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766A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766A
KR20030012766A KR1020010060370A KR20010060370A KR20030012766A KR 20030012766 A KR20030012766 A KR 20030012766A KR 1020010060370 A KR1020010060370 A KR 1020010060370A KR 20010060370 A KR20010060370 A KR 20010060370A KR 20030012766 A KR20030012766 A KR 20030012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mer layer
base material
ink
prot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아키히로
모치즈키마사아키
고이케도시히로
이자와마사타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선 에이. 가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선 에이. 가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선 에이. 가켄
Publication of KR2003001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7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단부(端部)에서 삐어져 나온 점착제가 보호 필름 표면에의 부착이 어렵고, 설사 부착하여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는 동시에, 잉크제트나 스탬프 등에 의한 필름면에의 정보의 인자(印字)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고분자층의 발수성(撥水性)이나 내수성에 의해 수세(水洗)브러싱 공정을 취할 수가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재(基材)(1)의 일측 면에 점착층(2)을 마련하고, 이 기재(1)의 타측 면에 고분자층(3)을 마련하여, 고분자층(3)은 발수성,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고, 그 고분자층(3) 면에 행해진 인쇄 등에 대한 인자적성, 잉크 접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그 잉크(5)를 이 고분자층(3)에 부착·정착시킨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 {SURFACE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편광판(偏光板)이나 위상차판(位相差板) 등에 첩부하여, 그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보호를 행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편광판 등의 광학용 시트의 가공이나 그 광학용 시트의 타의 부재에의 실제장치 등의 공정에 당하여서는, 이 작업중에 있어서 그 광학용 시트에의 흠의 부착 방지나 오염 방지 등의 대책으로서, 이 광학용 시트에 표면 보호 필름을미리 첩부하고 있다.
종래, 이 필름은, 이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켜, 이 면에 박리(剝離)필름을 첩부한 후, 목표로 하는 편광각도나 위상각도에 맞추어 재단하여, 소정 장수를 적층시키어 보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표면 보호 필름의 재단작업에 있어서, 그 재단면에서 삐어져 나온 점착제가 타의 보호 필름 표면에 부착하여 제품검사의 방해가 되는 데다, 끈적거려서 제품으로 출하하는 때의 장애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상기 결점의 대책으로서, 보호 필름의 일측 면에 더러워짐 방지층을 마련한 표면 보호 필름이, 특개평 9-113726이나 특개평 11-256115, 특개평 11-256116 등에 제안되어 있다.
한편, 표면 보호 필름을 첩부하는 광학용 시트 등은,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어, 이들을 각각 판별하기 위해 시트마다의 품명이나 축방향을 표시하기도 하고, 또한, 바코드 등의 필요정보가 주어진 상태로 유통과정 등에 제공되고 있다.
이들 필요정보는 광학용 시트에 첩부된 표면 보호 필름 상에 잉크제트나 스탬프 등에 의해 부여된다.
그렇지만, 상기의 더러워짐 방지층을 마련한 보호 필름은, 잉크에 대한 인자적성(印字適性)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필름 상에 상기 필요정보를 인자하면, 그 인자 때문에 잉크의 도성(塗性)이 나빠 인자불량이 생기며, 또, 바코드 인쇄의 경우에는 바코드 리더에 의한 인자 패턴의 내용 이해에 오류가 나거나 내용 이해불량을 일으킨다.
게다가, 보호 필름에의 잉크의 밀착성이 나빠, 잉크의 탈락이나 전사에 의한 타 부재에의 오염을 일으키고 있었다. 때문에, 당업계에 있어서는, 발수성이나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면서, 잉크제트나 스탬프 등에 의한 필름 면에의 정보의 인자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는, 소위 인자적성을 가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출현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망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재(基材)의 일측 면에 점착층을 마련하고, 이 기재의 타측 면에 고분자층을 마련하여, 고분자층은 발수성,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어, 그 고분자층 면에 행해진 인쇄 등에 대한 이자적성, 잉크 접착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잉크를 이 고분자층에 부착·정착시킴에 의해, 단부로부터 삐어져 나온 점착제가 보호 필름 표면에의 부착이 어렵고, 설사 부착하여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는 동시에, 필픔 면에의 정보의 인자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A : 표면 보호 필름 1 : 기재(基材)
2 : 점착층 3 : 고분자층
4 : 수용(受容)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기재와, 이 기재의 일측 면에 마련한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타측 면에 마련한 고분자층과를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층은 발수성,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어, 그 고분자층 면에 행해진 인쇄 등에 대한 인자적성, 잉크접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잉크를, 이 고분지층 하층에 부착·정착시키는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에 있다.
