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632B1 -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632B1
KR102437632B1 KR1020220074669A KR20220074669A KR102437632B1 KR 102437632 B1 KR102437632 B1 KR 102437632B1 KR 1020220074669 A KR1020220074669 A KR 1020220074669A KR 20220074669 A KR20220074669 A KR 20220074669A KR 102437632 B1 KR102437632 B1 KR 10243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air
main bod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강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강전(주) filed Critical 현대강전(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을 막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압의 공기를 내부에 축적할 수 있고, 어큐물레이터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공기를 축적하여 공기압과 축적량을 증대시키는 공기압축기,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의 축적된 공기를 주입받으면 기설정된 체적과 형태로 팽창되며, 막힌 배관 입구에 밀착시켜 가압하면 상기 막힌배관의 입구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막힌배관의 내,외부 밀폐가 가능하고, 상기 막힌배관 입구에 인입되면 상기 배관 내부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팽창되어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배관의 내,외부를 밀폐 시킬 수 있는 배관인입부 및, 상기 배관인입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고 절곡이 가능한 공기압분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분출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축적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배관인입부에 의해 입구가 밀폐된 막힌 배관의 내부로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막힌배관 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의 공기를 통해 배관 내에 쌓인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압 분출부가 배관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에서 부피가 확장되어 배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배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배관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Piping clogging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low and high pressure pumping}
본 발명은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에 의해 내부가 막힌 배관에 고압의 공기압을 작용하여 배관막힘이 처리되도록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 또는 배관 등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경우, 일반적인 수압으로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는다는 곤란함이 있다. 이러한 경우 드레인 클리너나, 뚫어뻥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이러한 드레인 클리너 또는 뚫어뻥은, 굴곡진 배관이나 기구의 단부와 사이즈가 맞지 않는 배관 등이 막히게 되면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과 기구의 사이즈가 맞지 않으면, 압력이 새어나가게 되어 이물질로의 압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종래의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77318을 살펴보면, 이물질로 막힌 배수관에 넣으면 이물질이 녹아 사라지도록 하는 스틱 드레인 클리너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약품에 의해 녹지 않거나, 이물질이 대량으로 쌓이게 된 경우 또는 배관 깊숙히 이물질이 쌓인 경우에는 이물질의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77318호 (2020.06.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에 의해 막힌 배관 입구 또는 막힌 배관 입구에 인입하여 내부를 밀폐시킨 후 배관의 막힌 부분과 밀폐시킨 부분 사이에 고압의 공기압을 투입하여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관을 막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압의 공기를 내부에 축적할 수 있고, 어큐물레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공기를 축적하여 공기압과 축적량을 증대시키는 공기압축기,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의 축적된 공기를 주입받으면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되어, 막힌 배관 입구에 밀착시켜 본체부를 가압하면(누르면) 상기 막힌배관의 입구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막힌배관의 내,외부 밀폐가 가능하고, 상기 막힌배관 입구에 인입되면 상기 배관 내부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팽창되어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배관의 내,외부를 밀폐 시킬 수 있는 배관인입부 및, 상기 배관인입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고 절곡이 가능한 공기압분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분출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축적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배관인입부에 의해 입구가 밀폐된 막힌 배관의 내부로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막힌배관 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를 통해 배관 내에 막힌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인입부가 배관의 입구에 인입된 상태에서 부피가 확장되어 배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배관의 직경에 관계없이 배관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인입부는, 복잡하게 절곡되어 여타 뚫어뻥 등의 기구 사용이 어려운 구조의 배관에도 신축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배관인입부와 자바라 호스 구조로 성형되는 공기압분출부는 4방으로 절곡이 가능하므로 곡각진 구조의 배관에도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어 이물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인입부가 배관에 인입되지 않더라도 배관인입부가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확장될 수 있어 내부의 압력은 같더라도 외부는 접합면의 모양이나 굴곡에 따라 대응될 수 있으므로 막힌 배관 입구에 밀착시켜 본체부를 막힌 배관쪽으로 누르면(압력을 가하면) 밀폐시킬 수 있어 공기압분출부에서 분출되는 공기 압력이 막혀있는 이물질에 손실없이 전달되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작은 용량과 출력의 펌프 및 전동기로도 고압의 공기압이 준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저압 대량 펌핑 상태이고, (b)는 고압 소량 펌핑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처리장치의 배관인입부가 팽창전 상태(a)와 팽창후 상태(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처리장치의 배관인입부가 팽창하여 막힌배관 입구를 밀폐하고 공기압분출부에서 막힌 배관의 내부로 고압공기를 분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원웨이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단면도와, 주입부밸브 및 분출부밸브의 사시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단면도로,분출부 방어쇠가 당겨지며 분출부마개가 개방된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밸브에 의해 본체부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에어호스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단면도로, 발사체가 장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단면도로, 발사체가 발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는, 배관을 막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압의 공기를 내부에 축적할 수 있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기설정한 상한 압력까지의 고압 공기를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한 번의 행정당 펌핑되는 공기의 양은 많으나 저압으로 펌핑되거나, 한 번의 행정당 펌핑되는 공기의 양은 적으나 고압으로 펌핑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동식 공기압축기(200)와 전동식 공기압축기(50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공기압축기(200,500),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축적된 공기를 주입받으면,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되면서 막힌 배관의 외벽, 입구에 밀착되며 눌러지고, 상기 막힌배관의 외벽이나 입구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막힌배관의 내,외부가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막힌배관 입구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축적된 공기를 주입받으면, 상기 막힌배관 내부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팽창되며 내주면에 밀착되어, 막힌배관의 내,외부를 밀폐 시키며 4방으로 절곡이 가능한 배관인입부(300) 및, 상기 배관인입부(300)의 내부에 자바라 호스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0)와 연통되어,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함께 4방 절곡이 가능하여 공기가 4방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분출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는,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의해 막힌 배관의 내부와 외부가 밀폐되면, 고압의 공기가 막힌 배관 내부로 손실없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막힌배관 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하거나, 막힌배관 내부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팽창되어 내주면에 밀착된 상기 배관인입부(300)는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에서 고압의 공기가 분출되더라도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에서 분출하는 공기압 이상의 압력을 유지하므로 확고하게 막힌 배관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킬 수 있어,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에서 분출되는 고압의 공기가 상기 배관인입부(300)쪽으로 누설이 되지 못한다.
