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686B1 -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686B1
KR101370686B1 KR1020120087165A KR20120087165A KR101370686B1 KR 101370686 B1 KR101370686 B1 KR 101370686B1 KR 1020120087165 A KR1020120087165 A KR 1020120087165A KR 20120087165 A KR20120087165 A KR 20120087165A KR 101370686 B1 KR101370686 B1 KR 10137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air
water
piston
flow path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194A (ko
Inventor
유문종
유영수
Original Assignee
유영수
유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수, 유문종 filed Critical 유영수
Priority to KR102012008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6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E03C1/308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by means of a pump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힌 변기의 배수구를 용수를 압축하여 뚫기 위한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는 압착부재와 용수압축부 사이에 용수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수제어부는 피스톤이 출입하는 관통공간부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관통공간부의 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부에 체결되어 용수제어밸브를 통해 실린더에 유입된 용수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지는 용수압축부; 상기 용수압축부에 구비된 피스톤과 대향하여 관통공간부의 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실린더에서 압축된 용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용수토출구; 및 상기 관통공간부의 어느 한 측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부에 체결되어 용수의 유입과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TOILET COMPRESSOR}
본 발명은 막힌 변기의 배수구를 용수를 압축하여 뚫기 위한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압착부재와 용수압축부 사이에 용수의 유입 및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부를 구비하여,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한층 더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힌 변기를 뚫어주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15292호(2000년 05월 30일)로 출원된 변기소통용 압축기(이를 '문헌1'이라 함.)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1에 대해서 살펴보면, 중공부(2a)를 갖는 피스톤통(2)과; 상부에 협지홈(1b)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라운딩되어 외향 연장된 날개편(1a)이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통(2)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압착편(1)과; 외측에 패킹(3)을 외삽하고 상면에는 암나선부(4a')가 형성된 피스톤(4)과; 하단부에 나선부(6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6c)가 일체로 구비된 피스톤 로드(6)와; 상기 피스톤 로드(6)에 외삽되어 피스톤통(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덮개(5)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문헌1은 손잡이(6c)를 이용하여 피스톤(6)을 상하로 이동시켜 줌에 따른 피스톤통(2) 내의 압력의 생성에는 유용하나, 이와는 달리 압착편(1) 내에 잔류하는 공기가 초기에 제거되지 않음에 따른 압축기의 압력 저하의 요인이 문제점으로 발생하고, 이는 결국 막힌 변기를 제대로 뚫을 수 없는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문헌1은 손잡이(6c)를 이용하여 피스톤(6)을 하방향으로 밀어서 압축시킬 경우에 압착편(1)의 날개편(1a)이 종종 뒤집혀져서 압축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착부재와 용수압축부 사이에 용수의 유입 및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부를 구비하여,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한층 더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부재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를 용수압축부에 구비된 잔류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이에 따른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한층 더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수압축부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압착부재를 경사진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하여 변기의 배수구에 삽입 밀착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재가 뒤집혀 지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 용수압축부에서 생성된 압력의 누수를 방지하여 더욱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는 압착부재와 용수압축부 사이에 용수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수제어부는 피스톤이 출입하는 관통공간부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관통공간부의 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부에 체결되어 용수제어밸브를 통해 실린더에 유입된 용수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지는 용수압축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수압축부에 구비된 피스톤과 대향하여 관통공간부의 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실린더에서 압축된 용수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용수토출구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간부의 어느 한 측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부에 체결되어 용수의 유입과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들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착부재와 용수압축부 사이에 용수의 유입 및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부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한층 더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토출시켜 보다 용이하게 막힌 변기를 뚫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압착부재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를 용수압축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이에 따라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한층 더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토출시켜 보다 용이하게 막힌 변기를 뚫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수압축부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압착부재를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변기의 배수구에 틈새가 없이 삽입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재가 뒤집혀 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함께 용수압축부에서 생성된 압력이 배수구 밖으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토출시켜 보다 용이하게 막힌 변기를 뚫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용수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지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또한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 및 동작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에 대한 구성수단 내지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힌 변기의 배수구 뚫기에 사용되는 압축장치(10)는 압착부재(200)(200a)와 용수압축부(400) 사이에 용수(W1)(예컨데, 변기에 남아 있는 물 또는 외부에서 변기에 별도로 공급된 물)의 유입 및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부(100)를 구비하여, 막힌 변기의 배수구(도시 생략함.)에 한층 더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W1)를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힌 변기의 배수구 뚫기에 사용되는 압축장치(10)는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압착부재(200)(200a)에 구비된 잔류공기배출구(34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막힌 변기의 배수구(도시 생략함.)에 한층 더 강한 압력으로 용수(W1)를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실시 사례로서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10)의 구성수단에 대해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10)는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밀착되는 압착부재(200)(200a)와 용수압축부(400) 사이에 용수제어부(100)가 구성된다.
