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326A -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326A
KR20030016326A KR1020030001971A KR20030001971A KR20030016326A KR 20030016326 A KR20030016326 A KR 20030016326A KR 1020030001971 A KR1020030001971 A KR 1020030001971A KR 20030001971 A KR20030001971 A KR 20030001971A KR 20030016326 A KR20030016326 A KR 20030016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guide
roller
buried
low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이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권 filed Critical 이용권
Priority to KR102003000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326A/ko
Publication of KR2003001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326A/ko
Priority to KR10-2003-0069112A priority patent/KR100485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6B3/14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of special cross-section
    • E06B3/16Hollow frames of special construction, e.g. made of folded sheet metal or of two or more section part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 등의 바닥면에 일치되도록 매립되어 미닫이문의 원활한 작동을 유도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1)에 설치되어 미닫이문(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문틀(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문틀(100)은,
상기 미닫이문(200)의 하부로 노출되는 롤러(220)가 안착되는 가이드홈(110)이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부면이 바닥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닫이문의 하부문틀의 상단이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보행시 별도의 주의 없이도 충돌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며, 문틀의 변형 발생이 방지되어 미닫이문의 개폐시에 소음 및 문틀 변형으로 인한 미닫이문의 동작 곤란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이물질 특히 먼지 등이 문틀에 유입되어도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DOORFRAM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마루 등의 바닥면에 일치되도록 매립되어 미닫이문의 원활한 작동을 유도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마루 등의 바닥면과 하부문틀의 상단이 일치되도록 하여 하부문틀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 및 미려한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미닫이문이 원활히 작동되도록 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주택의 현관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문 및 문틀은 현관문을 개폐시에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하고, 바닥면을 구획하여 각 구획의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닫이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미닫이문틀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서, 보행자 보행 중 부주의로 인한 충돌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거나, 무거운 물품 등의 이동시에는 문틀의 턱이 돌출되어 있어서 원활한 소통을 기대하기 곤란하게 되고, 문틀에 변형이 발생하여 미닫이문의 개폐시에 소음발생 및 변형으로 인한 미닫이문의 작동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 특히 먼지 등이 미닫이문틀에 유입되면, 그 제거가 곤란하고,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거부재 즉, 폭이 좁은 긴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서, 이물질의 제거 상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닫이문의 하부문틀의 상단이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보행시 별도의 주의 없이도 충돌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며, 문틀의 변형 발생이 방지되어 미닫이문의 개폐시에 소음 및 문틀 변형으로 인한 미닫이문의 동작 곤란 등이 발생되지 않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 특히 먼지 등이 문틀에 유입되어도 제거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에 미닫이문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바닥100;하부문틀
110;가이드홈120;롤러가이드
130;지지대140;부재안착홈
145;끼움홈150;가이드패널
160;끼움편170;안내돌기
200;미닫이문210;롤러하우징
220;롤러230;바람막이
본 발명은 바닥(1)에 설치되어 미닫이문(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문틀(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문틀(100)은,
상기 미닫이문(200)의 하부로 노출되는 롤러(220)가 안착되는 가이드홈(110)이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부면이 바닥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에 미닫이문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은 바닥(1)의 표면과 상부면의 고도가 일치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상면에는 미닫이문(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하우징(210)에 장착되어 미닫이문(200)의 하부로 노출되는 롤러(220)가 안착되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홈(110)이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문틀(100)은 짐이나 보행자의 이동시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루 등의 바닥(1)의 표면과 상부면이 동일한 고도를 유지하도록 매설되어 돌출로 인한 보행 중의 안전사고나, 짐 등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하부문틀(100)은 사각의 파이프형상으로, 그 상단에는 미닫이문(200)의 하부로 돌출된 롤러(220)가 안착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홈(110)은 미닫이문(200)의 진행방향으로 연속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그 가이드홈(110)의 단면형상은 상측으로 개구된 사각의 형상으로, 깊이는 롤러(220)를 가이드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면 무난하다.
