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58B1 -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58B1
KR101455358B1 KR1020140034903A KR20140034903A KR101455358B1 KR 101455358 B1 KR101455358 B1 KR 101455358B1 KR 1020140034903 A KR1020140034903 A KR 1020140034903A KR 20140034903 A KR20140034903 A KR 20140034903A KR 101455358 B1 KR101455358 B1 KR 10145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flatable balloon
air
piston
ball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4003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58B1/ko
Priority to JP2015059549A priority patent/JP5989836B2/ja
Priority to CN201510132038.9A priority patent/CN104947757B/zh
Priority to US14/666,652 priority patent/US9174252B2/en
Priority to EP15160690.2A priority patent/EP292418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부의 막힘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막힘 처리장치는, 펌핑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고,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4)를 구비하는 실린더(10)와 피스톤(22)과, 상기 출구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펌핑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B); 그리고 출구(14)에 설치되어, 펌핑기구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인플랫터블 벌룬으로 공급하고, 역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원웨이 에어밸브(30)를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 및 피스톤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B)은 막혀 있는 배관의 입구부분(40) 내부로 팽창하여 배관의 입구부분을 기밀상태로 하며, 압축된 공기에 의한 인플랫터블 벌룬의 팽창에 의한 압력과 상기 펌핑기구의 요동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막힘을 해소하게 된다.

Description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본 발명은 변기 또는 주방의 계수대 등과 같이 배수를 위한 배관이 막힌 것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입구를 고무 풍선을 이용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막힌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관 내부로 공급하는 압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 세면대, 그리고 주방의 계수대 등은 물을 배수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물질도 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부분에서는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U자형상이 반복되는 트랩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트랩구조에서 특히 막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를 위한 배관 구조에서 막힘이 발생하면 배관 자체, 구체적으로는 트랩구조를 구비하는 부분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으나, 일반인 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러한 방식의 처리는 용이하지 않다. 통상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고무재로 만들어지는 반구상의 압축부분과, 이러한 압축부분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봉으로 구성되는 막힘 처리장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막힌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봉을 이용하여 수차례 누르게 되면, 반구상의 압축부분이 수축되면서 압축된 공기가 배관의 내부로 전달되어 막힌 부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막힌 부분을 해소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그리고 다른 처리장치에 있어서도, 대부분은 변기 또는 세면대에서 배관의 입구 부분을 막으면서 압력을 배관 내부로 가함으로써 막힌 부분을 처리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변기에서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인 입구는 실질적으로 평면 상이 아님은 자명한 사실이고, 각각의 제조 메이커 및 사양에 따라서도 배관과 연결되는 입구부분의 형상 및 치수는 상이하다. 그리고 막힘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배관 내부까지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상술한 반구상의 압축 부분이 배관의 입구부분에 완전하게 밀착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의 입구부분은, 변기 또는 세면대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압축부분의 선단부가 배관의 입구부에 완전히 밀착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여기서 배관의 입구 부분이라고 함은 정해진 직경을 가지는 배관과 변기가 연결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특히 변기 등의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된 부분을 의미하는 것임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막힘 처리장치는 실질적으로 처리장치와 배관의 입구부분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의 내부로 압력을 전달하는 것이 어려움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구조를 관찰하면, 실질적으로 배관의 입구부분에 대하여 외측, 즉 사용자가 눈에 보이는 배관 입구를 덮는 형상으로 감싸면서 밀착시키도록 하는데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배관이 입구 부분이 평면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연한 고무재로 만들어지는 압축부분을 배관을 덮는 형상으로 밀착시키도록 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완전한 밀착이 일어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막힌 배관의 입구부분을 완전히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관 내부로 공급되는 압력의 손실이 전혀 없도록 하여 막힌 부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관의 입구 부분이 평면 형상이 아니라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배관 입구 부분의 내측, 즉 배관과 연결되는 내부를 이용하여 배관을 외부에 대하여 기밀 상태로 유지하면서,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착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막힘 처리장치는, 펌핑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고,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출구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펌핑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 그리고 상기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인플랫터블 벌룬으로 공급하고, 역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원웨이 에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은 막혀 있는 배관의 입구부분 내부로 팽창하여 배관의 입구부분을 기밀상태로 하며, 압축된 공기에 의한 인플랫터블 벌룬의 팽창에 의한 압력과 상기 펌핑수단의 요동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막힘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의 외부를 감싸도록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펌핑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을 보호함과 동시에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가이드부재를 플랙시블 재질로 성형하여, 배관 입구부분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의 역방향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의 