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887A - 위변조방지용 소재 - Google Patents

위변조방지용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887A
KR20030012887A KR1020027017243A KR20027017243A KR20030012887A KR 20030012887 A KR20030012887 A KR 20030012887A KR 1020027017243 A KR1020027017243 A KR 1020027017243A KR 20027017243 A KR20027017243 A KR 20027017243A KR 20030012887 A KR20030012887 A KR 2003001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forgery
alteration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5487B1 (ko
Inventor
아사 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3001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36Reflex reflectors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84Translucent layer comprises natural oil, wax, resin, gum, glue, gelat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5Silane, siloxane or silicon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6Glass particles or sphe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재귀반사재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소재상부에의 가공에 대하여 위변조방지효과를 향상시킨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위변조방지용소재(2)는, 입사광을 대략 입사광진입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재귀반사재(4)와 상기 재귀반사재(4)에 투명필름(6)을 척층하여 사용되는 소재에 있어서, 상기재귀반사재(4)와 상기 투명필름층(6)사이에 상기 투명필름(6)과 비교하여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8)을 구비하고, 상기 저투과율층(8)의 빛의 투과율은 420nm ~ 700nm의 파장영역의 빛에 대하여 4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변조방지용 소재{FORGERY/ALTERATION PROTECTIVE MATERIAL}
특정의 기업에 의해 제조된 제품은 그 기업명이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소비자는 그 제품을 신뢰하고, 높이 평가한다. 특히 이와 같이 기업명은 소비자의 브랜드 지향을 자극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소비자의 신뢰와 브랜드 지향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얻은 기업명을 부당하게 제품에 부착하고 이익을 얻을려고 하는 것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것에 의해 시장에 돌아다니는 위조제품은 주로 품질이 상당히 열악하고, 힘들게 얻은 소비자의 신뢰를 잃게하기 때문에 기업에 있어서는 큰 문제로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위조를 곤란하게 하는 기술이나 진성품과 위조품을 판별하기위한 기술을 제품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위조품의 유통을 방지하는데 힘쓰고 있다.
이와 같이 위조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제품에 적용된 것으로서 재귀반사재와다변색성의 펄안료를 사용한 기술이 존재한다. 도 14에는 이와같은 재귀반사재를 이용한 위조방지용 소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재귀반사재를 이용한 위조방지용 소재(100)은 베이스(102)상에 재귀반사재층(104)와 투명 필름층(106)이 적층되어 있고, 재귀반사재층(104)와 투명 필름층(106)의 사이에는 사진정보(108)이나 인쇄된 문자정보(110)등이 부가되어있다.
여기에 도시한 재귀반사재(104)는 베이스(112)와 간섭물질층(114)와 투명미소구(微小球)(116)으로 구성되고, 태양광이나 조명의 빛에 의해 통상의 빛에서는 재귀반사재에 다양한 방향을 입사하기 때문에 각층에서 광의 산란이 발생하고 재귀반사체 또는 간섭물질층(114)에 의해 간섭색이 관찰되지않고, 진행방향으로 정렬된 빛(이하 '직선광'이라 한다.)을 조사하면, 투명미소구(116) 및 간섭물질층(114)에서 재귀반사 및 빛의 간섭에 의해 간섭색이 관찰된다. 예를들면 통상적인 빛과 직선광에서 간섭물질층에 다른 문자나 도형이 표시되도록 해두면 진성품과 위조품의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조방지용 소재(100)의 재귀반사재(104)를 변조하려고 하면, 재귀반사재층에 형성된 베이스(112), 간섭물질층(114), 투명미소구(116)의 형성상태가 붕괴하고 재생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변조는 대단히 곤란하게 된다. 또한 간섭물질층(114)의 통상적인 빛아래, 직선광의 아래에서 관찰되는 도형이나 문자정보를 완전히 동일하게 재현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고, 위조방지에 공헌하게 된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한 구성의 종래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서는 사진정보(108)이나 문자정보(110)은 투명필름층(106)을 지우고, 사진정보(108)이나 문자정보(110)을 개조하여 원래대로 투명필름으로 덮어 변조가 가능하였다. 또한 개조에 의해 사진정보(108)이나 문자정보(110)에 변경이 가해져도 재귀반사재층(104)는 정보를 보유한 그대로이어서 개조된 사실을 판별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다. 특히 재귀반사재층(104)를 손으로 넣는 것이 가능하다면 이와 같은 종래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위조하는 것은 간단해져버린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소재상부에의 가공에 대하여 안전성이 낮다.
본출원은 2000년 7월 10일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2000-20887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여, 여기에 넣은 것이다.