먼저, 메카니즘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여 고압의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어큐뮬레이터(110),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본체부(100)가 연통되는 부분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밸브(120),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와 본체부(100)가 연통되는 부분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분출부밸브(130), 상기 주입부밸브(120) 및 분출부밸브(130)가 상기 어큐뮬레이터(110)와 이격되도록 하는 밸브칸막이부재(140),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에 마련되어 내부 공기의 누설 방지와 상기 어큐뮬레이터(110)와 상기 주입부밸브(120) 및 분출부밸브(130)가 격리되도록 하는 본체칸막이부재(150), 상기 본체칸막이부재(150)에 인입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연통부(160), 상기 연통부(160)를 덮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브라켓(17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밸브(120)는, 개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 내의 고압 공기가 분출되며 분산되어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관인입부(300)는, 상기 주입부밸브(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 내부 압력이 상승되도록 펌핑하면, 상기 본체부(100) 내부와 같이 압력이 높아지며 더 강한압력으로 팽창되고,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부밸브(12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상기 배관인입부(300) 내의 고압 공기가 상기 본체부(100)로 역류하지 못하여,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지속적으로 강하게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출부밸브(130)는,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의해 막힌배관의 입구가 밀폐된 상태에서, 개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고압 공기가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막힌배관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축기(200,500)는, 상기 막힌 배관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분출부밸브(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 내부 압력이 상승되도록 펌핑되면, 상기 본체부(100) 내부와 같이 막힌 배관 내부도 압력이 높아지며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처음 분출된 압력보다 강한 압력으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밸브(120)와 분출부밸브(13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와, 배관인입부(300) 및 공기압분출부(400)의 공기가 각,각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에서 상기 어큐물레이터(110)가 마련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칸막이부재(140)와 본체칸막이부재(150) 또한 마련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자체적으로 공기압을 축적하였다가 분출할 수 있으나, 어큐뮬레이터(110) 구비시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10)는 내부에 압축성 유체가 수용되고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압력을 받으면 수축되며, 압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어 상기 본체부(100)의 효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어큐뮬레이터(11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수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어큐뮬레이터(110)는, 일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충전된 공기가 상기 어큐뮬레이터(110)가 압축되는 반대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10)의 단부와 본체부(100)가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는 충진부(111)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1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충진부(111)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10)의 내부에 상기 압축성 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서 유지되는 공기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기압이 고압으로 유지되고 효과적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여 막힌배관 내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고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과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주입부밸브(120)는, 주입부밸브조작부(123)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주입될 수 있도록 열릴수 있으며,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주입된 고압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닫쳐 있을 수도 있으며, 막힘 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배관인입부(300)의 고압의 공기가 상기 본체부(1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밸브(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기가 배관인입부(300)로 주입되는 입구를 막는 주입부마개(121), 상기 주입부마개(121)와 연결되는 주입부밸브로드(122),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의 단부에 연결되는 주입부밸브조작부(123) 및,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를 가압하는 제1탄성가압부(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마개(121)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기가 배관인입부(300)와 연통되는 부분을 덮는 마개 형태로 마련되며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입부마개(121)는,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일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1슬라이딩부재(1211) 및,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1스프링(1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는, 하방을 향한 첨단형으로 마련되어 빗면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1212)은,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홀이 가압에 의해 연통부(160)의 배관인입부(300)의 홀과 마주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관인입부(300)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막대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를 향한 첨단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의 빗면과 접촉되는 빗면이 구비되는 제2슬라이딩부재(12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에는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안착홈부(1231)와,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가 본체부(100)에 임시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후크부(12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될 수 있도록 ‘工’자 형태로 마련되며, 상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하부는 본체부(100)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부(100)에 상부의 일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부(1232)는,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고, 걸림목에 걸려지게 되면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가 임시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탄성가압부(124)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과 주입부밸브조작부(123)의 사이에 마련되며 2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의 ‘工’자 상부의 밑면이 본체부(100)의 하부 내측 밑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가 전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가 이송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21)가 제1슬라이딩부재(1211)를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상기 주입부마개(121)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마개(121)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연통부(160)의 홀과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홀이 마주하게 되므로 통로가 개방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 공기가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출부밸브(130)는, 분출부밸브조작부(133)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부 고압의 공기가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분출될 수 있도록 열릴 수 있으며,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닫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분출부밸브(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기가 공기압분출부(400)로 분출되는 입구를 막는 분출부마개(131), 상기 분출부마개(131)와 연결되는 분출부밸브로드(132), 상기 분출부밸브로드(132)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출부밸브조작부(133),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를 