기재와, 이 기재의 일측 면에 마련한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타측 면에 마련한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대전방지층과 이 대전방지층의 외측 면에 마련한 고분자층과를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층은 발수성,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어, 그 고분자층 면에 행해진 인쇄 등에 대한 인자적성, 잉크 접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잉크를, 이 고분지층에 부착·정착시키는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에 있다.
고분자층은 그의 층두께가 1 ㎛ 이하, 물의 접촉각 80°이상, 유기용제 계 잉크의 젖음지수가 0.75 이상이다.
고분자층은 대전방지성을 가지고, 표면저항치가이하이다.
기재와, 이 기재의 일측 면에 마련한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타측 면에 마련한 대전방지층과 이 대전방지층의 외측 면에 마련한 고분자층과를 구비하고, 표면저항치가이하이다.
고분자층은 평균 분자량 70000 이상의 아크릴 수지나 저온 가교성의 아크릴 수지, 우레탄을 근원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화합물과, 실리콘 계나 불소 계 등으로 이루어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형제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다.
고분자층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계 빗꼴(櫛形) 그래프트 폴리머와, 평균 분자량 70000 이상의 아크릴 수지나, 저온 가교성의 아크릴 수지, 우레탄을 근원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화합물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2에 있어서, A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판이나 위상판 등의 피보호 부재의 제조공정이나 반송공정에 있어서 그 피보호 부재의 표면에 박리자재하게 첩착하여 이 표면의 보호를 꾀하는 것으로, 그 표면 보호 필름(A)에 더러워짐 방지성과 잉크 등에 의한 인자적성과를 겸비시킨 것이며, 제 1의 실시예에 보이는 표면 보호 필름(A)은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재(1)와, 점착층(2)과, 고분자 층(3)과에 의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재(1)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수지 및 이들의 적층체를 이용할 수가 있으나, 그중에서도, 투명성이나 사용시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2축 연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기재(1)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등의 이(易)접착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이 기재의 필름 두께는 16 ㎛ 내지 50 ㎛ 정도이고, 바람직하기는 25 ㎛ 내지 38 ㎛가 적당하다.
이는, 기재(1)의 필름 두께가 16 ㎛ 미만이면 너무 얇아서, 외부로부터의 돌기물 등에 의한 타흔(打痕) 등에 의해 상기 피보호 부재를 보호하는 일에 어려움이 있는 외, 피보호 부재에 대하여 주름지게 하지 않고 첩부하는 일이나, 표면 보호 필름(A)의 박리작업도 곤난해진다.
또, 필름두께가 50 ㎛를 넘으면 기재(1)의 강성이 너무 커서, 피보호 부재에 대하여 뜨지 않고 균일하게 첩착하는 일이 어려운 데다, 표면 보호 필름(A)의 가격구성상, 그 태반을 점하는 원반(原反)필름에 걸리는 비용이 너무 커져, 당해 표면 보호 필름(A)에 요구되는 경제성이 저하된다.
상기의 점착층(2)은 기재(1)의 일측 면, 즉, 피보호 부재에의 대응면 측에 마련돼 있어, 아크릴 계 점착제나 고무 계 점착제, 실리콘 계 점착제, 또, 필요에 따라서, UV경화 타이프 등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가 있으나, 내열성이나 경제성의 점에서 아크릴 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그 점착층(2)의 기재(1)에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기 물질을 유기용제 등에 용해시키어 도공액(塗工液)으로 하여, 공지의 임의의 도포방법, 이를 테면, 그라비아 코트법이나 리버스 코트법, 롤 코트법 등을 이용함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용융 압출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의 고분자층(3)은 기재(1)의 타측 면, 즉, 피보호 부재와는 반대측 면에 마련하여 있고, 발수성이나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며, 또, 케톤류(類)를 근원으로 하는 유기용제 계 잉크(5) 및 수계(水系)의 잉크(5)에 대한 인자적성이나 잉크 접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실리콘 계나 불소 계 등의 이형제를 아크릴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이론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에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또, 이들 고분자 화합물의 대신에 UV경화 수지 및 열경화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더구나, 상기 더러워짐 방지성은 적당정도의 박리력을 가지며, 이를 테면,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한 피보호 부재를 재단하여 칩화 할 때에 재단면에서 삐어져 나오는 점착제가, 표면 보호 필름에 접촉하여도 필름 상에 부착하기 어렵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그 고분자층(3)은 평균 부자량 70000 이상의 아크릴 수지나 저온 가교성의 아크릴 수지, 우레탄을 근원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한 것으로, 이들 수지로 이루어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과, 실리콘 계나 불소 계 등으로 이루어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형제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다.
