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754A -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754A
KR20030019754A KR1020010053044A KR20010053044A KR20030019754A KR 20030019754 A KR20030019754 A KR 20030019754A KR 1020010053044 A KR1020010053044 A KR 1020010053044A KR 20010053044 A KR20010053044 A KR 20010053044A KR 20030019754 A KR20030019754 A KR 20030019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 forward
field
common channel
channel indicator
forward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374B1 (ko
Inventor
박준구
최성호
유한일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3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broadband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할 슬럿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슬럿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 중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확장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와,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포맷 조합 표시 정보와, 파일럿을 상기 확장 전송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와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전용 채널 송신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INDICATOR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CHE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 칭한다.)방식은 UMTS(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순방향 데이터 채널인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High Speed - Downlink Shared Channel:HS-DSCH)과 이와 관련된 제어채널들을 포함한 데이터 전송방식을 총칭한다. 상기 HSDPA를 지원하기 위해서 적응적 변조방식 및 코딩 방식(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복합 재전송 방식(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라 함) 및 빠른 셀 선택(Fast Cell Select: 이하 "FCS"라 함)방식이 제안되었다. 첫 번째로, AMC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AMC 방식은 특정 기지국(Node B)과 단말기(UE: User Element)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채널의 변조방식과 코딩방식을 결정하여, 상기 기지국 전체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전송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AMC 방식은 복수개의 변조방식들과 복수개의 코딩방식들을 가지며, 상기 변조방식들과 코딩방식들을 조합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변조 및 코딩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변조방식들과 코딩방식들의 조합들 각각을 변조 및 코딩 스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함)라고 하며, 상기 MCS 수에 따라 레벨(level) 1에서 레벨(level) n까지 복수개의 MCS들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AMC 방식은 상기 MCS의 레벨(level)을 상기 UE(130)과 현재 무선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123)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Node B 전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식이다. 두번째로, HARQ 방식, 특히 다채널 정지-대기 혼화 자동 재전송 방식(n-channel Stop And Wait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이하 "n-channel SAW HARQ"라 칭한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HARQ 방식은 ARQ(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방식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2 가지 방안을 새롭게 적용한 것이다. 첫 번째 방안은 상기 HARQ는 UE와 Node B 사이에서의 재전송 요구 및 응답을 수행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안은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해당 데이터의 재전송 데이터와 결합(Combining)해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HSDPA 방식에서는 종래의 멈춤-대기 자동 재전송(Stop and Wait ARQ::SAW ARQ)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n-channel SAW HARQ라는 방식을 도입하였다. 상기 SAW ARQ방식의 경우 이전 패킷 데이터에 대한 ACK를 수신하여야만 다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데, 이렇게 이전 패킷 데이터에 대한 ACK를 수신한 후에만 다음 패킷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를 현재 전송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ACK을 대기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n-channel SAW HARQ 방식에서는 상기 이전 패킷 데이터에 대한 ACK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서 채널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n 개의 논리적인 채널(Logical Channel)들을 설정하고, 특정 시간 또는 채널 번호로 상기 n 개의 채널들 각각을 식별 가능하다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상기 UE는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한 패킷 데이터가 어느 채널을 통해 전송된 패킷 데이터인지를 알 수 있으며, 수신되어야 할 순서대로 패킷 데이터들을 재구성하거나, 해당 패킷 데이터를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CS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FCS 방식은 상기 HSDPA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가 셀 중첩지역, 즉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할 경우 복수개의 셀들 중 채널 상태가 좋은 셀을 빠르게 선택하는 방법이다. 상기 FCS 방식은 구체적으로,(1) 상기 HSDPA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가 이전 기지국과 새로운 기지국의 셀 중첩지역에 진입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복수의 셀들, 즉 복수개의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이하 "Radio Link"라 칭한다.)