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070B1 -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 Google Patents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070B1
KR101661070B1 KR1020150140094A KR20150140094A KR101661070B1 KR 101661070 B1 KR101661070 B1 KR 101661070B1 KR 1020150140094 A KR1020150140094 A KR 1020150140094A KR 20150140094 A KR20150140094 A KR 20150140094A KR 101661070 B1 KR101661070 B1 KR 10166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leaning
waste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 티에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에스기술 filed Critical (주) 티에스기술
Priority to KR102015014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쓰레기에 의해서 막힌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를 뚫기 위한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를 뚫기 위한 관로청소장치; 및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하며,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값에 따라 상기 관로청소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세기로 압축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Cleaning System of Garbage Transferring Pipes}
본 발명은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입된 쓰레기에 의해서 막힌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를 뚫기 위한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단위의 택지 개발지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진공청소기 원리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일정 장소에 설치된 쓰레기 투입구에 쓰레기를 투입하면 컴퓨터 제어시스템에 의해 지하에 매설된 쓰레기 이송관로를 통해 쓰레기 투입지점으로부터 쓰레기 중앙 집하장으로 쓰레기를 이송하도록 하는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쓰레기 관로이송시스템이라 함)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로이송시스템은, 쓰레기 투입구가 중앙 집하장으로부터 원거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송관로를 통해 쓰레기를 중앙 집하장으로 원활하게 이송하고 수거하기 위해서 공기가 이송관로 내부로 유입되어 강한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공기의 흐름에 의해 쓰레기가 이송관로를 따라 중앙 집하장으로 이송되어 수거되도록 된 시스템이다. 상기 쓰레기 처리 방식은 아파트 등의 규모가 큰 건물 등에 설치되어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방식은 쓰레기를 용이하게 중앙 집하장으로 이송시켜서 취합하여 처리하기에는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나, 상기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생활쓰레기가 이송관로를 통해 이송되므로 상기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등이 미처 이송되지 못하고 이송관로의 바닥에 잔류되거나 내벽에 부착되어 상기 슬러지에 의한 마찰 저항으로 쓰레기가 이송관로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고 이송관로가 자주 폐색(閉塞)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쓰레기를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해서는 쓰레기를 진공흡입시에 흡인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여야 하므로 진공 흡인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장치 가동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0201호(2010.08.30.)는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에서 쓰레기 투입구로 투입된 쓰레기가 이송관로를 통해서 중앙 집하장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이송관로 내부에 쓰레기의 슬러지가 잔류하거나 부착되게 되므로, 이송관로 내부에 잔류하거나 부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생활 쓰레기 등의 슬러지로 인해 발생되는 이송관로의 폐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관로의 청소 작업시 사용되어 세정 시간 및 작업 비용이 절감되는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 세정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에 잔류하거나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이송관로 세정구에 있어서, 상기 세정구는 원통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원통형상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성되며,상기 전단부와 후단부 경사면을 제외한 원통형상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요홈을 형성하여, 청소 작업시 이송관로 내를 회전하면서 전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쓰레기 투입구로 투입된 쓰레기가 이송관로를 통해서 중앙 집하장으로 이송될 때, 이송관로 내에 각종 쓰레기에 발생하는 슬러지가 관로 내부에 잔류하거나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쓰레기가 이송관로 내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이송관로 내부에 잔류 및 부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생활 쓰레기 등의 슬러지로 인해 발생되는 이송관로의 폐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쓰레기 이송시스템의 성능을 보증할 수 있고, 또한 이송관로를 세정할 때 쓰레기 수거용으로 설치된 송풍기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세정 시간 및 작업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9718호(2007.06.12.)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설비의 이송관로 내부를 클린 볼로 청소함에 있어서, 중앙 통제실의 제어 하에 클린 볼의 관내 공급과 주행 완료된 클린 볼의 수거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게 한 것이므로 모든 공정 관리를 간편하게 일괄적으로 할 수 있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설비용 이송관 자동 청소 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다수로 분지된 말단관로를 이송관로에 연통시키고 이송관로 내에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하여 쓰레기 봉투가 이송 수거되게 하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거설비에 있어서, 상기 말단관로에 연통 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한쪽 끝이 피보트 축으로 형성된 1쌍의 스토퍼가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도록 수평으로 배치되고, 이들 스토퍼는 1쌍의 실린더에 의해 번갈아 진퇴 작동하는 피스톤로드로 링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번갈아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선회 연동함으로써 상기 말단관로의 소정개소에서 클린 볼을 낱개로 투입하게 되어 있는 클린 볼 공급수단과; 내부에 가이더를 갖춘 수거박스가 상기 이송관로의 말미에서 상기 가이더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더는 수거박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회수관로에 연통되어서 상기 말단관로를 통해 투입되고 이송관로의 내부를 주행한 클린 볼을 회수하고 상기 회수관로의 게이트밸브를 통해 배출하게 되어 있는 클린 볼 수거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이송 방식은, 쓰레기를 용이하게 중앙 집하장으로 