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153B1 -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 Google Patents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153B1
KR102351153B1 KR1020200139013A KR20200139013A KR102351153B1 KR 102351153 B1 KR102351153 B1 KR 102351153B1 KR 1020200139013 A KR1020200139013 A KR 1020200139013A KR 20200139013 A KR20200139013 A KR 20200139013A KR 102351153 B1 KR102351153 B1 KR 10235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hole
drain
airtight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배
Original Assignee
홍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배 filed Critical 홍성배
Priority to KR102020013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주름진 자바라부의 하단에 구비된 경사부를 배수구의 배수구멍에 끼워 장입하는 과정에서 손잡이를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경사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나선형 기밀부가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수구의 배수구멍 내면측으로 장입될 수 있어 관통구의 배수구멍 장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수구멍 내면에 장입되는 나선형 기밀부에 의해 배수구멍의 크기에 관계없이 배수구멍 내면에 대한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여 주름진 자바라를 반복적으로 밀었다 당기는 동작에 의해 진공압이 발생될 때 진공압 발생력이 크게 향상되어 배수구의 막힌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며 나선형 기밀부와 배수구멍 내면과의 선접촉에 의해 나선형 기밀부가 회전되면서 장입됨에 따라 관통구를 쉽고 용이하게 배수구의 배수구멍 내면측으로 장입할 수 있는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Air pressing type hole removal tool}
본 발명은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었다 당기는 반복 동작에 의해 내부에서 진공압이 발생되어 막혔던 배수구의 이물질을 해체하는 공기압축식 관통구를 배수구멍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쉽게 장입하여 사용함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선방향으로 관통구를 배수구의 배수구멍에 장입함에 따라 배수구멍을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관통구를 밀었다 당기는 동작을 반복할 때 내부 진공압 발생이 용이하도록 한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힌 변기 또는 배수구를 뚫는 기구로, 손잡이의 한쪽 끝에 고무를 성형하여 제작한 고무캡을 결합한 손잡이식 압축기(일명 '뚫어뻥')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배수구 소통기구는, 변기 또는 배수구가 막혔을 때는 고무캡을 막힌 곳의 입구에 밀착시킨 다음 손잡이를 힘차게 반복적으로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고무캡이 반복적으로 눌러지면서 내부의 물 또는 공기에 높은 압력이 발생하여 막힌 곳이 뚫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손잡이식 압축기는 손잡이를 누르는 과정에서 고무캡이 쉽게 뒤집어지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배수구 내부측으로 압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고, 손잡이를 반복적으로 눌러주는 과정에서 손잡이를 위로 당길 때 막힌 곳의 하수가 역류하면서 밖으로 튀어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뚫어진 곳이 역류한 하수에 의해 다시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식 압축기가 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스톤을 구비한 펌프식 압축기도 사용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게 되고, 부식에 의한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 손잡이식 압축기가 갖고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게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일예를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45681호인 배수구 및 변기 소통용 압축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고무캡, 상기 지지봉이 관통되며 상기 고무캡을 덮도록 상기 고무캡과 결합되는 형상유지부 및 상기 형상유지부의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지지봉에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으로부터 확장되어 물 및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오물튐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튐방지부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제1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지지봉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지지봉을 따라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하이동부, 상기 상하이동부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상부살, 상기 고정결합부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고 각각 상부살의 중앙부에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하부살 및 상기 다수의 상부살을 덮도록 상기 다수의 상부살에 설치되는 보호막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배수구 및 변기에 접촉되는 고무캡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게 하는 문제점은 물론 사용 및 조작이 