기(1607)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곱셈기(1625)의 복소수 출력은 1626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 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1627)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역확산된 후 채널 보상기(1628)로 출력된다. 상기 역확산기(1618)의 I, Q 출력신호는 상기 역다중화기(1607)로 출력되고, 상기 역다중화기(1607)는 상기 역확산기(1618)에서 출력한 신호를 다중화하여 파일럿(pilot)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파일럿은 채널 추정기(1609)로 입력되고, 상기 채널 추정기(1609)는 상기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 추정을 통한 채널추정치를 검출한 후 상기 채널 보상기(1610),(1619),(1628)으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채널보상기(1610), (1619)와 (1628)는 상기 채널추정치를 이용하여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채널보상기(1610)는 HS-DS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1619)는 전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1628)는 SHC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 보상기들(1610),(1619),(1628) 각각에서 출력된 신호들은 각각 병렬/직렬 변환기(1611),(1620),(1629)로 출력되며,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611),(1620),(1629)는 상기 채널 보상기들(1610),(1619),(1628) 각각에서 출력된 신호들을 직렬 변환하여 각각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629)에서 출력된 신호는 역다중화기(1630)로 출력되고, 상기 역다중화기(1630)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629)에서 출력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HS-DSCH 채널화 코드 및 다른 제어정보(1631)와, MCS 레벨(1632)과, HS-DSCH 전력 레벨(1633)과, HARQ 정보(1634)를 출력한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6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역다중화기(1621)에 의해 TPC(1622), TFCI(1623), HS-DSCH 지시자(1624)를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621)는 순방향 데이터 신호 또한 출력하는데, 상기 순방향 데이터 신호는 복조기(1635)와 디인터리버(1636), 복호기(1637)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순방향 사용자 데이터(1638)로 최종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1611)에서 출력된 신호는 복조기(1612)와 디인터리버(1613), 복호기(1614)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순방향 데이터 패킷(1615)으로 최종 출력된다. 이때, 상기 복호기(1614)는 상기 순방향 데이터 패킷(1615)이 QAM 변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한 HS-DSCH 전력 레벨(1633)을 이용하여 QAM 복조를 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특히 HS-DSCH 전력 레벨을 결정 및 전송하는 기지국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1702단계에서 기지국은 HSDPA 데이터 패킷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HS-DSCH 지시자를 결정하고 170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HS-DSCH 지시자는 상기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HSDPA 서비스를 받는 중에만 필요한 정보이고, 상기 HS-DSCH 지시자가 존재할 경우에만 HS-DSCH 전력 레벨을 결정 및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170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On)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이 아닐 경우, 즉 오프(Off)일 경우 상기 기지국은 1704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TTI가 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1702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1703단계에서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일 경우 상기 기지국은 17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0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HS-DSCH를 통해 전송하는 HSDPA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방식과 채널 코딩 방법을 결정하는 MCS 레벨을 결정한 후 17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MCS 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HS-DSCH 채널 변조방식이 QAM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QAM 변조 방식이 아닐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1704단계로 되돌아가고, 만약 상기 검사 결과 상기 QAM 변조 방식일 경우 상기 기지국은 17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0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HS-DSCH 채널을 QAM 변조 방식을 통해 변조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 자신이 한 채널화 코드에 할당할 수 있는 HS-DSCH 전력의 최대 크기와 최소 크기를 결정한 후 17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HS-DSCH 전력의 최대 크기와 최소 크기를 가지고서 HS-DSCH 전력 레벨을 결정한 후 17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70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HS-DSCH 전력 레벨을 전용 물리 채널 혹은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서 순방향 전송하고 종료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특히 HS-DSCH 전력 레벨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호하는 단말기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1802단계에서 단말기는 수신한 DPCH로부터 HS-DSCH 지시자를 검색한 후 18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0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검색한 HS-DSCH 지시자가 온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이 아닐 경우, 즉 오프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18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04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다음 TTI가 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1802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1803단계에서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18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0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된 이후의 슬럿들에서 SHCCH로 전송되는 MCS 레벨을 읽고 18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06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읽은 MCS 레벨이 QAM 변조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MCS 레벨이 상기 QAM 변조가 아닐 경우 상기 1804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검사 결과 상기 MCS 레벨이 상기 QAM 변조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18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07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변조 방식이 QAM 변조방식이기 때문에 만약 상기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채널 구조를 가질 경우SHCCH내의 HS-DSCH 전력 레벨을 읽고 18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808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읽은 HS-DSCH 전력 레벨을 가지고서 HS-DSCH 복조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지금까지는 HS-DSCH를 신뢰성있게 복조하기 위한 HS-DSCH 전력 레벨 결정 및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역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 결정 및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UE: User Element)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SHO: Soft HandOver region)에 위치하게 되면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의 역방향(uplink) 전송 전력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Node B)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해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것은 난이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지국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 신호대 잡음비(Target Signal to Interference Ratio)(SIRtarget)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을 통해 수신되는 파일럿 비트들을 가지고서측정한 측정 신호대 잡음비(Estimation SIR)(SIRest) 간의 차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1 보다 크면 채널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 후 SIR 차를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역방향 채널 상태에 따라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기로 한다. 즉, 상기 단말기가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역방향 채널 환경이 좋지 못할 경우에 대해서도 역방향 전송 전력을 보상하기로 하는 것이다. 상기 도 6에는 상기 기지국이 목표 SIR(SIRtarget)과 측정 SIR(SIRest)의 차를 이용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들은 상기 기지국에서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나 상기 도 6에서는 2dB의 배수들을 임계값들로 설정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즉, 임계값 2dB에 대해서 목표 SIR(SIRtarget)과 측정 SIR(SIRest)의 차가 2dB이상 4dB이하이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2dB로 결정하게 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값을 수신하고, 이에 역방향 전송 전력을 상기 수신한 역방향 전송 오프셋 값인 2dB만큼 증가시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목표 SIR과 상향 DPCCH의 SIR의 차를 오프셋으로 결정하여 상향 HS-DPCCH의 전송전력만 오프셋만큼 증가시키고 나머지 상기 DPCCH, DPDCH의 전송전력은 기존의 방식을 적용한다. 이 때 HS-DPCCH의 전송전력은 매 순간 기존의 DPCCH 전송전력과의 비에 의해 결정된 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채널상황이좋지 않을 때만 오프셋 값을 더해 주는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비트값을 나타낸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을 결정한 후 그 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단말기로 전송할 경우 그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값을 전송하는 비트들을 도시하고 있다. 역방향 채널 환경이 양호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순방향(downlink)으로 전송하지 않아도 될 경우, 즉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0dB일 때는 불연속 전송(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으로 처리한다. 이는 역방향 채널 환경이 열악할 경우에만 순방향으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고, 역방향 채널 환경이 양호할 경우에는 불연속 전송(DTX) 처리하여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채널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송하게 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0dB라는 것은 채널 환경이 양호하여 역방향 HS-DPCCH의 신뢰성이 보장되므로 기존의 DPCCH와 일정 전력비를 유지하면서 순방향 전송 전력 제어(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만으로 역방향 전송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상황이 열악할 경우에만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을 전송하고,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에 따른 역방향 전송 전력 제어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0dB이외의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에 대해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의 수가 2K개이면,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기 위한 순방향 전송비트를 K개의 비트들로 정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는 0dB 이외의 나머지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들이 2, 4, 6, 8dB로 4가지 경우가 되기 때문에 2비트로 표현 가능하며 각각 00, 01, 10, 11을 순방향 전송 비트를 결정해 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할 수 있는 채널들은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 이하 DPCH 라 칭하기로 함)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HS-DSCH: High Speed-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HS-DSCH"라 칭하기로 함)의 제어를 위한 공통 제어 채널(SHCCH: SHared Control CHannel, 이하 SHCCH"라 칭하기로 함)이 있다. 그런데 상기 SHCCH로는 이미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MCS 레벨, HS-DSCH 채널화 코드, HARQ 프로세스 번호, HARQ 패킷 번호 등과 같은 다수의 제어정보들이 전송되고 있으므로 또 다른 제어 정보를 전송할 여유가 없다.
