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299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299A
KR20030016299A KR1020027017342A KR20027017342A KR20030016299A KR 20030016299 A KR20030016299 A KR 20030016299A KR 1020027017342 A KR1020027017342 A KR 1020027017342A KR 20027017342 A KR20027017342 A KR 20027017342A KR 20030016299 A KR20030016299 A KR 2003001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onnector
support membe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569B1 (ko
Inventor
비고또피에르까를로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 프라마톰 커넥터즈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 프라마톰 커넥터즈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 프라마톰 커넥터즈 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KR2003001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2 지지 부재(4)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보적 전기 커넥터(2)와 협동 작용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5, 4)를 조립방향(A)으로 연결함으로써 상보적 커넥터(2)와 연결가능하고 제1 지지 부재(5)에 의해 이송되는 전기 커넥터(3)이며, 상기 커넥터(3)는 각각의 전기 단자(47)을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한정하는 절연 케이싱(45)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45)을 제1 지지 부재(5)에 연결가능한 프레임 부재에 연결하는 탄성 연결 수단(55)을 가지고, 연결 동안 조립방향(A)에 대한 지지 부재(5, 4)의 어떤 각도의 오정렬의 경우에도 상보적 커넥터(2)와 케이싱(45)의 정확한 정렬을 허용하기 위해서 탄성 연결 수단(55)은 조립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전기 연결부는 때때로, 사용할 때에, 결국 서로 연결될 각각의 지지 부재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전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을 요구하며, 이러한 경우에 커넥터는 지지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지지 부재의 어떤 조립 공차는 지지 부재의 어떤 조립 구성에서도 정확하게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전기 단자를 수납하기 위한 많은 공동을 형성하는 절연 케이싱을 포함하는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이에 국한하지는 않지만 순수하게 일예로써 이하에서 언급한 차량 연결부의 이점을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보적 전기 잭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유닛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모듈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2는 잭 커넥터에 연결되기 전의 도1의 플러그 커넥터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의 플러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4는 도2의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5는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기 전의 도1의 잭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잭 커넥터의 세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전술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설계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에 연결 가능하며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차례로 이송되는 상보적 전기 커넥터와 협력하고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조립방향(A)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보적 커넥터에 연결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전기 단자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형성하고 제1 지지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갖는 외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커넥터와 상보적 커넥터를 연결시키는 데 필요로 하는 로드보다 큰 로드에 의해 결합해제가능하여 제1 및 제2 지지 부재가 연결되기 전에 커넥터가 상보적 커넥터에 연결될 경우 조립방향(A)에 대향 방향으로 제2 지지 부재에 대해 케이싱이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한 로드 보유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고, 제한되지 않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일예로써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와, 각각의 지지 부재(4, 5)에 의해 이송되고 연결 지지 부재(4, 5)에 의해 조립방향(A)에서 서로 연결된 잭 커넥터(3)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유닛을 나타낸다. 도1에서 도면 부호 1은, 플러그 커넥터(2)와 각각의 지지 부재(4, 5)에 의해 이송되고 연결 지지 부재(4, 5)에 의해 조립방향(A)으로 서로 연결된 잭 커넥터(3)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유닛을 전체적으로 표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닛(1)은 방향(A)으로 서로 동축으로 연결된 조향 횔(7) 및 조향 칼럼(8)과, 지지 부재(4, 5)를 각각 지지하는 구성 부품에 의해 형성된 차량 조향 모듈(6)에 합체된다. 특히, 조향휠(7) 및 조향 칼럼(8), 즉 지지 부재(4, 5)는 방향(A) 및 방향(A)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소정의 조립 공차를 이루면 서로 연결된다.
