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019A -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019A
KR20030015019A KR1020010049060A KR20010049060A KR20030015019A KR 20030015019 A KR20030015019 A KR 20030015019A KR 1020010049060 A KR1020010049060 A KR 1020010049060A KR 20010049060 A KR20010049060 A KR 20010049060A KR 20030015019 A KR20030015019 A KR 20030015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ata
labview
smart ecu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829B1 (ko
Inventor
박윤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1004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8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뷰(Labview)를 이용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보면서 모듈을 설계함으로써, 모듈 설계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는데 적당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는 LIN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여 해당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스마트 ECU들과,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과 LI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상기 스마트 ECU와 PC와의 인터페이스를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RS-232C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고, 설계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 ECU로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로부터 보내오는 데이터를 랩뷰(Labview)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P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automobile module using a labview}
본 발명은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랩뷰(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차량의 운용에 필요한 모듈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데 적당한랩뷰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자동차는 단순히 수송기능에서 탈피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안락하고 편리한 사무 공간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동차에는 보다 많은 전장 부품들이 장착되고 그에 따라 설계가 보다 복잡해질 뿐 아니라, 각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설계함에 있어서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즉, 요즘의 자동차는 차내에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고, GP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운용 및 윈도우(Window)의 업(Up)/다운(Down), 핸들의 틸트 각(Tilt angle) 조절 등의 편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모듈을 설계하여야 하며, 이러한 모듈의 설계는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듈의 설계는 새롭게 요구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상에 장착되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버스(Bus)(11)와 연결된 LIN 드라이브 IC(13)와, 상기 LIN 버스(11)와 연결된 복수의 스마트 ECU(15_1, 15_2, 15_3, ...,15_N)들과, 각 스마트 ECU(15_1, 15_2, 15_3, ...,15_N)와 연결되어 해당 ECU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17_1, 17_2, 17_3, ...,17_N)들과, 상기 PCB 상에서 상기 LIN 드라이브 IC(13)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9)와, 설계자에 의해 선택되는 각종기능 스위치 및 해당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LED로 표시하는 스위치 입력부(21a) 및 LED어레이부(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IN 드라이브 IC(13)는 중앙제어부(19)의 출력신호를 LIN 프로토콜에 따른 프레임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고, 각 ECU로부터 LIN 버스(11)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중앙제어부(19)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 ECU를 슬레이브(Slave)라고 할 때, 상기 슬레이브를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Master)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는 일 예로, 설계자가 스위치 입력부(21a)의 임의의 기능 스위치를 선택하면 해당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알리는 LED가 동작하게 되고, 중앙제어부(19)는 설계자가 선택한 스위치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중앙제어부(19)는 LIN 드라이브 IC(13)로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LIN 드라이브 IC(13)는 중앙제어부(19)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LIN 통신망에 맞게 변환하여 LIN 버스(11)상에 실어준다.
이때, LIN 버스(11) 상에 실리는 프레임 데이터에는 설계자가 선택한 스위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해당 ECU의 ID정보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LIN 버스(11)에 복수의 ECU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프레임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는 ID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ECU는 자신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ECU는 수신된 데이터에 상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도면의 미설명 부호 "23"은 JIG를 지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슬레이브(Slave)인 스마트 ECU를 제어할 수 있는 마스터(Master)인 드라이브 IC를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시스템 설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되고, 슬레이브와 마스터간에 발생되는 통신 에러를 파악할 수가 없어 그에 따른 대책 마련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랩뷰(Labview)를 이용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보면서 모듈을 설계함으로써, 모듈 설계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는데 적당한 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는 LIN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여 해당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스마트 ECU들과,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과 LI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상기 스마트 ECU와 PC와의 인터페이스를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RS-232C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고, 설계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 ECU로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로부터 보내오는 데이터를 Labview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P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랩뷰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에 따른 프레임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랩뷰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랩뷰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에 따른 PC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시뮬레이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LIN 버스 33_1∼33_N : 모터
35_1∼35_N : 스마트 ECU 37 : 인터페이스부
39 : PC
이하, 본 발명의 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Labview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abview"라고 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실제의 기기를 보는 듯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흔히 버츄얼 인스트루먼트(Virtual Instrument)라고도 하며, 베이직(Basic), C-언어 등의 텍스트(Text)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언어와는 달리, 다이아그램(diagram)을 만드는 식으로 프로그래밍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픽 프로그래밍 랭귀지(G)라고도 부른다.
