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597A -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 Google Patents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597A
KR20030014597A KR1020020046249A KR20020046249A KR20030014597A KR 20030014597 A KR20030014597 A KR 20030014597A KR 1020020046249 A KR1020020046249 A KR 1020020046249A KR 20020046249 A KR20020046249 A KR 20020046249A KR 20030014597 A KR20030014597 A KR 2003001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air inlet
removal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이사까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
Publication of KR2003001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변기 막힘 수리와 같은 각종 배관 내의 막힌 것을 신속, 간단, 용이하게 제거 처리, 청소 처리가 가능해, 가정 안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각종 배수 설비에 있어서 널리 사용 가능한 각종 배관의 관 막힘 제거, 청소기 및 방법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예를 들어, 변기 막힘 수리 기구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압력 탱크(2)와, 탱크 내로 압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1)와, 압력 탱크(2)에 개폐기(23)를 거쳐서 접속하는 공기 도입 배관(31)과, 공기 도입 배관(31)을 변기의 배수구에 기밀하게 설치하기 위한 접촉 부재(32), 발수 방지재(33), 설치 부재(34), 투명창(도시하지 않음), 슬라이드 구멍(도시하지 않음), 나비형 나사(37)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착구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MACHINE FOR REMOVING CLOGGED ITEMS IN PIPE AND CLEANING THE PIPE, METHOD FOR CLEANING PIPE AND MEMBER FOR PROHIBITING LEAKAGE OF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배관 등의 관 막힘 제거와 청소를 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가정에 있어서는 개수대, 변기 등에 있어서의 배수관 등의 관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무로 된 주발형 흡입구가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흡입구를 배수구에 대고 선단부 흡입구의 신축 작용에 의해 생기는 부압에 의해 관 내의 물을 유동시켜 막힌 것을 이동 제거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3-16940에는 수동에 의해 작동하는공기 펌프에 의해 배관 내로 공기를 송입하여 그 공기압에 의해 막힌 것을 압출하는 장치에 대해 제안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주발형 흡입구는 일반 가정에 있어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손쉽고 저렴하지만, 능률이 좋은 것은 아니고, 상당히 힘을 들이는 작업을 수반하는 것이었다.
또한, 배관 내 막힌 것의 제거 대상이 되는 것으로는 개수대, 변기 등에 있어서의 배수관 등과 같은 가정 안에서의 기기 배관뿐만 아니라, 농업용 저수지 등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 내의 막힌 것의 제거 등, 간단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가정 안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각종 배수 설비에 있어서 널리 사용 가능하고, 각종 배관 내의 막힌 것을 신속, 간단,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며, 청소 처리도 가능한 배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 방법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일실시예인 변기 막힘 수리 기구의 설명도.
도2는 상기 주요부 설명도.
도3은 상기 사용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설명도.
도7은 상기 사용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설명도.
도8a 내지 도8d는 접촉 부재의 다른 실시예(물 튐 방지 마개)의 주요부 설명도.
도9a 및 도9b는 도8a 내지 도8d의 물 튐 방지 마개를 이용한 관 막힘 제거및 청소기의 실시 상황의 설명도.
도10a 및 도10b은 도4에서 이용되는 마개형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11a 내지 도11c은 도10a 및 도10b에 도시한 마개형 부재를 이용한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설명도.
도12는 상기 도10a 및 도10b에 도시한 마개형 부재를 이용한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설명도.
도13은 연속 배관시 막힘 제거에 있어서의 도11a 내지 도11c의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사용 상황의 설명도.
도14a 및 도14b는 도13에 있어서 사용하는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의 실시예(고무 튜브 마개)의 설명도.
도15a 내지 도15c는 상기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의 다른 실시예(고무제 풍압 마개)의 설명도.