유닛(1)은 차량 조향휠(7) (경적, 에어-백, 라디오 제어 부재 등) 상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공지된 복수의 전기 장치(도시 생략)를 일반적으로 "평케이블(flat cable)"로 공지되고 조향 칼럼(8) 주위에 권취되고 조향 칼럼(8)에 일체식인 원형 회전판(12) 및 고정되고 사실상 원통형인 기부 부재(11)에 의해 형성된 (도1 및 도5에서만 도시한) 박스 본체(10)에 수납된 평행식 도전성 트랙을 갖는 가요성 회로(9)에 연결시키는 데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향휠(7)의 사실상 원형인 기부 디스크에 의해 형성된 지지 부재(4)는 조향 칼럼(8)의 상보적 단부에 의해 연결된 중심 관통 구멍(13) 및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둥근-코너의 측방향 에지를 갖고 사용 중에 커넥터(2)에 의해 결합된 주변 관통 개구(1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향 칼럼(8)의 상기 단부는 지지 부재(5)를 형성하고 박스 본체(10)의 판(12)에서 중심 관통 구멍(도5; 15)과 각을 이루어 고정된 방식으로 결합한다. 판(12)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커넥터(3)와 일체인 장점이 있다.
도2 내지 도4에서, 커넥터(2)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아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보유 수단에 의해 공동(21) 내부에 보유된 각각의 암형 전기 단자(22)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A)에 평행한 각각의 축을 갖는 복수의 종방향 관통 공동(21)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 절연 케이싱(20)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단자(22)는 박스형 접촉부(23)와, 각각의 전기 케이블(25)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4)와, 중간부(26) 및 연결부(23, 24)를 공지된 방식의 포함한다.(도3 및 도4)
공동(21)은 방향(A)에 대해 교차하는 일열로 정렬된다. 케이싱(20)은 전기 케이블(25)이 이로부터 돌출하는 후방벽(27)과, 단자(22)의 접촉부(23)에 대면하는 전방벽(28)과, 공동(21)의 열이 연장하는 방향에 수직하고 방향(A)에 평행한 두 개의 대향 측 벽(29)과, 첨부된 도면에서 커넥터(2)의 위치에 대하여 두 개가 대향하는 상부 및 바닥의 단부벽(30, 31) 각각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2)는 케이싱(20)의 상부 및 바닥 단부벽(30, 31)에 쌍으로 이송되고 지지 부재(4) 상의 개구(14)의 측 방향 에지 상에 클릭하는 네 개의 탄성 보유 부재(32)를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단부벽(30, 31)의 보유 부재(32)는 단부벽(30, 31) 및 후방벽 및 전방벽(27, 28)에 수직인 커넥터(2)의 대칭 평면의 대향 측면에 위치되고, 각각의 측벽(29)에 인접하여 연장한다.
각각의 보유 부재(32)는 각각의 단부벽(30, 31)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탄성 랜스(lance; 33)와, 방향(A)에서 연속하여 위치된 랜스(33)로부터 돌출하여 지지 부재(4)에 커넥터(2)의 제1 및 제2 연결 위치를 각각 형성하는 두 개의 보유 치형(34, 35)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랜스(33)는 U형 슬롯을 형성하는 세 측면을 따라 각각의 단부벽(30, 31)으로부터 착탈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34)은 방향(A)에 대하여 각각의 치형(35)으로부터 하류에 위치되고, 직각 삼각형의 형태로 측방향 프로파일을 갖는다. 특히, 각각의 치형(34)은 전방에서는 방향(A)으로 지지 부재(4)의 개구(14) 내측에 케이싱(20) 삽입을 허용하도록 각각의 단부벽(30, 31)에 대해서 경사진 측면(36)에 의해, 후방에서는 방향(A)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방향(A)에 대향 방향으로 지지 부재(4)로부터 커넥터(2)의 후퇴를 방지하도록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에지에 대한 정지면을 형성하는 직선 측면(37)에 의해 형성된다.
치형(34)의 직선 측면(37)은 지지 부재(4)에 대한 케이싱(20)의 제1 연결 위치를 한정한다.
