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969B1 -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969B1
KR101970969B1 KR1020170085336A KR20170085336A KR101970969B1 KR 101970969 B1 KR101970969 B1 KR 101970969B1 KR 1020170085336 A KR1020170085336 A KR 1020170085336A KR 20170085336 A KR20170085336 A KR 20170085336A KR 101970969 B1 KR101970969 B1 KR 10197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trol device
motor
ite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938A (ko
Inventor
김창현
양점기
이주영
Original Assignee
프레스토라이트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스토라이트아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레스토라이트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9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39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1Display for diagnostics, e.g. diagnostic result display, self-test user inte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를 CAN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하고, 랩뷰(lab 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동시스템(모터 및 제어장치)의 상태 및 에러발생을 한 번에 확인함은 물론 운행상태 및 전류, 전압상태 등 필요한 데이터를 그래프화 함으로써 구동시스템 동작 상태를 쉽게 파악 및 조정할 수 있고, 초기 전기 차량 튜닝 시 필요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저장함으로 써, 시험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한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랩뷰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소정의 섹션이 포함된 모니터 화면을 제공하는 PC(10); 상기 PC(10)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3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CAN 통신으로 구현하는 인터페이스(20); 및 전기차량의 모터(4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PC(10)는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환경 설정화면, 모니터링 설정화면, VCU 제어화면 및 파라미터 설정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Control-parameter controlling device of electric vehicle drive system}
본 발명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를 CAN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하고, 랩뷰(lab 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동시스템(모터 및 제어장치)의 상태 및 에러발생을 한 번에 확인함은 물론 운행상태 및 전류, 전압상태 등 필요한 데이터를 그래프화 함으로써 구동시스템 동작 상태를 쉽게 파악 및 조정할 수 있고, 초기 전기 차량 튜닝 시 필요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저장함으로 써, 시험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한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모니터링 관련 기술 분야로는 등록특허 10-0829829에 랩뷰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기술은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차량의 운용에 필요한 모듈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도록 한 기술로, LIN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여 해당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스마트 ECU들과,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과 LIN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상기 스마트 ECU와 PC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RS-232C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고, 설계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 ECU로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들로부터 보내오는 데이터를 Labview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P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스마트 ECU는 차량의 윈도우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와, 미러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와, 엑츄레이터(Acturator)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와, 파워 씨트를 제어하는 스마트 ECU 및 핸들의 틸트를 제어하는 스마트ECU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기술은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모듈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확인하면서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모듈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JIG를 사용하여 직접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는 종래에 비해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25746에는 랩뷰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의 웹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이 기술은 풍력발전기에 작용하는 바람의 풍속과 일사량 및 상기 풍력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전압, 전류 등의 전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나타내며 이를 웹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또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한 기술로,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풍력 발전기와, 상기 풍력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기와, 풍속과 일사량 데이터를 검출하는 풍속계와 일사량계로 이루어져 있는 센서부와,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PC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서버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기술은 풍력발전 중에 실시간으로 풍속, 일사량 및 상기 풍력발전기의해 공급되는 전력량을 나타내며, 데이터 로거 기능을 통해 시간별, 일별, 월별의 주기로 저장 할 수 있어 풍력발전의 전력량을 비교 할 수 있어 풍력 발전기의 설계 시 실제 실험을 통해 최적의 설계변수를 결정하는데 활용 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기차량의 제어장치 및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파라미터 값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른 것이다.
