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647A -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647A
KR20030015647A KR1020010049495A KR20010049495A KR20030015647A KR 20030015647 A KR20030015647 A KR 20030015647A KR 1020010049495 A KR1020010049495 A KR 1020010049495A KR 20010049495 A KR20010049495 A KR 20010049495A KR 20030015647 A KR20030015647 A KR 2003001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discharge
supplied
screw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953B1 (ko
Inventor
윤종락
Original Assignee
윤종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락 filed Critical 윤종락
Priority to KR10-2001-004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9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정미된 쌀을 마찰부재(60)와 스크린(74)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압축공기와 걸림턱(68)으로 서로 마찰되도록 하여 그 표면에 묻은 아리우롱층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리우롱층 잔류물이 완전제거되므로 쌀의 표면이 깨끗하여 밥이 지어지면 많은 보수막이 형성되어 윤기가 있고 하얗고 맛이 좋은 밥이 될 수 있고, 쌀을 씻지 않아도 됨으로 가정에서 별도로 씻지 않아도 되어 취사에 필요한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가정에서 쌀을 씻지 않게 됨으로 쌀뜨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아리우롱층 잔류물이 완전 제거되어 쌀이 변색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일반쌀에 비하여 백도(白度)가 상승하고, 아리우롱층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약품이 첨가되지 않고 단순히 마찰과 압축공기로 제거하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으며, 쌀을 손으로 세척할 때에 뜨물로 약 3%가 유실되나, 건식으로 세미된 쌀은 다시 세척할 필요가 없으므로 취사후의 밥이 증량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간단한 구조로 쌀을 건식으로 세척할 수 있음으로, 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장치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dry type rice not wash polished rice device}
본 발명은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미된 쌀을 압축공기로 세척하여 무세미로 가공할 수 있는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세미장치는 쌀은 정미한 뒤 그 표면에 점착되어 있는 크림상태의 내용물(아리우롱층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세미장치를 이용하여 정미된 쌀을 세척하는 것은 일반 소비자들이 취사를 하기 위하여 다시 세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무세미 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미된 쌀을 물로 세척하여 그 표면에 묻은 내용물을 제거한 후 건조한 바람으로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단 물에 젖은 쌀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그 자체에 금이 가서 쪼개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쌀을 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쌀뜨물이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정미된 쌀을 물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의 마찰 건식으로 세척하여 그 표면에 묻은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미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의 무세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세미부의 마찰부재를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세미부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세미부로 공급된 쌀이 서로 마찰되어 세척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투입구
13 : 세로격벽 14 : 이송롤
15 : 외측격판 16 : 정미롤
18 : 정미축 19 : 정미 배출부
20 : 정미 투입부 20 : 스크류 홀더
32 : 관통공 40 : 작동축
42 : 토출공 50 : 이송 스크류
60 : 마찰부재 62 : 마개부재
64 : 분사공 66 : 이송날개
68 : 걸림턱 70 : 스크린 홀더
72 : 유도핀 74 : 스크린
80 : 배출덕트 90 : 세미 배출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구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는 공급되는 쌀을 이송시키고 정미하기 위한 이송롤과 정미롤이 정미축에 설치되며, 상기 정미롤의 끝단 하부에는 정미된 쌀을 배출시키기도록 된 정미 배출부가 설치되어 쌀을 정미하여 배출시키도록 된 정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미 배출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정미 투입부; 상기 정미 투입구의 하부가 설치되는 관통공이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세로격벽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스크류 홀더; 상기 스크류 홀더를 관통하여 중간부가 상기 세로격벽에 베어링으로 설치되고, 외부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타측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토출공이 천공된 작동축; 상기 스크류 홀더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정미 투입부로부터 공급된 정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 상기 각 토출공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고, 마개부재에 의해 상기 작동축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토출공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골고루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해 공급된 정미를 외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날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이동되는 정미가 걸리도록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중공형의 마찰부재; 상기 스크류 홀더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의 외측 격판에 결합되며, 외측에는 다수개의 유도핀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이진 한 쌍의 스크린이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스크린 홀더; 상기 스크린 홀더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스크린 홀더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배출덕트; 상기 마찰부재와 스크린 사이에서 상호 마찰에 의해 세미된 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세미 배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의 분사공은 반구형의 마찰관이 서로 어긋나게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양측의 결합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개는 양측의 각 분사공 주변에 나선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걸림턱은 상기 각 마찰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미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의 무세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세미부의 마찰부재를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세미부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는 쌀을 정미하기 위한 이송몰(14)과 정미롤(16)이 정미축(18)에 설치된 정미장치에 정미 투입부(20)와 스크류 홀더(30), 작동축(40), 이송 스크류(50), 마찰부재(60), 스크린 홀더(70), 배출덕트(80), 세미 배출부(90)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미장치의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쌀을 정미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세미장치가 설치되며, 내측 하부에는 상기 정미장치와 무세미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외부에는 상기 정미축(18)과 작동축(4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원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의 상부에는 투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2)의 하부에는 공급되는 쌀을 이송시키고 정미하기 위한 이송롤(14)과 정미롤(16)이 정미축(18)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미롤(16)의 끝단 하부에는 정미된 쌀을 배출시키기도록 된 정미 배출부(19)가 설치된다.
