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825A - 플립 칩 실장 방법 - Google Patents

플립 칩 실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825A
KR20030011825A KR1020027013706A KR20027013706A KR20030011825A KR 20030011825 A KR20030011825 A KR 20030011825A KR 1020027013706 A KR1020027013706 A KR 1020027013706A KR 20027013706 A KR20027013706 A KR 20027013706A KR 20030011825 A KR20030011825 A KR 20030011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miconductor chip
sealant
bumps
mount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095B1 (ko
Inventor
스즈끼오사무
요시이하루유끼
스즈끼게니찌
Original Assignee
나믹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믹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나믹스 코포레이션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1/00318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80302A1/ja
Publication of KR2003001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3Encapsulation of active face of flip-chip device, e.g. underfilling or underencapsulation of flip-chip, encapsulation preform on chip or moun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1310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400°C
    • H01L2224/13109Indium [In]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2910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400°C
    • H01L2224/29111Tin [Sn]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4Beryllium [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2Magnesium [M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5Phosphorus [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9Potassium [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Calcium [C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Zinc [Z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5Rhodium [R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6Palladium [P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Tin [S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68Erbium [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32Binary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95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provided in the groups H01L2924/013 - H01L2924/0715
    • H01L2924/097Glass-ceramics, e.g. devitrified glass
    • H01L2924/09701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6Material
    • H01L2924/1579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Bond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칩과 기판과의 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는 플립 칩 실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플립 칩 실장 방법에 있어서,
(A) 기판을 건조하는 공정 및
(B) (1) 미경화 밀폐제를 기판 표면의 적어도 그 범프를 압착하는 부위 및/또는 기판의 미세한 요철이 존재하는 부위 전체에 디스펜스하는 공정과 (2) 그 반도체 칩과 그 기판과의 온도 차가 미경화 내지 경화 중의 밀폐제에 대류를 실질적으로 일으키지 않도록 온도 조건을 유지하면서 압착 및 밀폐제의 경화를 실시하는 공정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실장방법이다.

Description

플립 칩 실장 방법{FLIP CHIP MOUNTING METHOD}
IC 등의 반도체 칩을 기판에 실장할 때 전극수가 늘어남에 따라, 와이어 본딩으로는 작업 능률 및 신뢰성이 저하된다. 그것을 대신하는 실장 방법으로서, 특히 실장 면적이 작고, 높이도 줄일 수 있으며, 반도체 팩키지의 소형화, 실장 효율화 및 전자기기의 작동 고속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플립 칩 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플립 칩 방식으로는, 반도체 칩과 기판을 접합한 후, 칩과 기판 사이의 공극에 절연성 수지 또는 수지함유 페이스트 (이하, 이 두 가지를「밀폐제」라 한다)를 미경화 상태로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공극에 2cm의 거리까지 밀폐제를 주입하는데 6∼10분의 시간이 요구되고, 또한 대형 칩과 같이 주입 거리가 2cm을 넘는 경우에는 주입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밀폐제를 균일하게 주입할 수 없어 공극의 발생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그 개량법으로서 도2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에 도전부를가지는 기판(1)의 표면에 밀폐제(2)를 미경화 상태로 디스펜스하고, 하면에 범프(돌기 전극)(4)를 가지는 반도체 칩(3)을 기판 표면에 밀폐제를 도포하여 실장하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가열 프레스(5)에 의하여 가열하면서 범프를 기판 상면의 도전부에 압착함과 동시에, 밀폐제(2)를 경화시켜 반도체 칩(3)과 기판(1) 사이를 밀폐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도2a는 미경화 밀폐제의 디스펜스 공정, 도2b는 반도체 칩의 실장 공정, 및 도2c는 범프를 기재(base)에 압착하여 밀폐제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편의상, 도2a∼2c에는, 1개의 반도체 칩에 2개의 범프만을 도시하였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칩에는, 통상 다수의 범프가 존재한다. 또한 반도체 칩측의 범프의 유무와 상관없이 기판측에 범프를 설치하고, 반도체 칩측의 범프 또는 전극과 압착하는 방식도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플립 칩 방식에 의한 반도체 칩의 실장은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5143 호 공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54345호 공보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8044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범프의 재질로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5143호 공보에는 도금에 의하여 형성된 금속,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54345호 공보에는 Au,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80443호 공보에는 각종 땜납 합금, 예를 들면 Sn/Pb 땜납, Pb/In 땜납이 개시되어 있다.