본발명은 위변조방지용 소재, 특히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를 이용하여 특정의 상황에서 정보의 해독이 가능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통상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직선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통상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직선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구상 무기분체 또는 구상 수지분체를 사용하여 저투과율층을 형성한 경우의 저투과율층의 형성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착색광을 입사광 진행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착색광 재귀반사재의 구성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표 1의 결과를 그래프로 정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표 2의 결과를 그래프로 정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험 2에서의 시료의 형성수순, 및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각각의 상황하에서 실시예1을 관찰한 경우의 관찰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각각의 상황하에서 실시예3을 관찰한 경우의 관찰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기타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재귀반사재를 사용한 종래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재귀반사재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소재상부의 가공에 대하여 위변조방지효과를 향상시킨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입사광을 대략 입사광 진행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재귀반사재와 상기 재귀반사재에 투명필름을 적층하여 사용되는 소재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와 상기 투명필름층의 사이 또는 상기 투명필름층표면에 상기 투명필음과 비교하여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을 구비하고 상기 저투과율층의 빛의 투과율은 420nm~700nm의 파장영역의 빛에 대하여 4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와 상기 저투과율층의 사이 또는 상기 재귀반사재에 인쇄에 의해 문자나 도형 또는 사진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가 입사광의 색조와는 다른 색조의 착색광을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착생광 재귀반사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상기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와 상기 투명필름을 비교하여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가 구상(球狀)실리카(silica), 구상 알루미나등의 구상 무기분체 또는 구상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구상 폴리에틸렌, 구상 실리콘등의 구상수지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상기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와 상기 투명 필름과 비교하여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가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티탄 피복운모등의 무기물, 도는 알루미늄, 금등의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있어서 종이나, 필름등의 베이스 또는 물품에 점착 또는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용 소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위변조방지용 소재(2)는 베이스(3)에 점착되고, 입사광을 대략 입사광 진행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재귀반사재(4)와 상기 재귀반사재(4)에 투명필름(6)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소재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4)와 상기 투명필름층(6) 사이에 상기 투명필름(6)을 비교하여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8)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투과율층(8)은 반드시 위변조 방지용 소재의 일면전체를 피복하는 층으로 할 필요는 없다.
저투과율층(8)을 형성하고 있는 투명필름(6)과 비교하여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는 2종류로 분류되는 재료가 거명되고, 하나는 상기 투명필름과 비교하여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이고 또하나는 상기 투명필름과 비교하여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통상광이 조사되는 경우과 직선광이 조사되는 경우에서 다른 거동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빛의 명칭에 대하여 정의한다. 통상광은 상기종래의 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태양광, 또는 형광등 등의 조명의 빛과 같이 존재하는 파장이 제각기 다르고 또한 빛의 진행방향도 제각기 다른 상태의 빛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직선광은 존재하는 빛의 파장은 제각각이어도 진행방향이 일치되는 빛을 말한다. 이런 의미에서 레이저광선과 같은 코히런트(coherent) 빛은 직선광의 특수한 형태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레이저광선도 직선광으로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정의되는 2종의 빛을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조사하고 그 거동을 도시한다. 즉,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와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서 다소 거동이 달라지므로 이것을 2개로 나누어 설명한다.
도 2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통상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의 개략도이다. 즉, 도 2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광하에서는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다양한 방향으로 빛(10)이 입사한다.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입사한 빛(1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층(6), 저투과율층(8)을 통과하고 재귀반사재층(4)에 이르러 대략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된 빛은 귀환광(12)로 되어 다시 투명 필름층(6)을통과하고 그대로 대략 입사광 진행방향으로 귀환하여 가지만, 귀환중에 저투과율층(8)에 도달한 빛은 귀환광(12)와 다르게 된다. 저투과율층(8)을 형성하는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확산되는 확산광(14)로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도 입사광(10)의 입사방향이 다양한 방향이기 때문에, 귀환광(12)의 진행방향도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저투과율층(8)에 의해 확산된 확산광(14)와 귀환광(12)의 차이가 확실하게 구별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통상광하에서 육안에 의해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관찰하는 경우 저투과율층은 실질적으로 보는 것이 불가능한 층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직선광을 조사한 경우는 다음과 같은 거동을 보인다. 도 3은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직선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즉, 도 3에 있어서 도 2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광하에서는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한 방향뿐인 빛(10)이 입사된다.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입사한 빛(10)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층(6)을 통과하고, 저투과율층(8)을 통과하는 때에 일부 확산되고, 재귀반사재층(4)에 도달하여 대략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된 빛은 귀환광(12)로 되고 다시 투명필름층(6)을 통과하여 그대로 대략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귀환해가지만 귀환중에 저투과율층(8)에 도달한 빛은 귀환광(12)와 다르게 역시 저투과율층(8)을 형성하는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확산하는 확산광(14)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대략 직선광 조사 방향으로 육안으로 관찰가능하고, 귀환광(12)의 진행방향은 관찰하고 있는 육안으로 향하기 때문에 매우 선명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투과율층(8)에 의해 확산광으로 된 확산광(14)는 빛의 방향성이 제각각 다르게 되어 육악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이 대단히 감소된다. 이런 이유로 육안으로는 저투과율층(8)이 어둡게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위변조방지용 소재에는, 저투과율층(8)이 통상광하에서는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밀정보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통상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즉,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광하에서는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다양한 방향으로 빛(10)이 입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입사한 빛(10)은 도 4(b)에 도달하고, 대략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된 빛은 귀환광(12)로 되고 다시 투명 필름층(6)을 통과하고, 그대로 대략 입사광진입방향으로 귀환하지만, 귀환중에 저투과율층(8)에 도달한 빛은 귀환광(12)와는 다르게 저투과율층(8)을 형성하는 광차폐성이높은 재료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강도가 약해진 귀환광(16)으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면, 저투과율층(8)은 육안으로 관찰가능하게 되고 여기서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의장성을 부여해서 위변조방지용 소재(2)의 의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통상광하에서 육안에 의해 본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관찰하는 경우 저투과율층은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의장성을 높이는 층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직선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거동을 보인다. 도 5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직선광하에서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대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5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광하에서는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한 방향으로만 빛(10)이 입사한다.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2)에 입사한 빛(10)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층(6)을 통과하고, 저투과율층(8)을 통과하는 때에 일부 차폐되고, 재귀반사재층(4)에 도달하고 대략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된 빛은 귀환광(12)로 되고 다시 투명 필름층(6)을 통과하고 그대로 대략 입사광진입방향으로 진행하지만 귀환중에 저투과율층(8)에 도달한 빛은 귀환광(12)와 상이하게 되고, 저투과율층(8)을 형성하는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강도가 약해져서 귀환광(16)으로 된다.