가압하는 제2탄성가압부(134) 및,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와 연결되는 분출부방아쇠(135)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분출부마개(131)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의 공기가 공기압분출부(400)와 연통되는 부분을 덮는 마개 형태로 마련되며 공기가 이동될수 있는 홀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출부마개(131)는, 상기 분출부마개(1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3슬라이딩부재(1311) 및, 상기 분출부마개(131)의 상부를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2스프링(1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1311)는, 하방을 향한 첨단형으로 마련되어 빗면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1312)은, 상기 분출부마개(131)의 홀이 가압에 의해 연통부(160)의 공기압분출부(400)의 홀과 마주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출부밸브로드(132)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막대 형태로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와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출부밸브로드(132)는,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1311)를 향한 첨단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1311)의 빗면과 접촉되는 빗면이 구비되는 제4슬라이딩부재(13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분출부밸브로드(132)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에는 상기 분출부밸브로드(132)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안착홈부(1331)와,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가 본체부(100)에 임시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후크부(13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工’자 형태로 마련되며, 상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하부는 본체부(100)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부(100)에 상부 일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가압부(134)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과 분출부밸브조작부(133)의 사이에 마련되며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工’자의 상부 밑면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출부방아쇠(135)는, 일측이 당겨지면 타측이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분출부밸브(130)는, 상기 분출부방아쇠(135)를 당기면,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가 전방으로 가압되고 상기 분출부밸브로드(132)가 이송되며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1321)가 제3슬라이딩부재(1311)를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상기 분출부마개(131)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출부마개(131)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분출부마개(131)에 설치된 홀이 연통부(160)에 설치된 공기압분출부(400)홀과 마주하게 되어 통로가 확보되므로 상기 본체부(100)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출부밸브(130)는, 상기 주입부밸브(120)와 나란히 배치되면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주입부밸브(120)와 분출부밸브(130)는,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와 분출부밸브조작부(133)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가, 배관인입부(300) 및 공기압분출부(400)에 서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공기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며, 최소한의 체적으로 최대의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칸막이부재(140)는, 상기 어큐물레이터(110)가 선택적으로 구비될시 마련되며, 마련될시 도2와 도6의 확대도(b)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주입부밸브(120) 및 분출부밸브(130)가 상기 어뮤큘레이터(110)의 팽창과 수축 작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밸브칸막이부재(140)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중공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칸막이부재(14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밸브칸막이부재(140)는, 중공부에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 및 분출부밸브로드(1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칸막이부재(14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되는 주입부밸브조작부(123) 및 분출부밸브조작부(133)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에 홀이 마련된다. 즉,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 및 분출부밸브조작부(133)가 상기 제1탄성가압부(124) 및 제2탄성가압부(134)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분출부밸브조작부(133) 및 주입부밸브조작부(123)의 ‘工’자 상부측 밑면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 하부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도 8과 같이 주입부마개(121)가 개방되고 배관인입부(300)가 팽창된 상태에서, 도 8의 확대도(b)와 같이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가 위측 본체부(100) 상측쪽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1탄성가압부(124)의 스프링이 수축되며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의 ‘工’자 상부 밑면과 본체부(100)의 하부 밑면이 이격되어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주입되었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칸막이부재(150)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10)가 구비될 시,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110)와 상기 밸브(120, 130)가 접촉될 수 없도록 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1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칸막이부재(150)에는 복수개의 홀이 가공되어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 분출부밸브로드(132)의 작동 및 공기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칸막이부재(150)는, 가장자리가 단차지게 마련되어 상기 연통부(160)와 상기 본체부(100)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통부(160) 중앙부는 세로로 양면이 분리된 격벽을 가지며, 일면은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와 상기 배관인입부(300) 및 공기압분출부(400)의 사이에 마련되고 다른면(타면)은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 및 제3슬라이딩부재(1311)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주입부마개(121)와 분출부마개(131) 사이에는 격벽으로 구분되어 공기가 상호 유통되지 못한다. 즉,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연통부(160) 중앙부의 양면(일면과 다른면) 사이에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가 구비되어 상기 일면과 다른면 내측에 가볍게 접촉하며 이동하여,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배관인입부(300)및 상기 공기압분출부(400)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 공기 이동을 개,폐 하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연통부(160) 일면에는 상기 배관인입부(300) 및 공기압분출부(400)와 상기 본체부(100)가 연통되는 홀이 각,각 성형되며, 상기 연통부(160) 다른면(타면)에는 도 6의 확대도(b)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 및 제3슬라이딩부재(1311)가 상,하로 작용 될 수 있도록 수직 형태의 홈이 성형되어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는 상기 일면과 다른면 사이에서 각,각 상,하로 이동하며 공기의 유동이 제어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 및 제3슬라이딩부재(1311)가 이동하는 수직 형태의 홈을 통과하고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홀 및 분출부마개(131)의 홀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연통부(160) 홀을 통과하여,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주입되거나,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분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 및 제3슬라이딩부재(1311)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221) 및 제4슬라이딩부재(1321)의 상기 연통부(160)측을 향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 및 제3슬라이딩부재(1311)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홀과 분출부마개(131)의 홀이 각,각 연통부(160)의 해당 홀과 동일 선상에 일치하면, 공기가 각,각 분출하며 동일 선상에 일치하지 않으면, 공기의 이동은 차단된다. 