등록특허 10-0829829, 공개특허공보 10-2012-002574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를 CAN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하고,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동시스템(모터 및 제어장치)의 상태 및 에러발생을 한 번에 확인함은 물론 운행상태 및 전류, 전압상태 등 필요한 데이터를 그래프화 함으로써 구동시스템 동작 상태를 쉽게 파악 및 조정할 수 있고, 초기 전기 차량 튜닝 시 필요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저장함으로 써, 시험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한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랩뷰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소정의 섹션이 포함된 모니터 화면을 제공하는 PC; 상기 PC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CAN 통신으로 구현하는 인터페이스; 및 전기차량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PC는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환경 설정화면, 모니터링 설정화면, VCU 제어화면 및 파라미터 설정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통신환경 설정화면은 구동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대한 비전을 표시하는 비전섹션과, 상기 제어장치와 CAN 통신하기 위한 설정을 수행하는 통신설정섹션과, 현재시간과 제어장치의 총 운행시간을 표시하는 동작시간섹션과, 상기 모터 속도, 인버터전류, 모터 전압과,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상태표시섹션과, 상기 제어장치의 히트싱크온도와, 모터의 내부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섹션과, 상기 제어장치 또는 모터의 이상 발생 시 경고 및 알림을 표시하는 경고표시섹션과, CAN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지를 명령하는 정지선택섹션과, 모터 관련 파라미터 및 제어장치의 파라미터를 분석 가능하게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는 뷰어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설정화면은 모터 RPM, 차량 속도, 모터 전류, 데이터 모니터링, 토크, 그래프 표시, 디지털 데이터를 표시하는 설정탭섹션과, 각 모니터 항목의 데이터를 범용의 파일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저장섹션과, 동작 그래프의 출력(Y축)의 최대/최소값을 설정하고 그래프 데이터를 디지털로 볼 수 있는 스케일섹션과, 탭에서 선택한 항목을 그래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동작 그래프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VCU 제어화면은 차량 정지/구동, 전진/후진, 로드신호, 디멘드토크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화면은 파라미터 값을 읽어오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을 쓰는 항목으로 된 파라미터 입력섹션과, 상기 제어장치의 모든 파라미터 값을 읽어오는 항목과, 텍스트박스에 입력한 모든 파라미터 값을 제어장치에 저장하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을 불러오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의 읽기/쓰기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항목으로 된 설정명령 섹션과, 제어장치의 누적 동작시간의 기록을 초기화하는 항목과, 제어장치의 에러 기록을 초기화하는 항목으로 된 클리어명령 섹션과, 제어장치의 자체 구동 동작시험 시 사용하는 항목과, 모터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항목으로 된 제어패널섹션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제어장치는 게이트구동부로 모터 구동에 따른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의해 모터 구동용 FET부로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구동부와, 구동신호(주파수, 전압, 전류)를 출력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로 모터의 구동전류 신호와 온도신호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FET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통신환경 설정화면의 비전섹션은 상기 제어장치의 하드웨어 ID를 나타내는 항목과, 제어장치의 테스트모드를 나타내는 항목과, 제어장치의 적용 차종을 나타내는 항목과, 구동모터의 제어 루프를 나타내는 항목과, 스피드모드/토크모드를 설정 및 확인 할 수 있는 항목과, 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랩뷰를 이용하여 구동시스템(모터 및 제어장치)의 상태 및 에러발생을 한 번에 확인함은 물론 운행상태 및 전류, 전압상태 등 필요한 데이터를 그래프화 함으로써 구동시스템 동작 상태를 쉽게 파악 및 조정할 수 있고, 초기 전기 차량 튜닝 시 필요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저장함으로 써, 시험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상세 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 데이터 프레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통신환경 설정화면,
도 5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모니터링 설정화면,
도 6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VCU 제어화면,
도 7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파라미터 설정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는, PC(10), 인터페이스(20), 제어장치(30) 및 모터(40)를 포함한다.
상기 PC(10)는 본 발명 랩뷰(Lab view)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소로 후술하는 랩뷰 환경 관련 소정의 섹션이 포함된 모니터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PC(10)와 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30) 사이의 인터페이스(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으로 구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20)는 NI-CAN 8473 USB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CAN통신 데이터 프레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어장치(30)는 전기차량의 모터(40)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제어부(11)와, 게이트 구동부(12)와, FET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는 게이트구동부(12)로 모터(40) 구동에 따른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구동부(12)는 상기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의해 모터(40) 구동용 FET부(13)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FET부(13)는 모터(40)로 구동신호(주파수, 전압, 전류)를 출력하여 모터(4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어부(11)로 모터(40)의 구동전류 신호를 검출하여 전송하여 준다.