이송시켜서 취합하여 처리하기에는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나,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생활쓰레기가 이송관로를 통해 이송되므로 이불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쓰레기의 경우에 이송관로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고 이송관로가 자주 폐색(閉塞)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쓰레기를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해서는 쓰레기를 진공흡입시에 흡인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여야 하므로 진공 흡인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장치 가동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020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2971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된 쓰레기에 의해서 막힌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를 뚫기 위한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를 뚫기 위한 관로청소장치; 및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하며,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값에 따라 상기 관로청소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세기로 압축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로청소장치는,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를 뚫기 위한 청소부; 및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문에 설치되며, 상기 청소부를 연결 설치해 주기 위한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다른 일측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며,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키기 위한 압축공기주입부재;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어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바퀴부재; 및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의 막힌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의 막힌 부분에 형성되며, 압축 공기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한 체크밸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부는, 상부에 상기 청소부가 들어가기 위한 본체문을 형성하며, 하부를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문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본체부재; 및 일측이 상기 본체문의 좌단과 우단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청소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설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설치부재는, 상기 본체문의 좌단과 우단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두 개의 체결수단; 양측이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수단 사이를 연결해 주기 위한 연결바아수단; 및 일측이 상기 연결바아수단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청소부에 체결되어 상기 청소부를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바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바아수단은,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간격조절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설치부재는, 일측이 상기 고정바아수단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청소부에 연결되며, 상기 청소부를 상기 본체문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묶어 주기 위한 로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압축 공기의 세기를 상기 관로청소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세기로 조절하기 위한 압축공기조절부; 상기 압축공기조절부에서 조절한 압축 공기를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해 주기 위한 압축공기공급부; 및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압축공기조절부에서 조절하여 세팅해 둔 압축 공기의 세기,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관로 내부의 압력을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된 쓰레기에 의해서 막힌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를 뚫기 위한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송관로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이불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쓰레기에 의해 폐색(閉塞)된 이송관로를 용이하게 뚫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색(閉塞)된 이송관로를 용이하게 뚫음으로써, 쓰레기를 진공 흡입 시에 흡입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이지 않아 진공 흡입 장치에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하고, 장치 가동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관로청소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청소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설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압축공기공급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10)은, 관로청소장치(100) 및 압축공기공급장치(200)를 포함한다.
관로청소장치(100)는,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압축공기공급장치(20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압축 공기를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를 뚫는다.
일 실시 예에서, 관로청소장치(100)는,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 공간의 지름에 대응하여 다양한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공기공급장치(200)는,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하며,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한 측정값에 따라 관로청소장치(100)에서 필요로 하는 세기로 압축 공기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공기공급장치(200)는, 공지의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등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10)은, 투입된 쓰레기에 의해서 막힌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를 뚫음으로써, 이송관로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이불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쓰레기에 의해 폐색(閉塞)된 이송관로를 용이하게 뚫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10)은, 폐색(閉塞)된 이송관로를 용이하게 뚫음으로써, 쓰레기를 진공 흡입 시에 흡입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이지 않아 진공 흡입 장치에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하고, 장치 가동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관로청소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로청소장치(100)는, 청소부(110) 및 설치부(120)를 포함한다.
