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854A -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854A
KR20030016854A KR1020010050630A KR20010050630A KR20030016854A KR 20030016854 A KR20030016854 A KR 20030016854A KR 1020010050630 A KR1020010050630 A KR 1020010050630A KR 20010050630 A KR20010050630 A KR 20010050630A KR 20030016854 A KR20030016854 A KR 2003001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ust cover
shock absorber
piston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854A/ko
Publication of KR2003001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8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damper being connected to the stub axle and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에 관한 것으로, 쇽업소버(32)의 실린더(32b)에 결합되는 실린더상부캡(36)과, 상기 실린더(32b)와 피스톤로드(32a)의 연결부분을 감싸도록 실린더상부캡(36)에 결합되는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와, 일단이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의 밑면에 걸려지도록 실린더상부캡(36)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피스톤로드(32a)의 상측 외주면에 설치된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더스트커버(37)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상기 쇽업소버(32)의 압축(bump) 또는 신장(rebound)시 더스트커버(37)가 실린더상부캡(3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예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로드(32a)와 실린더(32b)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먼지 및 기타 이물질들이 쇽업소버(3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아울러 상기 쇽업소버(32)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최대한 감소되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strut assembly structure of suspension}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쇽업소버의압축(bump) 신장(rebound)시 더스트커버가 쇽업소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아울러 쇽업소버의 작동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서, 그 일반적인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1)의 휠에 결합되는 너클(11)과, 상기 너클(11)의 상하단부에 볼조인트(12)를 매개로 각각 결합되면서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된 어퍼암(13) 및 로어암(14)과, 양단이 상기 로어암(14)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차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테빌라이저(15)와,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코일스프링(31) 및 이 코일스프링(31)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소버(32)가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기 로어암(14)의 상부에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된 스트럿어셈블리(3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17)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되며, 상기 차축(17)에는 한 쌍의 토션바(18,19)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부는 플로어패널(도시않됨)과 접합되어 결합되는 휠하우징(21)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조립부재(22)를 매개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측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구멍(23a)이 구비된 마운팅브라켓트(2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23a)과 연결되는 마운팅브라켓트(23)의 내측면에는 조립너트(22a)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운팅브라켓트(23) 및 조립너트(22a)가 결합된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단부를 휠하우징(21)으로 관통시키게 되면, 상기 마운팅브라켓트(23)가 휠하우징(21)의 내측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휠하우징(21)에 형성된 관통구멍(21a)은 상기 마운팅브라켓트(23)의 관통구멍(23a)과 연결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조립볼트(22b)를 상기 휠하우징(21)에 형성된 관통구멍(21a)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트(23)에 형성된 관통구멍(23a)으로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조립너트(22a)와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휠하우징(21)과 마운팅브라켓트(23)가 조립볼트(22b) 및 조립너트(22a)의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조립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단부는 휠하우징(21)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휠하우징(21)을 관통한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단부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4)가 상기 휠하우징(21)과 연결되도록 도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1)과 쇽업소버(32)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쇽업소버(32)의 상단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1)의 안쪽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쇽업소버(32)의 상측 외주면에는 상단브라켓트(33)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브라켓트(33)에서 아래쪽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쇽업소버(32)의 외주면에는 하단브라켓트(34)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상하단브라켓트(33,34)사이에 코일스프링(31)이 설치되면서 그 양단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쇽업소버(32)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32a)의 상단에는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32a)와 연결되는 실린더(32b)의 외주면에는 실린더상부캡(3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와 실린더상부캡(36)사이에는 쇽업소버(32)로 먼지 및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커버(37)가 설치되는데, 이 더스트커버(37)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실린더상부캡(36)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상하진동을 억제하면서 차체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럿어셈블리(30)는 쇽업소버(32)가 압축(bump)과 신장(rebound)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 댐핑력을 발생시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쇠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노면으로부터 비교적 큰 충격력이 반복적으로 전달될 때 상기 쇽업소버(32)가 압축(bump)을 하게 되면 더스트커버(37)의 내구성에 따라 상기 더스트커버(37)와 실린더상부캡(36)의 