배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펌핑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에서 상방으로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배기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기용 와이어부재와, 피스톤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관통하는 배기용 와이어부재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이동하여 그 단부가 원웨이 에어밸브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인플랫터블 벌룬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배관 막힘 처리장치에 의하면, 인플랫터블 벌룬이 배관의 입구 부분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배관의 입구부분과 밀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인플랫터블 벌룬의 팽창에 의한 압력 및 요동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관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완전히 기밀 상태로 세팅한 후에,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막힌 부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력의 제공과 같이 인플랫터블 벌룬과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 등을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요동에 의한 충격에 의한 충격압이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에 가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에 충분한 외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막힌 부분을 아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부재가 배관 입구 부분의 외측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인플랫터블 벌룬이 보다 정확한 자세를 가지고 배관 입구 부분으로 팽창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가이드부재에 의한 보조적인 외기의 차단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이러한 것에 의해서도 막힌 부분의 처리에 더욱 유리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힘 처리장치의 기본적인 원리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막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막힘 처리장치는, 인플랫터블 벌룬(Inflatable baloon)(B)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플랫터블 벌룬(B)은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팽창하고, 공기를 제거하면 원래의 작은 크기로 복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플랫터블 벌룬(B)을 배관의 입구 부분(4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팽창되는 벌룬(B)은 배관의 입구부분(4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외측부분이 배관 입구부분(40)의 내측부분과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벌룬(B)의 외측면이 배관 입구부분(4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은, 상기 벌룬(B)이 팽창할수록 더욱 밀착되는 것은 당연하고, 궁극적으로는 완전하게 밀착되어 충분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인플랫터블 벌룬(B)을 팽창시키는 수단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막힌 처리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플랫터블 벌룬(B)과, 상기 벌룬(B)과 연결되고,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펌핑장치(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펌핑장치(A)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내부에 일정한 원통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실린더(10)는 피스톤(12)이 왕복운동하면서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으로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는 하단부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출구(14)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구(14)는 하방으로 돌출 성형된 넥부분(16)의 중심부분을 통하여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판상의 피스톤(12)은 실린더(10)의 내측면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여 공기를 압축시키는데, 이때 필요하다면 상기 피스톤(12)의 외측부분에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12)은 상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2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22)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0)를 잡고 피스톤(12)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출구(14)에는 상술한 인플랫터블 벌룬(B)이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은, 실린더(10) 내부에서 피스톤(12)의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출구(14)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출구(14)와 벌룬(B)은 원웨이 에어밸브(30)를 통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넥부분(16)에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30)가 설치되어 있어서, 출구(14)에서 벌룬(B)으로의 공기의 전달은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30)를 통해서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원웨이 에어밸브(30)는, 공기의 흐름이 일방향으로만 전달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의 흐름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밸브기구의 총칭이라고 정의한다. 즉 도 1에 기초하면 상부(실린더)에서 하부(인플랫터블 벌룬) 방향으로의 공기의 전달은 가능하고, 하부에서 상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밸브를 총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원웨이 에어밸브(30)는 예를 들면 축구공에 에어를 불어넣을 때 사용하는 축구공에 부착된 밸브도 포함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고, 유체의 흐름 통로 상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체크밸브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의 일측에 일종의 막을 설치하여 이러한 막이 공기의 일방향 흐름에 대하여 개방되고 그 역방향의 흐름에 대해서는 막히도록 하는 밸브 기구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이용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체크밸브 또는 일종의 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벌룬(B)의 공기유입공에 대하여 일정한 도구를 삽입함으로서 벌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형태의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밸브(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역방향의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의 외측에는 가이드부재(24)가 설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4)은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의 반구형 또는 부분적인 구상으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4)는 실린더(10)의 넥부분(16)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24)는 상술한 인플랫터블 벌룬(B)이 정확한 방향으로 부풀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최초 에이밍시 배관의 입구부분에 밀착되는 것을 도와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4)를 플렉시블 재료로 성형하게 되면, 이러한 가이드부재(24)가 배관의 입구부분(40)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4)가 배관의 입구부분(40)의 외측면(42)에 밀착하도록 