치형(35)은 삼각형상을 갖는 각각의 치형(34)에 인접하고, 단부벽(30, 31)에 대향으로 경사지고 기울어진 전방 측면(38) 및 후방 측면(39)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각 치형(35)의 측면(38)은 케이싱(20)이 방향(A)으로 지지 부재(4)의개구(14) 내부에 쉽게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대응하는 후방 측면(39)보다 덜 가파르게 단부벽(30, 31)에 대하여 경사진다.
치형(35)의 측면(39)인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에지와 상대적인 단부벽(30, 31)에 대한 측면(39)의 경사에 의존하는 제한된 로드값에 대한 정지면을 형성하고, 지지 부재(4)로부터 방향(A)에 반대 방향으로 커넥터(2)가 후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치형(35)의 측면(39)은 지지 부재(4)에 대한 케이싱(20)의 제2 연결 위치를 한정한다.
치형(35)의 측면(39)과 방향(A)에 수직인 평면 사이에 형성된 각은, 지지 부재(4)에 대해 방향(A)에 대향으로, 케이싱(20)이 커넥터(2, 3)들을 연결시키는 데 필요한 로드보다 큰 로드로 제1 연결 위치 안으로 단지 이동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말로, 측면(39)의 경사에 의하여, 치형(35)은 커넥터(2, 3)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로드보다 큰 로드에 의해 개구(14)의 에지로부터 탈거할 수 있는 제한 로드 보유 부재에 비유될 수 있고, 따라서 커넥터(2, 3)가 지지 부재(4, 5)를 지지하기 전에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케이싱(20)은 방향(A)에 대향방향으로 지지 부재(4)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방향(A)에 평행하게 측정된, 즉 각 치형(35)의 측면(38)의 길이인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사이의 거리는 지지 부재(4, 5)의 방향(A)에서의 최대 조립 공차와 적어도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는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에지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치형(35)의 측면(38)을 유지하도록 선택됨으로써, 상기 최대 조립 공차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
또한, 커넥터(2)는 케이싱(20)의 상부 및 바닥부 단부벽(30, 31)으로부터 쌍을 이루어 외부로 돌출하는 네 개의 정지 부재(40; 도3 및 도4)를 포함하고, 후방벽(27)에 근접하고 각각의 보유 부재(32)를 대면하여 위치되고, 방향(A)에서 제2 연결 위치 뒤로 케이싱(2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에지와 협동한다.
도시된 예에서, 정지 부재(40)는 단부벽(30, 31)의 각각의 외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치형(34)에 대한 치형(35)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각의 정지 부재(40)는 각각의 인접 치형(35)으로부터 멀리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치형(35)의 측면(39)에 대면하는 경사진 측면을 갖춘 직각 사다리꼴의 형태로 측방향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커넥터(2)는 케이싱(20)의 각각의 단부벽(30, 31)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돌출부(41)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부벽(30, 31)의 보유 부재(32) 사이의 중간 위치에 각기 위치되며,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3)와의 연결 제1 단계에서 방향(A)에 대하여 커넥터(2)의 중심 설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5를 참조하여, 잭 커넥터(3)는 각각의 암형 전기 단자(47)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종방향 관통 공동(도시 생략)을 갖춘 후방부(46)와, 상기 공동과 연통하고 커넥터(2)의 케이싱(20)을 수납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의 구획(49)을 형성하는 중공 전방부(48)를 차례로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인 절연 케이싱(45)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커넥터(2), 단자(47) 및 그들을 수납하는 각각의 공동은 방향(A)에 평행한 각각의 축을 갖고 방향(A)에 교차하는 하나의 열로 정렬된다.
각각의 단자(47; 도5)는 한 단부에서 가요성 회로(9)에 용접되고, 대향 단부에서, 구획(49) 내부에 돌출하는 핀형 접촉부(50)를 갖는다.