이 고분자층(3)은 케톤류(類)를 근원으로 하는 잉크(5)의 용매에 불용일 것이 바람직하나, 잉크(5)의 용매에 적당한 정도로 팽윤, 어택될 것이 잉크(5)의 밀착성에 유리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계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 단독, 및, 상기의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한 것은 당해 고분자층(3)으로서 유효하다.
이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는 유리 전이점이 60℃ 내지 180℃로 높은 동시에, 그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의 가지 부분이 실리콘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발수성을 가지고, 경사형 마찰측정기에 의한 정(靜)마찰계수는 0.2 내지 0.4로 알맞는 미끄럼성이 있으며, 또, 충분한 피막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겹쳐 쌓을 때 정리하기 쉽다.
또,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 계 반응제를 첨가하여 경화시킨 것이 잉크 용제에 대한 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고분자층(3)은 0.003 ㎛∼3 ㎛이며, 바람직하기는 0.02 ㎛∼1 ㎛이다.
그 고분자층(3)의 층두께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더러워짐 방지기능이나 인자적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이 고분자층(3)의 층두께가 너무 두꺼워 형편이 좋지 않게 되는 일은 없으나, 비경제적이다.
게다가, 고분자층(3)은 그 층 내에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고, 보호 필름의 표면저항치가이하로 되도록 고분자층(3)에 뒤에 기술하는 물질을 사용, 첨가한다.
보호 필름의 표면저항치가보다 크면, 보호 필름을 박리에 의해 제거하는 때에 생기는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없어, 먼지 등의 부착을 유발한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에 보호 필름을 적용한 때에는, 보호 필름을 박리한 때에 생기는 박리대전에 의해, 그 액정 디스플레이의 소자를 파괴하는 문제도 생긴다.
표면저항치는, 고유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온도 23℃, 측정습도 65% RH의 분위기에서, 인가전압 100V로 1분후의 표면저항치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고분자층(3)에 대전방지성능을 부여(사용,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캐타이언성 대전방지제나 아니온 계 대전방지제, 양성(兩性) 대전방지제, 노니온성 대전방지제 등의 각종의 계면활성제형 대전방지제, 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폴리머나, 도전성의 필러, 위스커를 사용·첨가한다.
그리고, 이 고분자층(3)은 상기의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계 빗꼴 그래프트 포리머 및 타의 고분자 화합물인 바인더와의 혼합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계 빗꼴 그래프트 포리머와 타의 고분자 화합물인 바인더와의 중량비가 4 : 1∼1 : 20 이며, 바람직하기는, 1 : 1∼1 : 12 이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계 빗꼴 그래프트 포리머의 비율이 너무 크면, 인자적성에 지장을 초래하며, 또, 점착 테이프에 의한 박리력이 너무 가벼워, 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작업에도 지장이 생긴다. 역으로 비율이 너무 작으면, 발수성이나 더러워짐 방지성능이 부족된다.
이러한 사실은 이형제를 고분자 화합물에 첨가한 경우에도 들어맞아, 고분자 화합물에의 이형제의 첨가량은 컨트롤되지 않으면 아니 된다.
즉, 그 고분자층(3)은 물의 접촉각 80°이상, 바람직하기는 90°이상, 셀로판 점착 테이프에 의한 180°박리강도가 100 g∼500 g/24 ㎜, 바람직하기는 200 g∼450 g/24 ㎜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표면 보호 피름(A)에서는, 고분자층(3) 표면에 정확한 인자를 행할 수가 있어, 다음에 보이는 바와 같은 유기용제 계 잉크(5)에 대한젖은지수가 0.75 이상을 나타낸다.
