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386B1 -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386B1
KR100736386B1 KR1020050029909A KR20050029909A KR100736386B1 KR 100736386 B1 KR100736386 B1 KR 100736386B1 KR 1020050029909 A KR1020050029909 A KR 1020050029909A KR 20050029909 A KR20050029909 A KR 20050029909A KR 100736386 B1 KR100736386 B1 KR 100736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tical member
protective film
antifouling layer
surfac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673A (ko
Inventor
김학림
류경옥
홍근택
유현지
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02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38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75Polyorganosiloxane-contai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필름은 기재 필름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는 차례로 대전방지층과 방오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차례로 점착제층과 이형 필름으로 구성되는 광학부재용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이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block) 공중합된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은 방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오층의 형성은 상기 블록형 공중합 수지를 경화제와 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합물을 적정 유기 용매와 혼합하여 상기 대전방지층 위쪽에 도포시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필름은 공중합 수지 화합물의 특성을 이용한 방오층을 포함함으로서 잉크젯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적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한편으로, 편광판의 보호 기능을 높임으로서 취급이 용이하여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보호필름, 기재필름, 대전방지층, 공중합 수지, 불소계 마크로 모노머, 블록형 공중합 수지

Description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A Film for Protecting a Surface for a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표면에 방오층이 형성된 본 발명의 표면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방오층이 대전 방지층과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표면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과의 비교를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보호필름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L1 : 대전방지층 L2 : 방오층
F1 : 기재 필름 F2 : 이형 필름
A1 : 점착제층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광학 필름, 특히 편광판과 같은 광학부재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투명 점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 필름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는 차례로 대전방지층과 방오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차례로 점착제층과 이형 필름으로 구성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이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block) 공중합된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액정디스플레이는 우수한 성능으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고가의 광학 필름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광학 필름의 미세한 손상 및 결함에 의해서도 액정디스플레이(LCD) 제품이 불량으로 처리가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 중이나 유통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 보호용의 점착필름이 광학 필름의 표면에 붙여져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검사 작업에서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검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보호필름 자체의 손상 또는 오염은 광학 필름의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제품 전체의 불량 처리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광학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의 경우 광학 필름의 제조 공정 중이나 LCD 조립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위와 같은 광학 필름이나 편광판 등의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이 구비하여야할 기능으로서는, 광학부재에 보호필름 부착공정 및 검사, 운반 공정 등에서 외 부의 충격 및 긁힘에 대한 내성, 광학부재 재단 공정 중에 재단면에서 배어나온 점착제가 표면에 쉽게 오염되지 말아야 하며, 오염이 된 후에도 제거가 용이해야 하는 방오성, LCD 패널의 대형화 및 LCD 제조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보호필름의 박리를 박리용 테이프를 활용한 자동 박리가 되고 있어 박리용 테이프에 대한 부착력과 검사공정에서 표면의 손상이나 오염이 보호필름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알콜 등의 용제 및 온수를 통한 수세 공정에서 요구되는 내용제성 및 내수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 광학부재(편광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며 이에 대한 판별 및 편광각도의 표시 등 제조 공정상의 편리성 및 제품 관리를 위한 필요 정보의 기록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잉크젯(Inkjet) 및 스탬프(Stamp)에 대한 인쇄 적성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위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져야 하는 보호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보호필름의 일측면에 실리콘 오일, 왁스(Wax) 또는 지방산 등의 윤활제를 포함한 방오층을 구비한 보호필름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의 방법은 어느 정도의 목적은 달성되어지지만 첨가된 윤활제가 경시적으로 표면으로 블리드 아웃(Bleed out)되어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는 윤활제의 외부 유출로 인해 인쇄성의 저하 및 롤상으로 권취 시 다른 면으로 이행되어 오염을 유발하고 표면 물성이 변화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른 해결 방법으로서 아크릴, 우레탄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의 측쇄에 이형성의 실리콘을 그래프트(Graft)화한 실리콘 그래프트 아 크릴 수지를 사용한 방오층이 제안되었다. 