케이싱(45)은 가요성 회로(9)가 돌출하는 후방벽(51)과, 단자(47)의 열이 연장하는 방향에 수직이고 방향(A)에 평행인 두 개의 대향 측방향 벽(52)과, 후방벽(51) 및 측방향벽(52)에 수직이고 도5에서 커넥터(3)의 위치에 대해 각각 상부와 바닥인 두 개의 대향 단부벽(53, 54)에 의해 형성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동안 방향(A)에 대하여 지지 부재(4, 5)의 소정의 각도 오정렬의 발생 시 커넥터(2)의 케이싱(20)과 케이싱(45)을 정확하게 정렬하도록 방향(A) 및 서로에 대해 수직인 두 개의 방향(B, C)으로 만곡되는 탄성 연결 수단(55)에 의해 케이싱(45)이 박스 본체(10)의 판(12)에 연결된다.
특히, 케이싱(45)은 판(12)의 둥근 코너의 장방형 관통 개구(56)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탄성 연결 수단(55)에 의해 현수되고 개구(56)에 대면하는 후방벽(51)으로 위치설정된다.
탄성 연결 수단(55)은 케이싱(45)의 상부 및 바닥 단부벽(53, 54)으로부터 쌍으로 외향으로 돌출하고, 개구(56)의 측방향 에지의 벽(53, 54)에 인접하여 평행한 각각의 직선부에 연결되고, 케이싱(45)이 판(12)에 대해 방향(B, C)으로 그 자체에 평행하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4개의 판 스프링 부재(57)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벽(53, 54)의 판 스프링 부재(57)는 후방 벽(51) 및 단부벽(53, 54)에 수직인 커넥터(3)의 대칭면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측방향 벽(5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특히, 각각의 판 스프링 부재(57)는 방향(B)으로 만곡되고 판(12)의 개구(56)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방향(A)으로 돌출하는 제1 부분(58)과, 방향(C)으로 만곡되도록 단부벽(53, 54)의 각각의 개구(60)와 부분적으로 느슨하게 결합하고 케이싱(45)의 각각의 단부벽(53, 54)에 고정된 제2 부분(59)과, 부분(57, 58)의 각각의 전방 단부를 실질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제3 부분(61)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판 스프링 부재(57)의 부분(58)은 방향(B)으로만 만곡되도록 방향(A, C)으로 측정된 길이와 폭 보다 작은, 방향(B)으로 측정된 높이를 갖는 편평하고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탭(tab)으로 형성된다. 특히, 부분(58)은 판(12)으로부터 폭이 감소한다.
각각의 판 스프링 부재(57)의 부분(59)은 방향(C)으로만 만곡되도록 방향(A, B)으로 각각 측정된 높이와 길이보다 작은, 방향(C)으로 측정된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 바아(bar)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부분(59)은 각각의 단부벽(53, 54)에 대해 고정되고 판(12)에 대면하는 후방 부분(62)과, 방향(C)으로 느슨하게 각각의 개구(60)와 결합하는 전방부(63)를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개구(60)는 실질적으로 V형이고 각각의 단부벽(53, 54)의 전방 에지로부터 판(12)을 향해 단면이 감소한다.
도5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부벽(53, 54)은 각각의 개구들(60) 사이에서 커넥터(2)의 각각의 돌출부(41)를 수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깔대기 형상 시트(65)를 형성하고, 방향(A)으로 지지 부재(4, 5)를 연결할 때 커넥터(2)의 케이싱(20)과 케이싱(45)을 판 스프링 부재(57)에 의해 정렬하도록 돌출부(41)와 상호 작용하는 중공 돌출부(64)를 포함한다.
특히, 결합 중에 방향(A)에 대해 지지 부재(4, 5)의 임의의 각도 오정렬이 발생한 때, 커넥터(2)의 돌출부(41)와 커넥터(3)의 각각의 돌출부(64)의 상호 작용은 커넥터(2)의 케이싱(20)과 케이싱(45)이 정확하게 정렬될 때까지 방향(B, C) 모두에 대해 또는 그 중 하나의 방향으로 판(12)에 대하여 케이싱(45)을 이동시킨다.