도16은 본 발명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압력 탱크
3 : 막힘 수리 기구
4 : 수세용 변기
21 : 압력 게이지
22 : 밸브
23 : 개폐기
24 : 공기 공급구
31, 51, 71 : 공기 도입 배관
32 : 접촉 부재
33 : 발수 방지재
34 : 설치 부재
35 : 투명창
36 : 슬라이드 구멍
37 : 나비형 나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입된 본 발명의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구성은,
(1)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에 기밀하게 장착하는 부착구 및 상기 부착구를 거쳐서 공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는 공기 도입 배관과,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개폐기를 거쳐서 접속하여 압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도입구 및 압력 게이지를 갖는 압력 탱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2)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탱크가 공기 도입구 및 압력 게이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3)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에 기밀하게 장착하는 부착구 및 상기 부착구를 거쳐서 공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는 공기 도입 배관과,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개폐기를 거쳐서 접속하여 압력 게이지를 갖는 압력 탱크와, 상기 압력 탱크 내에 압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4) (1) 또는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이 변기 배수관이고, 상기 부착구가 상기 공기 도입 배관과, 변기 본체의 상부 모서리부를 씌우는 크기의 발수 방지재와, 상기 발수 방지재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 도입 배관이 삽입되어 그 전후 방향의 기울기가 조절 가능하도록 신장하는 슬라이드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변기 배수관 구멍과 상기 공기 도입 배관과의 위치 관계의 관찰용 투명창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기구 고정대와, 상기 공기 도입 배관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변기 배수관 구멍에 기밀하게 끼움 부착시키기 위한 끼움 부착 부재와, 상기 기구 고정대 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 도입 배관 고정용의 고정구를 갖고 있는 변기 막힘 수리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5) (1) 또는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판형 지지 부재에, 경질 고무제 스폰지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접촉 부재와, 유연성을 갖는 구형 또는 이와 닮은 형상의 스폰지 압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접촉 부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6) (1) 또는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원뿔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대원측 바닥면에는 절구형 오목부를 갖고, 배관의 개구부에 대원측으로부터도 소원측으로부터도 기밀하게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7) (1) 또는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봉형상 부재로 배관의 단부면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이탈 방지 금구로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봉형상 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나사 부착하는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관 등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8) (3)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기밀하게 부착되어 있어 공기압에 의해 팽창 수축 가능하고 상기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 내에 삽입한 후, 공기의 공급에 의한 팽창 작용에 의해 상기 공기 도입 배관을 상기 배관 등 내에 기밀하게 고정시키는 밀폐 끼움 장치와, 상기 밀폐 끼움 장치를 상기 압축기에 의해 동작시키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청소 방법은,
(9) 상기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의 상기 배관 내에 상기 배관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의 스폰지를 삽입한 후, 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3)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스폰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관 내의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는,
(10)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이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경우에 하나의 개구를 제외한 1개 이상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누설을 저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봉형상 부재의 주머니로 일단부에 공기 도입용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통로 차단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삽입하여 상기 공기 도입용 밸브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부위를 차단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 방법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11)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이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경우에 하나의 개구를 제외한 1개 이상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누설을 저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봉형상 부재로 배관의 단부면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이탈 방지 금구로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봉형상 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의 너트 회전에 의해 상기 배관 등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통로 차단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부착하여 상기 부위를 차단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 방법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일실시예의 변기 막힘 수리 기구의 설명도이고, 도1은 전체 구성도, 도2는 도1의 주요부 설명도, 도3은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압축기(예를 들어, 용량 1.7 MPa), 부호 11은 압력 게이지, 부호 2는 압력 탱크(예를 들어, 탱크 용적 500 cc), 부호 21은 압력 게이지, 부호 22는 밸브, 부호 23은 개폐기, 부호 3은 변기 막힘 수리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압력 탱크(2)에는 압축기(1)에 의해 소정 압력(예를 들어, 약 0.5 내지 0.9 MPa)의 공기가 보유 지지되고, 막힌 것이 발생한 배관에 기밀하게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변기 막힘 수리 기구(3)에 압력 펌프(2) 내 공기를 한 꺼번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호 31은 공기 도입 배관, 부호 32는 변기 배수관으로의 접촉 부재, 부호 33은 발수 방지재, 부호 34는 설치 부재, 부호 35는 투명창, 부호 36은 슬라이드 구멍, 부호 37은 나비형 나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에 있어서 부호 4는 수세용 변기이고, 부호 41은 수세용 물탱크, 부호 42는 덮개, 부호 43은 변기 시트, 부호 44는 배수구(트랩 입구)를 나타내고 있다.