이는 기존의 윤활제를 첨가했던 방식에서 발생되는 윤활성분의 표면 Bleed out으로 인한 문제점은 해결이 가능하였으나, 표면으로 배향된 실록산 세그먼트의 강한 특성으로 인해 너무 낮은 마찰 계수를 나타내어 적재 발생을 유발하고 보호필름 자동 박리 시 보호필름 박리용 테이프와 접착성이 너무 낮아 보호필름 자동 박리 시 박리 에러를 유발하였으며, 인쇄성의 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염물 부착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인쇄 적성 및 내마모 특성을 갖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보호필름 편면에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Block)화 공중합된 합성수지로 방오층을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오층을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 공중합된 합성수지로 형성시켜 내오염성, 자동 박리성, 인쇄 적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재 필름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는 차례로 대전방지층과 방오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차례로 점착제층과 이형 필름이 형성된 광학부재용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이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block) 공중합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상기 방오층은 광학부재(편광판 등) 보호필름으로 하여금 내오염 및 발수 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잉크젯 인쇄에 대한 인쇄 적성 및 내마모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방오층은 이형성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불소계 마크로 모노머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폴리에스터 등의 고분자 수지의 주쇄에 블록 공중합된 블록형 공중합수지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방오층은 실리콘 또는 불소계 마크로 모노머가 블록 공중합된 아크릴, 우레탄, 폴리에스터 수지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종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서, 상기 방오층은 위와 같은 블록형 공중합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실리콘이나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합성수지가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또는 불소계 마크로 모노머가 블록 공중합된 아크릴, 우레탄, 폴리에스터 수지에서 선택된 블록형 공중합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실리콘이나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합성수지로서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단독 중합체 또는 상기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더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형 공중합 수지 또는 그 혼합물은 열경화형 및 광(UV)경화형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제에 대한 내성 및 인쇄적성을 고려하여 이소시아네트 반응형인 UV 경화형이 좋다.
상기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가 블록 공중합된 수지는 분자 구조상, 실리콘 또는 불소의 특성과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등의 특성을 동시에 구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되어 오염물 부착 방지 기능 및 발수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보호필름 자동 박리 시, 사용되는 박리용 테이프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여 보호필름 자동 박리성이 우수하며 인쇄적성 및 내마모 특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또는 불소 블록 공중합 수지는 2개의 활성수소 함유기를 분자내에 가지는 디올(diol), 디아민(diamine) 또는 디카르복실산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과 1개 또는 2개의 활성 수소를 가지는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방향족, 지환족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와 당량비가 1이 되도록 하여 One shot 또는 다단법에 의해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가 거의 사라질 때까지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블록 공중합 우레탄은 다음과 같은 화학 구조식을 갖는다.
[실리콘 Block 공중합 우레탄]
Figure 112005018748423-pat00001