이러한 상태를 대략 직선광 조사 방향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면, 귀환광(12)의 진행방향은 관찰하고 있는 육안으로 향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대단히 선명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투과율층(8)에 의해 빛의 강도가 약해진 귀환광(16)은 육안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이 대단히 감소된다. 이런 이유로 육안으로는 저투과율층(8)이 어둡게 보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광투과율성이 낮은 재료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위변조방지용 소재에서는, 저투과율층(8)이 통상광하에서는 의장성을 부여하게 되고, 직선광을 조사하면 그 부분이 어둡게 되어 비밀정도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조사되는 빛이 통상광인가 직선광인가에 의해 달라지는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직선광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위조품인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변조하기 위해 투명 필름층(6)을 분리하거나 제거하는 경우, 저투과율층(8)이 투명필름층과 같이 파괴되기 때문에 투명필름층이 복원가능하다고 하여도 직선광을 조사한 경우에 저투과율층의 관찰상태의 변화로부터 변조의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이 제일 바깥쪽 층이 투명 필름층(6)의 박리나 파괴와 동시에 저투과율층(8)이 확실하게 붕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일 바깥쪽 층의 투명 필름층과 저투과율층이 인접한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용 소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광을 조사한 경우에 저투과율층을 투과하는 빛의 강도와 저투과율층을 통과하지 않는 빛의 강도의 차이에 의해 진성품과 위조품의 판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상광하에서는 저투과율층은 보이지 않는 층이고 또는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층으로서 기능을 하지 않으면 않된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저투과율층(8)의 빛의 투과율은 420nm ~ 700nm의 파장영역의 광에 대하여 45%이상, 특히 420nm ~ 700nm의 파장영역에 대하여는 5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율이 상술한 것보다 낮으면 저투과율층의 하층에 설치된 문자정보나 사진정보의 인식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빛의 파장범위를 420nm ~700nm로한 것은 파장영역에 있어서 빛이 대략 가시광선의 파장영역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투명 필름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등의 소재가 거론되고, 홀로그램이나 광회절기록 필름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 필름과 비교하여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로서 몇가지를 예시하면 구상 실리카, 구상 알루미나등의 구상 무기분체, 또는 구상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구상 폴리에틸렌, 구상 실리콘등의 구상 수지분체가 거론된다. 상기와 같은 것들은 투명성이 대단히 높고, 또한, 광의 확산성이 대단이 높기 때문에, 통상광하에서의 불가시성, 및 직선광하에서의 광의 확산성이 풍부하여 대단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구상 무기분체, 또는 구상 수지분체의 바람직한 직경으로서는 분체가 가지는 굴절율등의 성질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언급할수는 없지만 대략 1㎛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상 무기분체 또는 구상 수지분체를 사용하여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체가 정열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빛의 확산성에 불균일성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6은 구상 무기분체, 또는 구상 수지분체를 사용하여 저투과율층을 형성한 경우의 저투과율층의 형성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상 분체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8)은 재귀반사재층(4)와 투명필름층(6)의 사이에 형성되고, 각 분체가 하나의 층으로 되도록 정렬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구체를 정렬배치시키는 것은 각 구체가 하나의 층으로 되도록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도 6(b)나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층 또는 3개의 층이라고 하는 복수의 층으로 되도록 정렬배치시키는 것도 좋다.
그러나, 너무 층을 중복시키면, 빛의 광확산성능은 그다지 향상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투명성은 저하되고, 소재 자체의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저투과율층을 구상 무기분체 또는 구상 수지분체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저투과율층의 층 두께는 1㎛ ~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필름과 비교하여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로서 몇개를 예시하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티탄피복운모등의 무기물, 또는 알루미늄, 금등의 금속이 거론된다. 이것은 통상광하에서 위변조방지용 소재에 높은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층의 형성상태를 조정하여 빛의 투과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선광하에서는 저투과율층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빛보다 저투과율층을 투과하는 빛이 많게 되고, 결과적으로 재귀반사재층(4)에서 귀환하는 빛이 저투과율층을 통하는 때에 빛의 강도를 약하게하는 층으로 기능하여 비밀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티탄피복운모등의 무기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런 무기물의 바람직한 직경으로서는 분체가 가지는 굴절율이나 표면에의 반사율, 재료 자체가 가지는 투명성등의 성질때문에 일반적으로 말할수는 없지만, 대략 분체가 구상, 괴상(塊狀)의 경우는 평균입자직경이 0.01㎛ ~10㎛가 바람직하고, 분체가 판상(板狀)인 경우에는 그 두께가 0.2㎛ ~ 10㎛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투과율층으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때에는 층 두께가 저투과율층이 빛의 투과율을 직접 좌우하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저투과율층을 산화티탄, 산화티탄피복운모등의 비교적 빛의 투과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저투과율층의 층 두께는 1㎛ ~20 ㎛, 특히 1㎛ ~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저투과율층을 산화아연, 산화철등의 비교적 빛의 투과율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나 알루미늄, 금등의 광반사성금속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소재의 굴절율이나 반사율에도 좋지만 이런 재료는 층 두께에 따라 각 단계로 광투과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층 두께를 50Å ~ 300Å 특히, 100Å ~ 200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투과율층으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 층 두께가 상기 두께보다 얇으면, 충분한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반대로 상기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빛의 투과율이 너무 낮아져서 저투과율층의 하층에 설치한 문자정보나 사진정보의 인식이 곤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와 상기 저투과율층의 사이에 인쇄에 의해 문자나 도형 또는 사진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을 하면,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재귀반사재(4)와 저투과율층(8)의 사이에는 사진정보(11)과 문자정보(13)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사진정보(11)이나 문자정보(13)을 다른 사진이나 문자로 바꾸려고 하는 경우 재귀반사재층(4) 혹은 투명 필름층(6) 및 저투과율층(8)을 일단 붕괴시키지 않으면 않게된다. 그러나 재귀반사재층(4)나 저투과율층(8)은 일단 붕괴시키면 다시 복구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고 사진정보나 문자정보가 개조되었다하더라도 직선광하에서의 관찰상태의 변화에 의해 간단히 개조된 사실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사진정보나 문자정보의 개조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재귀반사재가 입사광의 색조와 상이한 색조의 착색광을 입사광진행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착색광재귀반사재인 것이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귀반사재를 이용하면, 통상광하에서와 직선광하에서 재귀반사재가 나타내는 색조가 상이하게 되어 관찰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안전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재귀반사재로서는 간섭물질층등을 구비하는 재귀반사재가 거론된다.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착색광을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착색광재귀반사재로서 간섭물질층으로서 티탄피복운모층(17)을 구비하고, 그 위에 입사광을 입사광진입방향으로 귀환시키기 위한 투명미소구(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재귀반사재가 입사광을 착색하기 위한 기능을 설명한다.
