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991A -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991A
KR20030016991A KR1020010051088A KR20010051088A KR20030016991A KR 20030016991 A KR20030016991 A KR 20030016991A KR 1020010051088 A KR1020010051088 A KR 1020010051088A KR 20010051088 A KR20010051088 A KR 20010051088A KR 20030016991 A KR20030016991 A KR 20030016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ain frame
lever
rotation lev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368B1 (ko
Inventor
강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3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인쇄기의 용지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된 용지를 인쇄부로 소정 속도로 피딩시키기 위한 피딩롤러와, 피딩롤러에 접촉되어 용지를 안내하는 마찰수단을 포함하여, 디핑롤러를 경유하도록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감지하고, 양면인쇄를 위해 역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용지를 감지할 수 있는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에 있어서, 피딩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부면이 용지와 접촉되어 가이드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이송경로상에 위치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에 접촉되어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레버와; 이송 용지에 접촉되어 회동된 회동레버를 위치 복원시키기 위한 위치 복원수단과; 회동레버의 회동유무를 감지하여 용지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포함하여, 양면인쇄를 위해 정/역방향 각각으로의 용지 이송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a feeding paper of printer}
본 발명은 인쇄기의 양방향 이송용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인쇄를 위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인쇄기는 용지급지부와, 이 용지급지부에서 급지된 용지를 소정 프린팅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키는 피딩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을 통과하는 용지를 감지하여 프린팅시키는 알려주는 이송용지 감지센서 및 인쇄부를 구비한다. 또한, 양면인쇄가 가능한 인쇄기인 경우, 상기 감지센서를 통과한 후 인쇄부에서 인쇄된 용지를 피드백 시켜 용지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장치 예컨대 듀플렉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서 양면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지를 정방향으로 이송시켜 일면에 인쇄한 후, 다시 인쇄된 용지를 피드백 시켜 듀플렉서에서 반전시킨 후 다른 면에 인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면에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용지의 이송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용지가 이송 중인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야 한다. 즉, 용지의 선단과 후단을 검출하여 정방향과 역방향으로의 이송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양면인쇄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양면 인쇄를 위해 용지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시, 이송되는 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종래의 용지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피딩롤러(10)와 핀치롤러(12)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P)를 검출할 수 있도록 즉, 정방향(A)으로 이송되는 용지(P)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1액츄에이터(13)가 피딩롤러(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방향(B)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2액츄에이터(14)가 피딩롤러(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정방향(A)으로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은 제1액츄에이터(13)를 간섭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츄에이터(13)가 회동되고, 제1액츄에이터(13)의 간섭부(13a)가 포토 인터럽터 센서(15)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포토 인터럽트 센서(15)에서는 용지가 이송되고 있음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액츄에이터(13)가 회동되면서 제2액츄에이터(14)를 함께 간섭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용지가 무사히 통과할 수 있다.
용지(P)가 지나간 후에는, 제1액츄에이터(13)는 토션스프링(S1)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되어 포토 인터럽터 센서(15)를 간섭함으로써, 용지가 이송되지 않고 있음을 알게 된다. 또한, 제2액츄에이터(14)도 자중에 의해 도 1과 같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도 1의 상태에서 역방향(B)으로 이송되는 용지는 피딩롤러(10)와 핀치롤러(12)를 통과한 후 제2액츄에이터(14)를 간섭하여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된 제2액츄에이터(14)의 리브(14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츄에이터(13)의 리브(13b)를 간섭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간섭부(13a)가 포토 인터럽터 센서(15)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15)에서는 용지가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역방향(B)으로 용지가 모두 통과한 후에는, 제1 및 제2액츄에이터(13)(14) 각각은 도 1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이송용지 감지장치는, 양방향으로 각각 이송되는 용지를 검출하기 위해 제1 및 제2액츄에이터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요구된다. 따라서, 조립성이 나쁘고 불량률이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액츄에이터 및 센서가 모두 핀치롤러가 있는 피딩롤러의 상부측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위치선정을 위한 설계적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한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3 각각은 일반적인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지 감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송용지 감지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송용지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지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인쇄기본체 21..용지트레이
23..인쇄부 24..마찰패드
25..피딩롤러 27..메인프레임
30..이송용지 감지장치 40..회동레버
41..회전축 43..접촉부
45..지지부 47..간섭부재
50..인장스프링 60..인터럽터 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는, 인쇄기의 용지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된 용지를 인쇄부로 소정 속도로 피딩시키기 위한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에 접촉되어 용지를 안내하는 마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디핑롤러를 경유하도록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감지하고, 양면인쇄를 위해 역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용지를 감지할 수 있는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를 회전 가능하다 지지하며, 상부면이 상기 용지와 접촉되어 가이드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이송경로상에 위치되어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에 접촉되어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레버와; 상기 이송 용지에 접촉되어 회동된 회동레버를 위치 복원시키기 위한 위치 복원수단과;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포함하여, 양면인쇄를 위해 정/역방향 각각으로의 용지 이송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회동레버의 하측에 마련되게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중심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회동레버의 자세고정시 상기 포토 인터럽트 센서의 센싱범위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레버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센싱범위를 벗어나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용지의 이송경로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 및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접촉부에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위치복원수단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 각각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마름모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복원수단은,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의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지 감지장치가 채용된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린터는 인쇄기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쇄부(23)로 공급될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트레이(21)와, 이 용지트레이(21)에서 픽업된 용지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는 피딩롤러(25)와, 상기 피딩롤러(25)에 접촉되는 마찰수단과, 상기 피딩롤러(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27)과, 상기 인쇄부(23)에서 일면이 인쇄된 용지를 피드백시켜 반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듀플렉서(29) 및 상기 인쇄부(23)로 향하는 정방향(A) 및 역방향(B) 각각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이송용지 감지장치(30)를 구비한다.