또한, 가이드홈(100)의 하단부에는 미닫이문(200)의 하중이 직접 전달됨으로, 이를 적절히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0)가 설치되는데, 이 지지대(130)는 가이드홈(100)의 하단 내측면으로부터 하부문틀(100)의 하단부의 내측면에 이르기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즉, 지지대(130)는 사각의 파이프형상으로 된 하부문틀(100)의 내측 중공부를 상하로, 즉 수직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이 지지대(130)는 가이드홈(100)의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어 가이드홈(100)에 전달되는 미닫이문(200)의 하중을 유효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홈(100)의 깊이는 롤러(220)를 가이드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대략 2.5 ~ 3㎜정도의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가이드홈(100)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그 제거가 용이하게 되며, 롤러(220)가 하단으로 돌출된 미닫이문(200)의 하단 양측에 마련된 바람막이(230)에 의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220)의 형상은 양측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하여 가이드홈(110)에 접지되고, 가운데에는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하여 롤러하우징(210)에 설치됨으로서, 롤러(220)가 가이드홈(110)에 안착되어 이동시에 그 접지 면적을 작게하여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원활한 유동이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0)의 단면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롤러가이더(120)가 하부문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데,이 롤러가이더(120)의 단면 형상은 사각 또는 원형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며, 롤러가이더(120)의 상단은 하부문틀의 상부면에 일치되는 고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홈(110)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롤러가이드(120)는 롤러(220)의 가운데에 작은 외경부에 부합하는 것으로 롤러(220)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되며, 롤러(220)의 양측에 마련되는 큰 외경부는 롤러가이더(120)의 측면과 가이드홈(110)의 측벽사이에 배치되어서, 안정적인 미닫이문(200)의 이동을 도모하게 된다.
도5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하부문틀(100)의 상단에는 미닫이문(200)의 하부로 노출되는 롤러(220)가 안착되어 미닫이문(200)의 진행을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패널(150)이 안착되는 부재안착홈(140)이 하나 이상 하부문틀(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하부문틀(100)은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 및 정교함을 위해 도장 및 랩핑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가이드홈(110)에 안착되는 미닫이문(200)의 롤러(220)의 이동에 의해 마찰, 마모가 발생하고, 그로 인한 도장 및 랩핑이 파손되어 미관의 손상 및 정교함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문틀(100)의 상단에는 부재안착홈(140)을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부재안착홈(140)에 가이드패널(150)을 설치하게 된다.
가이드패널(150)의 단면형상은 롤러(220)가 안착되는 상단이 개구된 사각의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10)의 상단 양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되고,이 플랜지 및 가이드홈(100) 하부면에는 하나이상의 끼움편(160)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홈(110)의 양측벽면의 일정고도에는 가이드홈(110)에 안착되는 롤러(220)의 측면과 접지되도록 안내돌기(170)를 형성하고, 이 안내돌기(170)에 의해 롤러(220)가 측면과 가이드홈(110)의 측벽면과의 접지면적을 작게함으로써, 마찰을 최소화하여 미닫이문(200)의 이동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가이드패널(150)이 설치되도록 하부문틀(100)에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부재안착홈(140)은 그 중앙 하단부에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대(130)가 설치되어 가이드패널(150)에 안착되는 미닫이문(200)의 하중을 적절하게 지지하게 되고, 상측으로는 가이드패널(150)에 단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가이드패널(150)이 부재안착홈(140)에 안착시에 가이드패널(150)의 상부면과 하부문틀(100)의 상부면의 고도가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재안착홈(140)에는 상기한 가이드패널(150)의 끼움편(160)이 삽입되는 끼움홈(145)이 상기한 끼움편(160)에 부합되도록 하나이상 형성되어 가이드패널(150)이 부재안착홈(140)에 안착되면, 끼움편(160)이 끼움홈(145)에 삽입되어서, 가이드패널(150)과 부재안착홈(140)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킨다.