따라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언어는 행에서 행으로 넘어가면서 순차적으로 실행이 되는 반면에, Labview에서는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순서가 데이터의 흐름에 따르고, 이러한 Labview는 각종 기기를 컴퓨터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기기들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능들이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Labview를 이용한 본 발명의 모듈 제어장치는 마스터가 되는 PC로부터 슬레이브가 되는 각 스마트 ECU로의 데이터 전송은 RS-232C를 통해 인터페이스부로 전달되어 LIN통신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된 다음 LIN버스 상으로 출력되고, 각 스마트 ECU로부터 PC로의 데이터 전송은 LIN통신망을 통해 인터페이스부로 전달되어 PC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된 다음 RS-232C를 통해 PC로 입력된다.
여기서, LIN 통신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LIN은 분산되어진 자동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있어서 메카트로닉스노드의 제어에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한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싱글 마스터(마스터 테스크 & 슬레이브 테스크)/멀티 슬레이브(슬레이브 테스크)
2). Common UART/SCI 인터페이스
3). 셀프 싱크로니제이션(Self Synchronization)
4). 신호전송에 대한 레이턴시 타임(latency time)
5). 저가의 싱글 와이어 방식
6). 20kbps의 전송속도
7). 전송 Byte의 선택(2, 4, 8bytes)
8). 데이터 체크썸 시큐리티(Data checksum security) 및 에러 디텍션(Error dection)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LIN 프로토콜은 데이터 필드의 개수만 2, 4, 6, 8 bytes 중의 하나로 선택되어 질 뿐, 고정된 포맷을 가지며,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는 도 2와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인 PC에서 출력하는 프레임 데이터의 구조는 Sync Break 비트/Sync Field/마스터의 ID/데이터 Field/체크 썸/슬레이브의 ID 순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을 LIN 버스로 출력하면 해당 슬레이브에서는 마스터에서 보내는 데이터에 상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동시에 슬레이브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각 전장 부품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필드 중 슬레이브 데이터를 싣도록 할당된 부분에 실어 마스터로 반송한다.
이에, 마스터인 PC는 각 슬레이브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Labview로 실행하여 각각의 슬레이브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그에 따라 슬레이브의 기능을 설계할 수가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LIN 버스(31)와, 모터(33_1, 33_2, 33_3,..., 33_N)를 제어하여 해당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들과, 일측이 LIN 버스(31)와 연결되고, 타측은 RS-232C와 연결되어 스마트 ECU와 PC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37)와, 각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들의 효과적인 설계를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부(37)를 통해 각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랩뷰(Labview) 프로그램으로 실행하여 이를 유저(시스템 설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PC(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마다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으며, 각 ECU가 제어하는 기능이 다르다. 일 예로, 제 1 스마트 ECU(35_1)는 차량의 윈도우(Window) 동작을 제어하는데,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윈도우가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제 2 스마트 ECU(35_2)는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폴드(Fold)/언폴드(Unfold)가 결정되고, 또한 미러의 상, 하, 좌, 우 이동을 제어하며, 제 3 스마트 ECU(35_3)는 운전석 씨트(Seat)의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을 제어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에 따른 시뮬레이션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PC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게 미러 컨트롤 영역과, 윈도우 컨트롤 영역, 도어 컨트롤 영역, 파워 씨트 컨트롤 영역, 틸트 컨트롤 영역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되며, 추가하여 마스터(Master)인 PC에서 스마트 ECU로 송신하는 도어, 틸트, 파워 씨트에 관한 데이터 상황을 디스플레이 하는 송신데이터 영역 및 각각의 스마트 ECU로부터 수신되는 도어, 윈도우, 미러, 틸트 등과 관련된 데이터 상황을 디스플레이 하는 수신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여기서, 각 컨트롤 영역의 기능 스위치에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미러 컨트롤 영역의 폴드/언폴드 스위치는 온/오프 여부에 따라 폴드/언폴드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 ECU의 제어하에 미러의 폴드/언폴드 작동이 이루어지고, 미러의 상/하, 좌/우 이동을 위한 해당 스위치의 선택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여 미러의 위치가 변화한다.