세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부재(24)가 입구부분의 외측면(42)에 밀착되면 외기와의 차단효과도 더욱 배가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고, 보다 강한 압력을 배관 내부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4)의 하부를 배관 입구부분의 외측면(42)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플렉시블하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재(24)의 상부의 두께는 두껍게 성형하고, 하부는 상대적으로 얇게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부재(24)의 단부를 보다 플렉시블하게 하여, 외측면(4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4)의 단부가 외측면에 대하여 기밀 상태로 밀착될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막힘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면 트랩구조 등과 같은 배관의 내부가 막히게 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막힘 제거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벌룬(B)이 배관의 입구부분(40) 근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재(24)는 배관의 입구부분(40)에서, 변기 등의 노출 부분에 접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4)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성형하여, 배관의 입구부분(40)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24)를 입구 부분(4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역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20)를 조작(상하 운동)하게 되면, 피스톤(12)이 상하 운동하면서 피스톤(12)의 하부에 해당하는 실린더(10) 내부의 공간의 공기가 압축되어 출구(14)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출구(14)를 나오는 공기는 원웨이 에어밸브(30)를 통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연속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렇게 부풀어 오르는 벌룬(B)은 상기 입구부분(40)에 접촉한 후 배관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이 입구부분(40)에 접촉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외기와 배관 내부는 기밀 상태로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인플랫터블 벌룬(B)이 상기 입구부분(40)의 양측면에 접촉한 상태 이후에는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변형되는 벌룬(B)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팽창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배관의 내부로 인플랫터블 벌룬(B)이 들어가게 되면, 실질적으로 배관 내부에 압력을 가하는 결과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하여 충분한 압력이 배관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플랫터블 벌룬(B)이 충분히 팽창한 상태에서 손잡이(20)를 잡고 상하로 요동운동을 하게 되면, 고압이 걸린 배관의 내부에서 요동에 의한 충격이 막힌 부분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벌룬(B)에 의하여 배관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 및 벌룬의 요동에 의한 충격이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에 전달되면 그 합력에 의하여 막힌 부분은 충분히 해소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이 제거되면, 상기 벌룬(B)의 공기를 빼내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실린더(10)를 상단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성형하고 피스톤(12)을 실린더에서 제거한 다음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조작하여 벌룬 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새로운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막힘 처리장치에 의하면, 실린더(10)의 중앙 하부에 연결되는 넥부분(16)을 별도로 성형할 수도 있고, 상기 실린더(10)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출구(14)가 형성되는 넥부분(16)의 하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17)을 일체로 성형하고 있고, 이러한 플랜지(17)를 통하여 가이드(24) 및 인플랫터블 벌룬(B)을 고정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BN)을 이용하여 플랜지(17), 가이드(24) 그리고 인플랫터블 벌룬(B)을 한번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22)의 내부를 통하여, 원웨이 에어밸브(30)의 공기 통과공(33)에 삽입될 수 있는 배기용 와이어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22)의 상단부(34)는 손잡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스프링(36)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상기 상단부(34)를 누르게 되면 피스톤로드(22)의 하단부가 인플랫터블 벌룬(B)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원웨이밸브(30)의 공기주입공(32)에 삽입되어, 역방향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용 와이어부재(32)가 통과하는 피스톤(12)의 하단부에는 패킹부재(38)가 설치되어 있어서, 압축되는 공기가 상기 와이어부재(32)가 설치된 부분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원웨이 에어밸브(30)는 넥부분(16)의 상부측에 부착되어 있고, 인플랫터블 벌룬(B)는 넥부분(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피스톤(12)의 조작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축 공기는, 원웨이 에어밸브(30)를 경유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입구(Ba)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질적인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피스톤(12)이 상하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원웨이 에어밸브(30)를 경유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벌룬(B)이 팽창함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의 막힌 부분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처리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배기용 와이어부재(32)의 상단부(34)를 누르게 되면, 하단부가 원웨이 클러치의 공기주입공을 통하여 진입하여 역방향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플랫터블 벌룬(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플랫터블 벌룬(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방법 또는 구조에는 다른 많은 구성이 있을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플랫터블 벌룬(B)을 팽창시키면서 배관의 입구부분 내측에 밀착시키도록 하여,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배관의 막힌 부분을 처리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실린더
12 ..... 피스톤
14 ..... 출구
16 ..... 넥부분
20 ..... 손잡이
22 ..... 피스톤로드
24 ..... 가이드부재
30 ..... 원웨이 에어밸브
32 ..... 배기용 와이어부재
34 ..... 상단부
36 ..... 스프링
38 ..... 패킹부재
40 ..... 배관의 입구 부분
A ..... 펌핑장치
B ..... 인플랫터블 벌룬

Claims (4)

  1. 펌핑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고,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출구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펌핑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