또한 상기 FET부(13)는 모터(40) 구동 시 발생되는 온도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로 전송하여 준다.
상기 모터(40)는 상기 제어부(11)로 엔코더 및 온도 정보를 제공하고, 전기차량의 엑셀 및 바퀴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PC(10)는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환경 설정화면, 모니터링 설정화면, VCU 제어화면 및 파라미터 설정화면을 출력하며, 사용자는 상기 PC(10)를 이용하여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제어장치(30) 및 모터(40))의 각종 모니터링 및 제어파라미터 값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통신환경 설정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랩뷰에 따른 통신환경 설정화면은, 메인 랩뷰화면으로 우선 상단에 환경설정, 모니터링, VCU제어, 파라미터 설정을 선택하는 설정탭(S10)이 구성되고, 상기 통신환경 설정화면은 비전섹션(S11), 통신설정섹션(S12), 동작시간섹션(S13), 상태표시섹션(S14), 온도표시섹션(S15), 경고표시섹션(S16), 정지선택섹션(S17) 및 뷰어섹션(S18)을 포함한다.
상기 비전섹션(S11)은 사용자가 한 눈에 비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섹션으로, 제어장치(30)의 하드웨어 ID(H/W ID)를 나타내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테스트모드(TEST Mode)를 나타내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적용 차종(Vehicle Type)을 나타내는 항목과, 구동모터(40)의 제어 루프(Control Loop)를 나타내는 항목과, 스피드모드/토크모드를 설정 및 확인(Control Mode) 할 수 있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소프트웨어 버전(S/W Version)을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설정섹션(S12)은 제어장치(30)와 CAN 통신하기 위한 설정(Buad rate, Inter Face, Arbtration ID, Data Length)을 수행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시간섹션(S13)은 현재시간과 제어장치(30)의 총 운행시간을 표시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태표시섹션(S14)은 모터(40) 속도, 인버터전류, 모터 전압과,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표시섹션(S15)은 제어장치(30)의 히트싱크온도와, 모터(40)의 내부온도를 표시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고표시섹션(S16)은 제어장치(30) 또는 모터(40)이 이상 발생 시 경고 및 알림을 표시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지선택섹션(S17)은 CAN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지를 명령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뷰어섹션(S18)은 운용자가 필요한 모터(40) 관련 파라미터 및 제어장치(40)의 파라미터를 분석 가능하게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모니터링 설정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랩뷰에 따른 모니터링 설정화면은,
차량의 주향 중 모터(40)의 RPM, 속도, 모터 소비전류, 스프트웨어 변수값 등의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발생된 데이터를 PC(10)로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탭섹션(S21), 데이터저장섹션(S22), 스케일섹션(S23) 및 동작그래프섹션(S24)을 포함한다.