각각의 시트(65)는 방향(A)으로 단면이 증가하는 입구부(66)와, 방향(A)에 대향 방향으로 입구부(66)의 최소 단면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등단면 단부(67)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트(65)의 입구부(66)는 격실(49)의 입구 개구로부터 방향(A)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4)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돌출부(64)와 커넥터(2)의 각각의 돌출부(41)가 케이싱(20)이 케이싱(45) 내측으로 삽입되기 전에 상호작용하기 시작한다.
커넥터들(2, 3)을 연결할 때, 돌출부(64)는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에지의 대향 직선부들 내에 형성된 개별 리세스(68)를 통해 끼워지고, 연결 후에 판(12)의 대향 측면 상의 지지 부재(4)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연결 유닛(1)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우선, 커넥터(2)는 지지 부재(4)의 개구(14)를 통해 방향(A)으로 제2 연결위치로 삽입된다. 특히, 지지 부재(4)를 통해 케이싱(20)을 삽입할 때, 치형(34, 35)의 경사면(36, 38)은 케이싱(20)의 내측으로 랜스가 만곡되도록 개구(14)의 측방향 에지 상으로 활주하고, 치형(35)이 지지 부재(4)를 통과하면, 각각의 랜스(33)는 변형되지 않은 위치로 되튕겨지고 치형(35)의 후면측(39)은 방향(A)에 대향 방향으로 커넥터(2)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를 형성한다.
방향(A)으로의 커넥터(2)의 추가 이동은 정지 부재(40)와 상호 작용하는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에지에 의해 방지된다.
이 때, 지지 부재(4)는 방향(A)으로 지지 부재(5)쪽으로 밀어져서 커넥터(2)의 돌출부(41)가 커넥터(3)의 시트(65)의 입구부(66)로 삽입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케이싱(20)은 여전히 케이싱(45)의 구획(49)의 외측에 위치된다.
자체의 조립 공차 때문에 지지 부재(4, 5)가 방향(A)에 대한 각도가 오정렬되면, 케이싱(45)이 커넥터(2)의 케이싱(20)에 올바르게 정렬될 때까지 방향(B, C) 중 한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판(12)에 대해 케이싱(45)을 이동시키도록 커넥터(3)의 각각의 돌출 위치(64)와 상호 작용한다.
구획(49)에 대해 방향(A)으로 전방 돌출하는 케이싱(45)의 시트(65)의 입구부(66)로 인해 케이싱(20, 45)은 서로 결합하기 전에 올바르게 정렬될 수 있다.
케이싱(45)은 방향(B, C)으로 만곡되는 판 스프링 부재(57)에 의해 판(12)에 대해 이동한다. 케이싱(45)이 4지점에서 판(12)에 연결되고 판 스프링 부재(57)가 두 부분(58, 59)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각각은 방향(B, C)에 대해 가요성이지만, 다른 부분의 방향(C, B)으로 만곡하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강성이고, 케이싱(45)은케이싱(45)에 대해 평행하게만 이동할 수 있어서 방향(A)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 부재(4)가 방향(A)으로 밀어짐에 따라, 지지 부재(4)는 지지 부재(5)에 연결되고 커넥터(2)의 케이싱(20)은 커넥터(3)의 케이싱(45)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조향 모듈(6)의 조립 공차 때문에, 마지막 조립 단계에서 지지 부재(4, 5)와 커넥터(2)의 케이싱(20)이 치형(35)의 보유 로드보다 크고 케이싱을 제1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추력을 필요로 하기 전에 커넥터(2, 3)는 완전히 삽입된다. 랜스(33)는 케이싱(20)의 내측으로 만곡되고 치형(35)의 후방측(39)은 케이싱(20)을 지지 부재(4)에 대해 제1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커넥터(2)는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지지 부재(4)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커넥터(2, 3)가 지지 부재(4, 5)와 동시에 완전히 연결되면, 커넥터(2)는 제2 연결 위치에서 지지 부재(4)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의 장점은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특히, 커넥터(2)가 미리 제한 로드 보유 부재[치형(34)]에 의해 형성된 연결 위치로 지지 부재(4)에 대해 고정됨으로써, 지지 부재(4, 5) 및 커넥터(2)가 방향(A)에 대향방향으로 인접 연결 위치[치형(34)]로 이동되기 전에 커넥터(2, 3)가 방향(A)으로 완전히 연결될 경우, 커넥터(2, 3)는 지지 부재(4, 5)의 조립 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도 방향(A)으로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없이 커넥터(3)에 대해 변경이 행하여질 수 있다.