    상기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인플랫터블 벌룬으로 공급하고, 역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원웨이 에어밸브; 그리고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의 역방향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의 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펌핑수단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에서 상방으로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은 막혀 있는 배관의 입구부분 내부로 팽창하여 배관의 입구부분을 기밀상태로 하며, 압축된 공기에 의한 인플랫터블 벌룬의 팽창에 의한 압력과 상기 펌핑수단의 요동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막힘이 해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수단은, 상기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기용 와이어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부재가 이동하여 그 단부가 원웨이 에어밸브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인플랫터블 벌룬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관 막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의 외부를 감싸도록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펌핑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을 보호함과 동시에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며, 배관의 입구부분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플렉시블 재질로 성형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막힘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40034903A 2014-03-25 2014-03-25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10145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03A KR101455358B1 (ko) 2014-03-25 2014-03-25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JP2015059549A JP5989836B2 (ja) 2014-03-25 2015-03-23 配管の閉塞処理装置
CN201510132038.9A CN104947757B (zh) 2014-03-25 2015-03-24 管道的堵塞处理装置
US14/666,652 US9174252B2 (en) 2014-03-25 2015-03-24 Device for clearing pipe blockage
EP15160690.2A EP2924183A1 (en) 2014-03-25 2015-03-25 Device for clearing pipe blo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03A KR101455358B1 (ko) 2014-03-25 2014-03-25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70A Division KR101533388B1 (ko) 2014-06-24 2014-06-24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358B1 true KR101455358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03A KR101455358B1 (ko) 2014-03-25 2014-03-25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3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10A (ko) * 2015-02-05 2016-08-16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101739888B1 (ko) * 2016-10-27 2017-05-25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20180135355A (ko)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디에스앤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CN111059402A (zh) * 2019-12-27 2020-04-24 海宁立潮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管道封堵气囊
KR102437632B1 (ko) * 2022-01-20 2022-08-29 현대강전(주)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CN115947149A (zh) * 2022-12-21 2023-04-11 南通景康橡塑有限公司 一种弹性体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2415A (en) * 1989-09-06 1992-04-07 Guenther Rolf W Apparatus for removing blood clots from arteries and veins
US6286172B1 (en) * 1999-03-08 2001-09-11 Thomas A. Castagnoli Portable inflatable duct cleaning apparatus
JP2003117514A (ja) * 2001-08-08 2003-04-22 Kawai:Kk 配管の管詰り除去及び清掃機並びに配管の清掃方法並びに圧縮空気漏洩阻止部材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2415A (en) * 1989-09-06 1992-04-07 Guenther Rolf W Apparatus for removing blood clots from arteries and veins
US6286172B1 (en) * 1999-03-08 2001-09-11 Thomas A. Castagnoli Portable inflatable duct cleaning apparatus
JP2003117514A (ja) * 2001-08-08 2003-04-22 Kawai:Kk 配管の管詰り除去及び清掃機並びに配管の清掃方法並びに圧縮空気漏洩阻止部材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10A (ko) * 2015-02-05 2016-08-16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101698380B1 (ko) * 2015-02-05 2017-01-20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101739888B1 (ko) * 2016-10-27 2017-05-25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20180135355A (ko)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디에스앤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KR101951845B1 (ko) 2017-06-12 2019-02-25 주식회사 디에스앤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CN111059402A (zh) * 2019-12-27 2020-04-24 海宁立潮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管道封堵气囊
CN111059402B (zh) * 2019-12-27 2024-03-19 浙江立潮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管道封堵气囊
KR102437632B1 (ko) * 2022-01-20 2022-08-29 현대강전(주)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CN115947149A (zh) * 2022-12-21 2023-04-11 南通景康橡塑有限公司 一种弹性体加工装置
CN115947149B (zh) * 2022-12-21 2024-03-22 北京嘉世优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弹性体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358B1 (ko)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JP5989836B2 (ja) 配管の閉塞処理装置
GB2434180A (en) Pump apparatus
JP2010522076A5 (ko)
KR101698380B1 (ko)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101701190B1 (ko)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DK2120654T3 (da) Indretning til fremstilling af en infusion
KR101533388B1 (ko)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20070009055A (ko)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KR101370686B1 (ko)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JP2019503726A (ja) 2つの小孔間の食塊の流れを容易にする装置
KR101739888B1 (ko)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101951845B1 (ko)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CN105555512A (zh) 玻璃面板修复
CN205444356U (zh) 一种气体管道疏通器
KR101647090B1 (ko) 원료 혼합장치
KR101535839B1 (ko) 에어 마사지용 에어 공급장치
KR20170062823A (ko) 변기 막힘 해소장치
KR20090109623A (ko) 착유용 유축구
JP2017106493A (ja) バルブ装置およびポンプ装置
US747089A (en) Pipe-clearing apparatus.
JP2015167495A (ja) ティートカップライナーの劣化判定方法
KR102437632B1 (ko)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CN108942883A (zh) 一种充气伸缩式五手指伸缩方法
JP2004223194A (ja) 鼻腔洗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