상기 설정탭섹션(S21)은 모터 RPM, 차량 속도, 모터 전류, 데이터 모니터링, 토크, 그래프표시, 디지털 데이터 등 표시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저장섹션(S22)은 각 모니터 항목의 데이터를 범용 파일형태(예: 엑셀)로 저장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케일섹션(S23)은 동작 그래프의 출력 Y축의 최대/최소값을 설정하고, 그래프 데이터를 디지털로 볼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 그래프섹션(S24)은 탭에서 선택한 항목을 그래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도 6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VCU(차량제어모듈) 제어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랩뷰에 따른 VCU 제어화면은,
차량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VCU의 제어신호를 랩뷰를 이용하여 구현하여 모터(40) 제어 및 구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PC(10)와 제어장치(30) 사이의 인터페이스(20)를 CAN통신으로 구현하여 별도의 컨트롤지그 없이 구동시템(제어장치(30) 및 모터(4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7는 본 발명 랩뷰에 따른 파라미터 설정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랩뷰에 따른 파라미터 설정화면은,
파라미터 입력섹션(S31)과, 설정명령 섹션(S32)과, 클리어명령 섹션(S33) 및 제어패널섹션(S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라미터 입력섹션(S31)은 파라미터 값을 읽어오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을 쓰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정명령 섹션(S32)은 제어장치(30)의 모든 파라미터 값을 읽어오는 항목과, 텍스트박스에 입력한 모든 파라미터 값을 제어장치(30)에 저장하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을 불러오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의 읽기/쓰기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리어명령 섹션(S33)은 제어장치(30)의 누적 동작시간의 기록을 초기화하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에러 기록을 초기화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패널섹션(S34)은 제어장치(30)의 자체 구동 동작시험 시 사용하는 항목과, 모터(40)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의 전체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PC(10)와 전기차량의 제어장치(30) 사이를 CAN통신 인터페이스(30)를 연결하고, 상기 PC(10)의 전원을 키고 본 발명 랩뷰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상기 PC(10)로부터 CAN통신을 통해 제어장치(30)로 전달되거나, 상기 제어장치(30)로부터 CAN통신을 통해 PC(10)로 전달되는 정보는 도 3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랩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도 4에서와 같은 메인 랩뷰화면의 출력되며, 상단에 형성된 환경설정, 모니터링, VCU제어, 파라미터 설정을 선택하는 설정탭(S10)에서, 통신환경 설정화면을 선택하면,
PC(10)의 모니터 화면에 비전섹션(S11), 통신설정섹션(S12), 동작시간섹션(S13), 상태표시섹션(S14), 온도표시섹션(S15), 경고표시섹션(S16), 정지선택섹션(S17) 및 뷰어섹션(S18)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운영자)는 상기 비전섹션(S11)을 통해 제어장치(30)의 하드웨어 ID(H/W ID), 제어장치(30)의 테스트모드(TEST Mode), 제어장치(30)의 적용 차종(Vehicle Type), 모터(40)의 제어 루프(Control Loop), 스피드모드/토크모드의 설정 및 확인, 제어장치(30)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설정섹션(S12)을 통하여 제어장치(30)와 인터페이스(2) 간의CAN 통신을 위한 설정(Buad rate, Inter Face, Arbtration ID, Data Length)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시간섹션(S13), 상태표시섹션(S14), 온도표시섹션(S15)을 통해 현재시간과 제어장치(30)의 총 운행시간, 모터(40) 속도, 인버터전류, 모터 전압과, 배터리의 전압, 제어장치(30)의 히트싱크온도, 모터(40)의 내부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고표시섹션(S16)의 경보 및 알림을 통하여 제어장치(30) 또는 모터(40)이 이상 발생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뷰어섹션(S18)을 통하여 운용자가 필요한 모터(40) 관련 파라미터 및 제어장치(40)의 파라미터를 분석 가능하게 조정 및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랩뷰 프로그램에서 도 5와 같은 모니터링 설정화면을 선택하면,
상기 PC(10)의 모니터 화면에 설정탭섹션(S21), 데이터저장섹션(S22), 스케일섹션(S23) 및 동작그래프섹션(S24)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설정탭섹션(S21)을 통해 모터 RPM, 차량 속도, 모터 전류, 데이터 모니터링, 토크, 그래프표시, 디지털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섹션(S22)을 통해서는 각 모니터 항목의 데이터를 범용 파일인 엑셀(excel) 파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케일섹션(S23)을 통해 동작 그래프의 출력(Y축)의 최대 및 최소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그래프 데이터를 디지털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 그래프섹션(S24)을 통해 탭에서 선택한 항목을 그래프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랩뷰 프로그램에서 도 6과 같은 VCU(차량제어모듈) 제어화면을 선택하면,