결합이 서로 해체되면서 피스톤로드(23a)의 상측으로 수축된 더스트커버(37)가 쇽업소버(32)의신장(rebound)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더스트커버(37)와 실린더상부캡(36)의 결합이 서로 해체되면서 쇽업소버(32)의 압축(bump)시 수축된 더스트커버(37)가 쇽업소버(32)의 신장(rebound)시 팽창되지 못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로드(32a)와 실린더(32b)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이로 인해 먼지 및 기타 이물질들이 쇽업소버(32)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쇽업소버(32)의 기능을 감소시키거나 더욱 심하게는 쇽업소버(32)를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쇽업소버(32)가 압축(bump)될 때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가 실린더상부캡(36)과 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와 실린더상부캡(36)이 모두 금속(steel)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금속성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쇽업소버(32)가 압축(bump)과 신장(rebound)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 상기 쇽업소버(32)내에 충진된 오일이 피스톤밸브(도시않됨)를 통과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소음이 더스트커버(37)만으로는 충분히 차단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린더상부캡에 방음재로 이루어진 더스트커버고정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실린더상부캡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더스트커버의 하단을 더스트커버고정부재의 밑면에 걸려지도록 설치하여, 쇽업소버의 압축(bump)작용에 의해 피스톤로드의 상측으로 수축된 더스트커버가 쇽업소버의 신장(rebound)시 더스트커버고정부재에 지지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팽창되게 함으로써 상기 더스트커버와 실린더상부캡의 결합이 서로 해체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먼지 및 기타 이물질들이 쇽업소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쇽업소버의 보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가 방음재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쇽업소버가 압축(bump)될 때 피스톤로드브라켓트가 실린더상부캡과 접촉을 이루게 되더라도 금속성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쇽업소버내에 충진된 오일이 피스톤밸브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소음도 최대한 차단시켜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상부캡과,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로드의 연결부분을 감싸도록 실린더상부캡에 결합되는 더스트커버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의 밑면에 걸려지도록 실린더상부캡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측 외주면에 설치된 피스톤로드브라켓트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더스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3은 종래구조에 따른 스트럿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스트럿어셈블리 31 - 코일스프링
32 - 쇽업소버 32a - 피스톤로드
32b - 실린더 33 - 상단브라켓트
34 - 하단브라켓트 35 - 피스톤로드브라켓트
36 - 실린더상부캡 37 - 더스트커버
38 - 더스트커버고정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suspension)의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1)의 휠에 결합되는 너클(11)과, 상기 너클(11)의 상하단부에 볼조인트(12)를 매개로 각각 결합되면서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된 어퍼암(13) 및 로어암(14)과, 양단이 상기 로어암(14)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차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테빌라이저(15)와,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코일스프링(31) 및 이 코일스프링(31)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소버(32)가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기 로어암(14)의 상부에 종축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된 스트럿어셈블리(3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17)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되며, 상기 차축(17)에는 한 쌍의 토션바(18,19)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부는 플로어패널(도시않됨)과 접합되어 결합되는 휠하우징(21)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조립부재(22)를 매개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측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구멍(23a)이 구비된 마운팅브라켓트(2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23a)과 연결되는 마운팅브라켓트(23)의 내측면에는 조립너트(22a)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운팅브라켓트(23) 및 조립너트(22a)가 결합된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단부를 휠하우징(21)으로 관통시키게 되면, 상기 마운팅브라켓트(23)가 휠하우징(21)의 내측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휠하우징(21)에 형성된 관통구멍(21a)은 상기 마운팅브라켓트(23)의 관통구멍(23a)과 연결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조립볼트(22b)를 상기 휠하우징(21)에 형성된 관통구멍(21a)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트(23)에 형성된 관통구멍(23a)으로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조립너트(22a)와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휠하우징(21)과 마운팅브라켓트(23)가 조립볼트(22b) 및 조립너트(22a)의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조립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단부는 휠하우징(21)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휠하우징(21)을 관통한 스트럿어셈블리(30)의 상단부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4)가 상기 휠하우징(21)과 연결되도록 도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트럿어셈블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1)과 쇽업소버(32)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쇽업소버(32)의 상단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1)의 안쪽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쇽업소버(32)의 상측 외주면에는 상단브라켓트(33)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브라켓트(33)에서 아래쪽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쇽업소버(32)의 외주면에는 하단브라켓트(34)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상하단브라켓트(33,34)사이에 코일스프링(31)이 설치되면서 그 양단이 탄력적으로지지되게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쇽업소버(32)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32a)의 상단에는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32a)와 연결되는 실린더(32b)의 외주면에는 