발수 방지재(33)는, 예를 들어 스폰지로 이루어져 변기 상면부 상에 적재되고, 관 막힘 제거 작업 중에 물이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 부재(3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설치 부재(34)는, 예를 들어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고, 투명창(35)은 변기 배수구(44)의 상부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구멍(36)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는 공기 도입 배관(3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구(44)와의 접촉 부재(32)의 설치 상황을 위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위치 맞춤을 슬라이드 구멍(36) 내의 이동에 의한 각도조절에 의해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비형 나사(37)는 공기 도입 배관(31)의 각도 조정이 끝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 있는 변기 막힘 수리 기구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2), 변기 시트(43)를 개방한 상태의 변기(4)의 상단부에 발수 방지재(33)를 거쳐서 설치 부재(34)를 설치하고, 공기 도입 공급관(31)의 접촉 부재(32)가 변기(4)의 배수구(44)에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공기 도입 공급관(31)을 슬라이드 구멍(3) 등에 따라서 이동시키고, 이 때 투명창(35)을 통해 위치 맞춤을 행한다. 공기 도입 배관(37)의 배수구(44)에 대한 조정이 끝나면, 나비형 나사(37)에 의한 고정에 의해 변기 막힘 수리 기구의 변기(4)에 대한 셋팅이 종료된다.
한편, 개폐기(23)를 폐쇄하여 압력 탱크(2)의 밸브(22)를 개방한 상태에서 압축기(1)를 동작시켜, 압력 탱크(2)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이 되도록 하여 밸브(22)를 폐쇄해 둔다.
따라서, 변기 막힘 수리 기구(3)가 변기(3) 상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폐기(23)를 개방하면, 압력 탱크(2) 내의 압축된 상태의 공기는 한 꺼번에 공기 도입 배관(31)의 선단부로부터 변기(4)의 배수구(44) 내로 공급되어 배관 내의 막힌 것은 압출된다.
이 장치는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므로, 간단, 용이,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변기 막힘 수리 기구(3)를 변기(4)의 배수구(44)에 셋팅하는 작업이특별한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공기 공급시에 배수구 내의 물이 되튀어 주위가 더러워질 우려도 없어, 그 점에서도 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4는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설명도로, 부호 51은 공기 도입 배관, 부호 52는 공기 도입 배관(51)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마개형 부재, 부호 61은 배관, 부호 62는 막힌 것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53은 공기 도입 배관(51)과 마개형 부재(52) 사이에 위치하여 배관(61)의 단부를 씌우도록 설치되어 있는 물 튐 방지 덮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는 막힌 것(62)이 생긴 배관(61)에 직접 부착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공기 도입 배관(51)의 선단부에 배관(61)에 밀폐하는 상태로 마개형 부재(52)를 부착한다. 또한 물 튐 방지 덮개(53)를 설치해 두면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생겨도 내부의 액체가 분출하여 피해를 입는 일은 없다.
또한, 공기 도입 배관(51)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면 좁은 장소에 있어서의 배관 막힘의 제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5는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설명도로 도1 내지 도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고, 부호 24는 공기 공급구(공기 주입)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가 도1 혹은 도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장치로서 압축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압력 탱크(2)에 충전되는 압축 공기는 별개의 부재, 예를 들어 압축기에 의해 공급되고, 압축기는 공기의 충전이 종료되면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점이다.
본 장치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변기 막힘 수리 기구(3)의 설치 방법은 도1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1의 장치에서는 사용 부위에서 압축기(1)로 압력 탱크(2)에 압축 공기를 공급한 후, 개폐기(23)를 개방하여 압력 탱크(2) 내의 압축된 공기를 변기 막힘 수리 기구(3)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대해,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미리 압력 탱크(2)에 공기 공급구(24)로부터 압축기에 의해 압축 공기를 충전하고, 충전 완료 후에는 압축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 부위로 운반하여 배관의 관 막힘 제거 작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에 의해 압축 공기를 충전하는 대신에, 공기 봄베 내의 압축 공기를 충전하거나, 공기 공급 스탠드에 있어서 압축 공기를 충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압축기로 자전거용 공기 주입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공기 공급구(24) 및 그 내부의 밸브 기구는 일반적인 자전거에 있어서의 타이어용 공기 공급구나 밸브 기구와 동일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공기 공급구에 설치하는 밸브 기구의 부품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밸브 기구의 부품 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이 자전거의 공기 주입과 같은 손쉬운 압축 공기 공급원을 사용하는 타이어의 실시예에 관해서는 압력 탱크의 압력 게이지를 생략해도 좋다.