「유기용제계잉크에대한젖음지수의측정법」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사 제 잉크제트 프린터 MK8500으로 문자사이즈 16×16 도트로 인자. 이 때에 프린트헤드로부터의 인자하는 필름까지의 거리는 10 ㎜로 하였다.
유기용제계잉크(5)에대한젖음지수=b/a
a: 코로나 처리를 행한 2축연신 폴리에스테를 필름에 인자한 때의 도트의 크
기(직경)
b: 측정샘플에 인자한 때의 도트의 크기(직경)
또, 그 고분자층(3)의 기재(1)에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기 물질을 유기용제 등에 용해시키어 도공액으로 하여, 공지의 임의의 도포방법,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트법이나 리버스 코트법, 롤 코트법 등을 이용함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용융 압출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가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2의 실시예의 표면 보호 필름(A)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분자층(3)이 대전방지층(4)을 사이에 하여 기재(1)에 마련돼 있다.
즉, 기재(1)와, 이 기재(1)의 일측 면에 마련한 점착층(2)과, 기재(1)의 타측 면에 마련한 유기용제 계 잉크(5)의 수용층(4)과, 이 수용층(4)의 외측 면에 마련한 대전방지층(4)과, 이 대전방지층(4)의 외측 면에 마련한 고분자층(3)과를 구비한다.
이 중, 기재(1)와 점착층(2)과 고분자층(3)과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동일의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대전방지층(4)은 캐타이언성 대전방지제나 아니온 계 대전방지제, 양성(兩性) 대전방지제, 노니온성 대전방지제 등의 각종의 계면활성제형 대전방지제, 또는, 이들 폴리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바인더에 험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폴리아닐린이나 폴리비롤,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폴리머나, 도전성 필러, 위스커를 바인더에 분산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계나 폴리에스테르 계, 폴리우레탄 계라는 고분자 화합물에 인산기 또는 인산염기를 가지는 수지와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그 대전방지층(4)의 기재(1)에의 형성에 있어서는, 상기 물질을 유기용제 등에 용해시키어 도공액으로 하여, 공지의 임의의 도포방법,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트법이나 리버스 코트법, 롤 코트법 등을 이용함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용융 압출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가 있다.
이 대전방지층(4)은, 보호 필름의 표면저항치가이하가 되도록 설계한다.
상기와 같이 표면저항치가보다 크면, 보호 필름을 박리에 의해 제거하는 때에 생기는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없어, 먼지 등의 부착을 유발한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에 보호 필름을 적용한 때에는, 보호 필름을 박리한 때에 생기는 박리대전에 의해, 그 액정 디스플레이의 소자를 퍼괴하는 문제도 생긴다.
(실시예 1)
두께 38 ㎛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작산비닐/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의 각 모노머를 중량으로 40/40/16/1/3 비로 배합하고, 2.2'-azobis-isobutylonitrile을 촉매로 하여, 질소 기류하, 작산에틸 중에서 중합하여 얻은 중합도 Mw=70-80만, 고형분 30%의 재박리형 아크릴 계 점착제를, 코로네이트 L과 중량비로 100:3으로 배합하여, 고형분으로서 20 g/m2도공(塗工), 100℃, 3분간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타면에, 줄기 부분이 아크릴 계 폴리머로, 가지 부분이 전체의 30% 내지 40% 점하는 실리콘마크로모노머로 구성된, 분자량 20 내지 30 만의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사이맥US-350/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와 아크릴 수지(서모락ST-104/소겐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고형분 비 1/4로 혼합하여, 고형분으로서 1 g/m2도공, 다시, 100℃, 60초간 건조시키어 더러워짐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실리콘 계 이형제를 도공하여 이루어지는 25 ㎛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베이스로 하는 박리필름을 점착층과 첩합하여, 만(卷取) 형상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두께 38 ㎛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에 점착층를 형성하고, 타면에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사이맥US-350/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 우레탄 수지(CRISVON 6039/다이니폰 잉크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경화제(CRISVON NX/다이니폰 잉크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대전방지제(엘레콘드10S/소겐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고형분비 2/10/1/2 로 혼합하여, 고형분으로서 0.1 g/m2도공, 다시, 130℃, 120초간 건조·경화시키어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더러워짐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5 ㎛의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베이스의 박리필름과 첩합하여, 만 형상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두께 38 ㎛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에 점착층를 형성하고, 타면에 디페닐에테르디설폰산,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멀션(바이로날MD 1245/도요호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 옥사졸린 함유 중합체를 고형분 비 3/1/1로 혼합하여, 고형부으로서 0.5 g/m2도공, 다시, 150℃, 30 초간 건조시키어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잉크 수용층으로 하였다.