상기 피딩롤러(25)는 이송된 용지를 정렬시키고, 정렬된 용지를 인쇄부(23)로 소정 속도로 이송시킨다. 이 피딩롤러(25)는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 A, B 양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피딩롤러(25)는 인쇄부(23)로 용지를 이송시키고, 일면이 인쇄된 용지를 다시 피드백시켜서 상기 듀플렉서(29)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 피딩롤러(25)에 접촉되는 마찰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리브(24)일 수 있다. 또한, 마찰수단은 피딩롤러(25)에 접촉되어 피동되는 마찰롤러일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7)은 피딩롤러(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27)은 그 외측면, 즉 상면이 용지의 이송경로를 이룬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27)의 상면은 상기 인쇄부(23)의 헤드(23a)와 마주하게 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27)에는 인쇄부(23)를 경유한 용지를 배출시키거나, 양면 인쇄를 위해 피드백 시킬 수 있는 배출롤러(28)가 설치된다. 이 배출롤러(28)도 A방향 및 B방향으로 회전구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인쇄부(23)는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와 같이 잉크카트리지와, 캐리지 등을 구비하며,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부를 가진다.
상기 듀플렉서(29)는 양면인쇄를 위해 용지를 반전시키도록 프린터 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듀플렉서(29)는 복수의 이송롤러(29a)와 지지롤러(2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용지의 이송경로는 용지트레이(21)의 픽업부에서 인쇄부(23)로 이어지는 메인 경로와, 상기 듀플렉서(29)에 의해 마련되어 용지를 반전시키는 반전경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쇄부(23)에서 피드백되는 용지는 메인경로와 반전경로 사이에 설치된 용지 가이드부재(26)에 의해 안내되어 반전경로로 이송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용지 감지장치(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7)을 포함하여, 메인 프레임(2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레버(40)와, 위치복원수단 및 센싱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레버(40)는 메인 프레임(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41)과, 상기 회동축(41)의 외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접촉부(43)와, 상기 접촉부(43)에 대칭되게 회동축(41)의 외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45)를 가진다. 상기 회동축(41)은 메인프레임(27)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접촉부(43)는 메인프레임(27)에 형성된 구멍(27a)을 통해 용지의 이송경로상에 위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43)의 선단은 상기 마찰리브(24)에 형성된 절개홀(24a)에 삽입되게 위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접촉부(43)는 마찰리브(24)와 메인프레임(27)의 상면 사이에서 A 및 B방향으로 통과하는 용지를 간섭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5)는 접촉부(43)에 대칭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 지지부(45)에는 후술할 인장스프링(5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동레버(40)는 이송되는 용지에 간섭되어 그 용지의 이송방향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41)과 접촉부(43) 및 지지부(45)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 복원수단은, 이송용지에 접촉되어 회동된 회동레버(40)를 위치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위치 복원수단은, 일단은 상기 지지부(45)에 연결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27)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50)을 구비한다. 상기 인장스프링(50)은 지지부(45)의 직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장스프링(50)은 회동레버(40)가 A방향 또는 B방향 어느 쪽으로 회동되더라도, 직립된 상태로 위치복원시킬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센싱수단은 회동레버(40)의 회동유무를 감지하여 용지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센싱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레버(40)의 하측에 설치되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60)와, 상기 회동레버(40)에 마련되어 상기 인터럽트 센서(60)의 센싱범위 내외로 이동가능한 간섭부재(47)를 구비한다.