즉,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의 홀이 연통부(160)의 해당 홀과 각,각 동일 선상으로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공기 압력이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를 가압하여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가 각,각 연통부(160)의 일면에 밀착되어 밀폐됨으로서, 공기의 분출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맥락으로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주입된 고압의 공기와 공기압분출부(400)로 분출된 고압 공기의 역류를 막고자 하면,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의 홀이 해당되는 연통부(160)의 홀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배관주입부(300) 및 공기압분출부(400) 내의 고압공기가 역류를 하고자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를 가압하여도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가 상기 연통부(160)의 다른면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므로 역류를 방지할수 있다. 이때 다른면이 없다면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가 밀착되고 밀폐될 수가 없어 역류를 막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연통부(160)는 양면(두개의 면,일면과 다른 면)으로 마련 되어야 한다. 상설하면, 참조하는 도면상, 상기에서는 상기 연통부(160)의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연통하는 홀 및 상기 공기압토출부(400)와 연통되는 홀의 방향과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홀 및 분출부마개(131)의 홀 방향이 상기 본체부(100)를 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연통되는 홀과 상기 공기압토출부(400)와 연통되는 상기 연통부(160)의 각각의 홀를 개폐하기 위한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와 상기 밸브(120,130)작동 홈은,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의 단부 및 분출부밸브로드(132)의 단부와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 와 제2슬라이딩부재(1221) 및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1311)와 제4슬라이딩부재(1321)가 각,각 직교하며 슬라이딩하여 상기 주입부밸브(120)와 분출부밸브(130)가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번거로움을 피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하나의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와 제2슬라이딩부재(1221) 및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1311)와 제4슬라이딩부재(1321)가 직교하며 슬라이딩하지 않고,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 및 분출부밸브로드(132)가 직선으로 동작되며 상기 주입부밸브(120)와 분출부밸브(130)가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연통부(160) 내의 공기 이동 통로인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연통되는 홀과 상기 공기압토출부(400)와 연통되는 홀이 첨부된 도면과 같이 짧고 곧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길게 마련되도록 하여 직각이 이루어지도록 성형하면 상기와 같은 본체부(100) 측이 아닌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 및 분출부밸브로드(132) 단부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연통되는 홀과 상기 공기압토출부(400)와 연통되는 홀의 방향이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 및 분출부밸브로드(132) 단부쪽으로 향하게 되면 이와 연통되어 개폐되는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홀 및 분출부마개(131)의 홀의 방향도 주입부밸브로드(122) 및 분출부밸브로드(132) 단부측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주입부마개(121)의 홀 및 분출부마개(131)의 홀의 방향이 주입부밸브로드(122) 및 분출부밸브로드(132) 단부측으로 향하게 되면, 상기 연통부(160)의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연통되는 홀과 상기 공기압토출부(400)와 연통되는 홀의 개폐를 위해, 상기 주입부마개(121) 및 분출부마개(131)가 상기 본체부(100)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밖에 없어 상기 밸브(120,130) 작동 홈도 길이 방향으로 성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주입부마게(121)와 주입부밸브로드(122)를 연결하고, 상기 분출부마게(131)와 분출부밸브로드(132)를 연결하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211)와 제2슬라이딩부재(1221) 및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1311)와 제4슬라이딩부재(1321)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마게(121)와 분출부마개(131)가 주입부밸브로드(122)와 분출부밸브로드(132)의 작동 방향과 동일하게 작동되어, 직교하며 슬라이딩하지 않고 직선으로 동작되어도 상기 주입부밸브(120)와 분출부밸브(130)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체적을 보다 많이 차지할수 있지만, 2개의 볼밸브를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연통되는 홀과 상기 공기압토출부(400)와 연통되는 홀에 각각 연결하여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볼밸브의 레버를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와 분출부밸브로드(132)의 단부와 각각 연결하여 상기 주입부밸브로드(122)와 분출부밸브로드(132)의 좌우 이동에 같이 이동되며 개폐될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입부밸브(120) 와 분출부밸브(130)를 개폐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다양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70)은, 상기 본체칸막이부재(150) 및 연통부(160)를 감쌀 수 있도록 중공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칸막이부재(150) 및 연통부(160)가 단단히 고정되고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70)은, 도 6의 확대도(b)와 같이 단부가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고정되는 상기 연통부(160)와 상기 본체칸막이부재(150)가 본체부(100)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압축기(200,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공기압축기(200,500)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수동식 공기압축기(200)와 상기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전동식 공기압축기(500)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는 완력으로 펌핑하도록 만들어 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원형 큰실린더(260)와 원형 작은실린더(240)가 마련된다. 상기 원형 큰실린더(260)와 상기 원형 작은실린더(240)는 2중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큰실린더(260)는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의 내주면으로 상기 작은실린더(240)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작은실린더(240)는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 내부에 있는, 상기 큰피스톤로드(240-1) 내주면으로 구비된다. 상기 큰실린더(260) 내에는 큰피스톤(230)이 큰피스톤로드(240-1)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작은실린더(240) 내에는 작은피스톤(530-1)이 작은피스톤로드(540-1)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큰피스톤로드(240-1)는 일부가 외부로 일시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작은피스톤로드(540-1)와 함께 왕복 이동을 하거나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단부에는 고리부(570)와 저압손잡이(2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작은피스톤로드(540-1)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큰피스톤로드(240)와 선택적으로 왕복 이동을 하며 단부에는 고압손잡이(550-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 단부 일측과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 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원웨이밸브(210)는, 상기 큰 원형실린더(260)와 본체부(100)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큰실린더(260)에서 본체부(100)를 향해 공기가 가압될 경우에만 개방된다. 또한, 상기 큰실린더(260)와 상기 작은실린더(240)의 내부는 상기 큰피스톤(230)과 상기 작은피스톤(530-1)에 의해 밀폐되며,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0)를 임시 고정시키거나 한쪽손으로 잡아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다른 한손으로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의 저압손잡이(250)와 고압손잡이(550-1)를 함께 잡고 당겼다가 상기 원웨이밸브(210)측 방향으로 밀면, 상기 큰피스톤(230)과 작은피스톤(530-1)이 함께 상기 원웨이밸브(210)측으로 이동되며 공기가 압축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압축된 공기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는,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기가 상기 압력게이지(112)에 의해 기 설정된 상한압력까지 충전될 수 있으나, 실제로 여타 대부분의 수동식 공기압축기는 2~3BAR 까지는 별로 힘드는줄 모르고 사용자가 쉽게 펌핑을 할 수 있지만, 3바가 넘으면 힘이 들고, 4바가 넘으면 완력으로 펌핑하기가 쉽지 않으며, 펌핑하는 사람이 여성이면 4바 이상 펌핑하는게 거의 불가하다. 이러한 경우 필요한 압력이 5~6바가 되어야 한다면, 사용을 할 수 없는게 당연하므로, 시중 대부분의 수동식 공기압축기는 4바 이하에서 사용될수 있도록 생산되어 성능이 좋을 수 없다. 또한, 처음부터 고압 공기 생성만을 목표로 해서 수동식 공기압축기가 마련된다면 펌핑하는 시간과 펌핑 횟수가 늘어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인 펌핑 시간과 펌핑 횟수를 줄이며 고압의 압축 공기를 축적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동식 공기압축기(200) 내에 구비되는 큰피스톤로드(240-1) 내에 작은 수동식 공기압축기(200-1)를 하나 더 구비하여 고압의 공기를 펌핑하도록 하여, 하나의 수동식 공기압축기로 저압 공기도 생성하고, 고압 공기도 생성하여 축적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배관막힘 처리장치를 안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성인이 쉽게 펌핑하여 축적할 수 있는 압력인 3.5바를 기준으로 3.5바 이상을 고압이라 가정하고, 3.5바 미만을 저압이라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큰피스톤로드(240-1)에 연결된 큰피스톤(230)과 상기 작은피스톤로드(540-1)에 연결된 작은피스톤(530-1)에 의해 함께 펌핑되는 공기를 3.5바 미만의 저압 대량 공기라고 하며, 저압 대량 펌핑장치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작은 피스톤로드(540-1)에 연결된 작은 피스톤(530-1)에 의해 펌핑되는 공기를 3.5바 이상의 고압 소량 공기라고 하며 고압 소량 펌핑장치라고 가정을 하여, 공업적 분류나 사회 규범에서 분류하는 고압 및 저압과 소량 및 대량의 개념과는 상이함을 전제로 하고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의 고압손잡이(550-1)측 큰실린더(260) 단부에는 상기 큰피스톤(230)의 이탈을 막는 브라?R과 하기 고리부(570)가 걸릴 수 있는 아래를 향한 “ㄷ”자 형태의 걸이부와 상기 큰피스톤로드(240-1)가 슬라이딩하며 지지하도록 하는 브라?R및걸이부(560)가 구비된다. 