상기 정미 투입구(20)는 상기 정미 배출부(19)로 정미되어 배출되는 쌀을 이송 스크류(50)로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간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 홀더(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일단은 상기 본체(10)의 세로격벽(13)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크류 홀더(30)의 관통공(32)은 상기정미 투입부(20)의 하단이 삽입 설치되어 정미된 쌀이 스크류 홀더(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축(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중간부는 상기 스크류 홀더(30)를 관통하여 베어링에 의해 세로격벽(13)에 지지되고, 타단은 본체(10)의 외측격벽에 베어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축(40)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고 외부의 압축공기 공급원과 연결되어 그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 공급원은 세미할 쌀의 수분이 적정량 이하일 경우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압축공기에 수분을 추가하여 세미되는 쌀에 공급함으로서 수분이 부족한 쌀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축(40)의 일단은 다수개의 토출공(42)이 천공되어 있다. 이 토출공(42)은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마찰부재(60) 내부로 토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 스크류(50)는 상기 스크류 홀더(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작동축(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32)으로 공급된 정미된 쌀을 마찰부재(60)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이송날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50)는 상기 이송 스크류(50)에 의해 공급된 정미된 쌀을 서로 마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이송 스크류(50)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축(40)에 체결되는 마개부재(62)에 의해 작동축(40)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마찰부재(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반구형의 마찰관(63)이 서로 어긋나게 나선형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즉, 그 결합부위가 나선형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그 결합부위에는 다수개의 분사공(6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공(64)은 각 마찰관(63)의 결합부위가 나선형인 관계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공(64)의 일측에는 나선형의 이송날개(66)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날개(66)는 상기 이송 스크류(50)에 의해 이송된 정미된 쌀을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송 스크류(50) 측은 급격한 나선형이고, 마개부재(62) 측은 완만한 나선형을 이룬다. 이는 마찰부재(50)의 일측(마개부재(62)측)에서 마찰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마찰관(63)의 외주면에는 깊이가 서로 다른 걸림턱(68)이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 걸림턱(68)은 이송되는 쌀의 흐름을 방해하여 서로 활발한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린 홀더(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한 쌍의 스크린(74)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74)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육각형이 되도록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스크린(74)은 정미된 쌀은 빠지지 않고 조각난 쌀 또는 미세한 잔류물이 빠지도록 작은 구멍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 홀더(7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유도핀(72)이 형성되는데 이는 쌀조각이나 잔류물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스크린 홀더(7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그 일측은 상기 스크류 홀더(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외측 격판(15)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덕트(80)는 상기 스크린 홀더(70)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스크린 홀더(70)에서 배출된 압출공기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세미 배출부(90)는 정미되고 세미된 쌀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것으로,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공기 공급원과 구동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면 상기 정미축(18)과 작동축(40)이 회전하면서 그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투입구(12)로 쌀을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쌀은 이송롤(14)에 의해 정미롤(16)로 공급되어 그 표면이 연삭되어 정미된다. 그러나, 정미된 쌀의 표면에는 아리우롱층의 잔류물이 묻게 된다.
이와 같이 정미된 쌀은 정미 배출부(19)로 배출되고 이어서 정미 투입부(20)로 투입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3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스크류 홀더(30)의 내부로 공급된 쌀은 이송 스크류(50)에 의해 마찰부재(60)의 외주면과 각 스크린(74)의 내측 사이, 즉 스크린 홀더(70) 내부로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스크린 홀더(70)의 내부로 이송된 쌀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날개(66)에 의해 세미 배출부(90) 측으로 이송되면서 분사공(64)으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분산되면서 서로 부딪치고 스크린(74)에 부딪치면서 그 표면에 묻어있던 이물질이 분리되어 상기 스크린(74)를 통하여 배출덕트(80)로배출된다.