이 대전방지층 상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멀션(바이로날MD 1245/도요호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 가교성 수지(스미텍스 레진/스미토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에 비실리콘 계 배면 박리제(피로일406/잇보샤유시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고형분 비 10/2/1로 혼합하여 고형분으로서 0.2 g/m2도공, 다시, 130℃, 60초간 건조,경화시키어 더러워짐 방지층을 형성하였다.시키어 더러워짐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5 ㎛의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베이스의 박리필름과 첩합하여, 만 형상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두께 38 ㎛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에,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점착가공을 행한 표면 보호 필름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2)
더러워짐 방지층으로서, 알킬카바메이트 계 박리처리제(피로일1010/잇보샤유시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고형분으로 하여 0.01 g/m2도공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 표면 보호 필름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3)
더러워짐 방지층으로서,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사이맥US-350/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와 아크릴 수지(서모락ST-104/소겐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를 고형분 비를 5/1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 표면 보호 필름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4)
더러워짐 방지층으로서,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사이맥US-350/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와 아크릴 수지(서모락ST-104/소겐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의고형분 비를 1/25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 표면 보호 필름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5)
더러워짐 방지층의 도포량을, 고형분으로서 0.002 g/m2로 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 표면 보호 필름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6)
더러워짐 방지층의 도포량을, 고형분으로서 1.2 g/m2로 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 표면 보호 필름을 작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의해 작성한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용 시트(이 경우는 편광판)에 첩부한 샘플에 관하여, 하기 항목의 평가 결과를 후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A:표면저항치, B:물의 접촉각, C: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180°박리강도, D: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보호 필름 박리성, E:점착제의 부착, F:유기 용제 계 잉크의 젖음지수, G:잉크 밀착성
비교예 1의 필름 기재 상에 더러워짐 방지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더러워짐 방지성이 나빠, 표면 보호 필름을 첩부한 편광판을 재단·적층하니 표면에 점착제의 삐어져 나옴 등의 이물이 부착하였다.
비교예 2와 같이 일반적인 이형제를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하여 더러워짐 방지층으로 한 것은, 인자성이 불충분하여, 바코드를 인자한 바 기계로의 이해가 불가능하였다. 또 잉크의 밀착성이 나빠 필름 상에서 탈락하여 오염이 생기었다.
비교예 3에서는 이형성, 더러워짐 방지성이 과잉하여 인자성이 불충분하였다. 또, 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보호 필름 박리작업에 지장을 일으켰다.
비교예 4에서는 고분자층중의 이형제 성분의 비율이 너무 낮기 때문에,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더러워짐 방지성이 나빠, 표면 보호 필름을 첩부한 편광판을 재단·적층하니 표면에 점착제의 삐어져 나옴 등의 이물이 부착하였다.
비교예 5에서는 더러워짐 방지성이 부족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첩부한 편광판을 재단·적층하니 표면에 점착제의 삐어져 나옴 등의 이물이 부착하였다.
또, 고분자층 두께가 너무 낮기 때문에 피막성, 발수성이 부족하여, 점착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세공정을 행하였던 바 대전방지기능도 저하하였다. 이는 이형제의 피막강도·밀착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하층의 대전방지제가 유출한 것으로 유추된다.
비교예 6에서는 고분자층이 너무 두껍기 때문에, 하층의 대전방지제의 성능이 발휘되지 않고, 표면저항치가 높아져 보호 필름 박리시에 박리대전이 생기었다.
한편, 실시예 1에 의해 작성한 본 발명 실시예의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용 시트 첩부후의 이물부착 방지성이 뛰어나는 동시에 잉크제트에 의한 인자성이 뛰어남을 알았다. 또한, 표면의 더러워짐 방지성능은, 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보호 필름 박리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었다.