압축된 공기 압력으로 배관 내의 막힌 것의 제거와 배관 내의 청소를 행하는 점은 도1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의 장치는, 예를 들어 압축기를 사용 부위로 운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고, 공기 펌프 내에 압축 공기가 미리 충전되어 있으면, 필요한 때에 입기응변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전체가 소형이 되므로 일반 가정용으로서 사용하는 데 편리하다.
도6 및 도7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로, 도6은 주요부의 구조 설명도, 도7은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1 내지 도5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부호 7은 밀폐 마개 장치, 부호 71은 공기 도입 배관, 부호 72는 공기 주머니, 부호 73은 공기 주머니(72)에 원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 부호 74는 압축기(1)(도1 참조)에 접속하는 공기 공급로, 부호 81은 배관, 부호 82는 스폰지구, 부호 83은 물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는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에 기밀하게 장착하는 부착구가 개폐기(23)에 접속하는 공기 도입 배관(71)과, 공기 도입 배관(71)의 외주에 기밀하게 부착되어 있고, 공기압에 의해 팽창 수축 가능하게 막힘 재료가 존재하는 배관 내에 삽입한 후, 공기 공급로(74)를 거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한 팽창 작용에 의해 공기 도입 배관(71)을 검사 대상의 배관(81) 내에 기밀하게 고정시키는 밀폐 마개 장치(7)와 압축기(1)(도1 참조)에 의해 밀폐 마개 장치(7)를 동작시키는 공기 유로(74)를 갖고 있다.
다음에, 도7에 의해 그 사용 상태(관 청소 상황)를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막힌 것이 존재하는 배관(81) 내에 대략 동일 직경의 스폰지구(82)를 삽입하고, 계속해서 물(83)을 충전한 후 밀폐 마개 장치(7)를 삽입한 상태에서 압축기(1)에 의해 공기 공급로(74)로부터 압축 공기(약 0.5 내지 0.9 MFa)를 공급하면 공기 주머니(72)가 팽창하여 배관(81)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공기 주머니(72)의 외주에는 예를 들어 삽입측으로 경사지는 띠형상 돌기부(73)를 마련해 둠으로써 배관(81)과의 밀착성이 양호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주머니(72)와 기밀하게 구성되어 있는 공기 도입 배관(71)은 배관(81)에 기밀하게 설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압축기(1)(도1 참조)에 의해 압력 탱크(2)(도1 참조) 내에 압축되어 있는 압축 공기를 개폐 밸브(23)를 개방함으로써 배관(81) 내에 공급하면, 물(83)에 밀려 스폰지구(82)가 배관(81) 내를 이동하여 막힌 것이 있으면 떠내려 가게 하고, 관벽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이면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에 배치되어 있는 배관 청소를 행한 바, 신속, 용이하게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 관리 불충분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전국 각지의 농업용 저수지의 상지와 하지를 잇는 파이프 라인의 막힘을 신속 간단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 도3, 도5에 도시한 변기 막힘 수리 기구에 있어서는 접촉 부재(32)로서 구부러지기 쉬운 판형 부재를 이용하여 배수구(44)에 압박하였을 때의 변형 밀착에 의해 압축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8a 내지 도8d은 같은 목적, 혹은 널리 사용되는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용으로서 이용하는 접촉 부재의 다른 예(물 튐 방지 마개)를 나타낸 것으로, 도2, 도3, 도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8a, 도8c는 예를 들어, 변기 막힘 수리 작업의 준비가 완료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8b, 도8d는 조립전 부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38은 판형 지지 부재, 부호 39는 딱딱한 고무의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제1 접촉 부재, 부호 310, 311은, 예를 들어 해면과 같은 부드러운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제2 접촉 부재, 부호 312 및 313은 너트를 나타내고 있고, 부드러운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제2 접촉 부재(310, 311)는 도8a, 도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중심에 15 ㎜의 구멍(314)이 개방된 반경 10 내지 17 ㎝의 구형체 혹은 바닥부 구면 원주체로, 이를 도8a,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딱딱한 고무의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제1 접촉 부재(39)와 함께 공기 도입 배관(31)에 너트(312, 313)를 이용하여 조립하면 부드러운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제2 접촉 부재(310, 311)는 도8a,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 부재, 혹은 반원형이 된다.