그런데 상기 도 1에서도 설명했듯이 TTI가 N(=N1+N2) 슬롯일 때 HS-DSCH 지시자는 N1슬롯에 나누어 전송되고 나머지 N2슬롯에서 HS-DSCH 지시자를 전송하는 부분은 DTX 처리된다. 그러므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UL power offset) 값을 상기 DPCH에서 상기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지 않는 슬롯의 HS-DSCH 지시자 부분에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는 슬롯의 위치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전송되는 슬롯의 위치도 가변적이다. 또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TTI 주기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 전송해야할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비트들이 많을 경우는 일정 슬롯 주기나 프레임(frame) 단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도 8을 살펴보면, TTI내의 한 슬롯(slot#0)으로만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고 나머지 N-1슬롯들의 HS-DSCH 지시자 부분(slo #1, slot#N-1)으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전송된다. 그리고 나머지 순방향 채널들, 즉 SHCCH와 HS-DSCH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은 HSDPA를 위한 HS-DPCCH의 역방향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값이므로 단말기가 상기 HSDPA 서비스를 받고 있을 경우에만 필요한 값이다. 따라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상기 HSDPA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존재할 때만. 즉 HS-DSCH 지시자가 있을 때만 전송하도록 하여 기지국이 항상 채널상태를 감시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해야 하거나, 혹은 상기 단말기가 항상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읽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0에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0dB이면 불연속 전송하고, 채널 상황에 따라 필요할 경우에만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도 20에 의해 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비트가 K비트이고 상기 도 21과 같이 N-1 슬롯에 걸쳐 전송할 수 있는 비트가 n 비트이면 (n,K) 블록 코딩(block coding)과 같은 오류 정정 부호(error correction code)를 적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DPCH에는 기존의 HSDP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각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ata1과 Data2 필드는 상위 계층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혹은 음성 등의 전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TPC(Transfer Power Control: 전송 전력 제어) 필드는 역방향(uplink)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순방향(downlink)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TFCI(Transfer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는 상기 Data1과 Data2 필드의 전송 포맷 조합 정보를 전송한다. 파일럿(Pilot) 필드는 시스템에서 미리 약속된 파일럿 심볼열을 전송하는 필드로서 단말기가 순방향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HS-DSCH 지시자 및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UL power offset)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Release-99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상기 도 22에서는 상기 HS-DSCH 지시자 및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이 기존의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도 23에서는 상기 HS-DSCH 지시자 및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이 상기 기존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의 특정 필드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HS-DSCH 지시자 및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을 기존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의 특정 필드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다른 채널화 코드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즉 제1전용물리채널(Primary DPCH, 이하 P-DPCH 라 칭하기로 한다)와 제2전용 물리 채널(Secondary DPCH, 이하 S-DPCH 라 칭하기로 한다)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HS-DSCH 지시자 및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을 전송하기 위한 S-DPCH는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상기 P-DPCH와 다르기 때문에 상기 P-DPCH에는 확산 계수(SF: Spreading Factor, 이하 SF"라 칭하기로 한다)를 N으로, 상기 S-DPCH에는 SF를 M으로 할당한다. 상기 전송해야 하는 HS-DSCH 지시자 및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의 데이터량이 작을 경우 상기 S-DPCH의 SF값인 M을 비교적 큰 값, 일 예로 M = 512 등의 비교적 큰 값을 할당하여 순방향 채널화 코드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수신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24를 참조하면, 안테나(antenna)(2401)를 통해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RF(Radio Frequency)부(2402)로 입력되고, 상기 RF부(2402)는 상기 안테나(240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Baseband)의 RF신호로 변환한 후 복조기(2403)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기(2403)는 상기 RF부(2402)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조 방식으로 복조한 후 승산기(2404)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404)는 상기 복조기(2403)에서 출력한 신호를 스크램블링 부호(scrambling code)와 곱해 디스클램블링(de-scrambling)한 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는 상기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상호 규약된 코드로서 상기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기들중 특정 단말기를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승산기(240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각각 역확산기(de-spreader)(2405), (2406), (2407)로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역확산기(2405)는 역방향 DPCCH 신호에 대한 역확산을 수행하며, 상기 역확산기(2406)는 역방향 DPDCH 신호에 대한 역확산을 수행하며, 상기 역확산기(2407)는 역방향 HS-DPCCH에 대한 역확산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역확산기들(2405),(2406),(2407) 각각이 역확산을 수행한다 함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화 코드로 입력되는 신호를 곱해주는 것을 의미하며, 물론 상기 채널화 코드들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기들간에 상호 규약되어 있어 동일하게 사용된다.
상기 역확산기(2406)에서 출력된 DPCCH 신호는 승산기(2411)로 입력되어 -j와 곱해져 실수신호로 복원되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j가 곱해지는 이유는 단말기에서 j를 곱해 허수신호로서 상기 DPCCH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이다. 상기 승산기(2411)에서 출력된 신호는 역다중화기(2419)와 승산기(2412)로 각각 입력된다. 상기 역다중화기(2419)는 DPCCH 신호중에서 파일럿(2414)만을 구별해내어 채널 추정기(2418)와 채널상태 결정기(2425)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상태 결정기(2425)는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단말에게 전송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파일럿(2414)으로부터 측정된 측정 SIR(SIRest)과 목표 SIR(SIRtarget)과의 차를 구하여 상기 차를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결정기(2426)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결정기(2426)는 상기 채널 상태 결정기(2425)에서 출력한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UL power offset) 값(2427)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과정 중에 상기 도 8에서 설명했듯이 기지국이 전송할 HSDPA 데이터 패킷이 없을 경우 즉, HS-DSCH 지시자가 오프이면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채널 추정기(2418)로 입력된 파일럿(2414)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기지국까지의 채널 환경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채널 추정기(2418)는 상기 파일럿(2414)을 가지고서 채널 추정한 후 상기 추정된 채널 환경에 대한 채널 추정값을 승산기(2412), 승산기(2408), 승산기(2421)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412)는 상기 승산기(2411)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채널 추정기(2418)에서 출력된 신호를 곱한 후 역다중화기(2413)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2413)는 상기 승산기(2412)에서 출력된 신호중에 파일럿(2414)을 제외한 TPC(2415), TFCI(2416), FBI(2417)을 역다중화시켜 출력한다. 상기 TPC2(2415)는 순방향 전송 전력의 제어에, 상기 TFCI(2416)는 역방향 DPDCH의 해석에, 상기 FBI(2417)는 페루프 송신 안테나의 이득 조정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승산기(2408)는 상기 역확산기(2405)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채널 추정기(2418)에서 출력된 신호를 곱셈하여 복호기(2409)로 출력한다. 상기 복호기(2409)는 상기 승산기(2408)에서 출력된 신호를 상기 단말기측에서 사용한 채널 부호, 즉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 혹은 터보 부호(turbo code)등과 같은 채널 부호를 가지고서 복호하여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혹은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 신호(2428)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사용자 데이터 혹은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 신호(2428)는 상위 레이어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승산기(2421)는 상기 역확산기(2407)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채널 추정기(2418)에서 출력된 신호를 곱셈하여 역다중화기(2422)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2422)는 상기 승산기(2421)에서 출력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ACK/NACK(2423) 혹은 다른 제어정보(other information)(2424)를 출력한다.
상기 도 24에서는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수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기지국 송신 장치를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24는 상기 HSDPA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Data1, TPC, TFCI, Data2, Pilot과 상기 HSDPA 방식을 서비스할 경우 HS-DSCH 지시자 또는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하나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로 전송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기지국 송신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5를 참조하면,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user data)(2501)는 부호기(2502)로 입력되고, 상기 부호기(2502)는 상기 사용자데이터(2501)를 채널 부호화하여 레이트 매칭부(2503)로 출력한다. 상기 레이트 매칭부(2503)는 상기 부호기(2502)에서 출력된 신호를 실제 물리 채널에서 전송될 비트수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한 후 다중화기(MUX)(2510)로 출력한다. 그리고 HS-DSCH 지시자(2505)는 단말기에 상기 HSDPA 서비스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UL power offset)(2506)은 상기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서 채널 상황에 따라서 전송되어야 할 경우에 각각 발생하여 다중화기(2504)로 입력되고, 상기 다중화기(2504)는 상기 HS-DSCH 지시자(2505) 및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2506)을 다중화하여 상기 다중화기(251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TFCI(2507)와, Pilot(2508) 및 TPC(2509) 역시 상기 다중화기(2510)로 출력된다.