청소부(110)는,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압축공기공급장치(20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압축 공기를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를 뚫는다.
일 실시 예에서, 청소부(110)는,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 공간의 지름에 대응하여 다양한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120)는,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문에 설치되며, 청소부(110)를 연결 설치해 준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청소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청소부(110)는, 압축공기주입부재(111), 두 개의 바퀴부재(112) 및 연결관부재(113)을 포함한다.
압축공기주입부재(111)는, 일측이 개방되고 다른 일측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며,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압축공기공급장치(20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압축 공기를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공기주입부재(111)는,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 공간의 지름에 대응하여 다양한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퀴부재(112)는, 압축공기주입부재(111)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어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서 압축공기주입부재(111)를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바퀴부재(112)는, 압축공기주입부재(111)의 양측뿐만 아니라, 압축공기주입부재(111)의 하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압축공기주입부재(111)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바퀴를 구비하고 있는 이동 수단이면 그 형태 또는 설치 위치는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연결관부재(113)는, 압축공기주입부재(111)의 막힌 부분에 형성되며, 압축공기공급장치(20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압축공기공급장치(200)로부터의 압축 공기 공급은 공기호스(높은 압력의 공기에 견딜 수 있도록 쇠로 된 그물에 천과 고무를 씌워서 만든 호스)로 받음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청소부(110)는, 체크밸브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부재(114)는, 압축공기주입부재(111)의 막힌 부분에 형성되며, 압축 공기가 새는 것을 막는다. 즉, 체크밸브부재(114)는, 공지의 체크밸프(check valve, 급배수관 또는 냉매관 등에 많이 사용되어,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체크밸브부재(114)는, 압축 공기가 새는 것을 막음으로써,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와 압축공기주입부재(111) 사이의 압력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설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치부(120)는, 설치본체부재(121) 및 연결설치부재(122)를 포함한다.
설치본체부재(121)는, 상부에 청소부(110)가 들어가기 위한 본체문(1211)을 형성하며, 하부를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문에 설치된다.
연결설치부재(122)는, 일측이 본체문(1211)의 좌단과 우단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청소부(110)에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설치부재(122)는, 설치본체부재(121)의 본체문(12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설치부재(122)는, 두 개의 체결수단(1221), 연결바아수단(1222) 및 고정바아수단(122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수단(1221)은, 본체문(1211)의 좌단과 우단에 고정 설치되며, 연결바아수단(1222)의 양측을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1221)은, 연결바아수단(1222)을 체결하는 길이에 따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1221)은, 설치본체부재(121)의 본체문(12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연결바아수단(1222)은, 양측이 체결수단(1221)에 체결되며, 체결수단(1221) 사이를 연결해 주며, 고정바아수단(1223)의 일측을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바아수단(1222)은, 두 개의 간격조절홈(12221)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홈(12221)은, 체결수단(1221)에 체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체결수단(12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간격조절홈(12221)은, 좌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본체부재(121)의 본체문(1211)의 지름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설치본체부재(121)의 본체문(1211)에 체결수단(1221)을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바아수단(1223)은, 일측이 연결바아수단(1222)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청소부(110)에 체결되어 청소부(110)를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서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바아수단(1223)은, 다수 개의 바아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아끼리 체결 연장되어 연결바아수단(1222)으로부터 청소부(110)까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설치부재(122)는, 로프수단(1224)을 더 포함
로프수단(1224)은, 일측이 고정바아수단(1223)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청소부(110)에 연결되며, 청소부(110)를 본체문(1211)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묶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로프수단(1224)은, 고정바아수단(1223)의 체결이 풀리거나, 고정바아수단(1223)의 파손 시 압축 공기로 인해 청소부(110)가 관로 내부의 고정 위치에서 벗어나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압축공기공급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압축공기공급장치(200)는, 압축공기조절부(210), 압축공기공급부(220) 및 압력측정부(230)를 포함한다.