이때, 미러의 폴드/언폴드 및 상/하, 좌/우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는 LIN 버스 상에 실린 프레임 데이터의 데이터 필드에 할당된 부분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상기 폴드/언폴드 및 상/하, 좌/우 기능을 위한 모터 관련 정보)를 실어 이를 PC로 전송함으로써, PC에서는 스마트 ECU가 보내는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면의 히트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열선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램프는히트가 동작됨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램프이다.
한편, 윈도우 컨트롤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업/다운 스위치는 온/오프 여부에 따라 윈도우의 업/다운 동작이 이루어지며, 오토(Auto) 업/다운 스위치는 해당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윈도우가 오토(Auto)로 동작한다. 이때, 상기 윈도우 관련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 ECU는 윈도우의 위치 데이터를 PC로 전송하고 이에 PC는 화면의 수신 데이터 영역에 이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파워 씨트 컨트롤 영역에는 운전석을 앞/뒤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와, 운전석의 등받이를 앞/뒤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와,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위/아래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 및 운전석 씨트의 앞부분을 위/아래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가 디스플레이 되며, 상기 운전석 씨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ECU는 해당 기능이 수행될 때마다 부하에 걸리는 전류값을 PC로 전송하여 전류값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일 예로, 운전석을 앞/뒤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Horizontal) 중에서 "Dir-A"는 운전석의 씨트를 앞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이고, "Dir-B"는 운전석의 씨트를 뒤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이며,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위/아래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Vertical Rear) 중에서 "Dir-A"는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위쪽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이고, "Dir-B"는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아래쪽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이다.
한편, 틸트 컨트롤 영역에는 핸들과 관련된 동작을 위한 기능 스위치들이 디스플레이 되는데, 그 중에서 틸트 업(Up)스위치 및 다운(Down) 스위치는 핸들의 위치를 위/아래로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며, 틸트 인(In) 스위치 및 아웃(Out) 스위치는 핸들이 수평 상태에서 앞/뒤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스위치이다.
여기서, 상기 파워 씨트 컨트롤 영역 및 틸트 컨트롤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각각의 기능 스위치들은 운전자의 체형 및 체격에 적합한 운전석의 위치 및 핸들의 위치나 각도(Tile)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계자가(User)가 도 4에 표시된 미러 컨트롤 영역의 폴드/언폴드 스위치를 선택하면, PC(39)는 RS-232C를 통해 폴드(Fold) 스위치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7)로 출력한다.
이에, 인터페이스부(37)는 LIN 통신망에 적합한 프레임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PC(39)의 ID정보와 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 실제로 폴드 기능을 위해 모터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의 ID정보가 포함된 프레임 데이터를 LIN 버스(31)상으로 출력한다.
상기 LIN 버스(31)는 복수의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는 LIN 버스(31) 상의 프레임 데이터에 실린 스마트 ECU의 ID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ID정보와 일치하면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데이터 필드에는 폴드 기능에 따른 데이터가 실려 있기 때문에 미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스마트 ECU(35_2)가 LIN 버스(31) 상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에 상응하는 만큼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폴더 기능을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필드에 기록하여 피드백시킨다.
이에, 인터페이스부(37)는 LIN 버스(31)를 통해 피드백되는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 2 스마트 ECU(35_2)가 보내는 데이터를 RS-232C를 통해 PC(39)로 전달하면, PC(39)는 Labview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PC(39)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설계자는 스마트 ECU와의 통신 상황을 PC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면서 최적의 스마트 ECU를 설계할 수가 있다.
한편, 폴더/언폴더 동작 이외에, 파워 씨트 컨트롤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 스위치 중에서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위/아래로 동작시키기 위한 버티컬 리어 스위치(Vertical Rear Switch)에 의한 파워 씨트의 동작을 추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파워 씨트 컨트롤 영역의 버티컬 리어 스위치 중에서 "Dir-A" 스위치를 클릭하면, PC(39)는 RS-232C를 통해 버티컬 리어 스위치의 "Dir-A"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7)로 출력한다.
이에, 인터페이스부(37)는 LIN 통신망에 적합한 프레임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PC(39)의 ID정보와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윗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데이터 및 실제로 씨트의 뒷부분을 윗쪽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의 ID정보가 포함된 프레임 데이터를 LIN 버스(31)상으로 출력한다.