또,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의해 작성한 본 발명 실시예의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용 시트 첩부후의 이물부착 방지성이 뛰어나는 동시에 잉크제트에 의한 인자성이 뛰어나며, 또한, 대전방지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 박리시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움을 알았다. 이 대전방지성능은 수세후에도 유효하였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더러워짐 방지성능은, 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보호 필름 박리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었다.
A B C D E F G
실시예 1 >1014 100 330 0.90
실시예 2 3×109 98 290 0.95
실시얘 3 4×109 101 270 0.95
비교예 1 >1014 71 820 × 1.0
비교예 2 >1014 103 320 0.58 ×
비교예 3 >1014 102 110 × 0.71
비교예 4 >1014 88 620 × 0.98
비교예 5 1×109 78 580 × 1.0
비교예 6 2×1012 103 260 0.88
더구나, 상기 표 1에 있어서의 A∼G의 항목 및 결과에 대하여는 이하에 표시된다.
A:표면저항치 ()
B:물의 접촉각 (°)
C: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180°박리강도 (g/24㎜)
D:셀로판 점착 필름에 의한 보호 필름 박리성
○:박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박리작업을 하기 힘들다
E:점착제의 부착
○:삐어져 나온 점착제의 부착이 확인되지 않는다
×:삐어져 나온 점착제의 부착이 인정된다
F:유기 용제 계 잉크의 젖음지수
G:잉크 밀착성
인자부분에 셀로판 점착 테이프를 첩부한 후에 박리
◎:인자부분의 탈락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인자부분의 탈락이 부분적으로 인정된다
×:인자부분이 거의 모두 탈락한다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필름 단부에서 삐어져 나온 점착층의 점착제는, 고분자층에 부여된 더러워짐 방지성 때문에, 적층된 때의 타의 표면 보호 필름 표면에 부착하기 어려우며, 설사 부착하여도, 고분자층이 발수성이나 내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수세 브러싱 공정을 취할 수가 있어서, 그 점착제의 제거가 용이하다.
또, 잉크제트나 스탬프 등의 잉크는, 고분자층에 부착·정착하기 때문에 상기 잉크에 의한 정확한 인자를 행할 수가 있으며, 잉크의 탈락이나 전사에 의한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특히, 이 표면 보호 필름은 발수성이나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면서, 양호한 인자성을 발휘시킬 수가 있다. 등의 각별한 효과를 성취하는 것이다.

Claims (7)

  1. 기재와, 이 기재의 일측 면에 마련한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타측 면에 마련한 고분자층과를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층은 발수성,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어, 그 고분자층 면에 행해진 인쇄 등에 대한 인자적성, 잉크 접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잉크를, 이 고분지층에 부착·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기재와, 이 기재의 일측 면에 마련한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타측 면에 마련한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대전방지층과, 이 대전방지층의 외측 면에 마련한 고분자층과를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층은 발수성, 더러워짐 방지성을 가지어, 그 고분자층 면에 행해진 인쇄 등에 대한 인자적성, 잉크 접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잉크를, 이 고분지층에 부착·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분자층은 그의 층두께가 1 ㎛ 이하, 물의 접촉각 80°이상, 유기용제 계잉크의 젖음지수가 0.7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 1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고분자층은 대전방지성을 가지고, 표면저항치가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5. 제 2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기재와, 이 기재의 일측 면에 마련한 점착층과, 상기 기재의 타측 면에 마련한 대전방지층과, 이 대전방지층의 외측 면에 마련한 고분자층과를 구비하고, 표면저항치가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고분자층은 평균 분자량 70000 이상의 아크릴 수지나 저온 가교성의 아크릴 수지, 우레탄을 근원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화합물과, 실리콘 계나 불소 계 등으로 이루어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형제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고분자층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계 빗꼴 그래프트 폴리머와, 평균 분자량70000 이상의 아크릴 수지나 저온 가교성 아크릴 수지, 우레탄을 근원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화합물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KR1020010060370A 2001-07-30 2001-09-28 표면 보호 필름 KR200300127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8807 2001-07-30
JP2001228807A JP2003041205A (ja) 2001-07-30 2001-07-30 表面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766A true KR20030012766A (ko) 2003-02-12

Family

ID=1906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370A KR20030012766A (ko) 2001-07-30 2001-09-28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041205A (ko)
KR (1) KR2003001276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085A (ko) * 2002-08-29 2004-03-09 서광석 액정디스플레이용 투명 대전방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즈필름
KR100610682B1 (ko) * 2004-07-26 2006-08-1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표면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표면보호 필름
