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760A -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760A
KR20170087760A KR1020160007731A KR20160007731A KR20170087760A KR 20170087760 A KR20170087760 A KR 20170087760A KR 1020160007731 A KR1020160007731 A KR 1020160007731A KR 20160007731 A KR20160007731 A KR 20160007731A KR 20170087760 A KR20170087760 A KR 20170087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absorbing member
shock absorbing
lower ends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823B1 (ko
Inventor
박일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0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8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는, 실린더로부터 연장된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공이 연통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설치홈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시 및, 상기 부시를 기준으로 상기 설치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부시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SHOCK ABSORBER OF INSULATOR}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시의 외부에 충격흡수부재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고탄성 계수를 갖는 탄성부재를 이용해 부시의 상하 방향을 각각 탄성 지지함으로써, 진폭과 주파수 발생 정도에 따라 비선형 및 선형적인 완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하거나 감쇠하는 역할을 하며, 차체 또는 프레임과 휠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쇽업소버는 차체 각부의 동적 응력을 저감시켜 내구 수명을 증가시키고, 스프링 아래 질량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관성력에 의한 자세 변화 등을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쇽업소버는, 통상 피스톤 로드 상단이 차체측에 고정되고 실린더 하단이 차륜측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피스톤 로드의 상단에는 인슐레이터(Insulator, 탑 마운트라고도 함)가 구비된다.
여기서, 종래의 인슐레이터는 중앙에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측 선단부는 절곡되어 차체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부에는 피스톤 로드가 결합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고무, 우레탄 등)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인슐레이터는 충격 흡수를 위한 충격흡수부재가 고무나 우레탄 등으로 적용되므로, 저 진폭 고주파 발생시는 문제가 없지만, 고 진폭 저주파 발생시에는 충격흡수부재의 비 선형적 특성에 의해 충격 흡수가 불가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승차감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99-0011058호(1999년 03월 2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스프링을 이용해 부시의 상하 방향을 각각 탄성 지지함으로써, 고 진폭 저주파 발생시 선형적인 특성을 이용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시의 외부에 충격흡수부재를 형성시켜, 탄성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저 진폭 고주파 발생시 비 선형적 특성을 이용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충격 흡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는, 실린더로부터 연장된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공이 연통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설치홈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시 및, 상기 부시를 기준으로 상기 설치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부시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시의 테두리 부위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단과 하단이 상기 부시의 상단과 하단을 상하에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고무 또는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들은 일단이 상기 설치홈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 관통 형성되며, 상부에 마감 캡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스프링을 이용해 부시의 상하 방향을 각각 탄성 지지함으로써, 고 진폭 저주파 발생시 선형적인 특성을 이용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부시의 외부에 충격흡수부재를 형성시켜, 탄성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저 진폭 고주파 발생시에도 비 선형적 특성을 이용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충격 흡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에서 부시와 충격흡수부재 및 탄성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의 충격흡수부재에 안착홈을 더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에서 부시와 충격흡수부재 및 탄성부재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는 몸체(100)와, 부시(Bush, 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실린더(미도시)로부터 연장된 피스톤 로드(10)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중공(1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설치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테두리 부위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일정 면적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홈(120)은, 후술 될 부시(200)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홈의 상부와 하부는 중공(110)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단 테두리 부위에는 차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는 중공(110)과 연통되도록 러버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러버 결합홈에는 범퍼 러버(20)의 상단이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범퍼 러버(20)는, 그 하단이 실린더(미도시)의 상단에 밀착되어 몸체(100)와 실린더의 사이를 탄성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범퍼 러버(20)의 내부에는 피스톤 로드(10)가 상하로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부시(200)는, 설치홈(120)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10)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홀(2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홈(120)의 상부와 하부에는 부시(200)가 유동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 내에는 후술 될 탄성부재(300)들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부시(200)의 하단에는 피스톤 로드(10)의 외주에 형성된 단턱이 걸림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시(200)의 테두리 부위에는 충격흡수부재(220)가 더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충격흡수부재(220)의 상단과 하단이 후술 될 탄성부재(300)들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재(220)는 고무 또는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충격흡수부재(220)는 상단과 하단이 부시(200)의 상단과 하단을 상하에서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충격흡수부재(220)들은, 저 진폭 고주파 발생시에도 비 선형적 특성을 이용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탄성부재(300)들은, 부시(200)를 기준으로 설치홈(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어, 부시(200)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00)들은 도 1에서와 같이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설치홈(120)의 내면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300)들의 타단이 충격흡수부재(22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들을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300)들은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300)들은, 상단이 설치홈(120)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충격흡수부재(22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00)들은 고 진폭 저주파 발생시 선형적인 특성을 이용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치홈(120)은 몸체(100)의 상부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홈(120)의 개방된 상부에는 마감 캡(40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 캡(400)은, 하단이 상기 설치홈(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피스톤 로드(10)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부재(2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탄성부재(300)들의 일단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안착홈(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30)은, 탄성부재(300)들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300)들의 일단이 접촉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탄성부재(300)를 이용해 부시(200)의 상하 방향을 각각 탄성 지지함으로써, 고 진폭 저주파 발생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시(200)의 외부에 탄성부재(300)에 의해 지지되는 충격흡수부재(220)를 결합시킴으로써, 저 진폭 고주파 발생시에도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저 진폭 고주파 및 고 진폭 저주파 발생시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피스톤 로드 20: 범퍼 러버
100: 몸체 110: 중공
120: 설치홈 200: 부시
210: 결합홀 220: 충격흡수부재
230: 안착홈 300: 탄성부재
400; 마감캡