또한, 도1의 (a)와 같이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의 내부 큰피스톤로드(240-1)와 연결된 상기 저압손잡이(250) 앞에 인접하여 하부쪽을 향하는 상기 고리부(570)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570)는 상기 큰피스톤로드(240-1)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손잡이(250)이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압 펌핑시에는 도 1의 (b)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기 저압손잡이(250)이가 180도 회전되면 아래를 향한 “ㄷ”자 형태의 상기 브라?R및걸이부(560)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이때 구비되는 상기 큰피스톤로드(240-1)와 연결되는 상기 저압손잡이(250)는 양쪽으로 길게 할 필요가 없고, 선택적으로 저압 펌핑시 상기 작은피스톤로드(540-1)와 연결된 고압손잡이(550-1)와 같이 쥐여 줘서 펌핑할 수 있도록 한쪽으로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압손잡이(250)는 상기 고압손잡이(550-1)와 인접해 있어, 상기 큰피스톤(230)에 압력을 가할때는 상기 고압손잡이(550-1)에 의해 밀려서 압력이 같이 가해질 수 있고, 후진시는 저항이 없으므로 상기 고압손잡이(550-1)와 같이 쥐여져서 후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R및걸이부(560)와 간섭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 내에 저압공기가 축적되는 것은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 내의 큰피스톤과 작은피스톤(230,530-1)의 전진과 후진에 의해 이루어 지고, 고압공기의 축적은 상기 저압손잡이(250)의 180도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리부(570)를 상기 브라?R및걸이부(560)에 임시 고정시킨후 상기 작은피스톤(530-1)과 연결된 상기 고압손잡이(550-1)이의 왕복운동에 의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 내에 공기가 고압으로 축적되었다는 것은 상기 본체부(100) 내부 전체 면과,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 내부 전체 면에 고압 공기가 압력을 작용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런 상태에서는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200) 내부의 큰피스톤(230)과 작은 피스톤(530-1)에도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상기 큰피스톤(230)과 작은 피스톤(530-1)의 단면적을 합한 면적이 받는 압력의 합은 상기 작은 피스톤(530)이 받는 면적의 압력보다 큰것은 당연하며, 상기 작은 피스톤(530-1)의 단면적이 받는 압력은 상기 큰피스톤(230)과 작은피스톤(530)의 단면적을 합한 면적이 받는 압력의 합보다는 당연히 상대적으로 적음은 당연하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작은 피스톤(530-1)을 포함하는 큰피스톤(230)의 직경이 3센치미터 이고, 내부 압력이 3.5바 라고 가정하면 상기 작은 피스톤(530-1)을 포함한 상기 큰피스톤(230)이 받는 압력의 합은 24.7275바 이어서 완력으로는 압력을 더 높이기가 힘들어 펌핑하기가 힘들어 지는 것이고, 완력으로는 더 이상 압력을 올릴수 없는 한계에 이르게 된다. 이때 3센치미터의 직경을 가지는 상기 큰 피스톤(230)에 힘을 전달하는 상기 큰 피스톤로드(240-1) 내부에 1.5센치미터의 직경을 가지는 작은피스톤(530-1)과 상기 작은 피스톤(530-1)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상기 작은 피스톤로드(540-1)와 고압손잡이(550-1)를 가지는 수동식 공기압축기(200-1)를 마련하면, 상기 1.5센치미터의 직경을 갖는 작은피스톤(530-1)이 받는 압력의 합은 6.181875바로 직경 3센치미터의 상기 작은피스톤(530-1)을 포함하는 상기 큰 피스톤(230)에 비해 4분의 1 밖에 압력을 받지 않음을 알수 있다. 이렇게 하여 3.5바의 내부 압력에서 직경이 1.5센치미터인 상기 작은피스톤(530-1)은, 상기 작은피스톤(530-1)을 포함하는 상기 큰 피스톤(230)이 받는 압력의 4분의 1을 받으므로 상기 작은피스톤(530-1)이 24.7275바의 압력을 받을때까지 펌핑을 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공기 압력을 축적하면 이론상으로는 14바 까지도 펌핑이 가능하게 될것으로 예상한다. 즉 외관상은 하나의 수동식 공기압축기(200)가 구비되는 것이나, 내용상은 저압의 대량 펌핑과 고압의 소량 펌핑을 할 수 있는 2가지 기능을 갖는 배관 막힘 처리장치가 되는 것이다. 상설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고압의 공기를 빨리 채우기 위해서는 처음 펌핑을 시작하여 상기 본체부(100) 내부 압력이 축적되면서 완력으로 펌핑이 힘이 드는 시점까지인 약 3.5바 정도 까지는 상기 큰피스톤(230)과 연결된 상기 저압손잡이(250)와 상기 작은피스톤(530-1)과 연결된 상기 고압손잡이(550-1)를 함께 잡고 펌핑을 한다. 상기 펌핑 작동을 1단계 저압에 대량 펌핑 작동 장치라고 가정하면, 2단계는 고압에 소량 펌핑 작동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1단계를 끝내고 상기 2단계에서는 우선 상기 저압손잡이(250)를 도1의 (b)와 같이 180도 회전시켜 상기 고리부(570)가 상기 브라?R및걸이부(560)의 상기 “ㄷ”걸이에 임시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고리부(570)가 고정되면 상기 저압손잡이(250)와 상기 큰피스톤(230)이 함께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큰피스톤(230)이 압력을 받아도 후진을 할수 없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압력 변화는 없을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작은 피스톤로드(540-1)와 연결된 상기 고압손잡이(550-1)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까지 올라 가도록 펌핑을 한다. 상기와 같이 1단계와 2단계 장치를 이용하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고압의 공기를 축적할 수 있슴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인입부(300)는,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유연하게 절곡됨으로써, 굴곡진 배관의 내부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관인입부(300)는, 탄성력이 있고 플렉시블한 소재로 마련되며 중공형의 긴 도넛 형태로 마련되는 외부튜브(310) 및, 상기 외부튜브(310)의 외주면과 내주면의 사이에 수용되고, 플렉시블한 비탄성소재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0)와 연통되는 팽창한계포켓(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주입받으면 도 3의(a)에서 도 3의(b)와 같이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확장된다. 또한, 상기 외부튜브(310)는,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에 의해 같이 팽창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막힌 배관의 입구에 밀착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막힌 배관의 입구가 밀폐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외부튜브(310)는, 중공형 실린더 형태로 마련되어 중공부에 상기 공기압분출부(4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튜브(310)는, 내주면과 외주면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은, 상기 외부튜브(3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수용공간에 마련된다. 이때,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은, 복수개의 주름이 마련된 낙하산 형태로 상기 외부튜브(310)의 내부에 압입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주입받으면 기본적으로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 범위 내로 팽창됨으로써, 상기 외부튜브(310)가 한계치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외부튜브(310)에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은,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 보다 큰 나팔관형태로 팽창될 수 있다. 즉,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은, 일반적인 풍선 또는 원형튜브와 같이 공기가 주입되면 둥글게 팽창되지 않고 도 3의 (b)와 같이 단부의 직경이 크고 가운데 부분인 상기 공기압분출부(400) 단부가 내측으로 파여진 나팔관 형태로 확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면 나팔관 형태로 팽창되며, 확장되는 체적에 한계가 있도록 기밀이 유지되는 비탄성소재로 마련되고, 주입된 공기가 빠지면 상기 외부튜브(310)에 의해 접혀져 압입되는 것이다. 