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와 Radio Link를 설정한 셀들의 집합을 액티브 셋(active set)이라 칭한다. (2) 상기 액티브 셋에 포함된 셀들 중에서 가장 양호한 채널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셀로부터만 HSDPA용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간섭(interference)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셋에서 채널상태가 가장 양호하여 HSDPA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셀을 베스트 셀(best cell)이라 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액티브 셋에 속하는 셀들의 채널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현재 베스트 셀보다 채널 상태가 더 좋은 셀이 발생할 경우 상기 현재의 베스트 셀을 새로 발생한 채널 상태가 더 좋은 셀로 바꾸기 위해 베스트 셀 지시자(Best Cell Indicator) 등을 상기 액티브 셋에 속해있는 셀들로 전송한다.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에는 베스트 셀로 선택된 셀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전송되고, 이에 상기 액티브 셋내의 셀들은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를 수신하고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에 포함된 셀 식별자를 검사한다. 그래서 상기 액티브 셋 내의 셀들 각각은 상기 베스트 셀 지시자가 자신에게 해당하는 베스트 셀 지시자인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베스트 셀로 선택된 해당 셀은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HS-DSCH)을 이용해서 상기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HSDPA에서는 상기 새롭게 도입된 방안들, 즉 AMC 방식과, HARQ 방식과, FCS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제어신호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첫번째로, 상기 AMC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단말기 자신과 기지국간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알려주어야 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서 그 채널 상황에 따라 결정된 MCS 레벨(level)을 상기 단말기로 알려주어야 한다. 두 번째로, 상기 n-channel SAW HARQ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ACK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세 번째로 상기 FCS를 지원하기 위해서는상기 단말기가 가장 채널 상태가 양호한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 즉 베스트 셀을 지시하는 베스트 셀 지시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해야한다. 또한 상기 베스트 셀이 채널 상황에 따라 바뀔 경우 그 시점에서 상기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수신상황을 상기 기지국으로 알려주어야 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베스트 셀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해야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순방향(downlink)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은 기존의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필드(field)와 단말기에게 수신해야 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HS-DSCH 지시자(Indicator)(HS-DSCH Indicator, 이하 "HI"라 칭하기로 한다)로 구성된다.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HI는 해당 단말기로 수신해야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되는 HS-DSCH(High Speed-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해야 할 공통 제어 채널(SHCCH: SHared Control CHannel)의 채널화 코드를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HS-DSCH 제어정보들 중 일부, 예를 들어 MCS 레벨과 같은 제어 정보들이 상기 HI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가 N(=N1+N2) 슬롯(slot) 단위로 전송되는 경우(즉, HSDPA전송시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N 슬롯), TTI내에서 슬롯 구조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HI는 N1슬롯에 나누어 전송되고 나머지 N2슬롯에서 HI를 전송하는 부분은 불연속 전송(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으로 처리한다.즉,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에 대한 최종적인 접근 방법은 One step 방법과 Two step 방법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법은 상기 Two step 방법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순방향 DPCH를 통해 전송되는 슬럿(slot)들의 특정 위치에 해당 단말기에 대한 HSDPA 패킷 데이터 전송 유무를 나타내는 HI를 주기적으로 배치한 후, 상기 단말기가 상기 DPCH만을 감시하다가 특정 시점의 해당 슬럿에 상기 HI가 셋(set) 혹은 인에이블(enable)될 때 상기 단말기의 해당 SHCCH에 포함된 제어정보와 HS-DSCH를 이용하여 HSDPA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매 전송시구간당 k(>=2)개의 슬럿들이 전송되고, 상기 Two step 방법인 경우 상기 HI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HI가 전송되도록 미리 선택된 특정 한 슬럿에서 단일 비트(bit) 혹은 n(>=)개의 비트들로 설정되며 나머지 슬럿들, 즉 k-1개의 슬럿들의 동일위치(상기 HI가 전송되는 위치)에는 의미를 갖지 않는 데이터 비트(dummy bit)가 할당되어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한 개의 슬롯을 통해서만 HI가 셋되어 전송되므로 상기 N1이 1인 경우를 가정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기지국은 HS-DSCH 채널의 제어를 위한 정보들(이하 HS-DSCH 제어정보)인 MCS 레벨, HS-DSCH 채널화 코드, HARQ 프로세스 번호, HARQ 패킷 번호 등은 상기 공통 제어 채널(Shared controlchannel, 이하 SHCCH)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HCCH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채널화 코드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S-DSCH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HSDPA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이다. 그리고, 상기 도 1에서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시작 시점이 SHCCH, HS-DSCH의 시작 시점보다 빠른데, 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HI를 읽어 해당 정보를 검출해 내기 전에는 나머지 두 채널이 상기 단말기에게 해당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HI를 읽기 전에는 상기 단말기에게 해당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임시로 버퍼(buffer)에 저장해야 하므로 HI를 읽을 시간적 여유를 둔 후, 이후 나머지 두 채널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버퍼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HI 부분을 읽어 상기 단말기 자신이 수신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단말기 자신이 수신할 HSDPA 패킷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SHCCH의 HS-DSCH 채널 제어를 위한 정보들을 읽은 후, 그 제어 정보들에 따라 HS-DSCH 채널을 통해 상기 HSDPA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HI가 실제 전송되는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전송시구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는 상기 순방향 DPCH의 한 전송 시구간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상기 전송 시구간당 3개의 슬럿들(Slot1, Slot2, Slot3)이 전송되고 Two step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고 있다. 