[위 식에서, X는 2개의 활성수소를가지는 화합물 중 활성수소기(-OH, -NH2, -COOH)를 제외한 부분, Y1과 Y2는 -O- 또는 NH- 이고, Z는 폴리실록산 세그먼트(polysiloxane segment)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2개의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제조에 종래부터 사용되는 짧음쇄 디올(diol), 짧음쇄 디아민(diamine), 디카르복실산이나고분자 디올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짧음쇄 디올 류로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콘(propylene Glycol),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류 및 지환식 글리콜 등이 사용이 가능하고, 고분자 디올 류로서는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폴리에스테르 디올(polyester diol), 폴리락톤 디올(polylactone diol), 폴리카보네이트 디올(polycarbonate diol), 폴리올레핀 디올(Polyolefin diol), 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폴리올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평균 분자량 5,000~20,00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 디올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티올(thiol)기,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활성수소 함유 화합물의 사용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고분자 디올 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으로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톨루엔 디 이소시아네이트(Toluene 2,4- diisocyante: TDI), 엠디아이 (4,4- methylene vis Phenylene diisocyante: MDI), 헥사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te: HDI)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 세크먼트는 말단에 1개 또는 2개의 활성 수소를 가지는 변성 실록산으로 아미노기 변성 실록산, 에폭시 변성 실록산, 수산기 변성 실록산, 메르캅탄 변성 실록산, 카르보닐 변성 실록산 등이 사용되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2개의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가지는 폴리 실록산(Polysiloxane)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방오층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층 중의 폴리실록산 세그먼트(Polysiloxane segment)의 함유량은 실록산(Siloxane)의 함유량으로서 1~50 중량%를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록산의 함유량이 1% 미만이면 마찰계수가 너무 높아 취급성, 내오염성, 발수성의 문제가 발생되며, 50% 를 초과하면, 피막 강도의 저하 및 실리콘의 이행의 문제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방오층에 사용되는 블록(Block)형 합성수지는 내열성 및 내마모 성능을 고려 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500,000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오층의 형성은 상기의 고분자 화합물을 적정 유기 용제에 희석하여 일반적인 도포 방법, 그라비아, 롤코팅, 바코팅 방법 등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고, 방오층의 두께는 0.05~2㎛가 적합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5~1㎛가 바람직하다. 방오층의 두께가 2㎛를 초과하면 방오층 아래면의 대전 방지성능을 저해하여 보호필름의 표면 저항이 1010Ω/□ 이상으로 높아져 먼지 및 이물질 등의 부착 에 의한 오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보호필름 제거 공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LCD의 회로의 손상이 발생되어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방오층의 두께가 0.05㎛ 미만이 되면 충분한 도막의 피막 강도가 형성되지 않아 유기 용제, 물 등에 내성 및 내마모 성능의 저하가 발생 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로서 설명이 하지만, 공지된 사항이나 또는 자명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표면에 방오층이 형성된 본 발명의 표면 보호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방오층이 대전 방지층과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표면 보호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재 필름(F1)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는 차례로 대전방지층(L1)과 방오층(L2)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차례로 점착제층(A1)과 이형 필름(F2)으로 구성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L2)은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 공중합된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F1)은 이축연신된 투명 고분자 필름이 될 수 있으며, 내열성 및 투명성을 고려하여 이축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적절하다. 상기 기재 필름(F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가 적합하다.
대전방지층(L1)은 제4급 암모늄염, 양이온성 대전방지제, 음이온성 대전 방지제 및 비이온성의 대전방지제 등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형 대전 방지제를 사용 하여 형성되거나또는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의 전도성 고분자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산화 제2주석 등의 전도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점착성 수지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대전방지층(L1)과 방오층(L2)이 별도의 층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들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전방지층(L1)과 방오층(L2)이 동일한 층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층으로 형성될 경우 방오층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화합물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계면활성제, 전도성 미립자, 전도성 고분자등을 혼합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제조비용 면에서 이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시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오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과 종래의 보호필름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하였다.
