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020A -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 Google Patents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020A
KR20030011020A KR1020020062462A KR20020062462A KR20030011020A KR 20030011020 A KR20030011020 A KR 20030011020A KR 1020020062462 A KR1020020062462 A KR 1020020062462A KR 20020062462 A KR20020062462 A KR 20020062462A KR 20030011020 A KR20030011020 A KR 2003001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utrient solution
water supply
pla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203B1 (ko
Inventor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그린
Priority to KR10-2002-006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2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020A/ko
Priority to US10/530,979 priority patent/US7082717B1/en
Priority to EP03751539A priority patent/EP1551217A4/en
Priority to AU2003271203A priority patent/AU2003271203A1/en
Priority to PCT/KR2003/002123 priority patent/WO2004034773A1/en
Priority to JP2004545036A priority patent/JP406085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에 저장된 물을 통해 수분을 공급하도록 한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식물재배기는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될 수 있는 식재배물질을 수용하고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되어 하측을 향하여 양액공급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하부측 동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화분에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소정량의 물을 보충 저장하고 있는 보충급수탱크와, 상기 화분의 양액공급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점진적으로 용해되는 서로 다른 고형비료가 저장되는 양액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일정한 양의 양액을 공급방향으로 안내하는 양액가이더와, 상기 양액가이더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충급수탱크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고형비료에 일정하게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흡수부재와, 상기 양액가이더와 상기 화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이 상기 비료공간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근침투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장시간동안 연속적인 수분공급을 가능케하고, 식물의 줄기와 잎이 비대(肥大)하게 성장하더라도 뿌리가 스트레스받지 않고 적당한 량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고, 분갈이없이 식물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plant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면에 저장된 물을 통해 수분을 공급하도록 한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배양토인 흙을 수용하고, 그 흙에 식물을 식재하여 관상용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화분은 배양토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공급된 물을 적당한 수분만을 남기고 나머지를 배수하는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에는 배양토가 유실될 수 있으므로, 수분만을 배수하기 위한 망이나, 망 역할을 하는 복수의 돌맹이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화분은 관리자가 일일이 적당한 량의 물을 주어 관심있게 관리하여야 하고, 식물이 화분에 비하여 크게 성장할 경우 분갈이를 하여 분리하여야 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갈이를 하지 못할 경우 뿌리에서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식물이 고사(枯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장시간동안 연속적인 수분공급을 가능케하고, 식물의 줄기와 잎이 비대(肥大)하게 성장하더라도 뿌리가 스트레스받지 않고 적당한 량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공급된 물의 양을 파악하여 부족분의 물을 신속하게 급수할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뿌리가 하부를 향하여 침투되지 않도록 하고, 다로 다른 두가지의 고형비료를 통하여 이상적인 양액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식물의 안전한 생육을 보호하도록 한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물재배기를 조립된 상태에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식물재배기를 조립된 상태에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2 ; 융기부
3 ; 양액공급공간4 ; 유통공
5 ; 이격공간7; 공기유도함몰홈
8 ; 통기공9 ; 결합돌기환
10 ; 단차부11 ; 본체
12 ; 근침투차단부재13 ; 급수관
14 ; 급수구15 ; 수위계
16 ; 수위표시체17 ; 부유봉
18 ; 양액수용공간19 ; 격벽
20 보충급수탱크22 ; 관통공
24 ; 수분흡수부재30 ; 양액가이더
31 ; 프레임33 ; 수용안착부
35 ; 흡수부재고정부37 ; 환형홈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될 수 있는 식재배물질을 수용하고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되어 하측을 향하여 양액공급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하부측 동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화분에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소정량의 물을 보충 저장하고 있는 보충급수탱크와, 상기 화분의 양액공급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점진적으로 용해되는 서로 다른 고형비료가 저장되는 양액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일정한 양의 양액을 공급방향으로 안내하는 양액가이더와, 상기 양액가이더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충급수탱크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고형비료에 일정하게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흡수부재와, 상기 양액가이더와 상기 화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이 상기 비료공간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근침투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분에는 상기 보충급수탱크의 바닥을 향하여 관통고정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급수관의 상부에는 급수시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깔대기형상의 급수구가 확경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에는 상기 보충급수탱크의 수위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수위계가 내면을 따라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위계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에 수위눈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수위표시체와, 상기 수위표시체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되어 상기 보충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유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분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되고, 그 바닥면이 상방을 향하여 오목한 원주형상의 굴곡면을 갖는 원통형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굴곡면에 상기 양액을 상기 