Claims (9)

  1. 제1 지지 부재(5)에 연결 가능하며 제2 지지 부재(5)에 의해 차례로 이송되는 상보적 전기 커넥터(3)와 협력하고 제1 및 제2 지지 부재(4, 5)를 조립방향(A) 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보적 커넥터(3)에 연결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전기 단자(22)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21)을 형성하고 제1 지지 부재(4)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32)을 갖는 외부 케이싱(20)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2)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32)은 커넥터(2)와 상보적 커넥터(3)를 연결시키는 데 필요로 하는 로드보다 큰 로드에 의해 결합해제가능하여 제1 및 제2 지지 부재(4, 5)가 연결되기 전에 커넥터(2)가 상보적 커넥터(3)에 연결될 경우 조립방향(A)에 대향 방향으로 제1 지지 부재(4)에 대해 케이싱(20)이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한 로드 보유 수단(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32)은 조립방향(A)으로 연속으로 위치되고 제1 지지 부재(4)에 대한 커넥터(2)의 제1 및 제2 연결 위치를 각각 한정하는 제1 및 제2 보유 수단(34, 3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유 수단(35)은 제1 보유 수단(34)으로부터 조립방향(A)으로 상류에 위치되고 제한 로드 보유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위치 사이에서 조립방향(A)에 평행하게 측정된 거리는 조립방향(A)에서 제1 및 제2 지지 부재(4, 5)의 최대 조립 공차와 적어도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케이싱(20)은 제1 지지 부재(4)의 관통 개구(14)를 통해 끼워지고, 제1 및 제2 보유 수단은 케이싱(20)의 외벽(30, 31)에 의해 이송되는 각각의 탄성 랜스(33)로부터 돌출되어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위치를 한정하도록 제1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엣지 상에 클릭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치형(34, 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치형(34)은 케이싱(20)이 제1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내부로 조립방향(A)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케이싱(20)의 외벽(30, 31)에 대해 경사진 전방측(36)과 조립방향(A)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제1 연결 위치를 한정하도록 제1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엣지에 대해 안착하는 후방측(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 치형(35)은 케이싱(20)이 제1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내측으로 조립방향(A)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케이싱(20)의 외벽(30, 31)에 대해 경사진 전방측(38)과, 상기 전방측(38)의 대향 방향으로 케이싱(20)의 외벽(30, 31)에 대해 경사지고 제2 연결 위치를 한정하고 커넥터(2)와 상상보적 커넥터(3)를 연결시키는 데 필요로 하는 로드보다 큰 로드에 의해 커넥터(2)가 제2 연결 위치로부터 제1 연결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각도로 경사진 후방측(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20)은 제1 보유 수단(34)에 대해 제2 보유 수단(35)의 대향측 상에 위치된 정지 수단(40)을 외부에 구비하고, 케이싱(20)이 제1 연결 위치를 지나 조립방향(A)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지지 부재(4)의 개구(14)의 측방향 엣지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케이싱(20)의 외벽(30, 31)으로부터 연장하고 제2 치형(35)에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20)은 사실상 평행육면체형상이고, 각각의 제1 및 제2 치형(34, 35)을 갖고 케이싱(20)의 각각의 대향 외벽(30, 31)에 의해 쌍으로 이송되는 4개의 탄성 랜즈(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27017342A 2000-06-20 2001-06-19 전기 커넥터 KR100891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00A000601 2000-06-20
IT2000TO000601A IT1320514B1 (it) 2000-06-20 2000-06-20 Connettore elettrico.