상기 LIN 버스(31)는 복수의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마트 ECU(35_1, 35_2, 35_3,..., 35_N)는 LIN 버스(31) 상의 프레임 데이터에 실린 스마트 ECU의 ID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ID정보와 일치하면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데이터 필드에는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윗쪽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데이터가 실려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과 관련된 제 3 스마트 ECU(35_3)가 LIN 버스(31) 상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에 상응하는 만큼 해당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석 씨트의 뒷부분을 윗쪽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필드에 기록하여 피드백시킨다.
이에, 인터페이스부(37)는 LIN 버스(31)를 통해 피드백되는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 3 스마트 ECU(35_1)가 보내는 데이터를 RS-232C를 통해 PC(39)로 전달하면, PC(39)는 Labview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PC(39)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설계자는 스마트 ECU와의 통신 상황을 PC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면서 최적의 스마트 ECU를 설계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랩뷰 프로그램(Labview Program)을 이용하여 각 모듈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확인하면서 소프트 웨어적인 제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모듈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JIG를 사용하여 직접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는 종래에 비해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

  1. LIN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여 해당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스마트 ECU들;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과 LI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상기 스마트 ECU와 PC와의 인터페이스를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RS-232C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고, 설계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 ECU로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로부터 보내오는 데이터를 Labview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P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는 차량의 윈도우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와, 미러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와, 엑츄레이터(Acturator)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와, 파워 씨트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 및 핸들의 틸트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마트 ECU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마트 ECU는 고유의 I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KR1020010049060A 2001-08-14 2001-08-14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KR10082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60A KR100829829B1 (ko) 2001-08-14 2001-08-14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60A KR100829829B1 (ko) 2001-08-14 2001-08-14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19A true KR20030015019A (ko) 2003-02-20
KR100829829B1 KR100829829B1 (ko) 2008-05-16

Family

ID=2771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60A KR100829829B1 (ko) 2001-08-14 2001-08-14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25B1 (ko) * 2002-01-10 2004-12-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시트 모터 제어 시스템
KR100887500B1 (ko) * 2007-11-13 2009-03-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센서의 id 자동 할당 장치
KR100925830B1 (ko) * 2008-06-25 2009-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보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969B1 (ko) 2017-07-05 2019-04-22 프레스토라이트아시아 주식회사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2359A (ko) * 1995-05-02 1996-12-21 김주용 전자제어장치의 모니터링 테스트 방법
KR20000073031A (ko) * 1999-05-04 2000-12-05 김영환 전자제어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10058062A (ko) * 1999-12-24 2001-07-05 최승환 전자제어현가장치 시뮬레이터
KR100779405B1 (ko) * 2001-07-30 2007-11-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안전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325B1 (ko) * 2002-01-10 2004-12-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시트 모터 제어 시스템
KR100887500B1 (ko) * 2007-11-13 2009-03-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센서의 id 자동 할당 장치
KR100925830B1 (ko) * 2008-06-25 2009-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829B1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122B1 (ko) 자동차내 집약배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96259B2 (ja) 車載用電子機器の配線再構成システム
US20110106333A1 (en) Interface in a vehicle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EP2440994B1 (en) Vehicle communications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0971453B (zh) 网络拓扑确定方法、装置、车辆网络拓扑结构及车辆
CN102749901B (zh) 一种总线设备智能隔离方法
US6950882B1 (en) Control for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sumers of a motor vehicle
CN105991766A (zh) 车辆通信系统
US7543097B2 (en) Flexible wiring system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2090061B1 (ko) Can과 통합된 bcm을 테스트하는 장치
US20120277916A1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module for a vehicle
KR100829829B1 (ko)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CN113246876B (zh) 通信系统和代理输入与输出单元
KR100726081B1 (ko) 집적회로 상호 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CN209757019U (zh) 一种车载电器系统线束架构及汽车
US20130179033A1 (en) Vehicle control circuit
US8533287B2 (en) Motor vehicle having an internet conne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3334953B2 (ja) 自動車用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ユニット
KR20140089799A (ko)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인터페이스 장치
KR20050018228A (ko) 차량용 게이트웨이 및 그 입력신호 처리방법
JPH07135686A (ja) 多重データ伝送装置
KR100517180B1 (ko) 차량용 하이 스피드 캔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KR100594171B1 (ko) 차량용 로우 스피드 캔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KR20230164994A (ko)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GB2606222A (en) A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