상기 PC(10)의 모니터 화면에 VCU를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 정지/구동, 전진/후진, 로드신호, 디멘드토크 등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항목이 출력되며, 이러한 항목을 이용하여 VCU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랩뷰 프로그램에서 도 7과 같은 파라미터 설정화면을 선택하면,
상기 PC(10)의 모니터 화면에 파라미터 입력섹션(S31)과, 설정명령 섹션(S32)과, 클리어명령 섹션(S33) 및 제어패널섹션(S34)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설정명령 섹션(S32)을 통해 제어장치(30)의 모든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것, 텍스트박스에 입력한 모든 파라미터 값을 제어장치(30)에 저장하는 것, 파라미터 값을 불러오는 것, 파라미터 값의 읽기/쓰기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리어명령 섹션(S33)을 통해서는 제어장치(30)의 누적 동작시간의 기록을 초기화하는 것, 제어장치(30)의 에러 기록을 초기화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30)를 CAN통신 인터페이스(20)를 이용하여 PC(10)에 연결하고,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동시스템인 모터(40) 및 제어장치(30)의 상태 및 에러발생을 한 번에 확인함은 물론,
운행상태 및 전류, 전압상태 등 필요한 데이터를 그래프화 함으로써 구동시스템 동작 상태를 쉽게 파악 및 조정할 수 있고, 초기 전기 차량 튜닝 시 필요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저장함으로 써, 시험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한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PC 20: 인터페이스
30: 제어장치 40: 모터

Claims (3)

  1. 랩뷰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소정의 섹션이 포함된 모니터 화면을 제공하는 PC(10);
    상기 PC(10)와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장치(3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CAN 통신으로 구현하는 인터페이스(20); 및
    전기차량의 모터(4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PC(10)는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환경 설정화면, 모니터링 설정화면, VCU 제어화면 및 파라미터 설정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통신환경 설정화면은 구동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대한 비전을 표시하는 비전섹션(S11)과, 상기 제어장치(30)와 CAN 통신하기 위한 설정을 수행하는 통신설정섹션(S12)과, 현재시간과 제어장치(30)의 총 운행시간을 표시하는 동작시간섹션(S13)과, 상기 모터(40) 속도, 인버터전류, 모터 전압과,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상태표시섹션(S14)과, 상기 제어장치(30)의 히트싱크온도와, 모터(40)의 내부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섹션(S15)과, 상기 제어장치(30) 또는 모터(40)이 이상 발생 시 경고 및 알림을 표시하는 경고표시섹션(S16)과, CAN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지를 명령하는 정지선택섹션(S17)과, 모터(40) 관련 파라미터 및 제어장치(30)의 파라미터를 분석 가능하게 조정 및 설정할 수 있는 뷰어섹션(S18)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설정화면은 모터(40) RPM, 차량 속도, 모터 전류, 데이터 모니터링, 토크, 그래프 표시, 디지털 데이터를 표시하는 설정탭섹션(S21)과, 각 모니터 항목의 데이터를 범용의 파일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저장섹션(S22)과, 동작 그래프의 출력(Y축)의 최대/최소값을 설정하고 그래프 데이터를 디지털로 볼 수 있는 스케일섹션(S23)과, 탭에서 선택한 항목을 그래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동작 그래프섹션(S24)을 포함하고;
    상기 VCU 제어화면은 차량 정지/구동, 전진/후진, 로드신호, 디멘드토크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설정화면은 파라미터 값을 읽어오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을 쓰는 항목으로 된 파라미터 입력섹션(S31)과, 상기 제어장치(30)의 모든 파라미터 값을 읽어오는 항목과, 텍스트박스에 입력한 모든 파라미터 값을 제어장치(30)에 저장하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을 불러오는 항목과, 파라미터 값의 읽기/쓰기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항목으로 된 설정명령 섹션(S32)과, 제어장치(30)의 누적 동작시간의 기록을 초기화하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에러 기록을 초기화하는 항목으로 된 클리어명령 섹션(S33)과, 제어장치(30)의 자체 구동 동작시험 시 사용하는 항목과, 모터(40)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항목으로 된 제어패널섹션(S34)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는 게이트구동부(12)로 모터(40) 구동에 따른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의해 모터(40) 구동용 FET부(13)로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구동부(12)와, 구동신호(주파수, 전압, 전류)를 출력하여 모터(40)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11)로 