플립 칩 방식에 의하여 실장을 한 경우, 상기 개량법으로도 반도체 칩과 기판의 사이에 밀폐제를 완전히 충전할 수 없어 공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공극이 존재하면 패키지 사용 중에 열 사이클에 의하여 수분이 공극에 응축되어, 내전압이 저하되고 누설 전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공극이 생기지 않는 플립칩 실장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기판의 표면층 및/또는 내부에 배선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기판의 상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고, 그것이 미경화 또는 경화 중인 밀폐제의 흐름을 저해하여 보이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이와 같은 미세한 요철을 가지는 기판에 반도체 칩을 압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칩의 압착과 마찬가지로 공극이 생기지 않는 플립 칩 실장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반도체 칩과 기판의 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는 플립 칩 실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상기 공극이 생기는 요인이 기판의 수분의 존재, 밀폐제의 공급 방법 및 반도체 칩과 기판 사이의 온도 차에 의한 밀폐제의 대류임을 알아내고, 그 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그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의 실장 방법은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칩의 범프를 기판에 압착하거나, 또는 범프를 가지지 않는 반도체 칩을 표면에 범프 및/또는 배선 패턴을 위한 미세한 요철을 가지는 기판에 압착하고, 밀폐제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기판의 사이를 밀폐하는 플립 칩 실장 방법에 있어서,
(A) 기판을 건조하는 공정 및
(B) 아래 (1)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 즉,
(1) 미경화 밀폐제를 기판의 표면에 적어도 상기 범프를 압착하는 부위,및/또는 기판의 미세한 요철이 존재하는 부위 전체에 디스펜스하는 공정과
(2)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기판과의 온도 차가 미경화 내지 경화중인 밀폐제에 대류를 실질적으로 일으키지 않도록 온도 조건을 유지하면서 압착 및 밀폐제의 경화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립 칩 실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칩과 기판의 사이에 공극(void)이 생기지 않도록 밀폐제(sealant)로 밀폐하는 플립 칩 실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플립 칩 실장 방법의 대표예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고 (단, (A) 건조 공정은 생략), 도1a는 미경화 밀폐제의 디스펜스 공정, 도1b는 반도체 칩의 실장 공정, 도1c는 압착·경화 공정을 각각 도시한다.
도2는 일반적인 플립 칩 실장 방법의 대표예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고, 도2a는 미경화 밀폐제의 디스펜스 공정, 도1b는 반도체 칩의 실장 공정, 도2c는 압착·경화 공정을 각각 도시한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와 같은 불연속형(discrete) 반도체 소자; 및 IC, LSI와 같은 미세한 소자를 그 회로와 함께 집적하여 형성한 칩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반도체 칩은 그 전극부를 제외하고는, 습도나 분위기 중의 불순물 이온의 영향을 막기 위하여, 표면에 SiO2, Si3N4, Al2O3, 글래스 등의 보호막을 형성하여도 된다.