또한, 피스톤(Piston)(420)이 출입하는 관통공간부(120)를 형성시켜 주되, 이때 상기 관통공간부(120)의 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부(130)에 체결되어 용수제어밸브(Valve)(160)를 통해 관통공간부(120)를 거쳐 실린더(Cylinder)(410)에 유입된 용수(W1)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지는 용수압축부(4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수압축부(400)는 개방된 실린더(410)의 하측 끝단부(부호 생략함,)를 용수제어부(100)에 구비된 제1관통부(130)의 걸림턱(131)에 고정시켜 주게 되며, 손잡이(330)를 잡고 피스톤로드(Piston Road)(411)를 화살표(가') 방향으로 눌러줌에 따라 실린더(410) 및 압착부재(200)(200a) 내에 채워진 용수(W1)에 대한 압력을 생성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수압축부(400)에 구비된 피스톤(420)과 대향(對向)하여 관통공간부(120)의 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실린더(410)에서 압축된 용수(W1)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용수토출구(15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간부(120)의 어느 한 측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부(140)에 체결되어 용수(W1)의 유입과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밸브(Valve)(160)가 구비된 용수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수압축부(400)는 피스톤로드(411)에 연결되어 실린더(410)를 통해 관통공간부(120)를 출입하는 피스톤(420)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피스톤(420)은 오목하게 형성된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의 상하방향으로 분리 형성시킨 제1피스톤헤드(Head)(421)와 제2피스톤헤드(Head)(422)로 구성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스톤헤드(421)와 제2피스톤헤드(422)의 외주연에는 첨부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피스톤링(Ring)(431)(432)을 각각 설치하여, 실린더(410)에서 발생하는 용수(W1)에 대한 압축력을 더욱 강하게 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용수압축부(400)에 구비된 피스톤(420)은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제1잔류공기유입구(4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에 유입된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을 유도시켜 주기 위해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에 접하여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1잔류공기유도로(34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잔류공기유도로(341)에 유입된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을 유도시켜 주기 위해 제1잔류공기유도로(341)에 접하여 피스톤로드(411)의 내측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2잔류공기유도로(342)가 구성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411)에 연결된 손잡이(330) 부위의 제2잔류공기유도로(342)에 접하여 형성되고,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내를 통과하는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잔류공기배출구(343)가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피스톤(420)의 제1피스톤헤드(421)와 제2피스톤헤드(422)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잔류공기유입구(440)는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제1잔류공기유도로(341)와 제2잔류공기유도로(342)를 거쳐 잔류공기배출구(343)를 통해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켜 주기 위한 예컨데,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에 대한 유입 가이드(Guide) 역할을 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피스톤(420)은 스토퍼(Stopper)(413)가 실린더(Cylinder)(410)의 상측단부(410a)에 맞닿은 상태에서 관통공간부(120)와 압착부재(200)(200a) 간을 제2피스톤헤드(422)의 저면(부호 생략함.)을 통해 오픈(Open)시켜 주기 위한 틈새부(151)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에 대해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을 통해 유입되어 제1잔류공기유도로(341)와 제2잔류공기유도로(342)를 거쳐 잔류공기배출구(343)로 용이하게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수제어밸브(160)는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中空)(161)으로 이루어지되, 체결단부(167)가 용수제어부(100)의 제2관통부(140)에 삽입 체결됨과 함께 상기 제2관통부(140) 안쪽에 형성된 걸림턱(141)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상기 용수제어밸브(160)는 제2관통부(140)에 체결되는 체결단부(167) 쪽에 중공(161)을 가로질러 고정핀(Pin)(165)을 설치하고, 여기에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용수제어볼(Ball)(166)이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200)(200a) 쪽으로 용수(W1)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구(162) 부위에는 경사진 테이퍼(Taper)부(163)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상기 테이퍼부(163)와 고정핀(165) 사이에 중공(161)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 용수제어볼(166)로 하여금 용수유입구(162)에 차단과 오픈(Open)제어 동작이 유용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압착부재(200)(200a)를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밀착시켜 준 상태에서 첫 번째 동작으로 손잡이(330)를 잡고 피스톤로드(411)를 화살표(가') 방향 즉, 아래로 눌러주게 되면, 이때 스토퍼(413)가 실린더(410)의 상측단부(410a)에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피스톤헤드(422)의 저면(부호 생략함.)과 틈새부(151)에 의해 관통공간부(120)와 압착부재(200)(200a) 간을 오픈(Open)시켜,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에 대해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을 통해 유입되어 제1잔류공기유도로(341)와 제2잔류공기유도로(342)를 거쳐 잔류공기배출구(343)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이어서, 두 번째 동작으로 상기 손잡이(330)를 화살표(나') 방향, 즉 위로 서서히 당겨주게 되면, 이때 제2피스톤헤드(422)가 관통공간부(120)를 지나면서 실린더(410)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용수제어밸브(160) 내에 구비된 용수제어볼(166)이 화살표(라) 방향 즉, 안쪽으로 중공(161)을 따라 흡입되어 이동하면서 고정핀(165)에 결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용수유입구(162)를 통해서 용수(W1)가 관통공간부(120)를 거쳐 실린더(410)에 서서히 유입되어 채워짐과 함께 용수토출구(150)를 거쳐 압착부재(200)(200a) 내에도 가득 채워지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10)를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실린더(410)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투명창을 구비시켜 줌으로써, 용수(W1)의 흡입량을 비롯한 흡입상태 여부에 대한 확인이 좀 더 용이할 것이다.