상기 다중화기(2510)는 상기 레이트 매칭부(2503)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다중화기(2504)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TFCI(2507), Pilot(2508), TPC(2509)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생성하여 직렬/병렬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or)(2511)로 출력한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2511)는 상기 다중화기(25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병렬변하여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생성하여 확산기(2512)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2512)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2511)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에 입력되도록 하여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채널 구분 코드(COVSF)를 곱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2512)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승산기(2513)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가산기(2514)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2513)는 상기 확산기(2512)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가산기(2514)로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2514)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승산기(25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승산기(2515)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515)는 상기 가산기(2514)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승산기(251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승산기(2515)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승산기(2516)는 상기 승산기(251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 gain)과 곱한후 합산기(252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이득은 상기 DP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일반적으로 확산 계수가 작을 때 높은 채널 이득이 곱해지며, 또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채널 이득 값이 상이하게 설정된다. 상기 과정들에서는 DPCH 생성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SHCCH 생성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HS-DSCH 제어정보(2517)는 직렬/병렬 변환기(2518)로 입력되고,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2518)는 상기 HS-DSCH 제어정보(2517)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확산기(2519)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2519)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들 각각은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으로 입력되어 채널화 코드(COVSF)와 곱셈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2519)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승산기(2520)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가산기(2521)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2520)는 상기 확산기(2519)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가산기(2521)로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2521)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승산기(25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승산기(2522)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522)는 상기 가산기(2521)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승산기(252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승산기(2522)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승산기(2523)는 상기 승산기(25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 gain)과 곱한후 상기 합산기(2524)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생성된 DPCH 신호, 즉 상기 승산기(2516)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생성된 SHCCH 신호, 즉 상기 승산기(2523)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합산기(2524)에서 합산된 후 변조기(2525)로 출력된다. 상기 변조기(2525)는 상기 합산기(2524)에서 출력된 신호를 변조하여 RF부(2526)로 출력하고, 상기 RF부(2526)는 상기 변조기(2525)에서 출력한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2527)을 통해 에어상으로 전송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송수신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및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 정보(2601)는 부호기(2602)로 입력되어 길쌈부호 혹은 터보부호로 채널 부호화된 후 레이트 매칭부(2603)로 출력된다. 상기 레이트 매칭부(2603)는 상기 부호기(2602)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심볼(symbol) 천공(puncturing) 혹은 심볼 반복(repetition), 인터리빙(interleaving) 등의 과정을 거쳐 레이트 매칭한 후 확산기(2604)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2604)는 상기 레이트 매칭부(2603)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화 부호를 곱해 확산한 후 승산기(2605)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605)는 상기 확산기(2604)에서 출력한 신호와 채널 이득을 곱한 후 합산기(2606)로 출력한다.그리고, TPC(2607)와, Pilot(2608)과, TFCI(2609)와, FBI(2610)는 다중화기(MUX)(2611)로 입력된 후 다중화되어 DPCCH로 생성되어 확산기(2612)로 출력된다. 상기 확산기(2612)는 상기 다중화기(2611)에서 출력한 DPCCH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DPCCH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화 부호를 곱해 확산한 후 승산기(2613)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613)는 상기 확산기(2612)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과 곱한 후 승산기(2614)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614)는 상기 승산기(2613)에서 출력된 신호에 -j를 곱하여 상기 합산기(260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j를 곱하는 이유는 DPCCH 신호와 DPDCH 신호를 허수측과 실수측으로 구별시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상의 성좌도(Constellation)에서 Zero Crossing 발생 빈도를 줄여 단말기 송신 장치에서 피크대 평균비(PAR: Peak to Average ratio:이하 "PAR"로 칭하기로 함)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상의 성좌도에서 zero crossing이 발생하면 PAR이 커지며, 상기커진 PAR이 단말기의 송신 장치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ACK/NACK(2615)와 다른 제어정보(other information)(2616)는 다중화기(2617)로 입력되어 다중화 된 후 확산기(2618)로 출력된다. 상기 확산기(2618)는 HS-DPCCH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채널화 부호를 곱하여 확산한 후 승산기(2623)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수신 안테나(2619)를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들을 수신단(2620)으로 출력하고, 상기 수신단(2620)은 상기 수신받은 데이터들을 복조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UL power offset) 값(2621)을 검출하여 제어부(2622)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단(2620)은 상기 도 12 및 도 13의 기지국 송신 장치에서 설명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을 전송하는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쳐 복조해내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622)는 DPCCH와 일정 전력비를 가지는 전력으로 전송되는 현재의 HS-DPCCH의 역방향 전송 전력에 상기 검출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만큼을 증가시킨 역방향 전송 전력으로 HS-DPCCH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채널 이득을 조정시킨 후, 그 조정된 채널 이득을 상기 승산기(2623)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2623)는 상기 확산기(2618)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조정된 채널 이득을 곱한 후 상기 합산기(2606)로 출력한다. 결국, 상기 단말기는 DPDCH, DPCCH에 대한 채널이득은 기존 방식대로 적용하고 HS-DPCCH에 대한 채널이득만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이용해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합산기(2606)는 상기 승산기(2605)에서 출력된 신호, 즉 DPDCH 신호와 상기 승산기(2614)에서 출력된 신호, 즉 DPCCH 신호 및 상기 승산기(2623)에서 출력된 신호, 즉 HS-DPCCH 신호를 합산하여 승산기(262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PCCH 신호는 복소수 j가 곱해져 허수가 된 값이라 상기 HS-DPCCH와 합해져도 각 DPCCH의 특성이 없어지지 않으며, 또한 DPDCH와 HS-DPCCH는 각각 다른 채널화 부호로 확산되었기 때문에 수신단에서 역확산할 경우 상호 영향이 없어진다. 상기 DPCCH와 달리 HS-DPCCH에 DPDCH를 합하여 I채널로 전송하고 DPCCH를 Q채널로 전송하는 이유는 실수측으로 전송되는 DPDCH상에 사용자 정보 혹은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이 없을 경우에는 전송되지 않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DPDCH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허수측으로 두 개의 DPCCH를 모두 전송한다면, Zero Crossing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져서 단말기 송신기의 PAR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HS-DPCCH를 실수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송신 장치의 PAR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이다.