Claims (7)

  1. 실린더로부터 연장된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공이 연통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설치홈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부시; 및
    상기 부시를 기준으로 상기 설치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부시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테두리 부위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단과 하단이 상기 부시의 상단과 하단을 상하에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고무 또는 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들은,
    일단이 상기 설치홈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 관통 형성되며, 상부에 마감 캡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20160007731A 2016-01-21 2016-01-21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248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31A KR102487823B1 (ko) 2016-01-21 2016-01-21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31A KR102487823B1 (ko) 2016-01-21 2016-01-21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60A true KR20170087760A (ko) 2017-07-31
KR102487823B1 KR102487823B1 (ko) 2023-01-13

Family

ID=5941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31A KR102487823B1 (ko) 2016-01-21 2016-01-21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5844A1 (en) * 2021-01-28 2022-07-28 Mando Corporation Cover cap and insulator for shock absorb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553A (ja) * 2008-04-28 2009-11-12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553A (ja) * 2008-04-28 2009-11-12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5844A1 (en) * 2021-01-28 2022-07-28 Mando Corporation Cover cap and insulator for shock absorber including the same
CN114810904A (zh) * 2021-01-28 2022-07-29 株式会社万都 罩盖和包括罩盖的用于减震器的绝缘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823B1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7061A (en) Strut type suspension
JP6190651B2 (ja) 防振装置
EP0105232B1 (en) Strut suspens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US8398060B2 (en) Vibration absorber for a vehicle suspension spring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KR20160105070A (ko) 차량용 현가장치
RU1482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автомобиля против движения с креном
KR102487823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US20190257381A1 (en) Damper assembly for a vehicle
US20220235844A1 (en) Cover cap and insulator for shock absorber including the same
KR101723612B1 (ko) 쇽업소버
KR101372115B1 (ko) 자동차용 ctba 타입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471752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러트
KR101875967B1 (ko) 범프 스토퍼 내장형 쇽업소버
JPH10331899A (ja) 防振ゴ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防振機構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KR100339225B1 (ko) 상용자동차의 캐빈용 현가장치
KR101188249B1 (ko) 쇽업소버의 쿠션 러버 조립체
KR100589189B1 (ko) 현가 장치의 범퍼 스토퍼 구조
KR20110053565A (ko) 하이드로 서브프레임 부쉬
KR101162310B1 (ko) 위치결정부를 갖는 부시 조립체
KR19980055003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 스프링
KR20050031519A (ko) 쇽 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프링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