이어서, 세 번째 동작으로 상기 손잡이(330)를 잡고 피스톤로드(411)를 화살표(가') 방향으로 눌러주게 되면, 이때 이중 구조의 제1피스톤헤드(421)와 제2피스톤헤드(422)로 구비된 피스톤(420)에 의해 실린더(410)에 채워진 용수(W1)가 화살표(마) 방향, 즉 압착부재(200)(200a) 쪽으로 밀려지면서 압축력을 생성(또는 "발생"이라고도 한다.)시켜 주게 된다.
이와 더불어서, 상기 손잡이(330)를 화살표(가') 방향으로 계속 더 밀어주게 되면, 이때 용수제어밸브(160) 내에 구비된 용수제어볼(166)이 화살표(다) 방향 즉, 바깥쪽으로 중공(161)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수유입구(162)를 막아 용수(W1)의 외부유출을 차단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압착부재(200)(200a) 내에 가득 채워진 용수(W1)를 더욱 강한 압축력으로 용수토출구(150)을 통해 화살표(마) 방향으로 배수구 내로 토출시켜 줌으로써, 막힌 변기의 배수를 용이하게 뚫어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스톤(420)이 체결된 고정단부(411a)는 첨부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수토출구(150) 쪽에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으로 구비된 잔류공기제어구(360)를 오픈(Open)제어하여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제2잔류공기유입구(34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잔류공기유입구(340)는 잔류공기(P11)에 대한 유입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더 나아가서 잔류공기(P11) 배출 이후 압착부재(200)(200a) 내에 채워진 용수(W1)가 제2잔류공기유입구(340)를 통해서 역류하는 것을 차단시켜 주기 위해 둥근 형상의 잔류공기제어구(360)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요홈으로 구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2잔류공기유입구(340)에 유입된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을 유도시켜 주기 위해 제2잔류공기유입구(340)에 접하여 피스톤로드(411)의 내측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2잔류공기유도로(342)를 관통 형성시킨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411)에 연결된 손잡이(330) 부위의 제2잔류공기유도로(342)에 접하여 형성되고,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내를 통과하는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잔류공기배출구(34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잔류공기제어구(360)는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내에 설치된 지지로드(311)의 고정단부(311a)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손잡이(330) 부위의 지지로드(311)에 연결된 눌림부(312)를 눌러 줌으로써, 이때 제2잔류공기유입구(340)를 오픈(Open)제어시켜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눌림부(312)는 장착홈(353)에 설치시켜 주되, 상기 눌림부(312)에 구비된 걸림단부(312a)와 장착홈(353)에 구비된 걸림턱(354)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313)이 지지로드(Road)(311)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압착부재(200)(200a)를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밀착시켜 준 상태에서 눌림부(312)를 화살표(가) 방향 즉, 아래로 눌러주게 되면, 이때 탄성 스프링(313)이 압축되면서 잔류공기제어구(360)가 제2잔류공기유입구(340)를 오픈(Open)제어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제2잔류공기유입구(340)로 유입시켜 줌과 함께 제2잔류공기유도로(342)를 거쳐 잔류공기배출구(34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어서, 눌림부(312)를 놓게 되면 탄성 스프링(313)이 화살표(나) 방향 즉, 위로 원위치 복원되면서 다시 잔류공기제어구(360)가 제2잔류공기유입구(340)를 차단제어시켜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축장치(10)는 변기에 남아 있는 용수(W1)가 용수제어밸브(160)에 구비된 용수유입구(162) 위로 충분하게 차 있을 때 상기 용수유입구(162)로부터 용수(W1)의 유입동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용수압축부(400)로 하여금 용수(W1)에 대한 강한 압축력의 생성에도 더 유리할 것이다.