[실시예 1]
대전 방지성이 부여된 두께 38㎛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대전방지층위에 주쇄 부분에 실리콘 마크로 모노머가 20~30% 중량비로 공중합 된 실리콘 Block 공중합 우레탄(제품명 : 다이아로마 SP 2105, 제조사 : 일본, 다 이니치세이카)을 이소시아네이트형 경화제와 고형분 비로 100:3으로 배합하여 적정의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고형분 기준으로 0.3㎛ 도포하고 10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방오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필름의 반대면에 분자량 30~60만 범위의 아크릴계 약박리형 점착제를 고형분으로 25㎛ 도포 건조하고 그 아래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대전 방지성이 부여된 두께 38㎛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대전방지층위에 주쇄 부분에 불소 마크로 모노머가 20~30% 중량비로 공중합 된 불소 Block 공중합 우레탄(제품명 : 다이아로마 FF-232 제조사 : 일본, 다이니치세이카)을 이소시아네이트형 경화제와 고형분 비로 100:3으로 배합하여 적정의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고형분 기준으로 0.3㎛ 도포하고 10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건조하여 방오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필름의 반대면에 분자량 30~60만 범위의 아크릴계 약박리형 점착제를 고형분으로 25㎛ 도포 건조하고 그 아래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두께 38㎛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측면에 주쇄 부분에 실리콘 마크로 모노머가 20~30% 중량비로 공중합 된 실리콘 Block 공중합 우레탄(제품명 : 다이아로마 SP 2105, 제조사 : 일본, 다이니치세이카), 양이온성 대전 방지제 (스테틱 사이드 3000G, 제조사 : ACL), 이소시아네이트형 경화제를 고형분 비로 100 : 5 : 3으로 배합하여 적정의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고형분 기준으로 0.4㎛ 도포하고 10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방오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필름의 반대면에 분자량 30~60만 범위의 아크릴계 약박리형 점착제를 고형분으로 25㎛ 도포 건조하고 그 아래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실리콘 Block 우레탄을 고형분 기준으로 0.04㎛ 도포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실리콘 Block 우레탄을 고형분 기준으로 1.5㎛ 도포,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방오층 구성성분을 실록산이 함유되지 않은 폴리우레탄(LUC-1010, 제조사 : 삼성페인트)을 이소시아네이트형 경화제와 고형분 기준으로 100: 5로 배합하여 0.2㎛ 도포,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방오층 구성성분을 실록산이 함유되지 않은 폴리우레탄(LUC-1010, 제조사 : 삼성페인트), 이소시아네이트형 경화제, 박리용 실리콘 오일을 고형분 기준 100 : 5: 4 의 비율로 배합하여 0.4㎛ 도포,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방오층 구성성분을 측쇄 부분에 실리콘 마크로 모노머가 20~30% 중량비로 공중합 된 실리콘 Graft 공중합 우레탄 (제품명 : 다이아로마 SP 712, 제조사 : 다이니치세이카)를 이소시아네이트형 경화제와 고형분 비로 100:3으로 배합하여 적정의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고형분 기준으로 0.2㎛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비교예 5에서 방오층의 건조 도막 두께를 1.5㎛ 도포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5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방오층 구성성분을 측쇄 부분에 실리콘 마크로 모노머가 20~30% 중량비로 공중합 된 실리콘 Graft 공중합 아크릴(제품명 : U 310, 제조사 : 도요잉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의 여러 가지 특성을 아래와 같이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 고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표면저항 (Ω/□) 1.0X109 1.5X109 2.0X109 9.0X108 3.0X1013 1.5X109 1.5X109 5.0X109 4.0X1010
내마모성
내용제성
잉크 밀착성 미박리 미박리 미박리 미박리 미박리 미박리 박리 박리 박리
정마찰계수 (대 PET) 0.23 0.26 0.27 0.30 0.21 0.43 0.19 0.10 0.09
적재성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흘러내림 흘러내림
물튀김
보호필름 박리성
상기 [표 1]에서,
1. 표면저항은 동아 전파공업사 SM8210을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5%하에서 100V의 인가전압으로 1분간 충전하고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2. 마모 특성은 마찰견뢰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20mm×20mm 마찰 편자에 셀룰로우스부직포 (상품명 : Bemcot , 제조사 : 욱화성)을 사용하여 1.2Kg의 하중으로 100회 왕복하여 표면의 손상을 육안 관찰하였다.
이때, [표 1]에서, ○ : 표면 손상 없음, △ : 표면에 미세한 스크래치 발생, X : 도막의 탈락으로 인한 미세한 백분의 발생을 나타낸다.
3. 내용제성은 마찰견뢰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20mm×20mm 마찰 편자에 셀룰로우스부직포 (상품명 : Bemcot , 제조사 : 욱화성)을 사용하고 5ml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제를 흡수시킨 후 300g의 하중으로 5회 왕복하여 표면의 손상을 육안 관찰하였다.
이때, [표 1에서], ○ : 표면 변화 없음, △ : 표면에 미세한 스크래치 발생, X : 도막의 탈락 발생을 나타낸다.