한편, 가이드패널(150)과 부재안착홈(1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접지면 사이에 실리콘(Silicon)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편(160)의 측면에는 경사지게 돌출되는 돌출턱(미도시)을 형성하되, 이 돌출턱(미도시)은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게 형성하고, 끼움홈(145)의 측벽에는 상기한 돌출턱(미도시)에 부합하는 걸림턱(미도시)이 경사지게 돌출되고, 이 걸림턱(미도시)은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어 끼움편(160)이 끼움홈(145)에 삽입되면, 돌출턱(미도시)이 걸림턱(미도시)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하여 삽입이 완료되면, 돌출턱(미도시)과 걸림턱(미도시)의 상하면이 걸리게 되어 가이드패널(150)을 부재안착홈(140)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닫이문의 하부문틀의 상단이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보행시 별도의 주의 없이도 충돌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며, 문틀의 변형 발생이 방지되어 미닫이문의 개폐시에 소음 및 문틀 변형으로 인한 미닫이문의 동작 곤란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 특히 먼지 등이 문틀에 유입되어도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바닥에 설치되어 미닫이문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문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문틀은,
    상기 미닫이문의 하부로 노출되는 롤러가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부면이 바닥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중앙부에는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롤러가이드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4. 바닥에 설치되어 미닫이문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문틀에 있어서,
    상기 하부문틀은,
    상기 미닫이문의 하부로 노출되는 롤러가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패널이 안착되는 부재안착홈이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패널이 설치되고, 상부면이 바닥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널의 하부에는 돌출되는 끼움편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부재안착홈에는 상기 끼움편에 부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끼움편이 삽입되는 끼움홈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벽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되는 롤러의 측면에 접지되는 안내돌기가 일정고도를 유지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KR1020030001971A 2003-01-13 2003-01-13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KR20030016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971A KR20030016326A (ko) 2003-01-13 2003-01-13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KR10-2003-0069112A KR100485216B1 (ko) 2003-01-13 2003-10-06 미닫이문과 문지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971A KR20030016326A (ko) 2003-01-13 2003-01-13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326A true KR20030016326A (ko) 2003-02-26

Family

ID=277302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971A KR20030016326A (ko) 2003-01-13 2003-01-13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KR10-2003-0069112A KR100485216B1 (ko) 2003-01-13 2003-10-06 미닫이문과 문지방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112A KR100485216B1 (ko) 2003-01-13 2003-10-06 미닫이문과 문지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163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748A3 (en) * 2009-10-31 2011-09-15 Rad Technology Medical Systems, Llc Relocatable radiation vault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518Y1 (ko) * 2015-07-20 2016-02-04 주식회사 태림중문 탈부착이 용이한 방풍구조물이 구비되는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748A3 (en) * 2009-10-31 2011-09-15 Rad Technology Medical Systems, Llc Relocatable radiation vault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216B1 (ko) 2005-04-22
KR20040064590A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921B1 (ko) 차량의 가변형 코너 베인 어셈블리
JPH0228660B2 (ko)
CN105683470A (zh) 隐藏式易清洁的淋浴门滑动装置
KR100823663B1 (ko)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투명 마감 방식의 커튼월 구조
KR20030016326A (ko) 미닫이문의 매립형 하부문틀
JP2007177429A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JP5214180B2 (ja) 引戸装置
KR20100104101A (ko)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JP6975479B2 (ja) 階段用目地装置
KR100636988B1 (ko) 미닫이문
JP4814010B2 (ja) 引戸装置
KR20200002444U (ko) 도어용 문틀 프레임
KR101694863B1 (ko) 어린이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의 리어 프레임 구조
KR100432083B1 (ko) 차량용 커튼 레일
JP4383774B2 (ja) エレベータドア遮蔽装置
JP2559745Y2 (ja) 引き戸付き間仕切り壁
KR100462277B1 (ko) 엘레베이터 도어용 행거 케이스 제조방법
JP2003027862A (ja) 戸の水密構造
JPH09268845A (ja) 引戸装置
JP2019019542A (ja) 建具及びその改装方法
KR200360453Y1 (ko) 미닫이문
KR20180045765A (ko) 샤워부스의 슬라이딩 도어 장치
JP2005030105A (ja) 傾斜面用車庫
KR200417404Y1 (ko) 윈도 설치용 포스트 크로스
JP2007269466A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用点検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