도 7에 착색광을 입사광 진입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착색광재귀반사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도시한다. 즉, 도 7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반사재(4)는 베이스(15)상에 간섭물질층인 이산화티탄피복운모층(17)을 설치하고, 특히 그 표층측에 유리등으로 구성되는 입자경이 30㎛ ~ 80㎛인 투명미소구(18)가 다수정렬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입사한 입사광(10)은 미소구(18)내에 진행하고, 적어도 그 일부는 투명미소구(18)보다는 간섭물(17)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미소구(18)로 귀환하고 외부로 진행한다. 미소구(18)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는 면은 구면(球面)이기 때문에 입사각의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동일한 작용을 만들어내고, 입사방향에 반사광(12)를 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경우 입사광을 착색하는 기구는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다. 간섭물질층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20)은 인편상(鱗片狀)운모(22)와, 상기 운모(22)상에 피복된 이산화티탄층(24)로 구성되고, 상기 입사광(10)의 일부는 이산화티탄층(24)표면에 반사되고 반사광(12a)로 되고, 또한 일부는 운모(22)와 이산화티탄층(24)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반사광(12b)로 된다. 상기 반사광(12a)와 반사광(12b)는 이산화티탄층(24)의 약 2배의 광로차를 구비하고, 반사광(12a)와 반사광(12b)의 파장성분중에 광로차가 반파장의 기수배로되는 성분이 증폭되고, 파장의 정수배로되는 성분이 감쇄된다. 그 결과 상기 이산화티탄층(24)의 층 두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소망의 색조를 가지는 반사간섭광(26)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유색반사간섭광(26)은 투명미소구(18)에 의해 입사광 광로와 대략 동일방향으로 귀환하게 된다.
이런 재귀반사재를 사용하면 통상강에서는 빛이 다양한 방향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이산화티탄층(24)에 의해 광로차가 제각가 다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간섭에 의해 강조되는 색채는 관찰하는 불가능하게 되고, 이산화티탄피복운모(20)의 외관책이 나타내는 색이 관찰되게 된다.
그러나, 직선광을 조사하면, 직선광의 광로차는 대략 전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특정의 색이 간섭에 의해 강조되고, 직선광조사방향으로 간찰하는 때에는 간섭에 의해 강조된 색채와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외관색이 혼합된 색으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외관색과 간섭에 의해 강조되는 간섭색이 상이한 색으로 되도록 이산화티탄층의 층 두께를 조정하면 통상광, 직선광하에서 관찰되는 색채가 변화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재귀반사재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외관색에 의해 그림이나 도형, 문자등을 기재해두고, 간섭색에 의해 달라지는 그림이나 도형, 문자등이 튀어나오게해두면 보다 위변조가 곤란하게 되고, 진위의 판별에도 도움이 되어 안정성이 높아진다.
특히 이와같은 재귀반사재에 의해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직선광하에서 보이는 재귀반사재에서의 그림이나 도형, 문자와 저투과율층에서 보이는 그림이나 도형, 문자를 결합하여 특정의 정보를 제시하도록 해두면 특히 안정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즉, 여기에서 설명한 재귀반사재는 간섭물질층으로서 이산화티탄피복운모를 이용하지만 간접물질층으로서는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운모대신에 금속 알루미늄, 금속티탄, 스테인레스등의 분체, 또는 판상산화철, 판상실리카, 판상산화티탄, 판상알류미나등의 무기 판상산화물, 또는 백운모, 흑운모, 세리사이트, 카오리나이트, 타르크등의 층상화합물, PET수지막, 아크릴수지막등의 유기 고분자박(高分子箔)등의 인편상(鱗片狀)분체를 모핵으로 하여 사용해도 좋다. 즉, 빛의 이용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편상분체에도 광투과성이 있는 것을 사용해도 바람직하다. 또한, 분체의 직경은 특히 한정하지않지만 1㎛ ~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20㎛으로 편평한 것이 아름다운 광택과 간섭색을 발휘하기 쉽다.