상기 포토 인터럽트 센서(60)는 예컨대 수발광센서 또는 포토 센서와 같이, 그 센싱범위를 나타내는 한 쌍의 감지부(61)(62) 사이에 소정갭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들(61)(62) 사이로 상기 간섭부재(47)가 위치되면, 포토 인터럽트센서(60)는 간섭부재(47)를 감지하여 회동레버(40)가 회동되지 않았음을 감지하게 된다. 즉, 용지가 이송되지 않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터럽트 센서(60)는 메인 프레임(27)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간섭부재(47)는 회동축(41)의 외주로 돌출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43)에 대칭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간섭부재(47)는 회동축(41)과 일체로 형성되어, 그 회동축(41)이 회동되지 않을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인터럽트 센서(60)를 간섭하게 된다. 반대로, 회동축(41)이 소정 각도 회동되면, 간섭부재(47)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60)를 간섭하지 않게 되어, 그 센싱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명령시 용지 트레이(21; 도4참조) 로부터 용지가 픽업된다. 픽업된 용지는 메인 경로를 따라 이동되다가, 그 선단이 회동레버(40)가 접촉부(43)에 닿는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레버(40)는 용지에 밀려 회동되면서 용지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간섭부재(47)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6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60)에서는 간섭부재(47)가 센싱범위에서 벗어남을 감지하게 되고, 결국 용지가 이송중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지가 회동레버(40)를 회동시킨 상태로 계속 이송되고, 이송된 용지는 피딩롤러(25)에 의해 피딩되어 인쇄부(23)로 이송된다. 인쇄부(23)에서는 용지의 일면에 화상을 인쇄하게 된다. 용지의 일면에 화상이 모두 인쇄되면, 용지의 후단이 회동레버(40)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레버(40)는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위치 복원된다. 그러면, 간섭부재(47)는 인터럽터 센서(60)를 간섭하게 됨으로서, 용지가 통과하지 않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양면인쇄를 위해 피딩롤러(25)를 역회전시키면, 용지는 B 방향으로 피드백되어 이송된다. 그러면, 용지의 후단이 회동레버(40)의 접촉부(43)를 밀면서 통과하게 되어 도 10의 상태가 된다. 즉, 회동레버(40)는 B 방향으로 피드백되는 용지에 밀려 그 B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간섭부재(47)는 인터럽트 센서(60)를 벗어나게 되고, 센서(60)에서는 용지가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용지가 완전히 피드백 되어 듀플렉서(29)의 반전경로로 이송되면, 회동레버(40)는 다시 원위치된다. 그리고, 듀플렉서(29)로 이송된 용지는 반전되어 인쇄부(23)로 다시 공급됨으로서, 양면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송용지 감지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조립성이 뛰어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마찰수단 즉, 마찰패드(27)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치 위치의 선정에 따른 어려움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에 따르면, 양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불량률이 적다.

Claims (5)

  1. 인쇄기의 용지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된 용지를 인쇄부로 소정 속도로 피딩시키기 위한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에 접촉되어 용지를 안내하는 마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디핑롤러를 경유하도록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감지하고, 양면인쇄를 위해 역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용지를 감지할 수 있는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부면이 상기 용지와 접촉되어 가이드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이송경로상에 위치되어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에 접촉되어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레버와;
    상기 이송 용지에 접촉되어 회동된 회동레버를 위치 복원시키기 위한 위치 복원수단과;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의 이송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포함하여, 양면인쇄를 위해 정/역방향 각각으로의 용지 이송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회동레버의 하측에 마련되게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포토 인터럽트 센서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중심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회동레버의 자세고정시 상기 포토 인터럽트 센서의 센싱범위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레버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센싱범위를 벗어나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용지의 이송경로상으로 돌출되는 접촉부; 및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접촉부에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위치복원수단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이송 용지 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 각각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마름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이송 용지 감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복원수단은,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의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이송 용지 감지장치.
KR10-2001-0051088A 2001-08-23 2001-08-23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KR100377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88A KR100377368B1 (ko) 2001-08-23 2001-08-23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88A KR100377368B1 (ko) 2001-08-23 2001-08-23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991A true KR20030016991A (ko) 2003-03-03
KR100377368B1 KR100377368B1 (ko) 2003-03-26

Family

ID=2772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088A KR100377368B1 (ko) 2001-08-23 2001-08-23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3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368B1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8487A (en) Ink jet printer
KR100467624B1 (ko) 양면 인쇄기의 용지 정렬 장치
KR100377368B1 (ko)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JP2636172B2 (ja) 用紙搬送装置
JPH0524282A (ja) 給紙装置
JP3302718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775532B2 (ja) 熱転写プリンタにおける用紙適合判定装置
KR100186594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공급 자동감지장치
JPH1121001A (ja) ロール紙のジャム検出機構
JP2861867B2 (ja) 熱転写プリンタ
KR200362498Y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JPH08301487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KR100580916B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KR100437160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장치
KR200258629Y1 (ko) 프린터용 용지이송가이드
JP3616531B2 (ja) 原稿自動給紙装置
KR200168095Y1 (ko) 용지 이송 장치의 설치 구조
JP3786812B2 (ja) 通帳頁めくり装置
KR100381595B1 (ko) 인쇄기의 인쇄매체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
KR100805237B1 (ko) 화상형성장치
JPH10109794A (ja) 画像形成装置
JP3530723B2 (ja) 記録装置
KR20040066252A (ko) 인쇄기의 용지 잼 방지 장치
JP2000327190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2795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