4. 인쇄밀착성은 용제형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 건조 후 아크릴계 Tape (제품명 : 31B tape, 제조사 : 일동전공)을 2kg의 하중의 롤러로 5회 왕복하여 붙인 후 박리하여 인쇄잉크의 박리 정도를 확인하였다.
5. 정마찰계수는 트윙 알버트사의 Friction 시험기를 사용하여 200g의 Sled를 사용하여 보호필름의방오층과 폴리에스터 필름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6. 적재성은 편광판에 보호필름을 붙여 소정의 장수로 적층 한 후 재단 작업 시 적재된 편광판의 흘럼내림 정도를 관찰하였다.
7. 물튀김은 보호필름의 표면에 3ml의 물을 적하 후 50g의 하중으로 rubbing후 다시 물을 적하하고 물을 털어 내어 물튀김 현상을 확인하였다.
8. 보호필름 박리성은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보호필름 필름을 박리 시 그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때, [표 1]에서, ○ : 보호필름 박리성 우수, X : 보호필름 미박리 (박리용 테이프 박리)를 나타낸다.
상기의 [표 1]의 결과와 같이, 비교예 1은 방오층의 두께가 너무 낮아 내마모 특성의 저하가 발생되었으며, 비교예 2는 방오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대전 방지 성능의 큰 저하가 발생되어 먼지 등의 이물 등의 부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비교예 4에서는 첨가된 실리콘 오일이 표면으로 부상하여 내마모성의 저하 및 인쇄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은 표면의 비점착 특성이 너무 강하여 정보기록을 위한 인쇄 잉크의 인자 불량 및 탈락 현상이 발생이 되며 또한 표면이 너무 미끄러워 편광판의 적재 시에 흘러내림에 의한 적재 불량이 생기며 박리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편광판에서 보호필름의 박리 시 보호필름면과 박리 테이프의 접착력이 너무 낮아져 보호필름이 박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용 보호필름은, 보호필름의다양한 요구 물성을 충족한다. 특히, 표면 저항이 109 Ω/□ 정도가 됨으로써 먼지 등의 미세 물질이 부착되기 어려워 오염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마모성, 적재 안정성 및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블록공중합 수지 화합물의 특성을 이용한 방오층을 포함함으로서 잉크젯 잉크를 이용한 인쇄 적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한편으로, 광학부재(편광판 등)의 보호기능을 높임으로서 취급이 용이하여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5)

  1. 기재 필름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는 차례로 대전방지층과 방오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차례로 점착제층과 이형 필름이 형성된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이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block) 공중합된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실리콘 또는 불소계 마크로 모노머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또는 폴리에스터의 주쇄에 블록 공중합된 블록형 공중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실리콘 또는 불소계 마크로 모노머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또는 폴리에스터의 주쇄에 블록 공중합된 블록형 공중합 수지와, 실리콘이나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및 폴리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독 중합체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그 주쇄 중의 실록산의 함유량이 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500,0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실록산 세그먼트가 블록 공중합된 것이고, 상기 폴리실록산 세그먼트가 변성 폴리실록산, 에폭시 변성 실록산, 수산기 변성 실록산, 메르캅탄 변성 실록산 및 카르보닐 변성 실록산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 블록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의 두께는 0.05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은 대전방지층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이 그 표면의 표면저항이 1010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이 보호필름 박리 제거 시, 박리 대전압이 -3kV ~ +3k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11. 제 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이 폴리에스터 필름에 대한 마찰계수가 0.2 ~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12. 기재 필름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는 차례로 대전방지층과 방오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차례로 점착제층과 이형 필름이 형성된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의 형성은 블록 공중합된 합성수지를 경화제와 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합물을 유기 용매와 혼합하여 상기 대전방지층 위쪽에 도포시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수지는 실리콘 또는 불소계 세그먼트(segment)가 블록(block) 공중합된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실리콘 또는 불소계 마크로 모노머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또는 폴리에스터의 주쇄에 블록 공중합된 블록형 공중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와 경화제의 배합비는 고형분 비로서 100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50029909A 2005-04-11 2005-04-11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73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909A KR100736386B1 (ko) 2005-04-11 2005-04-11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909A KR100736386B1 (ko) 2005-04-11 2005-04-11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673A KR20060107673A (ko) 2006-10-16