도9a 및 도9b는 접촉 부재로서 도8a의 물 튐 방지 마개를 이용하여 휴대용(가반식)으로 구성한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를 변기 막힘 수리 기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변기 막힘 수리 기구를 변기(4)의 배수구(44)에 장착하면, 적당한 압축 상태가 되어 탄력성이 강해진, 강한 탄력에 의해 배수구(44)에 압박할 수 있으므로 압축 공기의 누출이 적어 심한 변기 막힘의 수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중에 물의 되튐이 생기는 경우에는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의 배수구(44)를, 예를 들어 신문지(91)로 씌우도록 함으로써 되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3 및 도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촉 부재(32)를 변기(4)의 배수구(44)에 기밀하게 장착하기 위해 설치 부재(34), 나비형 나사(37) 등을 이용하고 있지만, 도8a, 도8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3 및 도5의 설치 부재(34)가 특별히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배수구(44)에 변기 막힘 수리 기구를 기밀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간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10a 및 도10b은 도4에서 이용되는 마개형 부재(2)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공기 도입 배관(51)의 선단부에 부착 사용되지만, 이 도10a, 도10b는 마개형 부재(52)의 부착 수단이 각각 다른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마개형 부재(101)는 중심에 공기 도입 배관(51)의 부착용 관통 구멍(102)을 갖고 큰 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측에 오목부(103)가 마련되어 있는 고무로 된 원뿔 부재로 이루어지고, 너트(104 및 105)에 의해 공기 도입 배관(51)의 선단부 개구부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1a 내지 도11c은 공기 도입관(51)의 선단부에 도10a의 상태가 되도록 마개형 부재(102)를 부착한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를 도시하고 있고, 도5, 도9a 및 도9b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부호 111은 캔(2)(0.5 내지 0.9 Mps)의 부착부로, 캔(2)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캔(2)이 비게 된 경우에는, 부착부(111)로부터 제거하여 교환한다. 도11b, 도11c는 비게 된 캔(2)에 압축 공기를 밀봉하는 공기 삽입 장치 및 그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공기 삽입 장치(112)에는 공기 밸브(113) 및 압력계(114)가 설치되어 있고, 도11c와 같이 공기 삽입 장치(112)를 이용하여 다 사용한 캔(2)에, 예를 들어 압축기에 의해 공기 삽입 장치(112)를 거쳐서 압축 공기를 충전하여 탱크(2)를 스페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반식으로 할 수도 있고, 그 밖의 소위 일회용으로도 할 수있다. 또한, 이와 같이 휴대용으로 되어 있으므로,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공기 도입 배관(51)과 마개형 부재(101) 사이에 스트리트 엘보를 삽입하면, 마개형 부재(101)를 공기 도입 배관(51)에 대해 직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맨홀을 연결하는 배관 혹은 맨홀로 연결되는 빗물받이의 관 막힘 제거를 맨홀에 있어서 행할 수 있다. 맨홀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시에 역류하지 않도록 덧댐 부목 등을 삽입하고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12는 도10b의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예로서, 팝업식 트랩(120)의 막힘 제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마개형 부재(101)의 공기 도입 배관(51)으로의 부착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다른 청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변기 배수관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는, 주배관 또는 그에 준하는 배관에 복수개의 배관을 거쳐서 복수개의 변기 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배수관에 있어서는, 주배관 또는 그에 준하는 배관에 관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 예를 들어 그 하나의 배관 개구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해도, 그 압력은 연통하는 다른 배관으로부터 유출되므로, 막힌 것에 압력을 인가할 수 없다.