플립 칩 방식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은 실장에 의하여 전극이 범프를 사이에 두고 기판의 도전부에 접속하도록, 대표적으로 범프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반도체 칩은 일반적으로 1mm2∼900cm2의 면적을 가지고, 예를 들면 1개당 10∼3,000개 또는 그 이상의 범프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범프로서는 Au, Ag, Cu, Al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과 같은 금속; Au 도금 Cu와 같은 금속 복합체; 및 Sn, Sn/Pb, Pb/In, Sn/Bi, Sn/Ag와 같은 땜납 등이 사용된다. 땜납의 경우, 플럭스로서 올레인산, 사과산과 같은 지방산을 땜납 또는 밀폐제 중에 함유시켜도 되고, 밀폐제의 경화제로서 페놀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페놀수지가 범프로 이행하여 플럭스로서 기여한다. 압착에 요구되는 하중은 반도체 칩당 수g부터 범프당 50g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된다. 즉 범프가 땜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반도체 칩당 수g부터 수십g의 범위이지만, 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범프당 20∼50g이 요구된다. 185∼250℃에서의 가열에 의하여 용융되고, 기판의 도전부와의 사이에 우수한 접착성이 용이하게 얻고 압착에 요구되는 하중이 작으며, 반도체 칩이 손상을 입지 않는다는 점에서, 범프에는 땜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프는, 반구상, 버섯상, 원통상, 판상, 돌기상 등 각종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돌기상의 경우, 범프는 반도체 칩면에 대하여, 수직이어도,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범프의 높이는 반도체 칩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통상 150μm이고 5∼100μm가 바람직하다.
기판의 절연부로서는, 에폭시수지, 폴리이미드, 말레이미드수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옥시드, 액정 중합체와 같은 수지; 에폭시 수지와 유리 섬유 등을 조합한 적층체; 및 글래스, 세라믹스와 같은 무기질 등이 사용되며 경질이든 가소성이든 무방하다.
상기 기판은 도전층 또는 배선과 같은 도전부를 가지며, 반도체 칩을 실장하는 표면의 적어도 범프 또는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전부가 설치된다. 상기 도전부로서는, Cu, Ni 도금 Cu, Au 도금 Cu, 땜납 도금 Cu, Al, Ag/Pd등이 사용된다.
기판은 표면층 및/또는 내층에 배선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생성하고, 그 때문에 밀폐제의 흐름을 저해하여, 공극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요철의 크기는 통상 5∼15μm이다. 또한 기판에도 도전부와 결합하여 범프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범프의 수, 재질 및 형상은 반도체 칩에 형성된 범프와 동일하다.
반도체 칩 및/또는 기판에 범프가 형성되므로, 압착에 의한 반도체 칩과 기판의 접합 장소는 반도체 칩측의 범프-기판의 도전부, 반도체 칩측의 범프-기판측의 범프 및 반도체 칩의 전극-기판의 전극 등 각종 방식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온도 및 압착에 필요한 하중이 모두 낮으므로, 접합은 땜납 접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칩의 범프를 기판에 압착시키는 경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칩이 범프를 가지는 지 여부에 상관없이, 반도체 칩의 범프 또는 전극을, 범프 및/또는 배선 패턴을 위한 미세한 요철을 가지는 기판에 압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밀폐제로서는, 에폭시 수지, 옥세탄수지, 말레이미드 수지 및 그 2종 이상을 배합한 혼합 수지; 및 이들에 실리카, 산화 티탄,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산화 아연, 탄산 칼슘과 같은 무기질 충전제: 부타디엔계 고무 입자와 같은 고무질물 등을 배합한 수지 페이스트가 사용된다. 또한 이들에, 필요에 따라, 페놀수지, 산무수물, 폴리아민, 오늄염과 같은 경화제; 이미다졸류, 유기과산화물과 같은 경화 촉진제; 브롬 화합물, 인화합물과 같은 난연제; 폴리디메틸 실록산이나 그것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같은 소포제; 유기 안료 등의 착색재; 실란 커플링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미경화 밀폐제에 적당한 유동성을 주기 위하여, 분자 중에 l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실란 환을 가지는 저분자 화합물과 같은 반응성 희석제를 배합할 수 있다.