이로인해 상기 팽창한계포켓(320)과 함께 팽창되는 외부튜브(310)는 기설정된 체적 범위를 초과하도록 팽창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배관에 인입되는 경우,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외부튜브(310)가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에 의해 나팔관형태로 팽창되려는 성질은 있으나, 막힌 배관 내부의 구조와 크기가 팽창한계포켓(320)의 한계까지 팽창하지 못하도록 억제를 하게 되고, 억제하는 지점에서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인해,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배관의 내부로 온전히 전달되어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배관 속으로 들어갈 수 없는 구조와 크기의 배관막힘 처리시에는 상기 외부튜브(310)가 한계까지 팽창하도록 한 후, 막힌 배관의 외벽이나 입구에 밀착시켜 배관인입부(300)가 상기 밀착면에 대응하며 변형되도록 누른(가압) 후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로부터 고압공기를 분출시키면 배관인입부(300)와 상기 외벽이나 입구가 밀착되어 밀폐되므로 상기 고압공기의 누설이 없어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는, 상기 분출부밸브(130)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는, 상기 배관인입부(300)의 중공부 일단부에서 부터 타단부까지 형성되는 유로로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의 단부측에서 공기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는, 단부에 에어호스(H)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에어공구의 사용 및 에어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의 단부측에는 에어타카, 축구공, 타이어 등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에어호스(H)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분출구(4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통해 에어타카, 축구공, 타이어 등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 막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기(200)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는 자체적으로 고압의 공기압이 축적 및 유지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에 어큐뮬레이터(110)를 구비하면 상기 공기압축기(200)에 의해 생성된 고압의 공기압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축적 및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가 공기압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주입부마개(121)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본체부(100)가 연통되며,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팽창한다는 것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고압공기가 분산되는 것이므로 상기 배관인입부(300) 내의 압력과 상기 본체부(100) 내의 압력이 분산된 만큼 줄어들므로 상기 본체부(100)와 배관인입부(300) 내의 압력은 엄격히 따지면 기설정된 최상의 공기 축적 상태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본 배관 막힘 처리장치가 제대로 효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최대의 효력 발휘를 위하여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압축기(200)를 작동하여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배관인입부(300) 내의 압력이 기설정한 최대로 압축되도록 한다. 이상태에서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밸브(120)를 닫아도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배관인입부(300) 내부의 고압 공기는 빠지지 않고 팽창 상태가 유지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기설정한 최대의 공기와 최고의 압력을 유지하고, 상기 배관인입부(300)도 최대의 공기와 최고의 압력을 유지하게 되어 강하게 팽창하며 막힌 배관의 내부와 외부를 최대한으로 밀폐시킨다. 이렇게 밀폐되고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상기 분출부방아쇠(135)가 당겨지면 상기 분출부마개(131)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와 본체부(100)가 연통되어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유지되던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고압 공기가 누설없이 분출되어 배관 내에 막혀 있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배관의 막힌 상태가 과도하여 상기 공기압분출부 (400)에서 고압의 유체가 분출되어도 막힌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의 고압 공기가 분출되면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 내부와 막힌 배관 내부에 분산되어 이물질를 제거 할 수 있는 압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에도 본 발명은 매카니즘상 상기 배관인입부(300)는 최대의 압력으로 막힌 배관의 내,외부를 계속해서 밀폐하고 있으므로, 상기 분출부밸브(130)를 연 상태에서 상기 저압손잡이(250)와 상기 고압손잡이(550-1)를 함께 왕복 이동시켜 압력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압력을 증대시켜도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고 완력이 부족하면, 상기 큰피스톤로드(240-1)의 고리부(570)를 브라?R및걸이부(560)에 임시 걸어놓고, 상기 고압손잡이(550-1)만으로 펌핑하여 본 배관막힘 처리장치가 낼 수 있는 최대의 압력으로 압력을 증대시키면 막힌 배관 내부의 이물질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가 끝나면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밸브(120)를 열어 상기 배관인입부(300)에 고압으로 유지하던 공기를 본체부(100)로 들어오도록 한 후, 다시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 (123)를 원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주입부밸브조작부(123) 상측 하부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배관주입부(300)를 팽창시키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구체적인 사용 예를 설명하면, 도 10과 같이, 막힌 배관의 직경이 작아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들어 가지 않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1의 (a)와 같이 상기 배관인입부(300)을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시킨 후, 상기 나팔관 형태로 팽창한 배관인입부(300)를 막힌 배관에 밀착시켜 막힌 배관쪽으로 상기 본체부(100)를 눌러 막힌 배관과 상기 배관인입부(300) 사이를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나팔관 형태의 배관인입부(300)의 내부에는 신축성과 탄력성이 높은 고압의 공기가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에 의해 축적되어 있고, 외부에는 신축성과 접착성이 좋은 고무성분 등으로 구비되는 상기 외부튜브(310)가 막힌 배관 형태에 대응하며 변형되어 막힌 배관의 내부와 상기 배관인입부(300) 외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이렇게 막힌 배관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킨 후 상기 분출부방아쇠(135)를 당기면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11의 (b)와 같이 막힌 배관이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좁으면서 바깥에는 굴곡진 벽면이 붙어있고, 내부에는 상,하로 움직이는 물마개가 있는 배관이 막혔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배관인입부(300)는 팽창되었을 때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형체를 이루기 때문에, 나팔관 형태로 팽창된 상기 배관인입부(300)를 굴곡진 벽면에 밀착한 후, 상기 본체부(100)를 벽면쪽으로 누르면 상기 배관인입부(300)는 내부의 압력이 같으며 플랙시블하므로 벽면의 형태에 따라 변형되며 밀착되므로 상기 벽면과 팽창한 배관인입부(300) 사이는 밀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밀폐가 된 후에 상기 분출부방아쇠(135)를 당기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고압 공기가 상기 물마개가 있어도 화살표와 같이 공기압이 막힌 부분에 압력을 가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막힌 배관의 이물질를 처리할 수 있다. 이물질이 처리된 후에는 상기 주입부밸브(120)를 열어 나팔관 형태로 팽창한 상기 배관인입부(300)내의 공기를 상기 주입부밸브조작부(123)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본 배관막힘 처리장치는,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직선 형태로 인입이 가능한 막힌 배관은 물론 상부측을 기준으로 전,후,좌,우로 절곡된 막힌 배관에도 도 12와 같이 상기 배관인입부(300)를 절곡하여 인입시킨 후, 도 13과 같이 상기 배관인입부(300)를 팽창시켜 막힌 배관의 내부와 외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고,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의 공기를 막힌 배관 내부로 누설없이 투입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배관의 막힘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는, 상기 팽창한계포켓(320)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자바라 형태의 절곡가능한 호스로 구비되어 상기 배관인입부(300)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전,후,좌,우는 물론 360도 절곡진 배관에도 인입이 될 수 있으며, 외부 이물질 유입을 막는 커버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공기압축기가 전동식 펌프 방식으로 마련된다는 점과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의 무게가 과중하여 배관막힘 처리장치의 일측에 마련되면 무거워서 다루기가 곤란하므로, 별도로 마련되는 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일부 차이가 있으며, 그 외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는 일측에 마련된 전원시스템(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켜 외기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주입시킨다.