식재배물질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유통공과, 상기 융기부의 원통면과 상기 본체의 원통면 사이에 상호 이격가능하게 형성된 원주형상의 이격공간과, 상기 본체의 원통 외경면에 그 내부를 향하여 공기공급을 유도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축선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함몰된 공기유도함몰홈과, 상기 공기유도함몰홈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의 인접간격을 갖고,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하여 공기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통기공과, 상기 양액공급공간의 융기부 원통면의 내경면에 상기 양액가이더를 결합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결합돌기환과, 상기 본체의 원통 외경면에 그의 일부가 상기 보충급수탱크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공기유도함몰홈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상기 급수관을 수용하는 관통공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도함몰홈은 상기 단차부의 상부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가 보충급수탱크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노출되며 그 노출영역을 통하여 급수된 물의 과잉분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액가이더는 상기 양액공급공간에 삽입가능하게 상기 돌기환과 맞물림 결합되는 환형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고형비료를 수용하여 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양액수용공간이 격벽으로 격리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외측면의 일측과 타측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 두께만큼 함몰된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수분흡수부재를 안착시키는 수용안착부와, 상기 흡수부재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여유분을 여러겹으로 수용하기 위한 흡수부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경질수지와 연질수지 및 고강도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은 상기 융기부의 굴곡면과 동일한 접촉선을 형성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액수용공간에는 고형비료 뿐만이 아니라 신축성과 소정의 수분흡수율을 갖는 펄얼라이트와 피트모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 혼합되어 있고, 상기 식재재물질은 배합토와 배양토와 배지와 난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식물에게 적당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물재배기를 조립된 상태에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식물재배기를 조립된 상태에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 식물재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과, 보충급수탱크(20)와, 양액가이더(30)와, 근침투차단부재(12)과, 수분흡수부재(2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화분(1)은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될 수 있는 식재배물질을 수용하고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되어 하측을 향하여 양액공급공간(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액가이더(30)는 상기 화분의 양액공급공간(3)에 찰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양액가이더(30)에는 고형비료를 수용하여 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양액수용공간(18)이 격벽(19)으로 격리되어 있다. 상기 양액수용공간(18)의 바닥에는 상기 보충급수탱크(20)에 수용된 물을 흡수하여 항상 촉촉한 수분을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수분흡수부재(24)가 배치되고, 수분흡수부재(24)는 양액가이더(30)의 양측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액수용공간(18)의 바닥에 위치한 수분흡수부재(24) 상에는 소정의 신축성을 갖고 수분을 흡수하는 펄얼라이트와 피트모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이 수용되어 있으며, 아울러 이들 사이에 고형비료가 혼합되어 상기 수분에 의해 양액으로 분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형비료혼합부재 상에는 상기 화분(1)의 바닥으로부터 뚫고 나오는 뿌리를 차단하기 위한 근침투차단부재(12)가 위치한다.
상기 화분(1)에는 내측으로부터 상기 보충급수탱크(20)의 바닥을 향하여 관통고정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급수관(13)의 상부에는 급수시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깔대기형상의 급수구(14)가 확경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13)에는 상기 보충급수탱크(20)의 수위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수위계(15)가 내면을 따라 수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은 원통형상의 본체(11)가 형성되어 있고,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될 수 있는 식재배물질을 수용하여 본체(11)의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되고 그 바닥면이 상방을 향하여 오목한 원주형상의 굴곡면을 갖는 융기부(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융기부(2) 굴곡면에는 상기 양액을 상기 식재배물질에게 전달하는 유통공(4)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융기된 영역과 융기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는 화분원통면과 융기원통면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식재배물질이 채워질 수 있는 일정한 이격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식재배물질은 배합토와 배양토와 배지와 난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식물에게 적당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체(11)의 외경면에는 공기의 공급을 유도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는 공기유도함몰홈(7)이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융기영역의 인접한 영역까지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도함몰홈(7)에는 유도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공(8)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도함몰홈(7)은 상기 단차부의 상부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11)가 보충급수탱크(20)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노출되며 그 노출영역을 통하여 급수된 물의 과잉분을 배출한다.
상기 양액공급공간(3)의 융기원통 내면에는 상기 양액가이더(30)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그 소정의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결합돌기환(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분(1)의 외경면에는 상기 공기유도함몰홈(7)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보충급수탱크(20)에 화분(1)의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단차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도함몰홈(7)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상기 급수관(13)을 수용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급수관(13)에 수용된 수위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에 수위눈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수위표시체(16)와, 상기 수위표시체(16)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되어 상기 보충급수탱크(20)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유봉(17)을 가지고 있다.