미경화 밀폐제의 점도는, 25℃에 있어서, 통상 10∼2,000Pa·s이고, 20∼200Pa·s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장 방법의 대표예의 개략을 도1a∼c에 도시한다. 단, 도1은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칩의 실장에 있어서, 공정(A)에, (B)로서 공정(1)과 공정(2)를 조합한 방법으로서, 공정(A)를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중의 a, b 및 c는, 본 발명에서의 공정 번호가 아니라 도2에 대응한다. 또한 도2와 마찬가지로, 1개의 반도체 칩에 2개의 범프만을 도시하였다. 각 도중 l은 기판을, 2는 밀폐제를, 3은 반도체 칩을, 4는 범프를, 5는 가열 프레스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장 방법에서의 첫 번째 특징은 미경화 밀폐제를 디스펜스하기 전에, 공정(A)로서, 기판을 건조하는 공정을 두는 것이다. 기판의 표면에 수분이 존재하면, 수분이 미경화 밀폐제 중으로 이행하여, 경화 과정에서 휘발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한 공극을 주위의 밀폐제가 메울 수 없어, 경화 후의 밀폐제에 공극이남는다. 건조는 상기 기판을 통상,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150℃에서 0.5∼2시간 가열함으로써 실시한다. 상기 온도로 가열한 건조 질소 가스를 기판에 불어넣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건조된 기판은 표면에 수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건조된 기판은 압착 및 밀폐에 즉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건조 분위기의 클린 룸 중에서는 1시간 정도 방치한 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장 방법의 제2의 특징은 공정(A)와 조합하는 (B)로서, 모두 후술하는 바와 같은 특정 조건에 의한, 밀폐제를 디스펜스하는 공정(1), 또는 압착과 밀폐제 경화를 실시하는 공정(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공극의 발생을 보다 완전히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제로서 휘발 성분 함유량이 1.0중량% 이하인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정(1)에 의하여 밀폐제의 디스펜스를 실시한 후에, 공정(2)에 의하여 압착과 경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정(1)의 조건은 기판 표면에 미경화 밀폐제를 디스펜스하고, 상기 밀폐제를 기판 표면에 쌓아올리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밀폐제를 적어도, 기판 표면의 다음 공정에서 범프를 압착하는 부위, 및/또는 기판의 미세한 요철이 존재하는 부위 전체에 디스펜스하는 것이다. 미경화 밀폐제는 점성을 가지므로, 반도체 칩의 범프를 압착하는 부위 및/또는 기판의 미세한 요철이 존재하는 부위의 일부분에 디스펜스하여 쌓고, 실장하는 반도체 칩으로 상기 밀폐제를 기판 표면에 눌러 폄으로써 밀폐를 실시하는 것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미경화 밀폐제의 흐름이 충분하지 않고, 반도체 칩의 범프의 하류측 및/또는 기판에 존재하는 범프 및/또는 기판에 존재하는 범프 및/또는 볼록부의 하류측에 밀폐제가 미치지 않는 부분이 생겨 경화 후 공극으로서 남는다.
후속되는 압착·경화 공정에 있어서, 밀폐제의 온도는 150℃ 부근 또는 그 이상까지 상승한다. 밀폐제 중에 이와 같은 온도에서 휘발하는 성분이 존재하면 그 휘발에 의하여 공극이 생기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경화 밀폐제로는, 압착·경화 온도에서 휘발하는 성분의 함유량이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휘발성 성분으로서는, 유기 용매와 같은 비반응성 희석제 외에, 저분자량의 모노머나 반응성 희석제가 있고 이 온도에서의 반응 속도가 낮은 것,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미경화 밀폐제의 디스펜스는 공판 인쇄, 스크린 인쇄와 같은 인쇄; 또는 디스펜서 등에 의한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장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2)의 조건은 범프를 기판에 압착하면서, 밀폐제를 경화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와 기판과의 온도차를 미경화 내지 경화중의 밀폐제에 대류를 실질적으로 일으키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즉, 그 온도차를 수지의 조성에도 의하지만, 바람직하게는 200K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50K로 유지한다. 밀폐제에 대류가 일어나면, 대류에 의하여 특히 반도체 칩의 범프, 기판의 범프 및/또는 기판 볼록부의 하류측에 소용돌이가 생겨, 밀폐제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 즉 공극을 생성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압착·경화 공정에 있어서는, 반도체 칩을 가열함과 동시에 가압하여 범프 또는 전극을 기판에 압착하는 힘을 가하기 위하여, 반도체 칩의 상면에 가열 프레스를 설치하고, 반도체 칩을 가열·가압한다. 