KR100736386B1 true KR100736386B1 (ko) 2007-07-06

Family

ID=3762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909A KR100736386B1 (ko) 2005-04-11 2005-04-11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3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39B1 (ko) 2005-12-30 2008-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KR101002033B1 (ko) * 2008-09-30 2010-12-17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광학용 보호필름
WO2013108957A1 (ko) * 2012-01-16 2013-07-25 주식회사 윅스켐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적층 필름
WO2014204256A3 (ko) * 2013-06-19 2015-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재 필름의 신뢰 수명을 평가하는 방법 및 상기 필름의 신뢰도 평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73B1 (ko) * 2008-03-31 2010-05-24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백라이트 유닛용 광기능성 시트
CN104149449A (zh) * 2014-08-01 2014-11-19 苏州袭麟光电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防静电抗老化保护膜
CN115785337B (zh) * 2022-12-09 2023-09-19 广东工业大学 一种低介电、高导热硅酮胶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689A (ja) 2001-07-27 2003-05-20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画像表示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4151696A (ja) 2002-10-08 2004-05-27 Oji Paper Co Ltd 液晶偏光板保護用透明粘着フィルム
WO2004088364A1 (ja) 2003-03-31 2004-10-14 Lintec Corporation 光学用フィルム
KR20040111611A (ko) * 2002-05-21 2004-12-31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표면 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689A (ja) 2001-07-27 2003-05-20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画像表示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040111611A (ko) * 2002-05-21 2004-12-31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표면 보호필름
JP2004151696A (ja) 2002-10-08 2004-05-27 Oji Paper Co Ltd 液晶偏光板保護用透明粘着フィルム
WO2004088364A1 (ja) 2003-03-31 2004-10-14 Lintec Corporation 光学用フィル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39B1 (ko) 2005-12-30 2008-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KR101002033B1 (ko) * 2008-09-30 2010-12-17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광학용 보호필름
WO2013108957A1 (ko) * 2012-01-16 2013-07-25 주식회사 윅스켐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적층 필름
WO2014204256A3 (ko) * 2013-06-19 2015-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재 필름의 신뢰 수명을 평가하는 방법 및 상기 필름의 신뢰도 평가 장치
US9548473B2 (en) 2013-06-19 2017-01-17 Lg Chem, Ltd. Method of evaluating reliable life span of encapsulant film and device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sai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673A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99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0736386B1 (ko) 광학부재용 표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I684634B (zh) 表面保護薄膜及光學構件
CN103666360B (zh) 聚氨酯基压敏胶粘剂和使用所述压敏胶粘剂的表面保护膜
TWI434765B (zh) Surface protection with adhesive film
TWI508857B (zh) Surface protective film
KR101375948B1 (ko) 점착 보호필름
WO2016152369A1 (ja) 離型フィルム
JP6444051B2 (ja) 粘着シート
KR20170046089A (ko) 열경화성 이형 코팅제, 이형 필름 및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CN103571359A (zh) 表面保护膜、光学构件和电子构件
KR20110066932A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14021107A1 (ja) 粘着剤
JP2015044970A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KR20080084347A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80131380A (ko) 점착제 조성물, 표면 보호 시트, 및, 광학 부재
WO2012144351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30014587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3571360A (zh) 表面保护膜、光学构件和电子构件
CN100355848C (zh) 光学部件用保护胶带
KR20180111471A (ko) 보호 시트
JP6599619B2 (ja)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KR101058358B1 (ko) 액정 편광판 보호용 투명 점착 필름
WO1997035722A1 (en) Ink-fouling preventing sheet
KR20090020423A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