도13은 이와 같은 연속 배관시 막힘 제거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배수계(13)에서는 주배수관(130)에, 예를 들어 4개의 배수관(131,132, 133, 134)이 접속되어 있고, 배수관(131)에 변기가 접속되어 배수관(132, 133, 134)이 개구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와 같은 배수계(13)에서 주배관(130)에 막힌 것(135)이 생긴 경우, 배수관(131)으로부터 압축 공기의 공급을 행해도 배수관(132, 133, 134)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도피하므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배수관(132)에 접속되어 있는 변기(B), 배수관(133, 134) 각각의 개구(C1), 개구(C2)를 폐쇄해 둘 필요가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B), 개구(C1), 개구(C2)를 밀봉한 상태에서 개구(A)에서 작업을 행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배관에 연통하는 하나의 개구를 제외한 1개 이상의 개구부를 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밀봉해 둘 필요가 있다. 도14a, 도14b 및 도15a 내지 도15c는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하는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4a 및 도14b는 변기에 사용하는 경우의 고무 튜브 마개를 도시하고 있고, 도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고, 도14a는 사용 상태의 설명도, 도14b는 구조 설명도이고, 부호 141은 봉형상의 고무 튜브이고, 압축 공기의 도입구가 되는 공기 밸브(142)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예를 들어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공기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봉형상의 고무 튜브(141)를 변기의 배수구(44)에 삽입한 후, 공기 밸브(142)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한다. 공기가 들어가면, 고무 튜브(141)는 팽창되어 변기의 배수구(44)의 형상에 따르도록 변형하므로, 이 개구부를 차단하여 압축 공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15a 내지 도15c는 배관 단말에 사용하는 경우의 압축 공기 누설 저지부재(고무로 된 풍압 마개)를 도시하고 있고, 도15b, 도15c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15a는 도15b의 상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152는 보유 지지판, 부호 153은 고무 마개, 부호 154는 이탈 방지 금구로,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155)의 자유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156)에 의해 일체화한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배관(151)의 말단 내부에, 고무 마개(152)를 삽입하고, 배관(151) 외벽에 이탈 방지 금구(154)를 계지하여 너트(156)로 체결하면, 고무 마개(152)는 배관(151)의 관벽 방향으로 팽창하여 관벽에 밀착하는 상태가 된다.
또, 도15a 내지 도15c에 도시한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에 의한 압축 공기 누설 저지 기술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구부에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를 고정할 수도 있다. 도16은 그와 같은 구조의 배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1a 내지 도11c 및 도15a 내지 도15c 등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도면에서 부호 151은 배관, 부호 161은 막힌 것, 부호 152는 보유 지지판, 부호 153은 고무 마개, 부호 154는 이탈 방지 금구, 부호 162 및 163은 공기 도입 배관(51)에 차례로 접속하고 있는 공기 도입 배관이고, 공기 도입 배관(163)은 고무 마개(153)를 관통하여 배관(151) 내에 충전하고 있는 수중에 개구하고 있다. 공기 도입 배관(163)의 배관(151) 내측에는 너트(164)로 고정되고, 공기 도입 배관(163)의 공기 도입 배관(162)측에는 너트(165)가 나사 부착되어 있어 너트(165)를 체결함으로써 고무 마개(153)가 압축되어 배관(153)에 밀착시켜 압축 공기의 누설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배관에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를 부착하고, 개폐기(23)를 개방하여 압력 탱크(2) 내의 압축 공기를 공기 도입 배관(51)으로부터 배관(151)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조작하기 전에 다소의 부착 작업을 필요로 하지만, 조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기 탱크(2)와 개폐기(23) 사이에 공기 밸브(113), 압력계(114)를 갖는 장치를 도시했지만, 일반적으로 공기 밸브(113) 및 압력계(114)는 장치의 규모, 용도 등에 따라서 장비하는 경우와 장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세 변기 및 농업용 저수지의 배관 막힘을 제거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적용 범위로서는 사회 전반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배수 설비를 갖는 설비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이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일반 가정, 맨션에 있어서는 개수대, 세면대, 화장실, 욕실 등, 그 밖의 사회를 구성하는 각종 시설에 있어서의 각종 배수 설비 등에 있어서의 일상 생활의 유지, 각종 설비의 관리, 보수에 불가결한 각종 배수 설비 등의 유지 관리 작업을 신속, 안전, 확실하게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정 안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각종 배수 설비에 있어서 널리 사용 가능하고, 각종 배관 내의 막힌 것을 신속, 간단,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며, 청소 처리도 가능한 배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를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산업상의 효과가 큰 것이다.