또한, 상기 이송날개(66)에 의해 이송되는 쌀은 상기 각 마찰관(63)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 걸림턱(68)에 그 흐름이 간섭된다.
즉, 상기 이송날개(66)에 의해 각 마찰관(6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세미 배출부(90) 측으로 이송되는 쌀은 상기 걸림턱(68)에 이르러 원만하게 이송되지 못하고 간섭되어 스크린(74) 측으로 튀어 오르게 되면서 서로 마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분사공(64)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서로 마찰되고, 각이진 스크린(74)의 내측면에 부딪치며, 각 걸림턱(68)에 걸려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팅겨져 서로 부딪치고 마찰되면서 그 표면에 묻어 있던 이물질이 떨어지고, 떨어진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74)을 통과하여 배출덕트(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세미 배출부(90)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쌀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세척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는 정미된 쌀을 마찰부재와 스크린으로 서로 마찰시켜 그 표면에 묻은 아리우롱층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된다.
1. 아리우롱층 잔류물이 완전제거되므로 쌀의 표면이 깨끗하여 밥이 지어지면 많은 보수막이 형성되어 윤기가 있고 하얗고 맛이 좋은 밥이 된다.
2. 쌀을 씻지 않아도 됨으로 가정에서 별도로 씻지 않아도 되어 취사에 필요한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가정에서 쌀을 씻지 않게 됨으로 쌀뜨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3. 아리우롱층 잔류물이 완전 제거되어 쌀이 변색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일반쌀에 비하여 백도(白度)가 상승한다.
4. 아리우롱층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약품이 첨가되지 않고 단순히 마찰과 압축공기로 제거하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다.
5. 쌀을 손으로 세척할 때에 뜨물로 약 3%가 유실되나, 건식으로 세미된 쌀은 다시 세척할 필요가 없으므로 취사후의 밥이 증량된다.
6. 쌀을 물로 세척하지 않게 되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쌀을 건식으로 세척하는 구조가 단순하여 정미장치의 고장률이 저하되고, 정비가 용이하며, 장치의 가격이 낮아지게 되어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투입구(12)가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2)의 하부에는 공급되는 쌀을 이송시키고 정미하기 위한 이송롤(14)과 정미롤(16)이 정미축(18)에 설치되며, 상기 정미롤(16)의 끝단 하부에는 정미된 쌀을 배출시키기도록 된 정미 배출부(19)가 설치되어 쌀을 정미하여 배출시키도록 된 정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미 배출부(19)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정미 투입부(20);
    상기 정미 투입구(20)의 하부가 설치되는 관통공(32)이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세로격벽(13)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의 스크류 홀더(30);
    상기 스크류 홀더(30)를 관통하여 중간부가 상기 세로격벽(13)에 베어링으로 설치되고, 외부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타측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토출공(42)이 천공된 작동축(40);
    상기 스크류 홀더(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동축(4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정미 투입부(20)로부터 공급된 정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50);
    상기 각 토출공(42)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50)와 연결되고, 마개부재(62)에 의해 상기 작동축(4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토출공(42)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골고루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공(64)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50)에 의해 공급된 정미를 외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날개(66)가 형성되며, 이동되는 정미가 걸리도록 다수개의 걸림턱(68)이 형성된 중공형의 마찰부재(60);
    상기 스크류 홀더(30)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10)의 외측 격판(15)에 결합되며, 외측에는 다수개의 유도핀(72)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이진 한 쌍의 스크린(74)이 상기 마찰부재(60)의 외주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스크린 홀더(70);
    상기 스크린 홀더(70)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스크린 홀더(7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배출덕트(80);