상기 3개의 슬럿들중 Slot2를 통해 HI가 셋되어 전송되고 있으며, 나머지 슬럿들, 즉 Slot1, Slot3의 HI 위치에는 dummy bit가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단말기가 참조하는 해당 슬럿들 내에서 특정 슬럿의 HI 부분의 데이터는 의미를 갖고 정보를 전달하지만, 상기 특정 슬럿이 아닌 다른 슬럿들의 상기 HI 부분의 위치에는 의미를 갖지 않는 dummy bit을 전송하거나 혹은 DTX 처리하여 실제 의미를 갖지 않는다. 를 전송함으로서 물리적 의미를 갖지 않는다. 즉, 특정 UE를 위한 TTI length 간격으로 입력되는 HSDPA의 지시자는 해당 slot의 특정 위치에만 존재하며 다른 slot 들의 해당 동일 위치에는 의미없는 비트로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HI 전송 구조는 SHCCH 및 HS-DSCH, 일 예로 HS-PDSCH와의 스케줄링(scheduling)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순방향 DPCH 슬럿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슬럿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DPCH에는 기존의 HSDP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각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ata1과 Data2 필드는 상위 계층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혹은 음성 등의 전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TPC(Transfer Power Control: 전송 전력 제어) 필드는 역방향(uplink)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순방향(downlink)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TFCI(Transfer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는 상기 Data1과 Data2 필드의 전송 포맷 조합 정보를 전송한다. 파일럿(Pilot) 필드는 시스템에서 미리 약속된 파일럿 심볼열을 전송하는 필드로서 단말기가 순방향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HI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Release-99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HI는 1비트(bit)로 전송되며, 실제 상기 TFCI 필드 바로 다음의 필드, 즉 한 비트를 통해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HI는 상기 순방향 DPCH의 매 전송시구간마다 상기 전송 시구간을 구성하는 슬럿들 중 하나의 특정 슬럿에서 전송되고, 상기 HI가 전송되는 상기 특정 슬럿 이외의 슬럿들에서는 상기 특정슬럿에서 HI 전송된 위치와 동일한 부분에서 dummy bit이 전송되거나 혹은 DTX 처리되어 전송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HI 전송구조는 한 전송 시구간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슬럿들 중에서 어느 특정한 하나의 슬롯의 소정위치에서만 상기 HI를 셋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HI가 전송되는 슬럿에 전송 오류가 발생된다면 상기 HI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된 단말기는 HSDPA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HI는 단일 비트(1 bit)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HI 전송시 발생 가능한 오류(error)에 매우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오류에 강인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된 정보를 가지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할 슬럿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슬럿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 중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확장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와,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포맷 조합 표시 정보와, 파일럿을 상기 확장 전송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와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전용 채널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장치는;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할 슬럿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슬럿에서 상기 확장 전송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 중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사용자 데이터와,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포맷 조합 표시 정보와, 파일럿 및 상기 확장 수신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복조하는 전용 채널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은; 단말기와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 길이 및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할 슬럿 번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슬럿 번호를 결정한 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 내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수값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로 모듈로 연산한 값이 상기 결정된 슬럿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슬럿내의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 중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확장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은; 기지국과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 길이 및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할 슬럿 번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슬럿 번호를 결정한 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 내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수값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로 모듈로 연산한 값이 상기 결정된 슬럿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슬럿내의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에서 상기 확장 전송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채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전송시구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슬럿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슬럿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 