상기 분체에 간섭색을 부여할때, 분체의 표면을 금속 산화물로 피복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금속산화물로서는 이산화티탄, 산화철, 저차(低次)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규소, 산화 알루미늄, 산화 코발트, 산화 니켈, 티탄산 코발트 및 Li2CoTi3O8또는 KNiTiOx등의 복합산화물 또는 이런 금속산화물의 혼합물등이 거론되지만, 간섭색을 발현가능한 금속산화물이면, 특히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런 금속산화물의 인편상분체에의 피복은 이런 금속산화물의 유기염이나 무기염을 가열 또는 중화가수분해하는 방법 또는 CVD나 PVD와 같은 증착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 도시한 분체에 의해서만 간섭물질층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금속막의 표면을 산화함에 의해 얻어지는 간섭색을 가지는 금속막을 간섭물질층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즉, 도 7에서는 산화티탄피복운모에 의해 입사광이 반사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이 간섭물질층의 반사성이 충분히 높지 않아도 입사광을 착색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간섭물질층에서 반사되지않고 투과하는 빛을 베이스(15)에 의해 반사되도록 베이스(15)상에 광반사성을 부여해두어도 좋다. 역으로 간섭물질층이 충분한 반사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베이스(15)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될수 있는 재귀반사재는 이와 같이 착색광을 귀환시키는 재귀반사재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재귀반사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재귀반사재, 저투과율층, 투명필름이 적층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종이나 필름등의 베이스 또는 물품에 점착 또는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이나 필름등의 베이스 또는 물품은 위변조를 방지할려고 하는 것이 대상이 되고,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가 점착 또는 일체성형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가 진정품인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종이나 필름등의 베이스 또는 물품이 진정품인가의 판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몇개의 물질을 사용하고, 이러한 재료가 어느 정도의 광투과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실험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실제로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형성하고 비밀정보를 표시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가 여부를 테스트하였다.
실험1
우선 최초로 저투과율층의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인 입자경이 4.5㎛인 실리콘계 구상분체, 입자경이 2㎛ ~ 15㎛의 실리카 구상분체,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인 입자경 5㎛ ~ 25㎛로서 산화티탄의 피복율이 57%의 산화티탄피복운모, 입자경 5㎛ ~ 25㎛로서 산화티탄의 피복율이 68%의 산화티탄피복운모, 입자경이 0.3㎛의 아나타제형 산화 티탄으로 실험을 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입자경이 5㎛ ~ 25㎛의 운모분체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1g의 각 재료를 15g의 니트론에 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산하고, OHP시트상에 각 재료를 도장두께 0.05mm, 0.101mm, 0.204mm로 도장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얻어진 시료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투과율의 측정방법은 분광광도계(UV-3410TM, 일립제)를 사용하여 400㎚ ~ 700㎚의 파장에 대하여, 어떤것도 도장하지 않은 OHP시트를 투과시켜 빛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때 투과율을 100%로 하고 이어서 각 재료를 도장한 상기 시료를 투과시킨 빛의 강도를 측정하여 투과율을 환산하였다.
결과를 다음 표1과 표2에 도시한다.
또한, 표 1에서 실리콘계 구상분체를 이용한 시료의 결과를 그래프화시킨것을 도 8(a)에, 실리카구상분체를 이용한 시료의 결과를 그래프화한것을 도 8(b)에, 산화티탄의 피복율이 57%의 산화티탄피복운모를 이용한 시료의 결과를 그래프화한것을 도 8(c)에 각각 나타낸다. 같은 방법으로 표 2에서 산화티탄의 피복율이 68%의 산화티탄피복운모를 이용한 시료의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 9(a)에,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을 이용한 시료의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 9(b)에, 운모분체를 이용한 시료의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 9(c)에 각각 도시한다.
이 실험 1의 결과, 실리콘계 구상분체, 실리카분상분체 및 비교예인 운모분체는 대단히 높은 빛의 투과율을 가지고 있고, 실험에서 행한 도장두께는 어느것에 있어서도 양호한 투과율이 얻어졌다.
또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인 산화티탄피복운모는 도장두께가 0.204mm로 되면 투과율이 45%이하로되어 버렸다.
특히 아나타제형산화티탄은 도장두께 0.101mm가 되어도 투과율이 45%이하로 되어 버렸다.
실험2
이어서,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상기 실험1에 사용한 각 재료 및 비교예인 운모에 의해 형성되고, 각 저투과율층이 직선광하에서 충분히 비밀정보를 표시가능한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시료의 형성순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재귀반사재상에 문자가 인쇄된 PET필름을 적층하여 고정하였다. 이것을 도시한 것이 도 10(a)이다.
이것에 상기 실험1에서 사용된 각 시료를 적층하였다. 각 시료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중앙의 장방형(30)으로 되도록 도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료로서 적층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험에 있어서 시료는 저투과율층이 문자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투과율층에 사용된 각 재료가 충분히 비밀정보를 표시가능한 경우에, 직선광을 조사한 때에는 저투과율층이 어둡게 보여져서 도 10(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는 보이지 않게 되던지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시료의 평가방법은 통상광하에서 및 직선광하에서 눈에의해 관찰하고 통상광하에서 관찰한 때에는 문자정보가 보이는지 보이지 않는지 판정을 하고, 잘 보이면 ◎, 보이면 0, 읽기 어려운 경우 △, 거의 보이지 않는 경우 X로 평가하였다. 또한 직선광하에서 관찰한 때에는 문자정보가 보이지 않게 되거나 혹은 보기 힘들게 되어서 비밀정보가 표시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표시가능하면 0, 표시불가능하면 X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다음 표3에 나타낸다.
