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660A -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660A
KR20030015660A KR1020010049527A KR20010049527A KR20030015660A KR 20030015660 A KR20030015660 A KR 20030015660A KR 1020010049527 A KR1020010049527 A KR 1020010049527A KR 20010049527 A KR20010049527 A KR 20010049527A KR 20030015660 A KR20030015660 A KR 20030015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rotating plate
ring
rotary disk
tw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5660A/ko
Publication of KR2003001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6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벨트의 꼬임 발생시에 리턴성이 부족해지고, 잠금편이 뒤집어져 버클의 삽입성이 불량해지므로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웨빙 가이드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판을 설치하여 적당한 시트벨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벨트가 꼬였을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D-ring to untie twist of seat bel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의 꼬임 발생시에 리턴성이 부족해지고, 잠금편이 뒤집어져 버클의 삽입성이 불량해지므로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웨빙 가이드홀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의 회전판을 설치하여 시트벨트의 체결시에 적당한 시트벨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만약 시트벨트가 꼬일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를 구속하여 자동차의 충돌이나 전복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시트벨트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프론트 시트의 등받이 위치에 해당되는 센터 필라(Center Pillar) 상에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시트벨트가 꼬이지 않는 상태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풀리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 시트의 일측에 해당되는 플로어 패널상에는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시 그 시트벨트 상에 끼워진 버클이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시트벨트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탑승자가 상기 프론트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잡아당기면, 상기 시트벨트가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필라 상에 설치된 가이드 풀리에 의해서 꼬이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되고, 소정의 길이로 인출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벨트상에 끼워진 잠금편을 버클에 끼워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는 시트벨트가 꼬였을시 별도의 장치가 없어 손으로 강제로 돌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D-링의 웨빙 가이드홀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의 회전판을 설치하여 시트벨트의 체결시에 적당한 시트벨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만약 시트벨트가 꼬일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D-링11 : 고정구
12 : 본체12a : 홈
13 : 웨빙 가이드홀14 : 회전판
15 : 구속 장치15a : 이동부
15a' : 돌기15b : 손잡이부
16 : 챔버17 : 스프링
20 : 시트벨트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터 필라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11)가 형성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중앙에 시트벨트(20)가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안내되는 웨빙 가이드홀(13)이 형성된 원판의 회전판(14)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판(14)의 바깥면 소정위치에 회전판이 회전되거나, 회전될 수 없도록 본체(12)의 홈(12a)에 구속되는 구속 장치(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구속 장치(15)는 상기 회전판(14)에 수평으로 외주면을 관통하고, 그 회전판(14)의 중심부를 향하여 형성된 챔버(16)에 삽입된 한편, 머리가 볼록한 형상의 돌기(15a')를 가지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스프링(17)이 탄설된 이동부(15a)와; 그 이동부(15a)와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판(14)의 바깥면으로 노출, 형성된 손잡이부(1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D-링을 나타낸다.
상기 D-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필라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11)가 형성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중앙에 시트벨트(20)가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안내되는 웨빙 가이드홀(13)이 형성된 원판의 회전판(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이 장착된 본체(12)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구속 장치(15)가 구속되는 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14)의 바깥면 소정위치에는 평상시, 회전판이 회전될 수 없도록 구속 장치(15)가 형성되는바, 상기 구속 장치(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4)에 수평으로 외주면을 관통하고, 그 회전판(14)의 중심부를 향하여 형성된 챔버(16)에 삽입된 한편, 머리가 볼록한 형상의 돌기(15a')를 가진 이동부(15a)와, 그 이동부(15a)와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판(14)의 바깥면으로 노출, 형성된 손잡이부(15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15a)에는 스프링(17)이 탄설되어 상기 손잡이부(15b)가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트벨트(20)가 꼬였을 경우, 시트벨트(20)의 꼬임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회전판(14)을 시트벨트(20)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조절한다.
이때, 상기 구속 장치(15)의 손잡이부(15b)를 회전판(14)의 중심부쪽으로 잡아 당겨 D-링(10)의 본체(12)의 홈(12a)에서 돌기(15a')를 가진 이동부(15a)가 구속 해제되면 시트벨트(20)의 인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조절하고, 다시 손잡이부(15b)를 놓아서 상기 돌기(15a')가 본체(12)의 홈(12a)에 접촉하여 구속되도록 한 후, 꼬인 시트벨트(20)를 푼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은 시트벨트가 꼬일 경우 회전판을 회전시켜 적당한 시트벨트 인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시트벨트의 꼬임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센터 필라 상에 고정되는 고정구(11)가 형성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중앙에 시트벨트(20)가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안내되는 웨빙 가이드홀(13)이 형성된 원판의 회전판(14)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판(14)의 바깥면 소정위치에 회전판이 회전되거나, 회전될 수 없도록 본체(12)의 홈(12a)에 구속되는 구속 장치(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15)는 상기 회전판(14)에 수평으로 외주면을 관통하고, 그 회전판(14)의 중심부를 향하여 형성된 챔버(16)에 삽입된 한편, 머리가 볼록한 형상의 돌기(15a')를 가지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스프링(17)이 탄설된 이동부(15a)와; 그 이동부(15a)와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판(14)의 바깥면으로 노출, 형성된 손잡이부(1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KR1020010049527A 2001-08-17 2001-08-1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KR20030015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527A KR20030015660A (ko) 2001-08-17 2001-08-1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527A KR20030015660A (ko) 2001-08-17 2001-08-1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660A true KR20030015660A (ko) 2003-02-25

Family

ID=2771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527A KR20030015660A (ko) 2001-08-17 2001-08-1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56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829U (ko) * 1976-12-13 1978-07-13
JPS6297861U (ko) * 1985-12-11 1987-06-2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829U (ko) * 1976-12-13 1978-07-13
JPS6297861U (ko) * 1985-12-11 198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527B1 (ko) 안전벨트 웨빙 가이드
US5845939A (en) Belt tensioner
EP1253052B1 (en) Safety belt webbing with tongue stop
KR20030015660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해결을 위한 d-링
GB2395465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diagonal belt
KR101564231B1 (ko) 시트벨트의 락킹 텅
JPS5914293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KR10042788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장치
KR20020055678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훅
KR100930949B1 (ko) 차량용 웨빙 가이드 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10023565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KR10035621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 장치
KR100412442B1 (ko) 시트벨트 텅 어셈블리
KR20060033939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의 꼬임 방지를 위한 d-링구조
KR200151633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KR10035305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 장치
KR0131019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감김방지구
KR100596617B1 (ko) 승용기기의 안전벨트 구조
KR10019616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체결부 연장구조
KR200170698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버클 구조
KR100398096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장착 구조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0124233Y1 (ko) 시트 벨트의 스풀 아웃 감소장치
KR0128081Y1 (ko) 차량용 시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