Claims (11)

  1.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에 기밀하게 장착하는 부착구 및 상기 부착구를 거쳐서 공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는 공기 도입 배관과,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개폐기를 거쳐서 접속하여 압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 탱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탱크가 공기 도입구 및 압력 게이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3.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에 기밀하게 장착하는 부착구 및 상기 부착구를 거쳐서 공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는 공기 도입 배관과,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개폐기를 거쳐서 접속하여 압력 게이지를 갖는 압력 탱크와, 상기 압력 탱크 내에 압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이 변기 배수관이고, 상기 부착구가 상기 공기 도입 배관과, 변기 본체의 상부 모서리부를 씌우는 크기의 발수 방지재와, 상기 발수 방지재 상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 도입 배관이 삽입되어 그 전후 방향의 기울기가 조절 가능하도록 신장하는 슬라이드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변기 배수관 구멍과 상기 공기 도입 배관과의 위치 관계 관찰용 투명창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기구 고정대와, 상기 공기 도입 배관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변기 배수관 구멍에 기밀하게 끼움 부착시키 위한 끼움 부착 부재와, 상기 기구 고정대 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 도입 배관 고정용의 고정구를 갖고 있는 변기 막힘 수리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판형 지지 부재에 경질 고무제 스폰지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접촉 부재와, 유연성을 갖는 구형 또는 이와 비슷한 형상의 스폰지 압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접촉 부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원뿔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대원측 바닥면에는 절구형 오목부를 갖고, 배관의 개구단부에 대원측으로부터도 소원측으로부터도 기밀하게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봉형상 부재로 배관의 단부면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이탈 방지 금구로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봉형상 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나사 부착하는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관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상기 공기 도입 배관에 기밀하게 부착되어 있어 공기압에 의해 팽창 수축 가능하고 상기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 내에 삽입한 후, 공기의 공급에 의한 팽창 작용에 의해 상기 공기 도입 배관을 상기 배관 등 내에 기밀하게 고정시키는 밀착 끼움 장치와, 상기 밀착 끼움 장치를 상기 압축기에 의해 동작시키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9. 제4항에 기재된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를 이용한 배관의 청소 방법으로서, 상기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의 상기 배관 내에 상기 배관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의 스폰지를 삽입한 후, 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스폰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관 내의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청소 방법.
  10.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이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경우에 하나의 개구를 제외한 1개 이상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누설을 저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봉형상 주머니로 일단부에 공기 도입용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통로 차단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삽입하여 상기 공기 도입용 밸브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부위를 차단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 방법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11. 막힌 것의 제거와 내부 청소를 필요로 하는 배관 등이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경우에 하나의 개구를 제외한 1개 이상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누설을 저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고무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봉형상 부재로 배관의 단부면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이탈 방지 금구로 계지하는 동시에 상기 봉형상 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의 너트 회전에 의해 상기 배관 등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통로 차단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부착하여 상기 부위를 차단하는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 방법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KR1020020046249A 2001-08-08 2002-08-06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KR20030014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5754 2001-08-08
JP2001275754 2001-08-08
JPJP-P-2002-00143868 2002-04-10
JP2002143868A JP2003117514A (ja) 2001-08-08 2002-04-10 配管の管詰り除去及び清掃機並びに配管の清掃方法並びに圧縮空気漏洩阻止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97A true KR20030014597A (ko) 2003-02-19

Family

ID=2662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249A KR20030014597A (ko) 2001-08-08 2002-08-06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28957A1 (ko)
JP (1) JP2003117514A (ko)
KR (1) KR20030014597A (ko)
CN (1) CN141580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90B1 (ko) * 2006-06-23 2007-02-22 강승모 하수관 뚫는 장치
KR101033053B1 (ko) * 2010-09-17 2011-05-06 이종범 변기용 관통장치
KR101133217B1 (ko) * 2011-04-05 2012-04-05 이재호 버튼식 관통기