이 때문에, 반도체칩의 온도는 범프의 재질과 밀폐제의 경화 온도에도 의하지만, 범프로서 땜납을 사용한 경우에는 통상 200∼280℃이다. 한편, 기판은 건조 후 방치되거나 또는 밀폐제의 공급 중에 방냉되는 경우, 온도가 실온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기 온도차를 만족시킬 수 없어 경화된 밀폐제에 공극이 남는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건조한 후에, 이 압착·경화 공정까지 기판을 건조 온도로 유지하도록 밀폐제의 공급을 단시간에 실시하는 지, 별도로 기판을 가열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지에 따라 상기 온도차의 범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기판의 가열 수단으로서는, 기판의 스테이지에 가열기를 설치하여 가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범프로서 금, 동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 경우나 반도체 칩의 전극을 기판에 직접 압착하는 경우에는, 반도체 칩을 통상 200∼400℃, 바람직하게는 200∼300℃까지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에 수반하여, 동일한 온도 차 범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판의 가열온도도 범프로서 땜납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욱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범프 또는 전극을 기판에 압착함과 동시에 밀폐제의 경화를 실시한다. 이 압착·경화 공정의 소요 시간은 통상 0.1∼20초, 바람직하게는 0.5∼10초이다.
또한, 가열 프레스에 의한 반도체 칩의 가열은 상기 프레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보다, 예를 들면 경화 시간이 3∼10초인 경우, 일단 상기 프레스의 온도를 100∼150℃까지 내린 다음, 5∼10초 동안 승온하고, 반도체 칩을 소정 온도로 3∼10초간 유지하는 온도 사이클을 사용하는 것이 공극의 발생이 적다.
이와 같이 하여, 거대한 공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작은 공극의발생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실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로 패키지의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특히, 공정(1)과 공정(2)를 병용하거나, 밀폐제의 발휘 성분 함유량을 1.0중량%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공극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 %는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다음과 같은 실리콘 IC 칩의 실장을 실시하였다. 즉, 칩은 평면 치수가 5×5mm의 정방형이고, 그 하면의 폭 100μm의 주연부를 제외한 전체에, 120μm간격으로, 길이100μm의 돌기상 Sn/Pb 땜납 범프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밀폐제로서는, 실시예 1∼8 및 비교예 1, 2에서는, 표1의 조성을 가지고, 25℃에서의 점도가 55Pa·s이며, 250℃에서의 휘발 성분이 1.2%인 비스페놀A/비스페놀 F계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9, 10에서는 같은 조성 및 점도를 가지며, 250℃에서의 휘발 성분이 0.6%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휘발성분의 측정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즉, 시료 1g을 알루미늄 호일 상에 두께 약200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것을 소정의 경화 온도로 설정된 핫 플레이트 상에서 30초간 가열하여 경화시키고, 그 때의 감량을 측정하였다.
성 분 배합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레졸형 페놀 수지실리카 미세분말2-에틸-4-메틸이미다졸이소프탈산 히드라지드소포제 10080161112300.1
실장을 완료한 반도체 칩과 기판 사이를 반도체 칩의 오른쪽 아래부, 범프수 5×8개 범위의 특정 부위를 설정하여, 그 부분을 폴리이미드 기판측으로부터 광학 현미경에 의한 사진을 촬영하여 공극의 수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3
상면의 실리콘 IC칩의 범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땜납 도금 Cu 도전부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기판(1)을 150℃에서 30분 가열함으로써 건조하였다. 상기 기판(1)의 상면에 실장하는 IC칩에 해당하는 5×5mm의 부위에, 디스펜서에 의하여 미경화 밀폐제(2)를 디스펜스하였다. 기판의 온도를, 100℃(실시예1), 125℃ (실시예2) 또는 150℃ (실시예3)로 가열하면서, 위로부터 가열 프레스에 의하여 IC칩을 누르면서 상기 칩을 280℃로 가열하고, 5초간 상기 칩의 범프(4)를 폴리이미드 기판(1)의 도전부에 압착함과 동시에 밀폐제를 경화하였다.