상기 승산기(2624)는 상기 합산기(2606)에서 출력된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CSCRAMBLE)와 곱하여 스크램블링한 후 변조기(262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는 UMTS에서 다수개의 단말기들 각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호로서, 일 예로 골드 부호로부터 생성되는 복소 부호이다. 상기 변조기(2625)는 상기 승산기(2624)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변조한 후 RF부(2626)로 출력하고, 상기 RF부(2626)는 상기 변조기(2625)에서 출력된 신호를 반송 주파수로 변환하여 안테나(2627)를 통해 에어상으로 전송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270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해당 단말기로 전송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HSDPA 패킷 데이터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HS-DSCH 지시자를 결정하고 270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HS-DSCH 지시자를 결정한다 함은 상기 HS-DSCH 지시자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SDPA 서비스를 받고 있을 때만 필요한 역방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은 상기 HS-DSCH 지시자기 존재할 경우만 생성된다. 상기 270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HS-DSCH 지시자가 온(On)인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이 아니면, 즉 오프(off)이면 27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7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오프임에 따라 다음번 TTI까지 대기하고 상기 2702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2703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일 경우 상기 기지국은 27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70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대한 측정 신호대 잡음비와 목표 신호대 잡음비간의 차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중 특정 제1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측정 신호대 잡음비와 목표 신호대 잡음비간의 차가 상기 제1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2706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측정 신호대 잡음비와 목표 신호대 잡음비간의 차가 상기 제1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2704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27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대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한 후 2707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신호대 잡음비와 목표 신호대 잡음비간의 차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을 가지고서 결정하는 것이며 상기에서 그 결정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270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DPCH 혹은 S-DPCH를 통해서 전송한 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은 하나의 DPCH를 사용하는 경우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지 않는 다른 슬럿에서 전송되며, 두 개의 DPCH를 사용하는 경우, 즉 P-DPCH와 S-DPCH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S-DPCH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도 27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동작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수신하여 실제 HS-DPCCH 역방향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말기 동작 과정을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8을 참조하면, 2802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되는 DPCH 신호 혹은 S-DPCH 신호로부터 HS-DSCH 지시자를 검색하고 280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DPCH 신호를 가지고서 HS-DSCH 지시자를 검색하는 경우는 기지국이 하나의 DPCH를 전송하는 경우이고, 상기 단말기가 S-DPCH 신호를 가지고서 HS-DSCH 지시자를 검색하는 경우는 기지국이 두 개의 DPCH, 즉 P-DPCH와 S-DPCH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상기 각각의 경우들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미리 설정된 형태로 적용되어 사용된다. 상기 280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검색한 HS-DSCH 지시자가 온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이 아닐 경우 상기 단말기는 28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804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다음번 TTI를 대기하고 2802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2803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28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80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HS-DSCH 지시자가 온인 슬럿 이외의 슬럿에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이 존재할 것이라 판단하고서 다시 상기 DPCH 또는 S-DPCH를 읽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읽고 2806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의 채널 환경이 좋아서 HS-DPCCH의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값이 전송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2805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거나 혹은 채널 상황이 열악한 상태에 있어 상기 HS-DPCCH에 대한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할 필요가 있어 상기 기지국에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상기 2806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검출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상기 HS-DPCCH의 역방향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도 8과 같이 기지국이 HS-DSCH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도 19와 같이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정한 후, 본 발명에 따란 두 제어 정보를 순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순방향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송신 장치의 일 예를 제시한다. 보통 상기 도 5에서 설명했듯이 QAM은 채널환경이 좋을 때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고 QPSK는 채널환경이 좋지 못할 때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다.상기 두 제어 정보를 자세히 살펴 보면, 상기 HS-DSCH 전력 레벨은 하향 채널 환경이 좋아 HS-DSCH의 QAM 변조 시 단말이 QAM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반면 상기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은 상향 채널의 환경이 좋지 못할 때 사용하는 HS-DPCCH의 상향 전송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상향 채널이 좋지 못하다는 것은 어느 정도 하향 채널의 환경도 좋지 못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두 제어 정보는 서로 다른 채널 환경에서 단말이 필요로 하는 정보이다. 즉, 하향 채널환경이 좋으면 HS-DSCH는 QAM 변조하므로 단말은 HS-DSCH 전력 레벨이 필요하다. 그러나 하향 채널환경이 좋지 않으면 기지국은 HS-DSCH를 QPSK나 8-PSK로 변조하므로 단말을 HS-DSCH 전력 레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HS-DPCCH의 전송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기지국은 채널의 환경에 따라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양자 택일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채널의 환경을 구분하는 기준은 MCS 레벨로 둔다. 즉, 채널 환경이 좋을 때 QAM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HS-DSCH 전력 레벨을 단말에게 전송하고 채널 환경이 좋지 않으면 QAM 변조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상향 전송 전력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두 제어 정보인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오프셋 값을 순방향 물리 채널로 전송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29는 HS-DSCH 지시자가 DPCH 내의 필드로 전송되는 경우 HS-DSCH 지시자를 HS-DSCH 전력 레벨,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이 공유할 수 있는 채널 구조를 도시한다. 기지국이 HS-DSCH 전력 레벨만 전송하는 상기 도 9와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만 전송하는 상기 도 21과 같이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 HS-DSCH 전력 레벨 또는 상향 오프셋 값이 전송되는 채널 구조의 한 예이다. 그리고 HS-DSCH 지시자가 DPCH와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여 별개의 채널로 전송될 때도 상기 도 11과 도 22와 같이 HS-DSCH 지시자가 전송되지 않을 때 HS-DSCH 전력 레벨 또는 상향 오프셋 값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기지국 수신 장치는 상기 도 24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31에서는 도 29에서와 같이 Release-9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Data1, TPC, TFCI, Data2, Pilot 과 HS-DSCH 지시자 또는 전력 레벨 또는 오프셋 값이 하나의 순방향 전용물리채널로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 송신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HS-DSCH 순방향 데이터 패킷 3101은 부호기 3102로 입력되어져 터보부호(Turbo code)화되어져 부호화 심볼들로 출력되어진다. 상기 출력되어진 부호 심볼들은 레이트 매칭기 3103에 입력되어져, 상기 부호 심볼들을 심볼 반복 및 천공하여 전송구간(TTI-Transmition time interval)에 상기 심볼들을 전송할 수 있는 심볼 수 만큼으로 맞추어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레이트 매칭되어진 심볼들은 인터리버 3104로 입력되어져 상기 입력신호들을 인터리빙한 후 변조기 1305로 인가하면, 상기 변조기 3105는 상기 입력되어진 인터리빙되어진 심볼들을 QPSK, 8-PSK, M-ary QAM과 같은 신호로 변조하여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상기 비트스트림은 3106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화되고 확산기 3107에서는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같은 채널화 코드를 사용해서 확산시켜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확산기 출력의 두 개의 비트 스트림 I, Q 신호는 곱셈기 3108과 덧셈기 3109에 의해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복소수 스트림 출력은 혼화기 3110에 의해 칩 단위로 복소 혼화 코드와 곱해져 다른 혼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와 구분이 가능해진다. 상기 혼화기 3110의 출력은 다시 곱셈기 3111에 의해 채널이득 3112와 곱해진다. 상기 채널이득은 HS-DSCH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일반적으로 확산율이 작을 때 큰 값이 곱해지며, 또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HS-DSCH 채널 데이터가 상기 변조기 3105에서 QAM 변조 되면 기지국은 단말이 QAM 복조할 수 있도록 한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을 알려 준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상기 도 8과 같이 채널 이득 1312으로부터의 HS-DSCH 전력과 한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대, 최소값을 이용하여 HS-DSCH 전력 레벨 결정기 3115에서 전력 레벨 비트 3121을 생성해 낸다.
전용물리채널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 3116은 부호기 3102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레이트 매칭부 3118에 의해 물리채널에서 전송될 비트수로 레이트 매칭된다. 인터리버 3119에서 인터리빙 된 후 변조기 3120에서 변조된다. 상기 변조기 3120 출력은, 스위치 3123에 의해 전송시점이 구분된 HS-DSCH 지시자 3122와 HS-DSCH 전력 레벨 3121,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 3147, 데이터의 전송포맷 조합 정보인 TFCI 3124, 하향 채널상태 추정을 위한 Pilot 3125, 상향 전송전력 제어를 위한 TPC 3126은 다중화기 3127에 인가되어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스위치 3123은 HS-DSCH 지시자 3122가 전송되어야 할 때는 스위치를 HS-DSCH 지시자 쪽으로, HS-DSCH가 QAM 변조될 때는 스위치를 전력 레벨 3121 쪽으로 온(On)시키고 QAM 변조가 아닐 때는 스위치를 전송전력 오프셋 값 3147 쪽으로 온 시켜 상기 세제어 정보의 전송시점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비트 스트림은 3128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화되고 확산기 3129에서는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같은 채널화 코드를 사용해서 확산시켜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확산기 출력의 두 개의 비트 스트림 I, Q 신호는 곱셈기 3130과 덧셈기 3131에 의해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복소수 스트림 출력은 혼화기 3132에 의해 칩 단위로 복소 혼화 코드와 곱해져 다른 혼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와 구분이 가능해진다. 상기 혼화기 3132의 출력은 다시 곱셈기 3133에 의해 채널이득 3134과 곱해진다. 한편, 상기 도 31에서는 SHCCH를 위한 전송장치 또한 도시하고 있는데, HS-DSCH 제어정보 3135는 3136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되며 확산기 3137에 의해 확산되고, 다시 3138와 3139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은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3139의 복소수 출력은 혼화기 3140에 의해 칩 단위로 복소 혼화 코드와 곱해진 후, 곱셈기 3141에서 채널이득 3142와 곱해진다. 3111의 HS-DSCH 채널 출력과 3133의 순방향 전용물리채널 출력과 3141의 SHCCH 출력은 합산기 3143에서 더해진 후, 필터 3144에서 필터링되고 RF부 3145에서 RF 대역 신호로 바뀐 후 안테나 3146을 통해 송신된다.