상기 양액가이더(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액공급공간(3)에 삽입가능하게 상기 돌기환(9)과 맞물림 결합되는 환형홈(37)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고형비료를 수용하여 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양액수용공간(18)이 격벽(19)으로 격리되어 있는 프레임(31)과, 상기 격벽(19)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외측면의 일측과 타측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 두께만큼 함몰된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수분흡수부재(24)를 안착시키는 수용안착부(33)와, 상기 수용안착부(33)로부터 연장되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여유분을 여러겹으로 수용하기 위한 흡수부재고정부(35)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상기 수분흡수부재(24)는 보충급수탱크(20)의 크기와 깊이에 따라 신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액가이더(30)의 프레임(31)은 경질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수분흡수부재(24)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용 연질수지 및 고강도 경화스폰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19)은 상기 융기부(2)의 굴곡면관 동일한 접촉선을 형성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액가이더(30)의 측면 원주영역에는 그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돌기환(9)과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환형홈(37)이 상기 수용안착부(33)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장시간동안 연속적인 수분공급을 가능케하고, 식물의 줄기와 잎이 비대(肥大)하게 성장하더라도 뿌리가 스트레스받지 않고 적당한 량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고, 분갈이없이 식물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동안 양분과 수분을 균등하게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식물의 균형있는 성장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충급수탱크의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확보되고, 이에 따라 보충급수탱크의 크기를 각기 달리하여 관리자의 취향에 맞게 수분공급의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될 수 있는 식재배물질을 수용하고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되어 하측을 향하여 양액공급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하부측 동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화분에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소정량의 물을 보충 저장하고 있는 보충급수탱크와;
    상기 화분의 양액공급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점진적으로 용해되는 서로 다른 고형비료가 저장되는 양액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일정한 양의 양액을 공급방향으로 안내하는 양액가이더와;
    상기 양액가이더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충급수탱크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고형비료에 일정하게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흡수부재와;
    상기 양액가이더와 상기 화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이 상기 비료공간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근침투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는 상기 보충급수탱크의 바닥을 향하여 관통고정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급수관의 상부에는 급수시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깔대기형상의 급수구가 확경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에는 상기 보충급수탱크의 수위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수위계가 내면을 따라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계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에 수위눈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수위표시체와;
    상기 수위표시체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되어 상기 보충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유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이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되고, 그 바닥면이 상방을 향하여 오목한 원주형상의 굴곡면을 갖는 원통형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굴곡면에 상기 양액을 상기 식재배물질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유통공과;
    상기 융기부의 원통면과 상기 본체의 원통면 사이에 상호 이격가능하게 형성된 원주형상의 이격공간과;
    상기 본체의 원통 외경면에 그 내부를 향하여 공기공급을 유도하기 위하여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축선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함몰된 공기유도함몰홈과;
    상기 공기유도함몰홈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의 인접간격을 갖고,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하여 공기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통기공과;
    상기 양액공급공간의 융기부 원통면의 내경면에 상기 양액가이더를 결합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결합돌기환과;
    상기 본체의 원통 외경면에 그의 일부가 상기 보충급수탱크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공기유도함몰홈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상기 급수관을 수용하는 관통공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함몰홈은 상기 단차부의 상부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가 보충급수탱크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노출되며 그 노출영역을 통하여 급수된 물의 과잉분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가이더는,
    상기 양액공급공간에 삽입가능하게 상기 돌기환과 맞물림 결합되는 환형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고형비료를 수용하여 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양액수용공간이 격벽으로 격리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외측면의 일측과 타측에 내측을 향하여 소정 두께만큼 함몰된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수분흡수부재를 안착시키는 수용안착부와;