KR101298792B1 (ko) * 2011-07-21 2013-08-22 방도영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KR101661070B1 (ko) * 2015-10-06 2016-10-10 (주) 티에스기술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KR20190051648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20200060336A (ko) * 2020-05-25 2020-05-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US11268268B2 (en) 2017-11-06 2022-03-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Method for cleaning drain pipe of sink and cleaning container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3221B2 (en) * 2003-08-25 2010-09-28 DIP Tech LTd.. Ink for ceramic surfaces
CA2550267A1 (en) * 2005-06-23 2006-12-23 Richard J. Hilton Gutter cleaning device
EP1961313B1 (en) * 2007-02-21 2010-04-14 Food Machinery Espanola S.A. Device for cleaning the filter pipes used to extract fruit juice
US7877821B1 (en) * 2008-09-11 2011-02-01 Giuseppe Prestia Portable compressed-air gun for unclogging single drains
KR101019350B1 (ko) 2009-01-21 2011-03-07 이종범 배수관용 관통장치
JP5503941B2 (ja) * 2009-10-30 2014-05-28 日新鋼管株式会社 金属溶接管の製造設備
US8776281B2 (en) 2011-12-05 2014-07-1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System for unclogging toilets
US8418275B1 (en) 2011-12-06 2013-04-16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System for unclogging toilets
KR101455358B1 (ko) * 2014-03-25 2014-11-04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CN103954168B (zh) * 2014-05-07 2016-01-20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中频炉、真空炉电气柜水冷系统清污装置及清污方法
JP6510822B2 (ja) * 2015-01-22 2019-05-08 中電プラント株式会社 配管洗浄用治具
KR101951845B1 (ko) * 2017-06-12 2019-02-25 주식회사 디에스앤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US11541435B2 (en) * 2019-02-20 2023-01-03 Anthony Hollars Hand-held drain cleaner
US10744525B1 (en) 2019-06-03 2020-08-18 Diversitech Corporation Multi-cartridge drain guns, accessories therefor,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WO2021260905A1 (ja) * 2020-06-26 2021-12-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排水装置
CN115026081A (zh) * 2022-05-11 2022-09-09 小洖科技(苏州)有限公司 燃气管道的冰浆清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288A (ja) * 1997-03-11 1998-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洗浄環境が良好な高圧洗浄装置
JPH10266301A (ja) *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Materials Corp トイレ用尿石除去装置
KR20000044996A (ko) * 1998-12-30 2000-07-15 하진규 배관세척장치
KR200252166Y1 (ko) * 2001-07-05 2001-11-16 이종식 오물 배출관의 가압개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288A (ja) * 1997-03-11 1998-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洗浄環境が良好な高圧洗浄装置
JPH10266301A (ja) *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Materials Corp トイレ用尿石除去装置
KR20000044996A (ko) * 1998-12-30 2000-07-15 하진규 배관세척장치
KR200252166Y1 (ko) * 2001-07-05 2001-11-16 이종식 오물 배출관의 가압개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90B1 (ko) * 2006-06-23 2007-02-22 강승모 하수관 뚫는 장치
KR101033053B1 (ko) * 2010-09-17 2011-05-06 이종범 변기용 관통장치
KR101133217B1 (ko) * 2011-04-05 2012-04-05 이재호 버튼식 관통기
KR101298792B1 (ko) * 2011-07-21 2013-08-22 방도영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KR101661070B1 (ko) * 2015-10-06 2016-10-10 (주) 티에스기술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US11268268B2 (en) 2017-11-06 2022-03-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Method for cleaning drain pipe of sink and cleaning container therefor
KR20190051648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20200060336A (ko) * 2020-05-25 2020-05-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17514A (ja) 2003-04-22
CN1415806A (zh) 2003-05-07
US20030028957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4597A (ko)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US61521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motor vehicle cooling system with coolant
EP2924183A1 (en) Device for clearing pipe blockage
US6035455A (en) Portable power plumbing plunger
US4546789A (en) Valved access fitting
US6804838B2 (en) Flexible diaphragm for clearing obstruction in a plumbing fixture
US20080193308A1 (en) Water Pressurized Manual Lavatory De-Blocking Manual Pump
US4447917A (en) Water pressure jet cleaner
KR101843321B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결합구조
US5974596A (en) High pressure plunger device
US10570593B1 (en) Self-sealing drain vent cover
US20050283890A1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JP4120547B2 (ja) 壁排水便器と排水管との接続構造
JPH10249288A (ja) 洗浄環境が良好な高圧洗浄装置
KR20110005255U (ko) 정수기용 배수 장치
JP5866472B1 (ja) 排水管の詰まり解除装置
KR200389654Y1 (ko)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KR102351153B1 (ko)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RU23330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от канализацион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US5445183A (en) Flush tank tool for replacing a ballcock assembly
US20040200514A1 (en) Flushing system for a clogged drain
KR100722418B1 (ko)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JP2604365Y2 (ja) 洗浄ホース用アタッチメント
US20200149256A1 (en) Self-Sealing Drain Vent Cover
JP4166557B2 (ja) ディスポーザ用掃除口付き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