관찰 결과, 실시예 1∼3 모두, 공극의 발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비교예 l
폴리이미드 기판을 건조하지 않고, 25℃, 60% RH의 분위기에 24시간 방치한후, 그 상면에 미경화 밀폐제를 디스펜스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고, IC칩의 범프를 폴리이미드 기판에 압착함과 동시에, 밀폐제의 경화를 실시하였다. 관찰 부위 중에 5개의 거대한 공극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4∼5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건조를 한 폴리이미드 기판을 건조 질소 중에 25℃ (실시예 4) 또는 70℃ (실시예5)까지 냉각하고, 그 후 실시예1과 동일한 실장을 하였다. 그 결과, 관찰 부위 중에, 실시예4에서는 l2개, 실시예5에서는 8개의 작은 공극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6
미경화 밀폐제를 실장하는 IC칩에 대응하는 부위의 중심부 3×3mm에 디스펜스하고, IC칩을 누름으로써 밀폐제를 IC칩의 주연부에까지 눌러 펴는 이외에는, 실시예l과 동일한 건조 및 실장을 하였다. 그 결과, 관찰 부위에서는 밀폐제가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흘러, 6개의 범프의 하류측에 상당하는 오른쪽 아래 위치에 각각 l개의 작은 공극이 발생하였다.
비교예2
미경화 밀폐제를 실장하는 IC칩에 대응하는 부위의 중심부 3×3mm에 디스펜스하고, IC칩을 내리 누름으로써 밀폐제를 IC칩의 주연부까지 눌러 펴고, 기판의 온도를 5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건조 및 실장을 하였다. 그 결과, 관찰 부위에서는, 밀폐제가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흘러, 21개의 범프의 하류측에 상당하는 오른쪽 아래 위치에, 각각 1∼3개의 공극이 발생하였다.공극 중에는 밀폐제의 흐름 방향으로, 실시예4∼6에서 발생한 것보다 큰 것이 많이 존재하였다.
실시예7∼8
기판으로서 글래스 기판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7은 실시예 1, 실시예 8은 실시예 6과 동일한 건조 및 실장을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7에서는 공극의 발생이 없었고, 실시예 8에서는 5개의 범프의 오른쪽 아래 위치에, 각각 1개의 작은 공극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9
휘발성분이 0.6%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으로 건조 및 실장을 하였다. 그 결과 관찰 부위 중에 공극의 발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휘발성분이 0.6%의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건조 및 실장을 하였다. 그 결과 관찰 부위 중에 공극의 발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11
표층부에 동 배선 패턴이 있고, 25×25μm의 각 랜드부에 10μm의 Sn 도금을 실시한 폴리이미드 다층 기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건조를 하고, 범프를 가지지 않고 접속부 100개를 가지는 실리콘 IC 칩을 아래의 조건으로 실장하였다. 즉, 기판의 온도를 100℃로 하고, 기판측의 랜드부를 덮도록,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밀폐제를 디스펜스하였다. IC 칩은 온도 270℃, 하중 20g의 펄스 히트에 의하여 3초간 압착하였다. 관찰 결과, 공극의 발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칩을 기판에, 및/또는 범퍼를 가지지않는 반도체 칩을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가지는 기판에, 플립 칩 방식에 의하여 실장할 때에, 그 반도체 칩과 기판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 실장방법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는 사용중인 열사이클에 의한 수분의 응축이 없고, 그에 수반하는 내전압의 저하 및 누설 전류의 발생이 없으며, 장기간의 사용에도 안정된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장방법은 IC, LSI를 비롯한 각종 반도체 칩의 실장에 극히 유용하다.