    상기 수용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여유분을 여러겹으로 수용하기 위한 흡수부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경질수지와 연질수지 및 고강도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은 상기 융기부의 굴곡면과 동일한 접촉선을 형성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수용공간에는 고형비료 뿐만이 아니라 신축성과 소정의 수분흡수율을 갖는 펄얼라이트와 피트모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재물질은 배합토와 배양토와 배지와 난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식물에게 적당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KR10-2002-0062462A 2002-10-14 2002-10-14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KR10049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62A KR100499203B1 (ko) 2002-10-14 2002-10-14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US10/530,979 US7082717B1 (en) 2002-10-14 2003-10-14 Bottom watering-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EP03751539A EP1551217A4 (en) 2002-10-14 2003-10-14 DEVICE FOR CROP CULTIVATION OF THE TYPE OF IRRIGATION BY THE SUBSTANCE
AU2003271203A AU2003271203A1 (en) 2002-10-14 2003-10-14 Bottom watering-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PCT/KR2003/002123 WO2004034773A1 (en) 2002-10-14 2003-10-14 Bottom watering-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JP2004545036A JP4060857B2 (ja) 2002-10-14 2003-10-14 底面管水用植物栽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62A KR100499203B1 (ko) 2002-10-14 2002-10-14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020A true KR20030011020A (ko) 2003-02-06
KR100499203B1 KR100499203B1 (ko) 2005-07-05

Family

ID=3665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462A KR100499203B1 (ko) 2002-10-14 2002-10-14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82717B1 (ko)
EP (1) EP1551217A4 (ko)
JP (1) JP4060857B2 (ko)
KR (1) KR100499203B1 (ko)
AU (1) AU2003271203A1 (ko)
WO (1) WO200403477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9351A2 (ko) * 2011-01-20 2012-07-26 Lee Hun-Jae 수분 자동 공급 기능성 식물 재배기
CN110637715A (zh) * 2019-10-23 2020-01-03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吸水型种植盘
KR20200086831A (ko) * 2019-01-10 2020-07-20 김흥기 자동 관수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0022D0 (en) * 2002-08-29 2002-10-09 Andu Adedamola A Plant watering apparatus
US20070006527A1 (en) * 2005-07-08 2007-01-11 Chen-Che Chen Flowerpot for growing flower
EP1951027B1 (de) * 2006-07-07 2009-08-12 Bikh-Lizenz Gbr Pflanzentopf
GB0804155D0 (en) * 2008-03-06 2008-04-16 Maddison David E Self-watering flowerpot
KR100964471B1 (ko) * 2008-04-14 2010-06-16 김용원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US20110179708A1 (en) * 2010-01-22 2011-07-28 Stewart Donald J Multiple Self-Watering Container System
US20130318872A1 (en) * 2012-06-01 2013-12-05 Patentstar B.V. Plant pot assembly
KR101437295B1 (ko) 2013-11-11 2014-09-02 영 성 왕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JP2016532449A (ja) * 2013-08-15 2016-10-20 ワン ヨンソンWANG, Youngsung 食用の宿根草花類及び球根類のための栽培管理器
TWM475807U (en) * 2013-10-09 2014-04-11 Sheng San Co Ltd Planting pot combination structure featuring controllable water diversion
US9439370B2 (en) 2013-11-27 2016-09-13 Suncast Technologies, Llc Wicking planter system
JP2015181375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植物栽培キット
WO2016068696A1 (en) * 2014-09-03 2016-05-06 Ende Van Den Peter Hubertus Elisabeth Plant pot having drain opening
US11310972B2 (en) * 2015-02-13 2022-04-26 VAN DEN Peter Hubertus Elisabeth ENDE Plant pot having drain opening
KR101795162B1 (ko) * 2015-10-30 2017-11-07 배헌중 수위조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경재배장치
US11026377B2 (en) * 2016-01-19 2021-06-08 Reinhold H. Holtkamp, JR. Wick watering pot cover system
CN106069300A (zh) * 2016-08-11 2016-11-09 钟喜甲 一种以底供水式花盆、以底供水式种植系统、以底供水式种植方法
CN106212223B (zh) * 2016-09-13 2022-04-08 运城清海科技有限公司 植物葆青罐
EP3556202B1 (en) * 2018-04-17 2023-06-07 Dotchi, LLC Water level indicator
US11330773B2 (en) * 2018-06-25 2022-05-17 Garden Variety Water Systems LLC Watering system
IT201800006647A1 (it) * 2018-06-26 2019-12-26 Domenico Ielo Contenitore in polimero espanso e a doppia parete con sottovaso a riserva d'acqua, con fibra di cocco come mediatore del contatto acqua-substrato della pianta
KR102090395B1 (ko) * 2018-09-13 2020-03-17 이훈재 이중구조를 가지는 걸이식 화분
KR102147038B1 (ko) * 2019-08-27 2020-08-21 이현정 기차 형태의 모듈형 식물재배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4302A (en) * 1946-10-21 1951-05-22 Keskitalo Helen Dual compartment liquid hold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3557490A (en) * 1969-01-23 1971-01-26 Eric Denys Delaney Pots for horticultural plants
GB1406708A (en) * 1972-07-10 1975-09-17 Preger S M Propagators for seeds and plants
CA1031571A (en) * 1975-03-24 1978-05-23 Interhydro Ag Plant receiving vessel for insertion in a hydroponic vessel
KR800001968Y1 (ko) * 1979-11-21 1980-12-12 권오석 화 분
US4324070A (en) * 1980-04-24 1982-04-13 Swisher Carolyn L Self-watering planter
NZ203287A (en) * 1982-08-23 1987-01-23 Davis & Co Pty Plant container with water reservoir
FR2568446B1 (fr) * 1984-08-01 1987-06-26 Grosfillex Sarl Bac a plante du type a reservoir demontable.