재료명 실리콘계구상분말 실리카구상분말 산화티탄피복운모(피복율57%)
조건\도장두께(mm) 0.05 0.101 0.204 0.05 0.101 0.204 0.05 0.101 0.204
통상광 0 0
직선광 0 0 0 0 0 0 0 0 0
재료명 산화티탄피복운모(피복율68%) 아나타제형산화티탄 운모
조건\도장두께(mm) 0.05 0.101 0.204 0.05 0.101 0.204 0.05 0.101 0.204
통상광 0 0 0 X
직선광 0 0 0 0 0 0 X X X
실험2의 결과, 실리콘계 구상분말, 실리카구상분말에 있어서 실험을 행한 도장 두께에서는 양호한 투과성을 가지고 있고, 비밀정보의 표시도 가능하였다. 또한 산화티탄피복운모는 도장두께가 0.204mm로 되면 통상광하에서 문자정보가 보기 힘들게 되지만 비밀정보의 표시는 도장두께에 상관없이 가능하였다. 마찬가지로 아나타제형산화티탄도 도장두께가 0.101mm이상으로 되면, 통상광하에서 문자정보가 보기 힘들게되지만 비밀정보의 표시는 도장두께에 상관없이 가능하였다.
이에 대하여, 운모는 대단히 높은 광투과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비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것은 운모가 평판상(平板狀)의 박리층으로 되어있는 성질로부터 전체로서의 형상도 평판상이어서 충분한 광확산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3
실험2의 결과를 근거로하여,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로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 실리카에서 형상이 상이하게되는 분말을 사용하여 실험2와 동일한 실험방법, 평가방법에 의해 실험을 행하였다. 분말은 형상이 평판상으로 평균입자계가 5㎛의 실리카 판상분말과 형상이 구형인 평균입자계가 5㎛와 20㎛의 실리카구상분말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재료명 실리카판상분말 실리카구상분말 실리카구상분말
평균입자경(㎛) 5 5 20
어스펙트(aspect)비 20 1 1
조건\도장두께(mm) 0.05 0.101 0.204 0.05 0.101 0.204 0.05 0.101 0.204
통상광
직선광 X X X 0 0 0 0 0 0
실험3의 결과 투과성에 있어서는 어떤 형상 및 입자경의 실리카분말도 도장두께에 관계없이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직선광을 조사하여 비밀정보가 표시가능한지 여부를 시험하면, 구상분말은 평균입자경이 5㎛, 20㎛의 어느쪽도 도장두께에 관계없이 표시가능함에 비하여 판상분말은 비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 사실로부터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로서는 형상이 바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실험1, 실험2 및 실험3의 결과로부터, 저투과율층의 재료로서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때에는 투명도가 높고, 충분한 광확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실로부터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로서는 투명성이 높은 비판상이 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투과율층으로서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때에는 420nm ~ 700nm의 범위인 파장의 빛에 있어서 투과율이 45%이상으로 되도록 도장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두께가 38㎛의 투명PET 필름에 아크릴계수지 및 가교제의 혼합물을 도장하고, 그 수지가 완전히 경화하기전에 굴절율이 1.9이고 입경이 38㎛ ~ 50㎛의 글라스 비즈를 한겹으로 산포하고, 120℃에서 3분간 가열처리를 하여 글라스 비즈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글라스 비즈상에 아크릴계수지 및 가교제의 혼합물을 재귀광이 얻어질수 있도록 적당한 두께로 도장하고, 120℃에서 3분간 가열처리를 하여 완전히 경화시킨다. 특히 상기 아크릴계수지100부(용제건조후잔분 45wt%)와 외관색이 백색이고 간섭색이 금색을 나타내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이리오존201™, 메르크사 제)30부의 혼합물을 도장하고, 120℃에서 3분간 가열처리를 행하여 간섭물질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형성된 간섭물질층상에 300㎛의 백색 PET를 가열압착하여 재귀반사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형성된 재귀반사재를 뒤집고, 투명 PET 필름상에 흑색 잉크로 문자를 스크린 인쇄를 하였다.
그 위에 저투과율층으로 되는 구성실리콘 분말과 니트론의 혼합물에 의해 도형이나 문자정보를 인쇄하였다.
최후에 접착층을 구비하는 두께 19㎛의 투명 PET 필름을 상기 저투과율층 상에 가열접착하여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제작하였다.
만들어진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통상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색 잉크로 인쇄한 문자정보가 보인다. 또한, 재귀반사재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외관색인 백색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구상실리콘분말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은 거의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직선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도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흑색 잉크로 인쇄한 문자정보외에 구상 실리콘 분말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에 의해 나타나는 도형과 문자가 보인다. 이때 재귀반사재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간섭색인 금색으로 나타난다.
또한, 상기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제일 바깥족 층인 투명 PET필름을 박리시키고, 흑색 잉크로 인쇄한 문자정보를 개변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다시 원래대로 접합한후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관찰하였다.
통상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PET필름을 박리하기전과 관찰상태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직선광하에서 관찰하는 경우 도 11(d)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투과율층에 의해 형성된 도형 및 문자가 붕괴되고, 확실하게 저투율층이 붕괴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2
실시예1에 있어서 저투과율층에 사용한 구상실리콘분말대신에 외관색이 백색이고 간섭색이 녹색인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이리오존 231™, 메타르사제)를 이용한 것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한 제조순서에 의해 본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통상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흑색 잉크로 인쇄한 문자정보가 보인다. 또한 보이는 각도에 따라 저투과율층이 선명한 간섭색을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고, 의장성이 대단히 높게 되었다. 즉, 재귀반사재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외관색인 백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조된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직선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흑색 잉크로 인쇄한 문자정보와 저투과율층에 의해 나타내어진 도형과 문자가 보인다. 이때 재귀반사재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간섭색인 금색으로 나타난다.