한편, 상기 도 29에서 설명했듯이 HS-DSCH 지시자가 DPCH와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여 별개의 채널로 전송될 때, 상기 HS-DSCH 전력 레벨을 HS-DSCH 지시자 채널로 전송하는 방식의 경우도 상기 도 31과 같은 기지국 송신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HS-DSCH 지시자 채널과 DPCH 채널을 별개의 채널화 코드로 구분하도록송신 장치가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30 및 도 32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본 발명에 따른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순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해 순방향 제어채널 SHCCH를 구성하는 방법 및 송신 장치의 일 예를 제시한다. 상기 도 1과 같이 HS-DSCH 채널을 제어하기 위한 SHCCH로는 HS-DSCH 채널화 코드, HS-DSCH 채널에서 사용될 변조 및 채널 코딩 방법을 알려 주는 MCS 레벨, 재전송을 위한 HARQ에 대한 정보들이 프로세스 번호와 패킷 번호가 전송된다. 이러한 제어 정보에 차후에 더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제어정보도 있을 것이다. SHCCH 채널로 상기의 제어 정보들과 함께 상기의 전력 레벨과 오프셋 값을 특정 필드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정보 중 MCS 레벨을 보아서 HS-DSCH 채널이 QAM으로 변조되면 SHCCH로 전력 레벨을 전송한다. QAM이 아니면 HS-DSCH 전력 레벨이 전송될 필드로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한다. 한편, 상기 도 30은 순방향 물리 채널 내에 HS-DSCH 지시자 필드가 있는 DPCH 채널구조를 보이나 HS-DSCH 지시자를 위해 DPCH와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여 별개의 채널로 전송하는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도 32는 기지국이 상기 도 8과 도 19와 같이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고 도 30과 같은 채널구조를 가지는 채널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를 제시한다. 도 32에서는 도 30에서와 같이 HS-DSCH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SHCCH로 HS-DSCH 채널화 코드와 다른 제어정보, MCS 레벨, HARQ 제어정보와 함께 HS-DSCH 전력 레벨 또는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HS-DSCH 순방향 데이터 패킷 3201은 부호기 3202로 입력되어져 터보부호(Turbo code)화되어져 부호화 심볼들로 출력되어진다. 상기 출력되어진 부호 심볼들은 레이트 매칭기 3203에 입력되어져, 물리채널에서 전송될 비트수로 레이트 매칭된다 그러면 상기 레이트 매칭되어진 심볼들은 인터리버 3204로 입력되어져 상기 입력신호들을 인터리빙한 후 변조기 3205로 인가하면, 상기 변조기 3205는 상기 입력되어진 인터리빙되어진 심볼들을 QPSK, 8-PSK, M-ary QAM과 같은 신호로 변조하여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상기 비트스트림은 3206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화되고 확산기 3207에서는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같은 채널화 코드를 사용해서 확산시켜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확산기 출력의 두 개의 비트 스트림 I, Q 신호는 곱셈기 3208과 덧셈기 3209에 의해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복소수 스트림 출력은 혼화기 3210에 의해 칩 단위로 복소 혼화 코드와 곱해져 다른 혼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와 구분이 가능해진다. 상기 혼화기 3210의 출력은 다시 곱셈기 3211에 의해 채널이득 3212와 곱해진다. HS-DSCH 채널 데이터가 상기 변조기 3205에서 QAM 변조 되면 기지국은 단말이 QAM 복조할 수 있도록 한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을 알려 준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상기 도 8과 같이 채널 이득 3212으로부터의 HS-DSCH 전력과 한 코드에 대한 HS-DSCH 전력의 최대, 최소값을 이용하여 HS-DSCH 전력 레벨 결정기 3215에서 전력 레벨 비트 3218을 생성해 낸다. 이 때 변조 방식이 QAM이 아니면 상기 전력 레벨 결정기에서 전력 레벨을 생성하지 않고 상기 도 24의 기지국 수신장치에서 상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 3249를 생성해 낸다. 스위치 3250은 HS-DSCH 변조 방식이 QAM이면 HS-DSCH 전력 레벨 3218을, QAM이 아니면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3249를 다중화기 입력으로 보내준다. 상기 HS-DSCH 전력 레벨 3218과 오프셋 값 3249는 HS-DSCH 채널화 코드와 다른 제어 정보 3216, MCS 레벨 3217, HARQ 제어정보 3219와 함께 다중화기 3220에 의해 다중화 된다. 다중화기 3220의 출력은 3221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되며 확산기 3222에 의해 확산되고, 다시 3223와 3224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은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3224의 복소수 출력은 혼화기 3225에 의해 칩 단위로 복소 혼화 코드와 곱해진 후, 곱셈기 3226에서 채널이득 3227과 곱해진다.
전용물리채널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 3228은 부호기 3229에 의해 채널 부호화되고 레이트 매칭부 3230에 의해 물리채널에서 전송될 비트수로 레이트 매칭된다. 인터리버 3231에서 인터리빙 된 후 변조기 3232에서 변조된다. 상기 변조기 3232 출력은, HS-DSCH 지시자 3233, 데이터의 전송포맷 조합 정보인 TFCI 3234, 하향 채널상태 추정을 위한 Pilot 3235, 상향 전송전력 제어를 위한 TPC 3236은 다중화기 3237에 인가되어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비트 스트림은 3238에 의해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화되고 확산기 3239에서는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같은 채널화 코드를 사용해서 확산시켜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확산기 출력의 두 개의 비트 스트림 I, Q 신호는 곱셈기 3240과 덧셈기 3241에 의해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복소수 스트림 출력은 혼화기 3242에 의해 칩 단위로 복소 혼화 코드와 곱해져 다른 혼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와 구분이 가능해진다. 상기 혼화기 3242의 출력은다시 곱셈기 3243에 의해 채널이득 3244와 곱해진다. 3211의 HS-DSCH 채널 출력과 3243의 순방향 전용물리채널 출력과 3226의 SHCCH 출력은 합산기 3245에서 더해진 후, 필터 3246에서 필터링되고 RF부 3247에서 RF 대역 신호로 바뀐 후 안테나 3248을 통해 송신된다. 한편, 상기 도 29에서 설명했듯이 HS-DSCH 지시자가 DPCH와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여 별개의 채널로 전송되는 채널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해서, SHCCH로 HS-DSCH 전력 레벨을 전송할 수 있는 송신 장치도 가질 수 있다.
도 33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31과 같은 기지국 송신 장치 상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수신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안테나(3301)에 의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는 RF부(3302)에 의해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되고, 필터(3303)에 의해 필터링 된 후 세 개의 역혼화기 3304, 3316, 3327에 인가된다. 역혼화기 3304에서는 순방향 데이터 채널 HS-DSCH 신호가 출력되며 역혼화기 3316에서는 순방향 전용물리채널 신호가 출력되며, 역혼화기 3327에서는 SHCCH 채널 신호가 출력된다. 3304의 복소수 출력은 3305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 3306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다. 3316의 복소수 출력은 3317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 3318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다. 또한 3328의 출력 I, Q 신호는 역확산기 3329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다. 역확산기(3318)의 I, Q 출력신호는 역다중화기(3307)에 인가되어, 역다중화기(3307)는 파일럿(pilot)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파일럿(pilot) 신호는 채널추정기(3309)에 인가되어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 추정을 통한 채널추정치가 채널보상기 3310, 3319와 3329에 인가한다. 상기 채널보상기 3310, 3319와 3329는 상기 채널추정치를 이용하여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게 된다. 상기 채널보상기 3310은 HS-DS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 3319는 전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 3331은 SHC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3311은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인가된 HS-DSCH 채널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시킨다. 3320은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인가된 SHCCH 채널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시켜 최종적으로 HS-DSCH 제어정보 3332를 출력하게 된다. 3320은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인가된 전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3320의 출력 비트 스트림은 역다중화기(3321)에 의해 TPC(3322), TFCI(3323), 스위치 3325에 구분된 HS-DSCH 지시자(3324)와 HS-DSCH 전력 레벨 3326,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3337을 출력한다. 스위치는 HS-DSCH 지시자가 수신 되는 시점에서는 HS-DSCH 지시자 3324를 출력으로, HS-DSCH 변조 방식이 QAM이면 HS-DSCH 전력 레벨 3326을 출력으로 QAM이 아니면 상향 오프셋 값 3337을 출력으로 내 보낸다. 상기 역다중화기(3321)는 하향데이터 신호 또한 출력하는데,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는 복조기 3333과 디인터리버 3334, 복호기(3335)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하향 데이터(3336)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3311는 HS-DSCH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는 복조기 3312와 디인터리버 3313, 복호기 3314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하향 데이터 패킷 신호 3315가 출력된다. 이 때 복조기에서는 하향 데이터가 QAM 변조되어 있는 경우 상기 DPCH로 수신한 HS-DSCH 파워 레벨 3326을 이용하여 QAM 복조에 이용한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32와 같은 기지국 송신 장치 상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수신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안테나(3401)에 의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는 RF부(3402)에 의해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되고, 필터(3403)에 의해 필터링 된 후 세 개의 역혼화기 3404, 3416, 3425에 인가된다. 역혼화기 3404에서는 순방향 데이터 채널 HS-DSCH 신호가 출력되며 역혼화기 3416에서는 순방향 전용물리채널 신호가 출력되며, 역혼화기 3425에서는 SHCCH 채널 신호가 출력된다. 3404의 복소수 출력은 3405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 3406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다. 3416의 복소수 출력은 3417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 3418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다. 또한 3426의 출력 I, Q 신호는 역확산기 3427에서 채널화 코드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다. 역확산기(3418)의 I, Q 출력신호는 역다중화기(3407)에 인가되어, 역다중화기(3407)는 파일럿(pilot)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파일럿(pilot) 신호는 채널추정기(3409)에 인가되어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 추정을 통한 채널추정치가 채널보상기 3410, 3419와 3428에 인가한다. 상기 채널보상기 3410, 3419와 3428은 상기 채널추정치를 이용하여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게 된다. 상기 채널보상기 3410은 HS-DS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 3419는 전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채널보상기3428은 SHCCH 채널의 데이터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3411은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인가된 HS-DSCH 채널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시킨다. 3429은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인가된 SHCCH 채널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시켜 역다중화기에 의해 HS-DSCH 채널화 코드와 다른 정보 3431, MCS 레벨 3432, 스위치 3439의 입력, HARQ 제어정보 3434으로 역다중화 된다. 스위치 3439는 상기 MCS 레벨에서 변조 방식이 QAM이면 HS-DSCH 전력 레벨 3433을 출력으로 QAM이 아니면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3440을 출력으로 낸다. 3420은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인가된 전용물리채널의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3420의 출력 비트 스트림은 역다중화기(3421)에 의해 TPC(3422), TFCI(3423), HS-DSCH 지시자(3424)를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3421)는 하향데이터 신호 또한 출력하는데,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는 복조기 3435과 디인터리버 3436, 복호기(3437)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하향 데이터(3438)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3411는 HS-DSCH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하향 데이터 신호는 복조기 3412와 디인터리버 3413, 복호기 3414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하향 데이터 패킷 신호 3415가 출력된다. 이 때 복조기에서는 하향 데이터가 QAM 변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한 HS-DSCH 파워 레벨 3433을 이용하여 QAM 복조에 이용한다.