어려워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등록특허 10-0861067호인 공기 압축식 배수구멍 소통공구가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전방에 설치되는 압착구(1)를 자라바 형태의 원통형으로 전방 외주연에 경사부(2)를 형성하고, 전방에 압착공(3) 내주연의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에 선단 내측으로 걸림단(4)을 돌출 형성하는 걸이구(5)을 장착하되, 상기 걸이구(5)는 전후 이동 안내되면서 걸이구가 압착공(3)에서 출몰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일반적인 배수구멍은 물론 배수구멍에 상하 개폐하는 개폐캡이 장착되거나 배수구멍 내부에 별도 출수공이 형성되는 변기, 세면기, 배수구 등의 다양한 배수구멍에 범용적으로 사용함은 물론 특히 자바라 형태의 흡착구에 의해 압착에 의한 공기 압축력의 발생을 극대화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인 등록특허 10-0861067호의 경우, 압착구의 반복적인 압착에 의해 발생된 압력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압착구를 배수구의 배수구멍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눌러 압착구의 경사부를 장입시켜 배수구멍을 압착구로 막아 압착구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하여야 하는 바, 이 때 경사부 외면 전체가 배수구멍 내면 전체와 밀착된 상태로 압착구가 배수구멍측으로 장입됨에 따라 압착구를 배수구멍에 장입시킬 때 많은 완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압착구의 경사부 외면 전체가 배수구멍 내면 전체에 면접촉되어 밀착되기 때문에 압착구를 배수구멍측으로 밀어줄 때 면접촉에 의한 강한 대응력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비교적 완력이 적은 여성들의 경우에는 압착구를 배수구의 배수구멍에 끼워 장입시킴이 어려워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배수구멍의 크기에 따라 긴밀한 밀착성이 떨어지며 이에 따른 내부 진공압 발생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45681호(2009.08.17.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61067호(2008.09.24. 등록)
본 발명은 나선방향으로 관통구를 돌리면서 배수구의 배수구멍에 장입하여 끼운 후 관통구를 반복적으로 밀었다 당기는 동작을 취함에 따라 내부 진공압이 강하게 발생되도록 하고 공기압축식 관통구를 배수구멍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쉽게 장입하여 사용함이 가능하도록 하며 관통구를 밀었다 당기는 동작을 반복할 때 내부 진공압 발생이 용이하도록 한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는, 손잡이가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 주름진 자바라부가 구비되며 타단에 배수구멍에 끼워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진 압착구를 포함하는 공기압축식 관통구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부 최하단과 경사부 상단에는 배수구멍의 입구를 덮어주어 밀폐하도록 상기 자바라부 최하단으로부터 경사부 상단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를 배수구멍측으로 밀어 장입할 때 경사부가 배수구멍측으로 용이하게 밀어지면서 장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부 외면에는 상기 차단부와 경사부 최하단을 연결하는 나선형 기밀부가 경사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나선형 기밀부는, 상기 차단부와 경사부 외면을 연결하도록 차단부와 경사부 최하단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밀벽과; 상기 기밀벽 상단에 구비되어 배수구멍 내면에 밀착되되 선접촉 밀착되어 상기 경사부를 배수구멍 내면에 쉽고 용이하게 끼워 장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멍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선접촉가이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주름진 자바라부의 하단에 구비된 경사부를 배수구의 배수구멍에 끼워 장입하는 과정에서 손잡이를 나선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경사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나선형 기밀부가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수구의 배수구멍 내면측으로 장입될 수 있어 관통구의 배수구멍 장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수구멍 내면에 장입되는 나선형 기밀부에 의해 배수구멍의 크기에 관계없이 배수구멍 내면에 대한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여 주름진 자바라를 반복적으로 밀었다 당기는 동작에 의해 진공압이 발생될 때 진공압 발생력이 크게 향상되어 배수구의 막힌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며 나선형 기밀부와 배수구멍 내면과의 선접촉에 의해 나선형 기밀부가 회전되면서 장입됨에 따라 관통구를 쉽고 용이하게 배수구의 배수구멍 내면측으로 장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압축식 관통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 생략 일측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 생략 타측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가 배수구멍에 장입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가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 주름진 자바라부가 구비되며 타단에 배수구멍에 끼워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진 압착구를 포함하는 공기압축식 관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50)를 잡은 상태에서 배수구멍(101) 내면에 경사부(20)를 장입하고 차단부(30)에 의해 배수구멍(101)의 상단이 차단되도록 한 후 손잡이(50)를 배수구멍(101) 측으로 밀었다 당겨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주름진 자바라부(10)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막힌 이물질이 배수구멍(101)을 통해 빠져나와 제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작용은 