칭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downlink)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의 슬럿(slot) 구조를 HS-DSCH 지시자(Indicator)(HS-DSCH Indicator, 이하 "HI"라 칭하기로 한다)의 셋(set) 혹은 인에이블(enable) 여부에 따라 새롭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HI 송수신시 발생되는전송 오류(error) 발생을 극복하고, 또한 상기 순방향 DP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HI를 확장 전송함으로써 상기 HI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비트에 전송오류가 발생되더라도 컴바이닝(combining), 반복(repetition) 및 코딩(coding)과 같은 방법을 통해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HI의 전송오류에 대한 강인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 슬럿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DPCH에는 기존의 HSDP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일 예로 Release-99에서 정의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각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ata1과 Data2 필드는 상위 계층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혹은 음성 등의 전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TPC(Transfer Power Control: 전송 전력 제어) 필드는 역방향(uplink)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순방향(downlink)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하며, TFCI(Transfer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는 상기 Data1과 Data2 필드의 전송 포맷 조합 정보를 전송한다. 파일럿(Pilot) 필드는 시스템에서 미리 약속된 파일럿 심볼열을 전송하는 필드로서 단말기가 순방향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HSDPA 서비스를 위한 HI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Release-99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내에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그런데,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DPCH 슬럿 구조는 상기 도 3에서설명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DPCH 슬럿 구조와 크게 HI가 전송되는 부분의 구조가 상이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HI가 TFCI(Transfer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 바로 다음 필드, 즉 한 비트를 통해 전송되었으나,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HI가 다수개의 비트들, 일 예로 3개의 비트들(HI1, HI2, HI3)을 통해 전송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도 4와 같은 순방향 DPCH 구조에서도 상기 TFCI 필드가 원칙적으로는 존재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TFCI 필드를 통해 전송될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FCI 필드에 상기 HI가 확장되어 전송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HI가 확장 전송되는 필드를 꼭 상기 TFCI 필드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송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다른 필드를 통해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전용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user data)(501)는 부호기(502)로 입력되고, 상기 부호기(502)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501)를 채널 부호화하여 레이트 매칭부(503)로 출력한다. 상기 레이트 매칭부(503)는 상기 부호기(502)에서 출력된 신호를 실제 물리 채널에서 전송될 비트수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한 후 인터리버(interleaver)(504)로 출력한다. 상기 인터리버(504)는 상기 레이트 매칭부(503)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인터리빙한 후 변조기(505)로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505)는 상기 인터리버(504)에서 출력한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 후 다중화기(MUX)(511)로 출력한다. 그리고 HI(507)는 단말기에 상기 HSDPA 서비스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생하여 상기 다중화기(511)로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HI(507)는 제어기(512)의 제어 동작에 따라 그 발생이 제어되는데, 상기 HI(507)가 전송되는 슬롯에서 상기 HI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HI(507)를 확장시키고, 그 확장된 HI(507)를 상기 다중화기(511)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HI(507)가 전송되도록 할당된 특정 슬럿의 특정 필드에서 상기 HI(507)가 전송되는데, 상기 특정 슬럿의 다른 필드들, 즉 TPC(510), Pilot(509), TFCI(508)를 전송하고도 남는 필드 영역들에 상기 HI(507)를 확장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TPC(510), Pilot(509), TFCI(508)를 전송하고도 남는 필드 영역들에 상기 HI(507)를 확장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TPC(510), Pilot(509), TFCI(508) 필드들 중 실제 전송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필드가 존재할 경우 그 전송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필드에 상기 HI(507)를 확장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TPC(510), Pilot(509), TFCI(508)들이 전송되기로 규정된 위치에서 상기 HI(507)가 전송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어기(512)가 소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해당 필드 영역에 상기 HI(507)가 삽입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결국 상기 특정 슬럿에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영역, 일 예로 TFCI(508)의 size만큼 확장된 HI(507)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중화기(511)는 상기 TFCI(508)와, Pilot(509)과, TPC(510)와, HI(507) 및 상기 변조기(505)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다중화한 후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생성하여 직렬/병렬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or)(513)로 출력한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513)는 