도 35 및 도 36 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을 처리하기 위해 기지국 및 단말에서 수행하는 일의 순서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35는 기지국이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 3501을 시작으로 기지국은 먼저 3502 단계에서 HSDPA 데이터 패킷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HS-DSCH 지시자를 결정한다. 상기 도 9, 도 21에서 설명했듯이 HSDPA 서비스 중에만 필요한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오프셋은 HS-DSCH 지시자가 존재할 경우만 상기 두 값을 생성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 35의 3503 단계에서 HS-DSCH 지시자가 온(On)인지 오프(Off)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HS-DSCH 지시자가 오프이면 3504과 같이 다음 TTI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 단계 3502로 넘어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HS-DSCH 지시자가 온이면 기지국은 단계 3505에서 HS-DSCH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변조 방식과 채널 코딩 방법을 결정하는 MCS 레벨을 결정한다. HS-DSCH 전력 레벨을 HS-DSCH 채널의 변조 방식이 QAM일 때만 필요한 정보이고 QAM이 아니면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이 필요하므로 단계 3506에서 QAM 복조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QAM 변조 방식을 사용하면 기지국이 한 코드에 할당할 수 있는 HS-DSCH 전력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단계 3508에서 결정한다. 그 후 상기 두 값을 기준으로 상기 도 8의 방식으로 단계 3510에서 HS-DSCH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QAM이 아니면 상기 도 24의 장치와 같이 단계 3507에서 상향 SIR과 목표 SIR의 차가 임계값 1보다 큰지 채널상황을 판단한다. 단계 3509에서 '예'이면 채널상황이 좋지 못하므로 상기 도 19와 같이 DPCCH SIR과 목표 SIR 차와 임계값들을 이용해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단계 3509에서 결정한다. 단계 3509에서 '아니오'이면 단계 3504로 넘어가 다음 TTI까지 기다린다. 상기 단계 3509에서 결정된 오프셋 값과 상기 단계 3510에서 결정된 HS-DSCH 전력 레벨을 전송부 3511에서 채널 상황에 따라 순방향 채널 DPCH 또는 S-DPCH 또는 SHCCH로 전송한 후 단계 1512에서 끝낸다. 즉 변조 방식이 QAM이면 HS-DSCH 전력 레벨을 아니면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전송한다.
상기 도 36은 단말이 HS-DSCH 전력 레벨과 상향 전송전력 오프셋 값을 처리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 3601을 시작으로 단계 3602에서 전송받은 DPCH로부터 HS-DSCH 지시자를 검색한다. 단계 3603에서 HS-DSCH 지시자가 온인지 오프인지를 판별하여 오프이면 단계 3604로 넘어가 다음 TTI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 단계 3602부터 다시 수행한다. HS-DSCH 지시자가 온이면 단계 3605에서 SHCCH로 전송되는 MCS 레벨을 읽는다. 만약 HS-DSCH가 QAM 변조인지 단계 3606에서 판단하여 아니면 단계 3608로 넘어가 상향 오프셋 값을 읽은 후 단계 3610에서 상기 오프셋 값을 이용해 HS-DPC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단계 3611에서 끝낸다. 만약 QAM 변조라면 HS-DSCH 전력 레벨이 있는 경우이므로 단계 3607에서 상기 도 29와 같은 채널구조인 경우는 DPCH 내의 HS-DSCH 지시자 필드의 HS-DSCH 전력 레벨을 읽는다. 상기 도 30과 같은 채널 구조를 가지는 경우는 상기 단계 3607에서 SHCCH내의 HS-DSCH 전력 레벨을 읽는다. 그 후 읽은 전력 레벨을 이용해 단계 3609에서 HS-DSCH 복조를 수행하고 단계 3611에서 끝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전송하는 HS-DPCCH 신호에 대해서 역방향 전송 전력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래서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HS-DPCCH 역방향 전송 전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QAM 방식으로 변조될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인 HS-DSCH의 전력 레벨을 단말기로 통보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복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1)

  1.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을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전용 채널 신호에서 파일롯을 검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대 잡음비와 미리 설정한 목표 신호대 잡음비의 차를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의 현재 역방향 전송 전력에 가산시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수신기와,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될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에 관한 제어 정보인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 및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에 대한 패킷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다중화하여 순방향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전송시구간 내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 및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이 전송되는 슬럿들 이외의 슬럿들에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은 상기 단말기의 역방향 전용 채널들중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전력에 가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신호대 잡음비와 목표 신호대 잡음비의 차가 특정 제1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값을 전송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과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공통 파일럿 채널 전력과의 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전용 채널 신호의 전송시구간내 임의의 슬럿에서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할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지시자가 존재하면, 상기 슬럿 이후의 슬럿들을 읽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 혹은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검출하는 수신기와,
    상기 검출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현재 전송되고 있는 순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의 전송전력에 가산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을 조정한 후상기 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으로 상기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과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공통 파일럿 채널 전력과의 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검출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가지고서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채널 이득을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을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전용 채널 신호에서 파일롯을 검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신호대 잡음비와 미리 설정한 목표 신호대 잡음비의 차를 미리 설정한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될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에 관한 제어 정보인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 및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에 대한 패킷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다중화하여 순방향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전송시구간 내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 및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이 전송되는 슬럿들 이외의 슬럿들에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은 상기 단말기의 역방향 전용 채널들중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전력에 가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신호대 잡음비와 목표 신호대 잡음비의 차가 특정 제1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값을 전송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고속 순방향공통 채널 전력과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공통 파일럿 채널 전력과의 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이 QAM 방식으로 변조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을 전송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서비스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전용 채널 신호의 전송시구간내 임의의 슬럿에서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할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지시자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지시자가 존재하면, 상기 슬럿 이후의 슬럿들을 읽어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 혹은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이 존재하면 현재 전송되고 있는 순방향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의 전송전력에 가산하여 역방향 전송 전력을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역방향 전송 전력으로 상기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 값이 존재하면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전력 레벨 값으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의 채널 이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채널 이득 값을 가지고서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 레벨은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과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공통 파일럿 채널 전력과의 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1-0051604A 2001-08-25 2001-08-25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59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604A KR100459573B1 (ko) 2001-08-25 2001-08-25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10/222,175 US7197021B2 (en) 2001-08-25 2002-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offset and HS-DSCH power level in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HSDPA
JP2002241134A JP3763805B2 (ja) 2001-08-25 2002-08-21 高速順方向パケット接続方式を使用する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送信電力オフセット及び高速順方向共通チャネル電力レベルの送受信装置及び方法
GB0219508A GB2381166B (en) 2001-08-25 2002-08-2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offset and HS-DSCH power level in a communcation system employing HSDPA.