종래 공기압축식 관통구의 작용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배수구의 배수구멍(101) 내면측으로 경사부(20)를 장입함이 용이하도록 하고 배수구멍(101) 내면과 경사부(20)와의 긴밀성을 크게 향상시켜 손잡이(50)를 반복적으로 밀었다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진공압 발생이 용이하도록 하여 배수구의 막힌 이물질이 배수구멍(101)을 통해 빠져나와 제거됨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배수구멍(101)의 크기에 관계없이 경사부(20)를 배수구멍(101) 내면에 긴밀하게 장입하여 사용함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자바라부(10) 최하단과 경사부(20) 상단에는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의 입구를 덮어주어 밀폐하도록 상기 자바라부(10) 최하단으로부터 경사부(20) 상단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차단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30)를 경사지게 구비하는 이유는 배수구멍(101)의 크기에 관계없이 배수구멍(101)의 입구에 차단부(30)의 경사진 하단이 위치되도록 하여 배수구멍(101)측으로 발생된 진공압이 빠져나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부(20)를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측으로 밀어 장입할 때 경사부(20)가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측으로 용이하게 밀어지면서 장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부(20) 외면에는 상기 차단부(30)와 경사부(20) 최하단을 연결하는 나선형 기밀부(40)가 경사부(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나선형 기밀부(40)의 나선방향은 도시한 바에 의하면 경사부(20) 우측에서 차단부(30) 좌측으로 나선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나선방향을 경사부(20)의 좌측에서 차단부(30)의 우측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기밀부(40)를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부(20)와 차단부(30) 외면에 2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나선형 기밀부(40)의 개수 역시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경사부(20)의 최하단을 배수구의 배수구멍(101) 입구에 위치한 상태에서 손잡이(50)를 돌려주면 경사부(20) 외면에 나선방향으로 돌출된 나선형 기밀부(40)가 배수구멍(101)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나선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수구멍(101)의 내면측으로 장입되기 때문에 상기 경사부(20)를 쉽고 용이하게 배수구멍(101)의 내면측으로 장입할 수 있다.
더욱이, 경사부(20)의 외면에 돌출된 나선형 기밀부(40)가 손잡이(50)를 돌려주는 동작에 의해 배수구멍(101)의 내면측으로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장입될 때 나선형 기밀부(40)가 배수구멍(101)의 내면에 대해 선접촉된 상태에서 손잡이(50)를 돌려주는 힘에 의해 주름진 자바라부(10) 및 경사부(20)가 회전되면서 나선형 기밀부(40) 상단이 배수구멍(101) 내면측으로 눌러져 절곡되면서 장입됨에 따라 배수구멍(101)의 크기에 관계없이 쉽게 경사부(20)를 배수구멍(101)의 내면측으로 장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나선형 기밀부(40)는, 상기 차단부(30)와 경사부(20) 외면을 연결하도록 차단부(30)와 경사부(20) 최하단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밀벽(41)과, 상기 기밀벽(41) 상단에 구비되어 배수구의 배수구멍(101) 내면에 밀착되되 선접촉 밀착되어 상기 경사부(20)를 배수구멍(101) 내면에 쉽고 용이하게 끼워 장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멍(101)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선접촉가이드(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선접촉가이드(42)가 상단에 구비된 나선형 기밀부(40)의 기밀벽(41)을 경사지게 구비하는 이유는, 손잡이(50)를 돌려주는 힘에 의해 주름진 자바라부(10) 및 경사부(20)가 회전되면서 상기 나선형 기밀부(40)의 선접촉가이드(42)가 배수구멍(101) 내면측으로 눌러져 절곡되면서 장입됨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나선형 기밀부(40)의 기밀벽(41) 상단에 구비된 선접촉가이드(42)가 배수구멍(101)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선접촉되어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수구멍(101)의 내면측으로 장입되기 때문에 배수구멍(101)의 내면측으로 쉽게 용이하게 장입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멍(101)의 내면에 대해 상기 선접촉가이드(42) 및 기밀벽(41)을 갖는 나선형 기밀부(40)에 의해 기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50)를 반복적으로 밀었다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배수구멍(101)의 내부를 왕복 압축 및 진공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진공압이 배수구멍(101)의 밖으로 빠져나와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가 진공압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밀벽(41)은 상기 경사부(20) 외면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선접촉가이드(42)는 경사부(20)를 배수구멍(101)에 장입하기 위해 경사부(20)를 회전시킬 때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의 내면과의 선접촉에 의해 상기 기밀벽(41) 및 선접촉가이드(42)의 회전 장입이 용이하도록 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선접촉가이드(42)를 선형으로 구비함에 따라 나선형 기밀부(40)가 배수구멍(101) 내면측으로 나선 방향 회전되어 장입될 때 선형으로 이루어진 선접촉가이드(42)가 배수구멍(101)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절곡되어 장입됨에 따라 배수구멍(101)의 크기에 관계없이 쉽고 용이하게 장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접촉가이드(42)가 선접촉에 의해 배수구멍(101)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진공압 발생력이 크게 향상되고 발생되는 진공압이 빠져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자바라부 20 : 경사부