    상기 마찰부재(60)와 스크린(74) 사이에서 상호 마찰에 의해 세미된 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세미 배출부(9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60)의 분사공(64)은 반구형의 마찰관(63)이 서로 어긋나게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양측의 결합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날개(66)는 양측의 각 분사공(64) 주변에 나선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걸림턱(68)은 상기 각 마찰관(63)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KR10-2001-0049495A 2001-08-17 2001-08-17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KR100401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495A KR100401953B1 (ko) 2001-08-17 2001-08-17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495A KR100401953B1 (ko) 2001-08-17 2001-08-17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647A true KR20030015647A (ko) 2003-02-25
KR100401953B1 KR100401953B1 (ko) 2003-10-17

Family

ID=2771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495A KR100401953B1 (ko) 2001-08-17 2001-08-17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9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358A (ko) * 2001-11-29 2003-06-09 김미현 물로 씻지 않고 밥을 짓는 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71711A (ko) * 2003-08-14 2003-09-06 윤종락 아리우롱층과 쌀눈을 포함한 도정 부산물을 수거하여기능성 식품 첨가물로 가공하는 방법
KR101102507B1 (ko) * 2010-08-24 2012-01-03 김진수 세라믹 정미기의 로터 연삭장치
CN105877465A (zh) * 2016-05-25 2016-08-2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干洗装置及自动电饭煲
WO2018072570A1 (zh) * 2016-10-20 2018-04-2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中转腔体、供料系统及烹饪器具
JP2020171886A (ja) * 2019-04-10 2020-10-22 大和産業株式会社 無洗穀類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13231125A (zh) * 2021-05-14 2021-08-10 安徽科技学院 一种小麦深加工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531B1 (ko) * 2015-11-13 2017-08-07 김세길 압축공기를 이용한 쌀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55Y2 (ko) * 1986-02-12 1989-04-20
KR950032373U (ko) * 1994-05-19 1995-12-14 신현주 정미기의 겨 제거장치용 도정축
KR0157735B1 (ko) * 1995-06-30 1998-11-16 고이영 철강재와 a.l.c(경량기포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9980058746U (ko) * 1997-02-26 1998-10-26 최준홍 정미기의 분진제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358A (ko) * 2001-11-29 2003-06-09 김미현 물로 씻지 않고 밥을 짓는 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71711A (ko) * 2003-08-14 2003-09-06 윤종락 아리우롱층과 쌀눈을 포함한 도정 부산물을 수거하여기능성 식품 첨가물로 가공하는 방법
KR101102507B1 (ko) * 2010-08-24 2012-01-03 김진수 세라믹 정미기의 로터 연삭장치
CN105877465A (zh) * 2016-05-25 2016-08-2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干洗装置及自动电饭煲
CN105877465B (zh) * 2016-05-25 2017-12-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干洗装置及自动电饭煲
WO2018072570A1 (zh) * 2016-10-20 2018-04-2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中转腔体、供料系统及烹饪器具
JP2020171886A (ja) * 2019-04-10 2020-10-22 大和産業株式会社 無洗穀類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7002057B2 (ja) 2019-04-10 2022-02-04 大和産業株式会社 無洗穀類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13231125A (zh) * 2021-05-14 2021-08-10 安徽科技学院 一种小麦深加工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953B1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495B1 (ko) 연속식 수세기에 의한 세정방법
KR101564600B1 (ko) 고추 세척 장치
US6368414B1 (en) Washing parts with ultrasonic energy
KR100401953B1 (ko)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JP2008194625A (ja) 廃棄プラスチック類の洗浄装置及び洗浄・脱水・乾燥装置
CN105268690A (zh) 自动化清洗机
JP4224770B2 (ja) 穀物洗浄機およびそれに接続される乾燥機
US5020555A (en) Continuous washing apparatus
KR20160111746A (ko) 탄피 세척장치
KR101699285B1 (ko) 이중 브러쉬 농산물 세척기
US2690576A (en)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the outer surface of eggs
KR200336449Y1 (ko) 쌀 세척 및 건조장치
US5148566A (en) Continuous washing apparatus
JPH1190360A (ja) 果菜洗浄装置
JP4372036B2 (ja) 米粒群用乾燥装置
FI112177B (fi) Rumpu
KR940020924A (ko) 커피 생두의 제조방법과 껍질 제거장치
CN104117495B (zh) 螺旋式输送清洗装置
CN208494405U (zh) 一种谷物除尘烘烤研磨一体机
CN109329991A (zh) 一种花生清洗机
JPH0323890A (ja) 羽の自動連続洗濯方法および装置
JP2001199540A (ja) 空気式輸送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ボール洗浄装置とボール乾燥装置
US1691727A (en) Fruit-cleaning machine
JP7148997B2 (ja) 洗浄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装置
KR100499590B1 (ko) 물을 사용하지 않는 브러쉬 세척 및 지장수 곡물 형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