또한, 상기 용수토출구(150)에는 나팔형상의 바디(Body)(210)로 이루어진 압착부재(200)를 고정부(230)를 통해 고정시켜 주거나, 또는 경사진 테이퍼(Taper)부(263)가 형성된 바디(Body)(210a)로 이루어진 압착부재(200a)를 고정부(230a)를 통해 고정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이때, 나팔형상의 압착부재(200)는 변기의 배수구 외측 입구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에 유리하고, 경사진 테이퍼부(263)를 가진 압착부재(200a)는 변기의 배수구에 삽입 밀착시켜 사용하는 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재(200a)가 뒤집혀 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고, 더 나아가서 용수압축부(400)에서 생성된 압력의 누수를 방지하여 더욱 강한 압력으로 압축시킨 용수를 막힌 변기의 배수구에 화살표(마) 방향으로 토출시켜 줄 수 있는 유용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200)(200a)의 끝단 테두리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밀착부(240)(240a)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변기의 배수구에 밀착을 용이하게 하여 압축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 : 압축장치
100 : 용수제어부
120 : 관통공간부
130 : 제1관통부
131, 141 : 걸림턱
140 : 제2관통부
150 : 용수토출구
151 : 틈새부
160 : 용수제어밸브(Check Valve)
161 : 중공
162 : 용수유입구
163 : 테이퍼(Taper)부
165 : 고정핀(Pin)
166 : 용수제어볼(Ball)
200, 200a : 압착부재
210, 210a : 바디(Body)
220, 220a : 공간부
230, 230a : 고정부
240, 240a : 밀착부
263 : 테이퍼(Taper)부
311 : 지지로드(Road)
311a : 고정단부
312 : 눌림부
312a : 걸림단부
313 : 탄성 스프링
330 : 손잡이
340 : 제2잔류공기유입구
341 : 제1잔류공기유도로
342 : 제2잔류공기유도로
343 : 잔류공기배출구
353 : 장착홈
354 : 걸림턱
360 : 잔류공기제어구
400 : 용수압축부
410 : 실린더(Cylinder)
410a : 상측단부
411 : 피스톤로드(Piston Road)
411a : 고정단부
413 : 스토퍼(Stopper)
420 : 피스톤(Piston)
421 : 제1피스톤헤드(Head)
422 : 제2피스톤헤드(Head)
431, 432 : 피스톤링(Ring)
440 : 제1잔류공기유입구

Claims (7)

  1. 압착부재(200)(200a)와 용수압축부(400) 사이에 용수제어부(100)가 구비된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에 있어서,
    피스톤(420)이 출입하는 관통공간부(120)의 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관통부(130)에 체결되어 용수제어밸브(160)를 통해 실린더(410)에 유입된 용수(W1)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지는 용수압축부(400);
    상기 용수압축부(400)에 구비된 피스톤(420)과 대향하여 관통공간부(120)의 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실린더(410)에서 압축된 용수(W1)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용수토출구(150)와 상기 관통공간부(120)의 어느 한 측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관통부(140)에 체결되어 용수(W1)의 유입과 유출차단을 제어시켜 주기 위한 용수제어밸브(160)가 구비된 용수제어부(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압축부(400)는 피스톤로드(411)에 연결되어 실린더(410)를 통해 관통공간부(120)를 출입하는 피스톤(420)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피스톤(420)은 오목하게 형성된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의 상하방향으로 분리 형성시킨 제1피스톤헤드(421)와 제2피스톤헤드(422);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20)은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제1잔류공기유입구(440);
    상기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에 유입된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을 유도시켜 주기 위해 제1잔류공기유입구(440)에 접하여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1잔류공기유도로(341);
    상기 제1잔류공기유도로(341)에 유입된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을 유도시켜 주기 위해 제1잔류공기유도로(341)에 접하여 피스톤로드(411)의 내측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상기 피스톤로드(411)에 연결된 손잡이(330) 부위의 제2잔류공기유도로(342)에 접하여 형성되고,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내를 통과하는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잔류공기배출구(34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20)은 스토퍼(413)가 실린더(410)의 상측단부(410a)에 맞닿은 상태에서 관통공간부(120)와 압착부재(200)(200a) 간을 제2피스톤헤드(422)의 저면을 통해 오픈시켜 주기 위한 틈새부(151);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제어밸브(160)는 중공(161)으로 이루어지되, 제2관통부(140)에 체결되는 체결단부(167) 쪽에 중공(161)을 가로질러 고정핀(165)을 설치함과 함께 용수(W1)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구(162) 쪽에 형성된 경사진 테이퍼부(163);