30 : 차단부 40 : 나선형 기밀부
41 : 기밀벽 42 : 선접촉가이드
50 : 손잡이

Claims (3)

  1. 손잡이가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 주름진 자바라부가 구비되며 타단에 배수구멍에 끼워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진 압착구를 포함하는 공기압축식 관통구에 있어,
    자바라부(10) 최하단과 경사부(20) 상단에는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의 입구를 덮어주어 밀폐하도록 상기 자바라부(10) 최하단으로부터 경사부(20) 상단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차단부(30)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20)를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측으로 밀어 장입할 때 경사부(20)가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측으로 용이하게 밀어지면서 장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부(20) 외면에는 상기 차단부(30)와 경사부(20) 최하단을 연결하는 나선형 기밀부(40)가 경사부(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기밀부(40)는,
    상기 차단부(30)와 경사부(20) 외면을 연결하도록 차단부(30)와 경사부(20) 최하단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밀벽(41)과;
    상기 기밀벽(41) 상단에 구비되어 배수구의 배수구멍(101) 내면에 밀착되되 선접촉 밀착되어 상기 경사부(20)를 배수구멍(101) 내면에 쉽고 용이하게 끼워 장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멍(101)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선접촉가이드(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벽(41)은 상기 경사부(20) 외면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선접촉가이드(42)는 경사부(20)를 배수구멍(101)에 장입하기 위해 경사부(20)를 회전시킬 때 배수구의 배수구멍(101)의 내면과의 선접촉에 의해 상기 기밀벽(41) 및 선접촉가이드(42)의 회전 장입이 용이하도록 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KR1020200139013A 2020-10-26 2020-10-26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KR10235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3A KR102351153B1 (ko) 2020-10-26 2020-10-26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3A KR102351153B1 (ko) 2020-10-26 2020-10-26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153B1 true KR102351153B1 (ko) 2022-01-12

Family

ID=7933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13A KR102351153B1 (ko) 2020-10-26 2020-10-26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1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67B1 (ko) 2008-06-17 2008-09-30 홍기영 공기 압축식 배수구멍 소통공구
KR200445681Y1 (ko) 2007-11-21 2009-08-24 노영수 배수구 및 변기 소통용 압축기
CN105813525A (zh) * 2013-12-23 2016-07-27 加里里奇蒙·斯图尔特 马桶清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81Y1 (ko) 2007-11-21 2009-08-24 노영수 배수구 및 변기 소통용 압축기
KR100861067B1 (ko) 2008-06-17 2008-09-30 홍기영 공기 압축식 배수구멍 소통공구
CN105813525A (zh) * 2013-12-23 2016-07-27 加里里奇蒙·斯图尔特 马桶清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4597A (ko) 배관의 관 막힘 제거 및 청소기 및 배관의 청소 방법 및압축 공기 누설 저지 부재
US20090100615A1 (en) Scrubbing device
US5750022A (en) Vacuum system for removal of debris from swimming pools
KR102351153B1 (ko) 배수구 삽입이 용이한 공기압축식 관통구
US4546789A (en) Valved access fitting
WO2005076822A3 (en) Flush mounted waste disposal service panel assembly
CN107326989B (zh) 一种取尿装置
US20110016658A1 (en) Hand-held drain clearing device
US8320752B1 (en) Drain attachment for a water heater
US5020166A (en) Multi-purpose water pressure plunger
US5694957A (en) Spa cleaner
CN213656000U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接头
CN212104374U (zh) 正负压下水道疏通机
CN209907514U (zh) 一种自动直冲马桶
CN110042626B (zh) 分配器盒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EP2278080A1 (en) Hand-held drain clearing device
US6257550B1 (en) Drain valve adapter for aqueous container
US20050034228A1 (en) Toilet plunger apparatus
CN219140154U (zh) 一种水箱进出水接头及水箱装置
CN218572122U (zh) 清洁系统及清洁设备
AU2010243797B2 (en) Siphon and item of furniture
CN217784525U (zh) 一种管道连接装置及高压清洗机
CN215105780U (zh) 食物垃圾处理器用排水口快速连接装置及食物垃圾处理器
CN103768668A (zh) 一种减压收集装置
CN218044982U (zh) 地拖结构及洗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