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전동펌핑 방식의 공기압축기(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는, 상기 제1실시예의 수동식 공기압축기에서와 같이 원웨이밸브(510)와 상기 압력게이지(11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압력이 기설정한 상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의 작동이 멈추도록 제어하는 압력제한스위치(2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압력제한스위치(220)와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는 연동되고,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는 전원 스위치(22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압력제한스위치(2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에 공기 유입을 중단시키며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력제한스위치(220)는,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222)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압이 기설정된 상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압축기(50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본체부(100)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상한 압력에 미달되면, 상기 공기압축기(500)는 상기 전원스위치(222)의 조작에 의해 작동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는, 상기 본체부(100)와 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500)가 대용량 컴프레셔로 마련되어 과중한 경우 상기 본체부(10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호스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본체부(10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발사되는 발사체가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일부 차이가 있으며, 그 외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0)와 공기압분출부(400) 사이에 설치가능한 발사대(600), 상기 발사대(600)에 안착될 수 있는 발사체(S)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발사대(600)는, 상기 연통부(16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대(600)는, 짧고 둥근 탄환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는 발사체(S)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발사대(600)는,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발사체(S)가 안착되며 임시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160)의 공기가 분출되는 부분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배관인입부(300)를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발사체(S)를 배관인입부(300)의 단부로부터 역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공기압분출부(400)의 입구측에 상기 발사체(S)가 발사대(600)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출부방아쇠(135)를 당겨 공기가 분출되면, 상기 발사체(S)는 공기압에 의해 발사되고,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는 상기 발사체(S)의 발사방향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사대(600)는, 상기 발사체(S)가 장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발사체(S)는 상기 본체부(100) 내에 축적된 고압공기가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분출되는 순간 함께 발사되어 상기 배관을 막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도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는 내부에 절곡이 가능한 자바라호스로 구비되므로 상기 자바라호스의 굴절에 의해 상기 발사체(S)도 분출되는 고압 공기와 함께 굴절되며 발사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배관인입부(300)가 탄성과 신축성이 있고 플랙시불한 고무성분과 공기 그리고 절곡이 가능한 자바라호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막힌배관의 입구가 배관인입부가 인입될 수 없도록 작거나, 도11의 (b)와 같이 장애물이 있거나, 접촉 벽면이 불균형하게 되어 있더라도 배관인입부(300)를 최대의 압력으로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시켜 막힌배관의 외벽이나 입구에 접촉시켜 누르면 배관인입부(300)가 막힌배관의 외벽이나 입구의 형태에 대응하며 변형되고 밀폐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고압공기를 누설없이 막힌배관 내로 투입할 수 있어 이물질를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인입부(300)가 배관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에서 부피를 팽창시킬 수 있어 팽창력을 이용하여 막힌배관 내주면에 밀착시키고 밀폐시킨 후 ,배관의 막힌 부위와 배관인입부(300) 사이에 직접 상기 본체부(100)의 고압공기를 투입하여 막힌배관의 직경과 모양에 관계없이 배관 내의 막힘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막힌배관의 입구가 굴절되어 있어도 공기압분출부(400)가 자바라호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배관주입부(300)와 함께 용이하게 진입될수 있어 굴전된 배관 내부의 이물질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고압공기를 통해 배관인입부(300)가 팽창되도록 한 뒤, 압력 분산으로 전체적인 압력이 낮아지면, 본 배관 막힘 처리장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주입부밸브(120)를 연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 내부와 상기 배관인입부(300) 내부 압력을 기설정한 상한압력 까지 재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재충전된 본체부(100)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더 큰압력을 갖게 되며, 상기 배관인입부(300)도 막힌 배관의 내,외부를 더 강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압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공기압분출부(400)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도록 하면 대부분의 이물질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부(100) 내에 고압의 압축공기가 축적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본체부(100)가 대용량이 아니어서 축적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한계가있고, 또 축적된 공기가 팽창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팽창되어 밀폐시키는 부분과 배관의 막힌 부분의 간격이 멀어 내부공간이 크면 팽창하려는 압력이 부족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물질 제거를 못하는 이유는 상기 본체부(100) 용량이 적어 축적하였던 고압공기가 상기 공기압분출부(400)로 분출되면서 1차적으로 분산되고, 또한 상기 배관인입부(300)가 밀폐하고 있는 막힌배관 내부공간이 커서 2차적으로 분산되면서 압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분출부밸브(130)가 열린 상태에서 저압 대량 펌핑장치로 펌핑을 하다가 힘이 들면, 고압 소량 펌핑장치로 전환하여 기설정한 상한압력까지 펌핑을 하면, 상기 막힌 배관 내부의 공간에 압력이 높아지면서 배관의 막힘이 처리될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작은 용량의 본체부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특징은 고압공기를 자체적으로 유지하며 이를 이용하여 막힌배관 내,외부 밀폐를 확고하게 시킬 수 있고, 상기 주입부밸브(120)와 분출부밸브(130)가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하며, 제어에 의해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열고 있을 수 있는 메카니즘이 구비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고압의 공기가 분산되어 약화되면 외부 공기를 투입하여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발명에서는 에어호스(H)를 연결하는 경우와 발사체(S)를 발사하는 경우 외에는 상기 공기압분출부(400) 단부에 외부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도록 커버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여 작은 용량과 출력의 펌프 및 전동기로도 고압의 공기압이 준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어큐뮬레이터
111 : 충진부
112 : 압력게이지
120 : 주입부밸브
121 : 주입부마개
1211 : 제1슬라이딩부재
1212 : 제1스프링
122 : 주입부밸브로드
1221 : 제2슬라이딩부재
123 : 주입부밸브조작부
1231 : 제1안착홈부
1232 : 제1후크부
124 : 제1탄성가압부
130 : 분출부밸브
131 : 분출부마개
1311 : 제3슬라이딩부재
1312 : 제2스프링
132 : 분출부밸브로드
1321 : 제4슬라이딩부재
133 : 분출부밸브조작부
1331 : 제2안착홈부
1332 : 제2후크부
134 : 제2탄성가압부
135 : 분출부방아쇠
140 : 밸브칸막이부재
150 : 본체칸막이부재
160 : 연통부
170 : 연결브라켓
180 : 손잡이
200 : 수동식 공기압축기
210 : 원웨이밸브
220 : 압력제한스위치
222 : 전원스위치
300 : 배관인입부
310 : 외부튜브
320 : 팽창한계포켓
400 : 공기압분출부
410 : 분출구
500 : 전동식 공기압축기
510 : 원웨이밸브
260 : 큰 원형실린더
230 : 큰피스톤
530-1 : 작은피스톤
240-1 : 큰피스톤로드
540-1 : 작은피스톤로드
240 : 작은 원형실린더
550-1 : 고압손잡이
250 : 저압손잡이
570 : 고리부
560 : 브라?R및걸이부
600 : 발사대
H : 에어호스
S : 발사체

Claims (9)

  1. 배관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상한 압력까지의 고압 공기를 내부에 축적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기설정한 상한 압력까지의 고압 공기를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한 번의 행정당 저압의 대량 공기를 펌핑할 수 있는 기능과, 한 번의 행정당 고압의 소량 공기를 펌핑하는 기능이 일체로 마련되는 수동식 공기압축기;와 전동식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마련되는 공기압축기;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축적된 공기를 주입받으면,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되어, 막힌 배관의 외벽, 입구에 밀착시켜 누르면, 상기 막힌배관의 외벽이나 입구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막힌배관의 내,외부가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막힌배관 입구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의 축적된 공기를 주입받으면, 상기 막힌배관 내부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팽창되며 내주면에 밀착되어, 막힌배관의 내,외부를 밀폐 시키며 4방으로 절곡이 가능한 배관인입부: 및
    상기 배관인입부의 내부에 자바라 호스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관인입부와 함께 4방 절곡이 가능하여 공기가 4방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분출부는,
    상기 배관인입부에 의해 막힌 배관의 내부와 외부가 밀폐되면, 고압의 공기가 막힌 배관 내부로 손실없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막힌배관 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인입부와 본체부가 연통되는 부분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밸브; 및
    상기 공기압분출부와 본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분출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밸브는, 개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 내의 고압 공기가 분출되며 분산되어 상기 배관인입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관인입부는, 상기 주입부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 내부 압력이 상승되도록 펌핑하면, 상기 본체부 내부와 같이 압력이 높아지며 더 강한압력으로 팽창되고,