실린더상부캡(36)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상부캡(36)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의 상측은 상기 실린더(32b)와 피스톤로드(32a)의 연결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그 밑면이 상기 실린더상부캡(36)의 외주면을 일정부분 감싸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는 고무와 같은 방진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와 실린더상부캡(36)사이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32)로 먼지 및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커버(37)가 설치되는데, 이 더스트커버(37)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에 탄력적으로 고정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의 밑면에 걸려지면서 실린더상부캡(36)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상부캡(36)에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가 결합되게 되면, 노면으로부터 비교적 큰 충격력이 반복적으로 전달될 때 상기 쇽업소버(32)가 압축(bump)을 하게 되더라도 상기 더스트커버(37)와 실린더상부캡(36)의 결합이 서로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로드(23a)의 상측으로 수축된 더스트커버(37)가 쇽업소버(32)의 신장(rebound)시 원래의 위치로 팽창될 때 상기 더스트커버(37)의 하단부가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에 걸려진 상태로 팽창되게 됨으로써, 상기 더스트커버(37)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가 피스톤로드(32a)와 실린더(32b)의 연결부위를 항상 감쌀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로드(32a)와 실린더(32b)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고, 이로 인해 먼지 및 기타 이물질들이 쇽업소버(3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쇽업소버(32)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쇽업소버(32)가 압축(bump)될 때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가 본 발명에 따라 방진재로 이루어진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와 접촉을 하게 됨으로써 금속성의 소음이 발생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상기 쇽업소버(32)내에 충진된 오일이 피스톤밸브(도시않됨)를 통과하면서 발생시키는 소음도 최대한 차단시킬 수가 있게 되어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쇽업소버의 압축(bump) 또는 신장(rebound)시 더스트커버가 실린더상부캡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예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로드와 실린더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먼지 및 기타 이물질들이 쇽업소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아울러 상기쇽업소버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최대한 감소되면서 전체적인 차량의 NVH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쇽업소버(32)의 실린더(32b)에 결합되는 실린더상부캡(36)과, 상기 실린더(32b)와 피스톤로드(32a)의 연결부분을 감싸도록 실린더상부캡(36)에 결합되는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와, 일단이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의 밑면에 걸려지도록 실린더상부캡(36)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피스톤로드(32a)의 상측 외주면에 설치된 피스톤로드브라켓트(35)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더스트커버(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커버고정부재(38)가 방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KR1020010050630A 2001-08-22 2001-08-22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KR20030016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630A KR20030016854A (ko) 2001-08-22 2001-08-22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630A KR20030016854A (ko) 2001-08-22 2001-08-22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854A true KR20030016854A (ko) 2003-03-03

Family

ID=2772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630A KR20030016854A (ko) 2001-08-22 2001-08-22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8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19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만도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그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쇽업소버, 및 그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19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만도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그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쇽업소버, 및 그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533B2 (en) Reinforcing member for vehicles and vehicle body structure
EP0065235B1 (en) Strut type suspension
US5251928A (en) Upper mounting structure for a strut-type wheel suspension
US3940161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JP2013525715A (ja) 傾斜機能を有する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用二経路マウント
US5628388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or spring leg for motor vehicles
US7040608B2 (en) Bearing for wheel suspensions in a motor vehicle
CN111114231A (zh) 一种越野汽车前滑柱总成及汽车
KR20030016854A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구조
JPH03244844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
US3940160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KR100820484B1 (ko) 자동차 쇽업소버 장착구조
JP4017213B2 (ja) 防振機構
US11685212B2 (en) Hydraulic jounce bumper with improved installation
JP4716556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における油圧緩衝器の取付け構造
KR200230044Y1 (ko) 쇽업소버
KR200150121Y1 (ko) 서스팬션 댐퍼 유니트 마운팅 부시구조
KR20170087760A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0422861B1 (ko) 스트럿 마운팅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50076859A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어셈블리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9980038325U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링크구조
JP2001221273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構造
KR20070017642A (ko) 압입형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용 스트러트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