GB8505545D0 (en) * 1985-03-05 1985-04-03 Cooper J M Self watering plant pots
DE8705469U1 (ko) * 1987-04-13 1988-07-14 Reuss, Rita, 8602 Memmelsdorf, De
US4916858A (en) * 1987-08-03 1990-04-17 Rubbermaid Incorporated Self-watering planter
JPH0334754A (ja) 1989-06-30 1991-02-14 Nec Corp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行き先表示方式
JPH0334754U (ko) * 1989-08-11 1991-04-04
US6729070B1 (en) * 1995-06-07 2004-05-04 Randal D. A. Locke Combination of container for growing plants and aerating root pruner
JP3026081U (ja) * 1995-12-20 1996-07-02 太介 宮本 鉢植用給水器及びそれを用いた鑑賞用植木鉢
KR0153156B1 (ko) 1996-06-20 1998-11-16 우덕창 폐수 처리용 alc계 다공성 세라믹 담체의 제조 방법
JPH1042727A (ja) * 1996-07-29 1998-02-17 Satoshi Tanaka 植木鉢
JP3044006B2 (ja) * 1996-09-30 2000-05-22 ハイトカルチャ株式会社 栽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64993A (ja) * 1996-12-12 1998-06-23 Kaneko Hiroaki 植木鉢および植木鉢用仕切り体
JPH10296045A (ja) * 1997-04-28 1998-11-10 Matsupu:Kk 空気清浄機
NL1007659C2 (nl) * 1997-12-01 1999-06-02 Hendrik Wijtenhorst Watervoorziening voor bloempotten, plantenbakken en dergelijke.
KR200269409Y1 (ko) * 1998-10-08 2002-09-05 최백현 양액재배화분기
KR200271930Y1 (ko) * 1999-02-04 2002-04-13 영 성 왕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WO2000072661A1 (en) * 1999-05-26 2000-12-07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Improvements i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020025754A (ko) * 2000-09-28 2002-04-04 영 성 왕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GB2367733B (en) * 2000-10-10 2004-01-14 Yuan-Song Lai Flower pot
KR200230820Y1 (ko) * 2001-03-02 2001-07-03 김견목 화분
JP2004008125A (ja) * 2002-06-07 2004-01-15 Gensho Rai 土栽培と水栽培と鑑賞魚共生用の鉢の構造
GB2393888B (en) * 2002-10-11 2004-11-10 Yang Song Lai Water supply arrangement for flowerpot or the lik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9351A2 (ko) * 2011-01-20 2012-07-26 Lee Hun-Jae 수분 자동 공급 기능성 식물 재배기
WO2012099351A3 (ko) * 2011-01-20 2012-12-06 Lee Hun-Jae 수분 자동 공급 기능성 식물 재배기
KR20200086831A (ko) * 2019-01-10 2020-07-20 김흥기 자동 관수 화분
CN110637715A (zh) * 2019-10-23 2020-01-03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吸水型种植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4773A1 (en) 2004-04-29
US7082717B1 (en) 2006-08-01
WO2004034773A9 (en) 2004-12-02
KR100499203B1 (ko) 2005-07-05
EP1551217A1 (en) 2005-07-13
JP4060857B2 (ja) 2008-03-12
AU2003271203A1 (en) 2004-05-04
JP2006502730A (ja) 2006-01-26
EP1551217A4 (en) 2008-04-23
US20060150505A1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203B1 (ko)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US4117685A (en) Method and means for irrigating soil and growing plants having varying water requirements
US3271900A (en) Automatic pure cultivator
US200502520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growth of multiple root systems in a hydroponic environment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US4791755A (en) Substrate for a cultivated plant
JP4203064B2 (ja) 家庭内植物水耕栽培法及び容器
US20160235022A1 (en) Seed starter
JP2007306849A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20200037985A (ko) 수경재배기
KR0117208Y1 (ko) 가정용 수경 재배기
KR20220001171U (ko)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KR100434015B1 (ko) 가정용 배지경 재배기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200297896Y1 (ko)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US20230255136A1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ation of plant growth with direct air injection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CN208113440U (zh) 一种月季栽培装置
JPH0410757Y2 (ko)
KR850000452Y1 (ko) 파이프를 이용한 수경식 재배기
CN208128956U (zh) 月季苗栽培装置
JPH10150870A (ja) 水耕用栽培鉢及び水耕装置
JPH1146606A (ja) 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