상기 다중화기(511)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병렬 변환하여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생성하여 확산기(514)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514)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513)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을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에 입력되도록 하여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 신호들과 직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채널 구분 코드(COVSF)를 곱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514)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승산기(515)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가산기(516)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515)는 상기 확산기(513)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가산기(516)로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516)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승산기(51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승산기(517)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517)는 상기 가산기(516)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승산기(518)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승산기(517)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승산기(518)는 상기 승산기(51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gain)(519)과 곱한후 합산기(528)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이득은 상기 DPCH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일반적으로 확산 계수가 작을 때 높은 채널 이득이 곱해지며, 또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채널 이득 값이 상이하게 설정된다. 상기 과정들에서는 DPCH 생성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SHCCH 생성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HS-DSCH 제어정보(520)는 직렬/병렬 변환기(521)로 입력되고,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521)는 상기 HS-DSCH 제어정보(520)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확산기(522)로 출력한다. 상기 확산기(522)는 두 개의 곱셈기로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들 각각은 상기 두 개의 곱셈기들 각각으로 입력되어 채널화 코드(COVSF)와 곱셈된 후 비트 스트림 I와 비트 스트림 Q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기(522)에서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 Q는 승산기(523)로 출력되고, 비트 스트림 I는 가산기(524)로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523)는 상기 확산기(522)에서 출력된 비트 스트림 Q와 j를 곱하여 상기 가산기(524)로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524)는 상기 비트 스트림 I 신호와 상기 승산기(52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하나의 복소수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승산기(525)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525)는 상기 가산기(524)에서 출력한 상기 복소수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칩(chip) 단위로 스크램블링 코드(Cscrmable)와 곱셈하여 스크램블링 한 후 승산기(52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승산기(525)는 스크램블러(scrambler)로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승산기(526)는 상기 승산기(52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채널 이득(channelgain)(527)과 곱한후 상기 합산기(528)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생성된 DPCH 신호, 즉 상기 승산기(518)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생성된 SHCCH 신호, 즉 상기 승산기(526)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합산기(528)에서 합산된 후 변조기(529)로 출력된다. 상기 변조기(529)는 상기 합산기(528)에서 출력된 신호를 변조하여 RF부(530)로 출력하고, 상기 RF부(530)는 상기 변조기(529)에서 출력한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531)를 통해 에어상으로 전송한다.
상기 도 5에서는 기지국 장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단말기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기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601)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는 RF부(602)에서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된 후 필터부(603)에서 필터링 된 후 곱셈기(604),(617)로 각각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604),(617)들 각각은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로서 상기 기지국 송신 장치에서 전송한 채널들에 대한 스크램블링 코드(CSCRAMBLE)를 곱한 후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604)에서 출력된 복소수 신호는 Complex to I and Q streams(605)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606)에서 채널화 코드(COVSF)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 후 채널 보상기(609) 및 역다중화기(607)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역확산기(60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순방향 DPCH 신호가 된다. 상기 역확산기(606)의I, Q 출력신호는 상기 역다중화기(607)로 출력되고, 상기 역다중화기(607)는 상기 역확산기(606)에서 출력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파일럿(pilot)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파일럿은 채널 추정기(608)로 입력되고, 상기 채널 추정기(608)는 상기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 추정을 통한 채널추정치를 검출한 후 채널 보상기(609),(620)들로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곱셈기(617)에서 출력된 복소수 신호는 Complex to I and Q streams(618)에 의해 실수신호 I와 허수신호 Q로 분리되며, 상기 I, Q 신호는 역확산기(619)에서 채널화 코드(COVSF)가 곱해져서 각각 역확산된 후 상기 채널 보상기(620)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역확산기(619)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SHCCH 신호가 된다.