도한 시험에서 제일 바깥쪽 층인 투명 PET 필름을 박리하고 흑색잉크로 인쇄한 문자정보를 개변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다시 원래대로 접합한 후에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관찰하였다.
통상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저투과율층의 문자나 도형이 걸쳐들어가 반짝바짝하는 간섭색을 나타내고, 높은 의장성이 그대로 있다.
그러나 직선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저투과율층에 의해 형성된 도형 및 문자가 붕괴되고, 명확하게 저투과율층이 붕괴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3
두께가 38㎛의 투명 PET필름에 아크릴계 수지 및 가교제의 혼합물을 도장하고, 그 수지가 완전히 경화하기 전에 굴절율이 1.9이고 입경이 38㎛ ~ 50㎛의 글라스 비즈를 한겹으로 산포하고 120℃에서 3분간 가열처리를 행하여 글라스 비즈를 고정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글라스 비즈상에 아크릴계 수지 및 가교제의 혼합물을 재귀광이 얻어질 수 있는 적정한 두께로 되도록 도장하고, 120℃에서 3분간 가열처리를 하여 완전히 경화시킨다. 또한, 외관색, 간섭색의 조합이 상이한 다양한 이산화티탄피복운모를 사용하고, 아크릴계수지100부(용제건조후잔분 45wt%)와 간섭물질층으로 되는 이산화티탄피복운모30부의 혼합물을 복수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수지상에, 통상광하에서는 문자정보가, 직선광하에서는 도형정보가 관찰되도록 상기 혼합물을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도장하고, 120℃상에서 3분간 열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형성된 간섭물질층상에 300㎛의 백색 PET를 가열압착하여 재귀반사층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재귀반사재를 뒤집고, 저투과율층으로 되는 구상 실리콘 분말과 니트론의 혼합물에 의해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도형과 문자정보를 인쇄하였다.
마직막으로, 접착층을 구비하는 두께 19㎛의 투명 PET필름을 상기 저투과율상에 가열접착하여 본 발명의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통상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반사재인 이산화티탄피복운모에 의해 외관색으로 나타나는 문자정보가 보인다. 그러나 구상실리콘 분말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은 거의 보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제작된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직선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외관색에 의해 나타나는 문자정보는 삭제되고, 간섭색에 의해 나타나는 문자정보와 도형이 보인다. 또한, 구상실리콘 분말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에 의해 나타나는 도형과 문자도 보인다.
상기 위변조방지용 소재의 제일 바깥쪽 층인 투명 PET필름을 박리하고 인쇄한문자정보를 개변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다시 원래대로 접합한 후에 위변조방지용 소재를 관찰하였다.
통상광하에서 관찰하는 경우,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PET필름을 박리하기 전과 관찰상태에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직선광하에서 관찰한 경우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투과율층에 의해 형성된 도형 및 문자가 붕괴되고, 명확하게 저투과율층이 붕괴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재에 나타나는 간섭색에 의해 문자나 도형의 조합도 균형이 깨진 상태로 되어 명확하게 변조의 사실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직선광하에서 재귀반사재층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정보와 저투과율층에 의해 표시된 문자나 도형정보를 조합하여 표시되도록 해두는 것은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본발명에 있어서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여기에 기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 13(a)에 기재된바와 같이 저투과율층(8)을 투명필름층(6)의 표면에 설치한 형태도 좋고, 도 13(b)에 나타낸바와 같이 재귀반사재중에 사진정보(11)이나 문자정보(13)을 기록해두는 형태도 좋다. 특히 도 13(a)와 도 13(b)에 기재된 형태를 조합하여, 저투과율층(8)을 투명필름층(6)의 표면에 설치하고 재귀반사재중에 사진정보(11)이나 문자정보(13)을 기록해두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형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위변조방지용 소재는 위조 및 변조를 곤란하게 하고 높은 안전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입사광을 대략 입사광진입방향으로 귀환시키는 재귀반사재와,
    상기 재귀반사재에 투명필름을 적층하여 사용되는 소재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와 상기 투명필름층 사이 또는 상기 투명필름층표면에 상기 투명필름과 비교하여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저투과율층을 구비하고,
    상기저투과율층의 빛의 투과율은 420nm ~ 700nm의 파장영역의 빛에 대하여 4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와 상기 저투과율층사이 또는 상기 재귀반사재에 인쇄에 의해 문자나 도형 또는 사진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재는 입사광의 색조와 상이한 색조의 착색광을 입사광진입방향으로 귀향시키는 착색광재귀반사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광투과성이 낮은 재료로는 상기 투명필름과 비교하여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성이 높은 재료가 구상실리카, 구상알루미나의 구상무기분체, 또는 구상 폴레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구상폴리에틸렌, 구상실리콘의 구상수지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투과율층을 형성하는 광투성이 낮은 재료로는 상기 투명필름과 비교하여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성이 높은 재료가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티탄피복운모의 무기물, 또는 알루미늄, 금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종이나 필름등의 베이스 또는 물품에, 점착 또는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방지용소재.