KR100688256B1 (ko) * 2005-11-12 2007-03-0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8329B1 (ko) * 2006-05-16 2007-06-13 정종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
KR100800182B1 (ko) * 2005-11-08 2008-02-01 광 석 서 발수 방오 처리된 대전방지 보호 테이프
KR101354707B1 (ko) * 2010-10-20 2014-01-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실리콘 이형필름
KR101362591B1 (ko) * 2006-03-17 2014-02-21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9615B2 (en) * 2003-06-09 2010-11-09 Henkel Ag & Co. Kgaa Reactive hot melt adhesives
JP2005314579A (ja) 2004-04-30 2005-11-10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JP2005319589A (ja) * 2004-05-06 2005-11-17 Toppan Printing Co Ltd オーバーラミネート用フィルム
JP4531628B2 (ja) * 2004-09-16 2010-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917267B2 (ja) 2004-09-16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CN101460306B (zh) * 2006-03-31 2012-07-18 日本瑞翁株式会社 偏振片、液晶显示装置以及保护膜
JP4771082B2 (ja) * 2006-08-23 2011-09-14 アキレス株式会社 帯電防止性離型フィルム
WO2009130969A1 (ja) * 2008-04-22 2009-10-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989114B1 (ko) * 2008-08-07 2010-10-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용도
JP5381050B2 (ja) * 2008-12-01 2014-01-08 東洋紡株式会社 塗布フィルム
JP5623020B2 (ja) 2009-02-27 2014-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5946290B2 (ja) * 2012-02-28 2016-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ープ
JP5888040B2 (ja) * 2012-03-23 2016-03-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JP6513371B2 (ja) * 2014-11-06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JP2017186486A (ja) * 2016-04-08 2017-10-12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JP2019069541A (ja) 2017-10-06 2019-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トップコート層付き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JP7319815B2 (ja) 2019-04-24 2023-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JP7419594B1 (ja) 2023-06-15 2024-01-22 株式会社マイスターズインク ガードレールの保護方法及び保護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085A (ko) * 2002-08-29 2004-03-09 서광석 액정디스플레이용 투명 대전방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즈필름
KR100610682B1 (ko) * 2004-07-26 2006-08-1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표면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표면보호 필름
KR100800182B1 (ko) * 2005-11-08 2008-02-01 광 석 서 발수 방오 처리된 대전방지 보호 테이프
KR100688256B1 (ko) * 2005-11-12 2007-03-0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2591B1 (ko) * 2006-03-17 2014-02-21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
KR100728329B1 (ko) * 2006-05-16 2007-06-13 정종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
KR101354707B1 (ko) * 2010-10-20 2014-01-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실리콘 이형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41205A (ja)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2766A (ko) 표면 보호 필름
JP399680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US4253899A (en) Method of making matrix free thin labels
US4219596A (en) Matrix free thin labels
KR101617327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JP200632696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748735B2 (ja) 粘着シート
JP4618761B2 (ja) 光学用保護テープ、光学用保護テープ処理層形成剤、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光学フィルム、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画像表示装置
JP531345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60037177A (ko)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CN100355848C (zh) 光学部件用保护胶带
KR20030012765A (ko) 표면 보호 필름
CN207619318U (zh) 粘着膜
KR100736386B1 (ko)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62658A (ko) 칩 운송용 커버 테이프 및 밀봉 구조체
JPH1180678A (ja) 付着シート
TW449742B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nd/or repairing an optical surface
JP2009102458A (ja) 保護フィルム
CN110791210B (zh) 晶圆加工用胶带
JP201915592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剥離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5019489B2 (ja) 光学用保護テープ、光学用保護テープ処理層形成剤、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光学フィルム、光学用保護テープ付き画像表示装置
KR100553528B1 (ko) 전사방식을 이용한 감압성 접착층의 비점착화 기술 및이를 이용한 커버 테이프의 제조방법
JP4068402B2 (ja) スクラッチカード
KR101956548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JP2023144877A (ja) 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