상기 채널 보상기들(609), (620)은 상기 채널 추정기(608)에서 출력한 상기 채널추정치를 이용하여 무선채널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채널보상기(609)는 순방향 DPCH 신호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하며, 상기 채널보상기(620)는 SHCCH 신호를 두 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 보상기들(609),(620) 각각에서 출력된 신호들은 각각 병렬/직렬 변환기(610),(621)로 출력되며,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610),(621)는 상기 채널 보상기들(609),(620) 각각에서 출력된 신호들을 직렬 변환하여 각각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결국,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621)에서 출력된 신호는 최종적으로 HS-DSCH 제어정보(622)로 출력되고,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610)에서 출력된 신호는 역다중화기(611)에 의해 TPC(612), TFCI(613), HI(614)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역다중화기(611)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615)는 각 슬롯마다 동일하게 할당된 TPC, TFCI 및 Pilot 정보 이외에 기지국과의 호설정시 미리 약속된 슬롯에서 수신되는 확장된 HI를 구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된 HI는 상기 단말기가 기지국과 호를 설정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Common PIlot CHannel)을 수신하여 설정된 타이밍을 가지고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기(611)는 상기 순방향 DPCH상의 데이터 신호 또한 출력하는데, 상기 데이터 신호는 복조기(623)와 디인터리버(de-interleaver)(624), 복호기(625)에 의해 채널 복호화되어 사용자 데이터(626)로 최종 출력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지국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기지국 장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임의의 단말기와 호가 설정된 상태로 진행한 후 7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전송시구간(TTI) 길이를 N으로 설정하고, 상기 전송시구간 내 HI가 삽입되는 슬롯의 위치를 K로 설정한 후 7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전송시구간 단위로 할당되는 HI 필드 위치를 반복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하는 변수 n(n=n+1)을 설정하고 7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을 수행하고,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한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 장치는 7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하지 않음으로, 즉 해당 슬럿이 상기 HI를 삽입할 슬럿이 아니므로 각 슬롯마다 할당된 TPC, TFCI 및 Pilot 정보를 해당 필드에 삽입하여, 즉 할당한 후 708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704단계에서 검사 결과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할 경우 상기 기지국 장치는 7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함으로, 즉 해당 슬럿이 상기 HI를 삽입할 슬럿이므로 상기 TPC, TFCI 및 Pilot 정보를 전송하는 필드에 남는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HI를 전송하는 필드뿐만 아니라 상기 남는 영역에 상기 HI를 확장시켜 삽입한 후, 즉 할당한 후 상기 708단계로 진행한다. 물론, 꼭 상기 TPC, TFCI 및 Pilot 정보를 전송하는 필드에만 상기 HI를 확장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에서 상기 해당 슬럿내 다른 필드들의 남는 영역, 즉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을 경우 그 남는 영역에 상기 HI를 확장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7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TPC, TFCI 및 Pilot 정보와 HI 이외의 다른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해당 슬롯의 해당 필드에 순차적으로 할당한 후 상기 703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말기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단말기 장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801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호가 설정되면 8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2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동일하게 전송시구간(TTI) 길이를 N으로 설정하고, 상기 전송시구간 내 HI가 삽입되는 슬롯의 위치를 K로 설정한 후 8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전송시구간 단위로 할당되는 HI 필드 위치를 반복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하는 변수 n(n=n+1)을 설정하고 8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4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을 수행하고,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한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기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7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하지 않음으로, 즉 해당 슬럿이 상기 HI를 포함하고 있는 슬럿이 아니므로 그 슬롯에 포함되어 있는 TPC, TFCI 및 Pilot 정보를 해당 필드에서 읽고(read) 808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804단계에서 검사 결과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할 경우 상기 단말기 장치는 8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6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변수 n을 상기 전송시구간(TTI) 길이 N으로 모듈로 연산(mod)한 값이 상기 K와 동일함으로, 즉 해당 슬럿이 상기 HI를 포함한 슬럿이므로 상기 HI를 전송하는 필드 뿐만 아니라 상기 TPC, TFCI 및 Pilot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필드를 검사하여 상기 TPC, TFCI 및 Pilot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필드의 남는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확장된 HI를 읽은(read) 후 상기 808단계로 진행한다. 물론,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 상기 확장된 HI를 상기 TPC, TFCI 및 Pilot 정보를 전송하는 필드에만 상기 HI를 확장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해당 슬럿내 다른 필드들의 남는 영역, 즉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을 경우 그 남는 영역에 상기 HI를 확장 전송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 장치 역시 상기 남는 영역에서 상기 확장된 HI를 읽게 된다. 상기 808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TPC, TFCI 및 Pilot 정보와 HI 이외의 다른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해당 슬롯의 해당 필드에서 순차적으로 읽은(read) 후 상기 803단계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HI를 확장 전송함으로써 상기 HI가 전송되는 슬럿에서 전송 오류가 발생될 경우에도 그 전송의 강인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단말기가 해당 고속 순방향 패킷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HI를 확장 전송함으로써 상기 HI 전송시 발생 가능한 오류에 강인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6)

  1.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할 슬럿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슬럿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 중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확장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와,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포맷 조합 표시 정보와, 파일럿을 상기 확장 전송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와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전용 채널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반복한 후,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상기 반복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삽입하여 확장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구간은 소정 개수의 슬럿들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슬럿들 중 특정한 하나의 슬럿에서만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확장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5.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전송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할 슬럿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슬럿에서 상기 확장 전송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 중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사용자 데이터와,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포맷 조합 표시 정보와, 파일럿 및 상기 확장 수신되는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복조하는 전용 채널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구간은 소정 개수의 슬럿들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슬럿들 중 특정한 하나의 슬럿에서만 상기 확장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
  8.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 길이 및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할 슬럿 번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슬럿 번호를 결정한 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 내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수값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로 모듈로 연산한 값이 상기 결정된 슬럿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슬럿내의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 중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확장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은 사용자 데이터 필드와,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전력 제어 필드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포맷 조합 표시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와, 파일럿 심볼열을 전송하는 파일럿 필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확장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반복한 후,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중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상기 반복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구간은 소정 개수의 슬럿들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슬럿들 중 특정한 하나의 슬럿에서만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확장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지국 장치 제어 방법.