KR1020027017243A 2000-07-10 2001-06-29 위변조방지용 소재 KR100805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08872 2000-07-10
JP2000208872A JP4283424B2 (ja) 2000-07-10 2000-07-10 偽変造防止用素材
PCT/JP2001/005629 WO2002004221A1 (en) 2000-07-10 2001-06-29 Forgery/alteration protectiv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887A true KR20030012887A (ko) 2003-02-12
KR100805487B1 KR100805487B1 (ko) 2008-02-20

Family

ID=1870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243A KR100805487B1 (ko) 2000-07-10 2001-06-29 위변조방지용 소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46547B2 (ko)
EP (1) EP1300255B1 (ko)
JP (1) JP4283424B2 (ko)
KR (1) KR100805487B1 (ko)
CN (1) CN1196598C (ko)
AT (1) ATE427220T1 (ko)
DE (1) DE60138191D1 (ko)
TW (1) TW541438B (ko)
WO (1) WO2002004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3708A1 (en) * 2001-12-20 2003-07-03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ed matter having countermeasure against forging
JP4257903B2 (ja) * 2003-10-28 2009-04-30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識別媒体の識別方法、識別対象物品および識別装置
WO2005106541A1 (ja) * 2004-04-28 2005-11-10 Kiwa Chemical Industry Co., Ltd. 色相可変型再帰性反射シート
WO2007040725A1 (en) 2005-09-26 2007-04-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troreflective sheeting comprising a divergence enhancing layer
JP4468902B2 (ja) * 2006-01-17 2010-05-26 株式会社資生堂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および情報読み取り方法
KR100817375B1 (ko) * 2006-03-20 2008-03-27 한국조폐공사 요판 인쇄 공정에 의해 광가변 요소가 부가된 보안도큐먼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082644A1 (en) 2007-12-21 2009-07-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s and retroreflective elements comprising a spherical core and two concentric optical interference layers
WO2009105142A2 (en) * 2007-12-21 2009-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security articles
CN100589995C (zh) * 2008-06-30 2010-02-17 上海复旦天臣新技术有限公司 防伪薄膜及其制备方法
CN102096132A (zh) * 2009-12-14 2011-06-15 施信安 反光物件及其制造方法
WO2011106506A2 (en) * 2010-02-25 2011-09-01 Evatra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tively transferring ac power between a charging unit and a vehicle
US8622555B2 (en) * 2010-08-31 2014-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curity article having a switching feature
JP6048796B2 (ja) * 2012-08-01 2016-1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加飾積層体を有する容器
DE102013102482A1 (de) * 2013-03-12 2014-10-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JP6354473B2 (ja) * 2014-09-05 2018-07-11 凸版印刷株式会社 立体印刷物
JP2017019144A (ja) * 2015-07-08 2017-01-26 共同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の再帰反射性印刷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真贋判定方法
JP6365800B2 (ja) * 2016-02-25 2018-08-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と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並びに熱転写シート
JP2019043035A (ja) * 2017-09-01 2019-03-22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印刷物
KR102242677B1 (ko) * 2019-10-23 2021-04-21 엔비에스티(주) 재귀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2503A (ja) * 1983-03-08 1985-11-19 Toppan Printing Co Ltd シルクスクリ−ン・マスクによる再帰反射材の蒸着方法
US4983436A (en) * 1987-04-15 1991-01-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backing film
US5169707A (en) * 1991-05-08 1992-12-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security laminates with dual level verification
EP0795137B1 (en) * 1994-11-29 1998-08-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parent decorative article having an etched appearing/prismatic image thereon
US6200666B1 (en) * 1996-07-25 2001-03-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transfer compositions, articles, and graphic articles made with same
JP3974959B2 (ja) * 1996-09-30 2007-09-12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再帰反射性情報表示シートの製造方法
JPH1115415A (ja) * 1997-06-16 1999-01-2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自発光可能な再帰性反射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00804A (en) * 1997-09-30 1999-12-14 Shiseido Co., Ltd. Colored light retroreflective material and retroreflective hologram reconstructor using the same
US6024455A (en) * 1998-01-13 2000-0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article with concealed retroreflective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04221A1 (en) 2002-01-17
EP1300255A4 (en) 2008-06-25
CN1196598C (zh) 2005-04-13
US6846547B2 (en) 2005-01-25
JP2002019259A (ja) 2002-01-23
JP4283424B2 (ja) 2009-06-24
CN1441727A (zh) 2003-09-10
ATE427220T1 (de) 2009-04-15
DE60138191D1 (de) 2009-05-14
TW541438B (en) 2003-07-11
EP1300255B1 (en) 2009-04-01
EP1300255A1 (en) 2003-04-09
US20030138609A1 (en) 2003-07-24
KR100805487B1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487B1 (ko) 위변조방지용 소재
US7224528B2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s
KR100283454B1 (ko) 이중 검증 기능을 갖는 재귀반사보안 라미네이트
KR100373612B1 (ko) 착색광재귀반사재및그것을이용한재귀반사홀로그램재생체
WO2012141211A1 (ja) 微粒子、粒子群、偽造防止用インク、偽造防止用トナー、偽造防止用シートおよび偽造防止媒体
US10336124B2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n interference pigment and a nanometric filler
RU2664945C1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JP2011509422A (ja) 再帰反射安全物品
CA2788413A1 (en) Security element with expanded color-shift effect and additional thermochromic function
KR20140029355A (ko) 전환 특징부를 갖는 보안 물품
RU2294841C2 (ru) Пленка тиснения и документ с защитой
JP2005506228A5 (ko)
JPH0820689B2 (ja) 再生防止方法及び再生防止基質
JP2003182202A (ja) 潜像表示媒体
JPH09169161A (ja) 偽造防止印刷物
US10328738B2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masking structure containing a mixture of nanometric fillers
JP2004294668A (ja) 透明再帰反射材
JP2008107383A (ja) ゴニオクロマティック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体
JP3120544B2 (ja) 情報記録媒体
JP2002178675A (ja) 隠蔽シールおよびスクラッチ媒体
MXPA04009850A (es) Componente optico de seguridad.
JP2004142129A (ja) 真贋判定機能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それを使用した真贋判定機能を有したシート状物
WO2005110766A1 (ja) 真贋判定機能を有するスレッド及びそれを使用した偽造防止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