압축공기조절부(21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압축 공기의 세기를 관로청소장치(100)에서 필요로 하는 세기로 조절함으로써, 압축공기공급부(220)로부터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공기조절부(210)는, 아날로그식의 다이얼 또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입력 방식에 의해서도 압축공기공급부(220)로부터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압축공기공급부(220)는, 압축공기조절부(210)에서 조절한 압축 공기를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공기공급부(220)는, 관로청소장치(100)로 압축 공기를 공급해 주기 위해 공기호스(높은 압력의 공기에 견딜 수 있도록 쇠로 된 그물에 천과 고무를 씌워서 만든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호스는, 압축공기공급부(220)와 연결관부재(113)(도 3을 참조)를 연결해 준다.
압력측정부(230)는,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측정부(230)는,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관로 내부까지 압력 측정을 위한 연결 호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공기공급장치(200)는, 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압축공기조절부(210)에서 조절하여 세팅해 둔 압축 공기의 세기,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관로 내부의 압력을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240)는, 팩커압력게이지(241), 조절압력게이지(242) 및 관로압력게이지(243)를 포함할 수 있다.
팩커압력게이지(241)는, 압축공기조절부(210)에서 조절하여 세팅해 둔 압축 공기의 세기를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팩커압력게이지(241)는, 디지털식 압력 게이지 또는 아날로그식 압력 게이지 중 어느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조절압력게이지(242)는,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값을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압력게이지(242)는, 디지털식 압력 게이지 또는 아날로그식 압력 게이지 중 어느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관로압력게이지(243)는, 관로 내부의 압력값을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관로압력게이지(243)는, 디지털식 압력 게이지 또는 아날로그식 압력 게이지 중 어느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공기공급장치(200)는, 안전밸브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밸브부재는, 관로 내부의 압력의 세기기 기 설정해둔 세기(즉, 관로가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세기) 이상인 경우 압축공기공급부(220)로부터 관로청소장치(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차단한다. 이때, 안전밸브부재는, 압력측정부(230)로부터 관로 내부의 압력값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압력값에 따라 관로 내부의 압력을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측정부(230)는, 측정된 관로 내부의 압력값을 안전밸브부재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관로청소장치
110: 청소부
111: 압축공기주입부재
112: 바퀴부재
113: 연결관부재
114: 체크밸브부재
120: 설치부
121: 설치본체부재
1211: 본체문
122: 연결설치부재
1221: 체결수단
1222: 연결바아수단
12221: 간격조절홈
1223: 고정바아수단
1224: 로프수단
200: 압축공기공급장치
210: 압축공기조절부
220: 압축공기공급부
230: 압력측정부
240: 표시부
241: 팩커압력게이지
242: 조절압력게이지
243: 관로압력게이지

Claims (10)

  1.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를 뚫기 위한 관로청소장치; 및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하며,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값에 따라 상기 관로청소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세기로 압축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관로청소장치는,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켜 쓰레기 이송관로를 막고 있는 쓰레기를 뚫기 위한 청소부; 및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문에 설치되며, 상기 청소부를 연결 설치해 주기 위한 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설치부는, 상부에 상기 청소부가 들어가기 위한 본체문을 형성하며, 하부를 쓰레기 이송관로에 형성된 문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본체부재; 및 일측이 상기 본체문의 좌단과 우단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청소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설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설치부재는, 상기 본체문의 좌단과 우단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두 개의 체결수단; 양측이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수단 사이를 연결해 주기 위한 연결바아수단; 및 일측이 상기 연결바아수단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청소부에 체결되어 상기 청소부를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바아수단을 포함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다른 일측이 막힌 관 형태로 형성되며,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로 주입시키기 위한 압축공기주입부재;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의 양측에 장착 설치되어 쓰레기 이송관로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바퀴부재; 및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의 막힌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의 막힌 부분에 형성되며, 압축 공기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한 체크밸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아수단은,