모터(40)의 구동전류 신호와 온도신호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FET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환경 설정화면의 비전섹션(S11)은 상기 제어장치(30)의 하드웨어 ID(H/W ID)를 나타내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테스트모드(TEST Mode)를 나타내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적용 차종(Vehicle Type)을 나타내는 항목과, 구동모터(40)의 제어 루프(Control Loop)를 나타내는 항목과, 스피드모드/토크모드를 설정 및 확인(Control Mode) 할 수 있는 항목과, 제어장치(30)의 소프트웨어 버전(S/W Version)을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KR1020170085336A 2017-07-05 2017-07-05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KR10197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36A KR101970969B1 (ko) 2017-07-05 2017-07-05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36A KR101970969B1 (ko) 2017-07-05 2017-07-05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38A KR20190004938A (ko) 2019-01-15
KR101970969B1 true KR101970969B1 (ko) 2019-04-22

Family

ID=6503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336A KR101970969B1 (ko) 2017-07-05 2017-07-05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881A (ko) 2020-10-08 2022-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 메시지 스케줄링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53B1 (ko) 2006-06-29 2007-06-18 한국전기연구원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한 오존발생량 가변장치
KR100829829B1 (ko) 2001-08-14 2008-05-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19B1 (ko) * 2010-12-03 2012-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랩뷰를 이용한 식물공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704135B1 (ko) * 2014-12-09 2017-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계통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29B1 (ko) 2001-08-14 2008-05-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KR100729853B1 (ko) 2006-06-29 2007-06-18 한국전기연구원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한 오존발생량 가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38A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748B2 (en) Environmental control for HVAC system
CN100571989C (zh) 包括至少一个旋转构件的设备和测量所述旋转构件的振动频率以确定所述旋转构件的磨损状况的装置,相应的控制单元和方法
CN102530058B (zh) 增强路感的电动转向系统
US20020005667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arrangement to monitor and control heating, b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components
KR101159444B1 (ko) 풍차의 동적 특성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2333975B (zh) 动力传动控制器以及相关存储设备
US20200278646A1 (en) Factory system for machine learning of an actuator
JP2005086918A (ja) モータ駆動装置
CN102564489A (zh) 用于监测目的的机器操作状态的检测的方法和系统
KR101970969B1 (ko) 전기차량 구동시스템의 제어파라미터 조정장치
JP6867358B2 (ja) 状態判定装置及び状態判定方法
JP5230644B2 (ja) 電動機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制御装置
JP2009538114A (ja) 電気駆動システムの電子制御装置、電気駆動システムの電子駆動ユニットおよび電気駆動システム
JP4580023B2 (ja) 複数の巻線を備えたモータを駆動するモータ駆動システム
CN104459589A (zh) 电流传感器的自动测试系统
JP5058246B2 (ja) 機械モデルを組み込まれた制御装置
DE102007002414B4 (de) Vorrichtung zum Senden von Stellungsdetektorsignalen eines Mehrwellen-Motors
CN214586522U (zh) 一种集成plc、视觉或力反馈的智能伺服系统
CN113366172B (zh) 用于呈现描述拆除机器人的运行操作状况的信息的方法、设备和用户界面
CN110752809A (zh) 多轴伺服电机电流环的控制系统及其方法
JP2005071086A (ja) 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6018738B2 (ja) デジタルタコグラフ
KR101489531B1 (ko) Cpp 추진 제어 시스템의 메인 엔진 rpm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128089A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
Zenkov The organization of vehicles technical condition’s forecasting system based on monitoring and remote diagnostics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