    상기 배관인입부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부밸브가 닫히게 되면, 상기 본체부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상기 배관인입부 내의 고압 공기가 상기 본체부로 역류하지 못하여, 상기 배관인입부가 지속적으로 강하게 팽창될 수 있고,
    상기 분출부밸브는, 상기 배관인입부에 의해 막힌배관의 입구가 밀폐된 상태에서, 개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고압 공기가 상기 공기압분출부를 통해 막힌배관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공기압축기는, 상기 막힌 배관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분출부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본체부 내부 압력이 상승되도록 펌핑되면, 상기 본체부 내부와 같이 막힌 배관 내부도 압력이 높아지며 상기 공기압분출부를 통해 처음 분출된 압력보다 강한 압력으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주입부밸브와 분출부밸브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와, 배관인입부 및 공기압분출부의 공기가 각,각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충진부;
    상기 어큐뮬레이터가 밸브 작동부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칸막이부재;와 본체칸막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기압이 고압으로 유지되고 효과적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여 막힌배관 내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는,
    상기 수동식 공기압축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마련되는 중공형의 큰피스톤;과 상기 큰피스톤과 연결되며 중공형으로 마련되는 큰피스톤로드;와 상기 큰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저압손잡이;
    상기 큰피스톤로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큰피스톤의 단부까지 왕복가능한 작은피스톤;과 상기 작은피스톤과 연결되는 작은피스톤로드;와 상기 작은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압손잡이; 및
    상기 저압손잡이가 임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R및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큰피스톤과 작은피스톤은, 상기 저압손잡이와 고압손잡이를 함께 작동시키면 동시에 왕복운동을 하며 펌핑함으로써, 상기 본체부 내에 공기가 단시간 내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브라?R및걸이부는, 상기 저압손잡이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압손잡이가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작은피스톤으로 인한 높은 압력으로 상기 본체부 내에 공기가 펌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인입부는,
    탄성이 있고 플렉시블한 소재로 마련되며, 중공형으로 마련되는 외부튜브; 및
    상기 외부튜브의 외주면과 내주면의 사이에 수용되고, 기밀이 유지되는플렉시블한 비탄성소재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는 팽창한계포켓;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분출부는,
    상기 팽창한계포켓의 내주면 내측에 마련되고, 자바라 형태의 절곡가능한 호스로 구비되어 배관인입부와 일체로 절곡진 배관에도 인입이 될 수 있어,여러 형태의 막힌배관이나 홀의 내부에 공기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이물질 유입을 막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팽창한계포켓은,
    복수개의 주름이 마련된 낙하산 형태로, 상기 외부튜브의 내부에 압입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주입받으면 나팔관 형태의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됨으로써, 상기 외부튜브가 한계치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외부튜브에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분출부는,
    단부에 에어호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에어공구의 사용 및 에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공기압분출부의 사이에 설치 가능한 발사대; 및
    상기 발사대에 안착될 수 있는 짧고 둥근 모양의 발사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는,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본체부 내에 축적된 고압 공기가 4방으로 절곡 가능한 상기 공기압분출부에 의해 절곡된 방향으로 분출될 때 함께 발사되어 곧은 배관은 물론 굴절진 배관을 막는 이물질도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는,
    온,오프 조작용으로 마련되는 전원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거나,작동이 중단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압력이 기설정된 상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의 작동이 멈추도록 자동으로 제어하는 압력제한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한스위치는, 상기 전동식 공기압축기의 작동을 오프하는 전원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압이 기설정된 상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압축기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본체부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상한 압력에 미달되면, 상기 전원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공기압축기의 작동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KR1020220074669A 2022-01-20 2022-06-20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KR102437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666 2022-01-20
KR20220008666 2022-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632B1 true KR102437632B1 (ko) 2022-08-29

Family

ID=8311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669A KR102437632B1 (ko) 2022-01-20 2022-06-20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7632B1 (ko)
WO (1) WO202314042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58B1 (ko) * 2014-03-25 2014-11-04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20180135355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디에스앤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KR20200077318A (ko) 2018-12-20 2020-06-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틱 드레인 클리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01A (ja) * 2000-02-09 2001-08-14 Daiichi Kosan Dik:Kk 和洋式便器並にその周辺配管内の洗滌機製造方法
US6631531B1 (en) * 2000-11-16 2003-10-14 Goodway Technologies Corporation Quick load air gun
US10350656B2 (en) * 2016-11-11 2019-07-1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Drain clearing air gun
CN108868957A (zh) * 2018-07-05 2018-11-23 天津市勇娜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分体式发动机机油油道吹气清洗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58B1 (ko) * 2014-03-25 2014-11-04 김용수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20180135355A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디에스앤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KR20200077318A (ko) 2018-12-20 2020-06-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틱 드레인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420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642A (en) Vacuum powdered syringe
US9861770B2 (en) Vacuum motor for operation of a lavage system
KR101614695B1 (ko) 유동 제어 밸브를 갖춘 주사기 및 관련 방법
CN107635601A (zh) 预充设备和方法
US10035159B2 (en) Dispenser for fluids
US6167925B1 (en) Bladder water gun with pump and quick charge system
JP2015183857A (ja) 配管の閉塞処理装置
US5826750A (en) Toy water gun with fluid selection control valve
JP6034790B2 (ja) 排出装置
US11285006B2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valves for increasing flow efficiency
US6257844B1 (en) Pump device for pumping liquid foodstuff
JP2023538864A (ja) シリンジ用のプライムチューブ構成
US20050167441A1 (en) Single pump water gun with adjustable force pressure chamber
USRE39947E1 (en) Toy water gun
KR102437632B1 (ko) 저압 및 고압 펌핑이 가능한 배관막힘 처리장치
US6027316A (en) Air pump capable of inflating an inflatable object regardless of air pressure level in the inflatable object
US10295300B2 (en) Toy gun
US20020016127A1 (en) Water gun having pump with internal passageway
JPH05170294A (ja) 排出装置
CN105090531B (zh) 电动阀
KR101951845B1 (ko) 배관 막힘 제거용 기구
CN219062614U (zh) 一种供气阀门和呼吸装置
KR20090000848A (ko) 공기주입형 콘돔
JP2017106493A (ja) バルブ装置およびポンプ装置
KR200188049Y1 (ko) 공기주입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