FR0210532A FR2828968B1 (fr) 2001-08-25 2002-08-23 Appareil et procede de communications par canaux de liaisons montante et descendante pour la transmission de donnees par paquets
CN2008100922193A CN101369863B (zh) 2001-08-25 2002-08-25 发送/接收上行发送功率偏移和功率电平的设备和方法
CNA2006100088535A CN1819482A (zh) 2001-08-25 2002-08-25 发送/接收上行发送功率偏移和功率电平的设备
CNB021498741A CN100431312C (zh) 2001-08-25 2002-08-25 发送/接收上行发送功率偏移和功率电平的设备和方法
DE10239068.1A DE10239068B4 (de) 2001-08-25 2002-08-26 Apparat und Verfahren für das Senden/Empfangen eines Aufwärtsverbindungssendeleistungsversatzes und einer HS-DSCH-Sendeleistungsstufe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das HSDPA anwen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604A KR100459573B1 (ko) 2001-08-25 2001-08-25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954A true KR20030017954A (ko) 2003-03-04
KR100459573B1 KR100459573B1 (ko) 2004-12-03

Family

ID=3691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604A KR100459573B1 (ko) 2001-08-25 2001-08-25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97021B2 (ko)
JP (1) JP3763805B2 (ko)
KR (1) KR100459573B1 (ko)
CN (3) CN101369863B (ko)
DE (1) DE10239068B4 (ko)
FR (1) FR2828968B1 (ko)
GB (1) GB238116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30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정보 채널 송신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47720B1 (ko) * 2001-11-19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24978B1 (ko) * 2001-08-25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11138B1 (ko) * 2002-04-25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이 조절되는 적응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32968A2 (en) * 2008-09-18 2010-03-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identifying transmit power value in multi-user mim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837B2 (en) * 2001-10-26 2008-05-13 Texas Instrument Incorporated Incremental redundancy using two stage rate matching for automatic repeat request to obtain high speed transmission
US8619718B2 (en) * 2002-04-05 2013-12-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node B resource management for high speed downlink packet data service
JP4291774B2 (ja) * 2002-07-29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基地局装置
US8320301B2 (en)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7986742B2 (en) 2002-10-25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Pilots for MIMO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81131A1 (en) 2002-10-25 2004-04-29 Walton Jay Rod OFDM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OFDM symbol sizes
US8208364B2 (en) * 2002-10-2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MIMO system with multiple spatial multiplexing modes
US7149538B2 (en) * 2003-02-13 2006-1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transceiver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stricting transmission power based on signal-to-interference ratios
KR100584431B1 (ko) * 2003-02-14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재전송 시스템 및 방법
WO2004073245A1 (de) * 2003-02-14 2004-08-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US7813322B2 (en) 2003-02-19 2010-10-12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automatic repeat request methods and apparatus
US8099099B2 (en) * 2003-02-19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40179493A1 (en) * 2003-03-14 2004-09-16 Khan Farooq Ullah Methods of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225087B2 (ja) * 2003-03-19 2009-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制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アウタループ電力制御方法
DE602004032430D1 (de) * 2003-03-26 2011-06-09 Interdigital Tech Corp Drahtloses mehrzellen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verwaltung der betriebsmittelleistung zur bereitstellung von schnellen abwärtsstreckenpaketzugangsdiensten
JP4288093B2 (ja) * 2003-04-09 2009-07-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4116925B2 (ja) 2003-05-13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制御局装置、通信端末装置、送信信号生成方法、受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A2528825C (en) 2003-07-01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verse packet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77120B2 (en) * 2003-07-02 2009-08-18 Alcatel-Lucent Usa Inc. Allocation of power and channelization codes for data transfers
KR101109828B1 (ko) 2003-08-20 2012-02-14 파나소닉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서브 캐리어의 할당 방법
FI20031200A0 (fi) * 2003-08-26 2003-08-26 Nokia Corp Menetelmä ja tukiasema siirtoyhteyden sovituksen ja pakettiajoituksen ohjaamiseksi HSDPA-radiojärjestelmässä
US7397776B2 (en) * 2003-10-03 2008-07-08 Nvid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ly and dynamically optimiz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network
US7643443B2 (en) * 2003-10-03 2010-01-05 Nvid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ly and dynamically optimiz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network
JP4837769B2 (ja) * 2003-11-11 2011-12-1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WO2005048614A1 (fr) * 2003-11-14 2005-05-26 Zte Corporation Procede de programmation de paquets pour systeme de communication sans fil
WO2005050903A1 (de) * 2003-11-17 2005-06-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senden von daten von einer mobilstation an eine basisstation
US7808944B2 (en) * 2003-11-21 2010-10-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downlink and uplink coded composite transport channels based on discontinuous transmission state values
US9473269B2 (en)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09145B1 (ko) * 2004-01-09 201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핸드오버중인 단말에서 하향링크ack/nack피드백 판정방법
FR2869496B1 (fr) * 2004-04-26 2006-08-11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 controle de puissance d'emission sur des canaux de communication et station de bas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4237668B2 (ja) * 2004-04-27 2009-03-1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7979072B2 (en) * 2004-06-04 2011-07-12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ff in mobile broadband systems
GB2415324B (en) * 2004-06-16 2006-06-28 Siemens Ag A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power level
CN102573031B (zh) * 2004-06-17 2015-10-21 日本电气株式会社 上行链路分组数据发送功率控制方法
US7388929B2 (en) * 2004-07-29 2008-06-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vailability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64659B2 (en) 2004-08-02 2011-01-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Quality control scheme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FI20045297A0 (fi) * 2004-08-16 2004-08-16 Nokia Corp HSUPA-järjestelmän radioresurssikontrolli
SE0402208D0 (sv) * 2004-09-13 2004-09-13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dommunication system
ATE549892T1 (de) * 2004-10-29 2012-03-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anordnung zur leistungsregelung auf der basis gegenseitiger informationen
KR100897893B1 (ko) * 2004-11-09 2009-05-1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제어국
CN100353797C (zh) * 2004-11-12 200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增强专用物理控制信道的检测方法
WO2006069487A1 (fr) * 2004-12-30 2006-07-06 Utstarcom Telecom Co., Ltd. Systeme de communication sans fil td-scdma et procede d'amelioration de la commande de puissance en liaison descendante
US20060209970A1 (en) * 2005-01-11 2006-09-21 Emmanuel Kanterakis Adaptive transmission rate communication system
JP4542937B2 (ja) * 2005-03-31 2010-09-1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地局装置
EP1717965A1 (en) * 2005-04-27 2006-11-02 Alcatel Alsthom Compagnie Generale D'electricite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HSDPA connections
US7702352B2 (en) * 2005-05-13 2010-04-20 Intel Corporation Network node power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US8320264B2 (en) * 2005-05-17 2012-11-27 Andrew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 loss by active signal detection
ES2556112T3 (es) 2005-08-16 2016-01-13 Koninklijke Philips N.V. Adaptación de formato de un canal de control para la transmisión discontinua de datos
JP4592548B2 (ja) * 2005-08-24 2010-1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4592545B2 (ja) * 2005-08-24 2010-1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4592547B2 (ja) * 2005-08-24 2010-1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4592546B2 (ja) * 2005-08-24 2010-1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回線制御局
US7756543B2 (en) * 2005-09-09 2010-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gh speed shared radio channel transmit power control
US7636582B2 (en) * 2005-09-30 2009-12-22 Alcatel-Lucent Usa Inc. Providing power control in a reverse link of a wireless spread-spectrum data network for bursty traffic
GB2433383B (en) * 2005-12-19 2008-03-12 Motorola Inc Transmit power control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7801547B2 (en) * 2005-12-22 2010-09-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ownlink signaling pow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1811674A1 (en) * 2006-01-23 2007-07-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jointly decoding messages based on apriori knowledge of modified codeword transmission
CN101849423B (zh) * 2006-05-12 2014-06-18 诺基亚公司 提供具有固定组成部分和可变组成部分的已划分下行链路共享控制信道的装置、方法
EP2018787B1 (en) * 2006-05-17 2017-03-08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implementing superposition coding for a forward link in a wireless commnication system
US20070280146A1 (en) * 2006-05-30 2007-12-06 Shirish Nagaraj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uplink signal power
CN101114851B (zh) * 2006-07-24 2010-10-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hsdpa的功率控制方法及装置
BRPI0717893A2 (pt) 2006-11-01 2013-11-05 Qualcomm Inc Multiplexação de controle e dados com deslocamentos de potência variável em um sistema sc-fdma
WO2008066431A1 (en) * 2006-11-29 2008-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offset variation in relation to different transmission channels
US8825099B2 (en) * 2007-01-09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CQI reporting for MIMO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37337B2 (en) * 2007-01-12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power information for MIMO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237260B (zh) * 2007-02-02 2011-1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装置与方法