    상기 테이퍼부(163)와 고정핀(165) 사이에 유동되게 구비된 용수제어볼(166);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20)이 체결된 고정단부(411a)는 용수토출구(150) 쪽에 구비된 잔류공기제어구(360)를 오픈제어하여 압착부재(200)(200a)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P11)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제2잔류공기유입구(340);
    상기 제2잔류공기유입구(340)에 유입된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을 유도시켜 주기 위해 제2잔류공기유입구(340)에 접하여 피스톤로드(411)의 내측으로 관통 형성시킨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및
    손잡이(330) 부위의 제2잔류공기유도로(342)에 접하여 형성되고,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내를 통과하는 잔류공기(P11)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잔류공기배출구(34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공기제어구(360)는 제2잔류공기유도로(342) 내에 설치된 지지로드(311)의 고정단부(311a)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손잡이(330) 부위의 지지로드(311)에 연결된 눌림부(312)를 눌러 제2잔류공기유입구(340)를 오픈제어시켜 주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KR1020120087165A 2012-08-09 2012-08-09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KR10137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165A KR101370686B1 (ko) 2012-08-09 2012-08-09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165A KR101370686B1 (ko) 2012-08-09 2012-08-09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94A KR20140021194A (ko) 2014-02-20
KR101370686B1 true KR101370686B1 (ko) 2014-03-07

Family

ID=5026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165A KR101370686B1 (ko) 2012-08-09 2012-08-09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84A (ko) 2019-05-31 2020-12-09 변안일 하수배관 관통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8691B (zh) * 2014-04-28 2016-02-10 慈溪市多邦电器有限公司 一种大力洗漱盆疏通搋子
KR101719239B1 (ko) * 2016-01-14 2017-04-04 변안일 배관 막힘 제거장치
KR200481587Y1 (ko) * 2016-05-04 2016-10-18 오승수 양변기용 압축기
KR102281332B1 (ko) * 2020-02-21 2021-07-26 유기창 좌변기용 막힘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50U (ko) * 1999-04-13 2000-11-25 이상배 양변기용 관통장치
KR200310004Y1 (ko) 2003-01-15 2003-04-08 남준욱 배수구 청소장치.
KR200395043Y1 (ko) 2005-06-07 2005-09-07 (주)코리아홈쇼핑 배수관용 관통장치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50U (ko) * 1999-04-13 2000-11-25 이상배 양변기용 관통장치
KR200310004Y1 (ko) 2003-01-15 2003-04-08 남준욱 배수구 청소장치.
KR200395043Y1 (ko) 2005-06-07 2005-09-07 (주)코리아홈쇼핑 배수관용 관통장치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84A (ko) 2019-05-31 2020-12-09 변안일 하수배관 관통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94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686B1 (ko)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KR100969651B1 (ko) 튜브용기의 내용물 유출 방지장치
EP1704793A2 (en) Liquid cosmetic case
US20140298579A1 (en) Plunger
KR20070009055A (ko)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US5524296A (en) Plunger device
KR101329984B1 (ko) 변기의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KR101748435B1 (ko) 변기 커버
US9234339B2 (en) Flush toilet with built-in unclog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2019505746A (ja) 安全バルブ
KR10161514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CN205444356U (zh) 一种气体管道疏通器
KR20150068058A (ko) 무동력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CN215367614U (zh) 一种泄压控制阀、压力水箱和便器
KR101330057B1 (ko)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KR20100003237U (ko) 막힘 소통용 압축기
KR20150120041A (ko) 거품펌프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0861067B1 (ko) 공기 압축식 배수구멍 소통공구
DE10148336A1 (de) Beckenablaufstopfen
KR200481745Y1 (ko) 별도의 공기 배출부가 구비된 물놀이 튜브
KR200475101Y1 (ko) 변기용 펌프
KR101533388B1 (ko)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
KR20090001639U (ko) 막힘 소통용 압축기
KR20030017925A (ko) 자폐식 수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