    상기 체결수단에 체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두 개의 간격조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치부재는,
    일측이 상기 고정바아수단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청소부에 연결되며, 상기 청소부를 상기 본체문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묶어 주기 위한 로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압축 공기의 세기를 상기 관로청소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세기로 조절하기 위한 압축공기조절부;
    상기 압축공기조절부에서 조절한 압축 공기를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해 주기 위한 압축공기공급부; 및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과 관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압축공기조절부에서 조절하여 세팅해 둔 압축 공기의 세기, 상기 관로청소장치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관로 내부의 압력을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KR1020150140094A 2015-10-06 2015-10-06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KR10166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94A KR101661070B1 (ko) 2015-10-06 2015-10-06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94A KR101661070B1 (ko) 2015-10-06 2015-10-06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070B1 true KR101661070B1 (ko) 2016-10-10

Family

ID=5714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094A KR101661070B1 (ko) 2015-10-06 2015-10-06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0350A (zh) * 2021-05-10 2021-08-06 山东创新炭材料有限公司 一种罐式煅烧炉挥发分大道的自动清理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392A (ja) * 1989-09-07 1991-04-19 Nec Corp 光学式文字認識装置
KR20030014597A (ko) * 2001-08-08 2003-02-19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KR100729718B1 (ko) 2005-06-13 2007-06-19 주식회사 동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설비용 이송관 자동 청소 장치
KR20090071919A (ko) * 2007-12-28 2009-07-02 이창신 관로 청소형 하수관 보수장치
KR100980201B1 (ko) 2009-12-16 2010-09-03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 세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392A (ja) * 1989-09-07 1991-04-19 Nec Corp 光学式文字認識装置
KR20030014597A (ko) * 2001-08-08 2003-02-19 가부시끼가이샤 가와이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KR100729718B1 (ko) 2005-06-13 2007-06-19 주식회사 동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집설비용 이송관 자동 청소 장치
KR20090071919A (ko) * 2007-12-28 2009-07-02 이창신 관로 청소형 하수관 보수장치
KR100980201B1 (ko) 2009-12-16 2010-09-03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진공이송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이송관로 세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0350A (zh) * 2021-05-10 2021-08-06 山东创新炭材料有限公司 一种罐式煅烧炉挥发分大道的自动清理系统及方法
CN113210350B (zh) * 2021-05-10 2022-08-09 山东创新炭材料有限公司 一种罐式煅烧炉挥发分大道的自动清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43825B2 (en)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tubing
US8985635B2 (en) AC condensate drain line evacuation adapter
CN109253337A (zh) 一种快装管接头装置及超前小导管施工方法
CN105408228A (zh) 用于进给和搬运废弃物料的方法和设备
KR101661070B1 (ko) 쓰레기 이송관로 청소 시스템
FI122107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CN202007954U (zh) 一种滤棒输送自动反吹装置
CN207012917U (zh) 锂电池浆料输送系统
CN209452439U (zh) 自动收球装置
KR101044722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3255741U (zh) 一种收尘管防堵塞装置
CN201516424U (zh) 清洗机的自动出料装置
CN105492344A (zh) 对在物料输送通道中待输送的物料起作用的设备
CN201889307U (zh) 一种改良的管道清洁系统
KR101044727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CN103147781A (zh) 隧道施工用自动通风系统
CN210876626U (zh) 一种电动输油管道清洁装置
CN214391502U (zh) 一种双推球自动清管系统装置
CN110042892B (zh) 一种自锁式管道智能化疏通器及其控制系统
KR101869014B1 (ko) 응축수 자동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KR200401857Y1 (ko)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CN209228591U (zh) 一种煤矿水泵房自动控制装置
CN200984531Y (zh) 一种流体除铁装置
CN219777206U (zh) 一种污水取样检测装置
CN204974669U (zh) 一种自清理除尘管道粉尘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