CN101132207B (zh) * 2007-03-09 2011-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td-scdma系统中的下行功率控制方法
EP2127127A2 (en) * 2007-03-26 2009-12-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WO2008136651A2 (en) * 2007-05-08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management in hspa
WO2008145153A1 (en) * 2007-05-29 2008-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uplink data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networks
US8189581B2 (en) * 2007-06-20 2012-05-2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signal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transmission and receipt of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US20080316995A1 (en) * 2007-06-20 2008-12-25 Motorola, Inc. Broadcast channel signal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transmission and receipt of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CN101340264B (zh) * 2007-07-03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网络中的上行链路发送功率最佳分配方法和系统
US20090163158A1 (en) * 2007-08-07 2009-06-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upport of downlink dual carriers and other features of evolved geran networks
CN103401591B (zh) * 2007-08-13 2017-03-01 朗讯科技公司 使用永久调度控制信道传输的方法
US8233452B2 (en) * 2007-09-18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transmission on shared and dedicated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9072945A1 (en) * 2007-12-06 2009-06-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wer control during soft handover
US8718694B2 (en) 2007-12-07 2014-05-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ing and procedure to support uplink power level determination
CN101933376B (zh) * 2008-01-10 2013-10-09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通过确定用户设备中的功率偏移值而节省无线资源的方法和装置
US8737999B1 (en) * 2008-02-04 2014-05-2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of intelligent cell switching
KR100943908B1 (ko) 2008-02-19 201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ch를 통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GB2457759A (en) * 2008-02-25 2009-09-02 Cambridge Silicon Radio Ltd Modifying the transmission parameters of acknowledgements (ACKs) based on reception quality
US8477734B2 (en) * 2008-03-25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f ACK and CQI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12222B2 (en) * 2008-06-27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multicast transmission with rate adaption
EP2144379A1 (en) 2008-07-07 2010-01-13 Nokia Siemens Networks OY Coordinating of network nodes
US9420548B2 (en) * 2008-07-31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IoT setpoints and interference control
JP5103323B2 (ja) * 2008-08-11 2012-12-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US20100195564A1 (en) * 2008-11-26 2010-08-05 Je-Hong Jo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iming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for satellite diversity
JP4598866B2 (ja) * 2009-03-12 2010-1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9137815B2 (en) * 2009-06-17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8583161B2 (en) * 2009-10-30 2013-11-12 Htc Corporation Method of performing feedback load reduc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20110201335A1 (en) * 2010-02-12 2011-08-18 David Garrett Method and system for a location-based vertical handoff over heterogeneous mobile environments
JP5364048B2 (ja) * 2010-07-07 2013-12-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方法
US8769365B2 (en) 2010-10-08 2014-07-01 Blackberry Limited Message rearrangement for improved wireless code performance
US20120182945A1 (en) * 2010-10-12 2012-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Power Control
US8582518B2 (en) 2010-11-09 2013-11-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for ACK/NACK formats with carrier aggregation
US9100922B2 (en) * 2010-11-09 2015-08-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ower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20543B2 (en) * 2010-12-10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transmission power on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CN103037490B (zh) * 2011-09-30 2016-06-0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控制信道功率控制的方法和相应装置
US9043667B2 (en) * 2011-11-04 2015-05-2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HARQ-ACK and CSI transmission
US10178651B2 (en) 2012-05-11 2019-01-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HARQ and CSI multiplexing for carrier aggregation
JP6011621B2 (ja) * 2012-07-24 2016-10-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140099988A1 (en) * 2012-10-09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multiple uplink channels in the same frequency band
US10091735B2 (en) 2012-12-13 2018-10-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EP3075195B1 (en) * 2013-11-28 2018-11-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etwork nod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for a downlink shared channel
US10091737B2 (en) 2013-12-20 2018-10-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means for maintaining uplink time alignment
WO2016050318A1 (en) * 2014-10-03 2016-04-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handling of uplink signals sent by a user equipment
CN107431554B (zh) * 2015-03-26 2019-10-18 索尼公司 一种装置
US10602507B2 (en) * 2016-09-29 2020-03-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uplink communication waveform selection
US10206232B2 (en) 2016-09-29 2019-0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itial access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wireless networks
US10644924B2 (en) 2016-09-29 2020-05-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a two-stage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71214B2 (en) 2016-09-29 2019-01-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hannel state information framework design for 5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s
US10158555B2 (en) 2016-09-29 2018-1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route optimization for a 5G network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355813B2 (en) 2017-02-14 2019-07-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ink adaptation on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2318A (en) * 1994-07-29 1998-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DE69729784T2 (de) * 1996-06-27 2005-06-23 Ntt Docomo, Inc. Anordnung zur sendeleistungsregelung
DE19651593B4 (de) * 1996-12-11 2008-11-20 Rohde & Schwarz Gmbh & Co. Kg Anordnung zum Optimieren der Datenübertragung über einen bidirektionalen Funkkanal
US5987326A (en) * 1997-02-11 1999-11-1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reduction for a high speed CDMA link in soft handoff
US6173162B1 (en) * 1997-06-16 2001-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code channel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290668B1 (ko) * 1997-10-13 2001-07-12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순방향링크의전력제어방법
JP3295369B2 (ja) * 1998-03-10 2002-06-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JP3028802B2 (ja) * 1998-05-28 2000-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出捕捉時の電力制御方法
KR100318936B1 (ko) * 1998-12-31 2001-12-29 윤종용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전력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5978B1 (ko) * 1999-05-29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불연속 전송모드에서 연속적인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6529482B1 (en) * 1999-06-30 2003-03-04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signal-to-interference threshold in a closed loop power control communications system
GB2375691B (en) * 2001-05-17 2004-06-09 Nec Corp Updating method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78B1 (ko) * 2001-08-25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47720B1 (ko) * 2001-11-19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11138B1 (ko) * 2002-04-25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이 조절되는 적응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16330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정보 채널 송신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0032968A2 (en) * 2008-09-18 2010-03-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identifying transmit power value in multi-user mimo
WO2010032968A3 (en) * 2008-09-18 2010-07-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identifying transmit power value in multi-user mim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9863A (zh) 2009-02-18
JP2003134046A (ja) 2003-05-09
KR100459573B1 (ko) 2004-12-03
US20030039217A1 (en) 2003-02-27
CN100431312C (zh) 2008-11-05
CN1819482A (zh) 2006-08-16
CN101369863B (zh) 2011-05-11
FR2828968B1 (fr) 2006-03-24
GB2381166B (en) 2003-12-03
GB2381166A (en) 2003-04-23
DE10239068B4 (de) 2016-11-10
FR2828968A1 (fr) 2003-02-28
CN1406033A (zh) 2003-03-26
DE10239068A1 (de) 2003-04-17
JP3763805B2 (ja) 2006-04-05
US7197021B2 (en) 2007-03-27
GB0219508D0 (en)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573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93079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부호 분할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채널 품질을 보고하는장치 및 방법
JP4361912B2 (ja) 符号分割多重接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伝送方法
KR100832117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EP13132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9499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26673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EP1592146A2 (en) Transmission power correcting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bile station
KR20030077733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순방향 채널 품질을 보고하기 위한 채널 품질 보고 패턴결정 장치 및 방법
US20050141446A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724978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19754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54668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슬롯 포맷을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2613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시분할 듀플렉싱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채널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01649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장치에게수신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16330A (ko) 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정보 채널 송신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