Claims (5)

  1. 범프를 가지는 반도체 칩의 범프를 기판에 압착하거나, 또는 범프를 가지지 않는 반도체 칩을, 표면에 범프 및/또는 배선 패턴으로 인한 미세한 요철을 가지는 기판에 압착하고, 밀폐제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기판의 사이를 밀폐하는 플립 칩 실장 방법에 있어서,
    (A) 기판을 건조하는 공정 및
    (B) 아래 (l) 및 (2)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 즉,
    (1) 미경화 밀폐제를 기판의 표면에 적어도 상기 범프를 압착하는 부위, 및/또는 기판의 미세한 요철이 존재하는 부위 전체에 디스펜스하는 공정과
    (2)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기판과의 온도 차가 미경화 내지 경화중의 밀폐제에 대류를 실질적으로 일으키지 않도록 온도 조건을 유지하면서 압착 및 밀폐제의 경화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칩 실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1)에서 사용하는 미경화 밀폐제가 압착·경화온도에서 휘발되는 성분을 1.0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플립 칩 실장방법.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로서 공정 (1)과 공정 (2)를 포함하는 플립 칩 실장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가 200K이내인 플립 칩 실장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이 땜납 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립 칩 실장방법.
KR1020027013706A 2000-04-14 2001-04-13 플립 칩 실장 방법 KR100662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13081 2000-04-14
JP2001013081A JP4014806B2 (ja) 2001-01-22 2001-01-22 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PCT/JP2001/003183 WO2001080302A1 (en) 2000-04-14 2001-04-13 Flip chip moun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825A true KR20030011825A (ko) 2003-02-11
KR100662095B1 KR100662095B1 (ko) 2006-12-28

Family

ID=1887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706A KR100662095B1 (ko) 2000-04-14 2001-04-13 플립 칩 실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14806B2 (ko)
KR (1) KR100662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587B1 (ko) * 2005-09-23 2007-06-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부품 탑재 기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3625B2 (ja) * 2003-08-29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3816469B2 (ja) 2003-08-29 2006-08-3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55735B2 (ja) * 2007-05-31 2009-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4593655B2 (ja) * 2008-06-27 2010-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ユニットと画像形成装置
JP6527373B2 (ja) * 2014-09-02 2019-06-0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587B1 (ko) * 2005-09-23 2007-06-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부품 탑재 기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14893A (ja) 2002-07-31
KR100662095B1 (ko) 2006-12-28
JP4014806B2 (ja)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0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underfill adhesive layer
US7214561B2 (en) Packaging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020089067A1 (en) Wafer applied fluxing and underfill material, and layered electronic assemblies manufactured therewith
KR100556981B1 (ko) 전자부품
JP5387874B2 (ja) 液状封止樹脂組成物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4530740A (ja) フラックス処理用アンダーフィル組成物
KR20050105499A (ko) 인쇄 배선 보드 상에 사전-인가된 언더필 층을 갖는에어리어-어레이 장치 어셈블리
KR20040088569A (ko) B-스테이지 가공 가능한 언더필 캡슐화제 및 그의 적용방법
KR20070081435A (ko) 웨이퍼 패키지용 언더필 인캡슐런트, 및 그의 도포 방법
JP4206631B2 (ja) 熱硬化性液状封止樹脂組成物、半導体素子の組立方法及び半導体装置
WO2004059721A1 (ja) 電子部品装置
US6841415B2 (en) Flip chip mounting method which avoids void formation between a semiconductor chip and a substrate
JP3501360B2 (ja) ポリマ補強カラム・グリッド・アレイ
JP3999840B2 (ja) 封止用樹脂シート
US7004375B2 (en) Pre-applied fluxing underfill composition hav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perties
KR100662095B1 (ko) 플립 칩 실장 방법
JP2003258034A (ja) 多層配線基体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配線基体
JP3735059B2 (ja) 接着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または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または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802987B2 (ja) 接着フィルム
JP2004204047A (ja)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6188573A (ja)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電子部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7123B1 (ko) 언더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소자 실장 방법
KR101117757B1 (ko) 비유동성 언더필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유동성 언더필 필름
JP2003231876A (ja) 接着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ならびに半導体装置
JP4415920B2 (ja) 接着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または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または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