PCT/EP2001/006922 WO2001099235A1 (en) 2000-06-20 2001-06-19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299A true KR20030016299A (ko) 2003-02-26
KR100891569B1 KR100891569B1 (ko) 2009-04-03

Family

ID=1145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342A KR100891569B1 (ko) 2000-06-20 2001-06-19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51973B2 (ko)
EP (1) EP1293014B1 (ko)
JP (1) JP4671386B2 (ko)
KR (1) KR100891569B1 (ko)
AT (1) ATE285130T1 (ko)
DE (1) DE60107845T2 (ko)
ES (1) ES2234864T3 (ko)
IT (1) IT1320514B1 (ko)
WO (1) WO2001099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5132B1 (en) * 2005-07-07 2013-05-08 FCI Automotive Holding Connector assembly
DE102013209367A1 (de) 2013-05-21 2014-11-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ontakt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Kontaktes zwischen einer Leiterplatinen und einem Elektromo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2076U (ko) * 1988-03-04 1989-09-07
DE4439852C2 (de) 1994-11-08 1998-04-09 Spinner Gmbh Elektrotech HF-Stecker mit einer Verriegelungsmechanik
JPH08250185A (ja) * 1995-01-13 1996-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用キャップ
US5769650A (en) * 1995-06-19 1998-06-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ver therefor
US5733135A (en) 1995-12-06 1998-03-31 Trw Inc. Air bag inflator assembly with shorting clip
JP3259818B2 (ja) * 1996-03-06 2002-02-2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の回路接続装置
FR2762938B1 (fr) * 1997-04-30 1999-07-16 Eaton Corp Connectique a accouplement semi-automatique accompagnant un couplage mecanique
IT1320513B1 (it) * 2000-06-20 2003-12-10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tore elettr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29439A1 (en) 2004-02-12
US6851973B2 (en) 2005-02-08
JP2003536236A (ja) 2003-12-02
ATE285130T1 (de) 2005-01-15
DE60107845D1 (de) 2005-01-20
EP1293014A1 (en) 2003-03-19
EP1293014B1 (en) 2004-12-15
ITTO20000601A0 (it) 2000-06-20
IT1320514B1 (it) 2003-12-10
WO2001099235A1 (en) 2001-12-27
KR100891569B1 (ko) 2009-04-03
JP4671386B2 (ja) 2011-04-13
ES2234864T3 (es) 2005-07-01
DE60107845T2 (de) 2005-12-01
ITTO20000601A1 (it)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15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plates
JP3875677B2 (ja) 電気コネクタ
JP6227103B2 (ja) コネクタ
EP2973875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receptacle carriers
JPH04233173A (ja) 電気ターミナル
EP1251593B1 (en) Connector
JP4201505B2 (ja) パネル取付用係止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のパネルへの取付方法並びに他のコネクタへの結合方法
EP086280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ad positioning comb
JPS5933942B2 (ja) 電気コネクタ
EP0623973B1 (en) Connector
JP416221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012946A (en) Connector fitting-detection mechanism
EP0723316B1 (en) Plate connector
KR100891569B1 (ko) 전기 커넥터
KR20030020302A (ko) 전기 커넥터
JPH02106882A (ja) プリント配線板接続用コネクタ
WO2021229463A1 (en) Electrical connector header with stabilizing features
KR200227805Y1 (ko) 커넥터
US9627794B2 (en) Connector element having a contact module engagement
JP2004281176A (ja) 基板用コネクタ
US20020045373A1 (en) Movable connector
JP6570595B2 (ja) コネクタ
WO2013001747A1 (en) Connector
EP4150717A1 (en) Modular housing assembly with stabilizing features
JP2004241315A (ja) コネクタ保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