  13.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전송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용 채널의 전송 시구간 길이 및 상기 고속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전송할 슬럿 번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슬럿 번호를 결정한 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 내에서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수값을 상기 전송시구간 길이로 모듈로 연산한 값이 상기 결정된 슬럿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슬럿내의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와,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에서 상기 확장 전송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 지시자가 전송되는 필드 이외의 필드들은 사용자 데이터 필드와, 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전력 제어 필드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포맷 조합 표시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 포맷 조합 표시 필드와, 파일럿 심볼열을 전송하는 파일럿 필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전용 물리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구간은 소정 개수의 슬럿들로 구성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슬럿들 중 특정한 하나의 슬럿에서만 상기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가 확장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장치 제어 방법.
KR1020010053044A 2001-08-30 2001-08-30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3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044A KR100735374B1 (ko) 2001-08-30 2001-08-30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044A KR100735374B1 (ko) 2001-08-30 2001-08-30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754A true KR20030019754A (ko) 2003-03-07
KR100735374B1 KR100735374B1 (ko) 2007-07-04

Family

ID=2772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044A KR100735374B1 (ko) 2001-08-30 2001-08-30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28B1 (ko) * 2002-03-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 제어를 위한 파일럿 신호필드 위치정보 결정장치 및 방법
KR100754668B1 (ko) * 2001-09-18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슬롯 포맷을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39334B1 (ko) * 2002-02-09 2008-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및 처리 방법
KR100892312B1 (ko) * 2002-01-05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공유제어채널 전력 제어 방법
KR100944019B1 (ko) * 2006-08-22 2010-02-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레퍼런스신호다중 및 리소스할당
US7782810B2 (en) 2004-12-03 2010-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cket data symb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567B1 (ko) * 1999-11-27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 링크 공통 채널의 공유 전송 방법
WO2001039416A1 (en) * 1999-11-29 2001-05-31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Second level collision resolution for packet data communications
KR100680071B1 (ko) * 2001-02-10 2007-02-09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프레임 타이밍 설정방법
KR100370420B1 (ko) * 2001-04-20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Hsdpa시스템의 mac제어에 의한 동적 전송 채널전환 및 제어신호 전송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68B1 (ko) * 2001-09-18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전용 물리 채널의 슬롯 포맷을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92312B1 (ko) * 2002-01-05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공유제어채널 전력 제어 방법
US7558230B2 (en) 2002-01-05 2009-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HS-SCCH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39334B1 (ko) * 2002-02-09 2008-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및 처리 방법
KR100630128B1 (ko) * 2002-03-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 제어를 위한 파일럿 신호필드 위치정보 결정장치 및 방법
US7782810B2 (en) 2004-12-03 2010-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cket data symb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44019B1 (ko) * 2006-08-22 2010-02-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레퍼런스신호다중 및 리소스할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374B1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1912B2 (ja) 符号分割多重接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伝送方法
KR100459573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9648593B2 (en) Control signal aggregation in a multi-carrier WCDMA system
US74035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CQI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S74506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BS information in an HSDPA communication system
KR100754552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공통 제어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286491B1 (en) Multichannel ARQ method and apparatus
EP18816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79630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768435A1 (en) Transfer rate control metho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transmission power ratio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JP2005510173A (ja) 符号分割多重接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30068998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상향 파워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EP1740005A1 (en) Base station apparatus
US20050141446A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735374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24978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10285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호환성을 고려한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지시자를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47720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01649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장치에게수신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