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722A - 무기 물질 수성 현탁액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조제로서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의 용도 - Google Patents

무기 물질 수성 현탁액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조제로서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722A
KR20030010722A KR1020027017094A KR20027017094A KR20030010722A KR 20030010722 A KR20030010722 A KR 20030010722A KR 1020027017094 A KR1020027017094 A KR 1020027017094A KR 20027017094 A KR20027017094 A KR 20027017094A KR 20030010722 A KR20030010722 A KR 20030010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monomers
group
unsaturated
functional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785B1 (ko
Inventor
쉬오쟝마르
쟈끄메크리스띠앙
몽구앙쟈끄
Original Assignee
코아텍스 소시에떼 빠 악숑 셈쁠리삐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아텍스 소시에떼 빠 악숑 셈쁠리삐에 filed Critical 코아텍스 소시에떼 빠 악숑 셈쁠리삐에
Publication of KR2003001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6Selection or use of additives to aid disinteg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in the alcohol moiety, e.g.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8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1Calcium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5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8Compounds containing only magnesium as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09C1/3676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2C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0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4Derivatives of phospho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6Amines or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8/00Compositions for drilling of boreholes or wells; Compositions for treating boreholes or wells, e.g. for completion or for remedial operations
    • C09K8/02Well-drilling compositions
    • C09K8/04Aqueous well-drilling compositions
    • C09K8/14Clay-containing compositions
    • C09K8/18Clay-contai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rganic compounds
    • C09K8/22Synthetic organic compounds
    • C09K8/24Polym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58Polymers or oligomers of diolefins, aromatic vinyl monomers or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60Polyalkenylalcohols; Polyalkenylethers; Polyalkenyl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22Rheological behaviour as dispersion, e.g. viscosity, sedimentation stabi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에 낮은 제타 전위를 부여하고, 또한 이 현탁액의 전기 입체 안정화(electro-steric stabilization)에 기여하는 수성 현탁액중의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 및 수용성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지 또는 코팅지에 관한 종이 관련 분야, 오일 탐사 및 추출에 관한 진흙의 시추 분야에서의 안료 및/또는 무기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페인트 분야 및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분야에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기 물질 수성 현탁액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의 용도{USE OF WEAKLY ANIONIC COPOLYMERS AS DISPERSING AND/OR GRINDING AID AGENT OF AN AQUEOUS SUSPENSION OF MINERAL MATERIALS}
종이의 특성 예컨대, 유백도, 백색도 또는 인쇄적성을 개선시킴과 아울러 제지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제지에 있어서 값비싼 셀룰로즈 섬유들을 이보다 덜 비싼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로 대체하는 것은 점점 일반적인 것으로 되고 있다.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 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탄산칼슘, 돌로마이트, 수산화마그네슘, 카올린, 활석, 석고, 산화티타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와이어상에서 성형시 시트지에 혼입된다.
이는 펄프를 와이어상으로 배수시키고, 현탁액중의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입자를 제조된 섬유상 시트에 보유시키는 방식으로, 제지용 펄프에 분말형 또는 수성 현탁액의 형태인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를 혼입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유시키는 것은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지업자들은 화학적 첨가제를 사용하게 되고, 또한 충전제 제조업자들은 이러한 무기 물질용 표면 처리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시트지가 코팅처리되는 경우 제지업자는, 음이온성 첨가제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포스페이트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양이온성 첨가제 예를 들어, 양이온화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4차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피클로히드린 수지, 디시안디아드 수지 등을 사용하여, 제지업자 또는 제조업자들은 현탁액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무기 물질을 그들이 제조하는 제형중에 사용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 제조용인 음이온 유형의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미분쇄 조제 또는 수용성 현탁제에 관하여 알고 있을 것이다[FR 2 488 814, FR 2 603 042, EP 0 100 947, EP 0 100 948, EP 0 129 329, EP 0 542 643, EP 0 542 644]. 그러나, 이는 시트 제조 공정에 사용될 경우 시트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양이온 화합물을 첨가해야 하고, 그 결과 이것이 종이 코팅 공정에 사용될 경우 최종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유백도와 부합하지 않는 유백도를 갖는 코팅지가 얻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제지용 제형에 존재하는 임의의 음이온성 매질과 비혼화성이어서, 이 매질을 고화시켜 생산을 전적으로 저해할 우려가 다분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 제조용 양이온 유형의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미분쇄 또는 수용성 분산제를 보조하는 제제에 관하여 알고 있을 것이다[EP 0 281 134, EP 0 307 795].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안정적이고 또한 미립자 크기의 건조 물질이 고농도로 존재하는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과 같은, 다른 해결책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책(WO 91/09067)은 안료 및/또는 무기충전제의 약음이온성의 수용성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 양성의 수용성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중합체는 매질의 pH 및 이온 세기에 영향을 받으며 가수분해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제지용 제형에 사용되는 매질의 pH 및 이온 세기에 약간 감수성인 제지용 제형에서 비혼화될 우려가 없이 중간 농도에서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고,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정제된,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을 얻는데에 있어서의 문제점, 최종 사용자의 요구 기준에 부합하는 시트의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현탁액을 제조하는데에 있어서의 문제점, 그리고 최종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해결책중 어느 것도 상기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음이온 또는 양이온 수성 현탁액 또는 양성 제제에 의하여 얻어진 수성 현탁액에 관하여 전술한 단점들을 염두에 두고,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공중합체에 1종 이상의 하기 화학식 Ⅰ의 단량체의 존재는, 전기 입체 안정화된 약음이온 수용성 공중합체의 개발을 가능케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이 해결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 즉, 중간 농도에서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고,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침전됨이 없이, 제지 또는 원유 제형에 사용되는 매질의 pH 및 이온 세기에 약간 감수성이며, 제타 전위가 낮은,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얻을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선행 기술은 본질적으로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성 또는 약음이온성이며 수용성인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 특허 출원 EP 0 870 784호는 약음이온성 제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이 제제는 제타 전위가 높아서 최종 사용자가 부담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수성 현탁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기 충전제, 특히 제지용 무기 충전제, 시트지의 제조 방법 또는 시트지의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적당한 방법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첫째, 충전제 및/또는 무기안료의 수성 현탁액에 낮은 제타 전위를 부여하고, 또한 이 현탁액의 전기 입체 안정화(electro-steric stabilization)에 기여하는 수성 현탁액중의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 사용되는 약음이온성 공중합체 및 수용성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둘째,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에 낮은 제타 전위를 부여하고, 또한 이 현탁액의 전기 입체 안정화에 기여하는 수성 현탁액중의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약음이온성의 수용성 제제,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째,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이 관련 분야, 구체적으로 시트에 동일하거나 더 양호한 특성, 특히 유백도, 광택 또는 인쇄 적성이 부여된 종이의 제조 또는 코팅과 같은 분야, 또는 오일탐사 또는 오일 추출에 사용되는 진흙의 시추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도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약음이온성의 수용성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사용하는 제지 및/또는 코팅지, 그리고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함유하는 진흙을 시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는 현탁액에 낮은 제타 전위 특성 및 전기 입체 안정성을 부여하는,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선행 기술과 구별된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
b) 가능하게는, 디카복실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의 혼합물 ;
c) 1종 이상의 비이온 단량체 즉,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비이온 단량체
화학식 Ⅰ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가능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단량체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 및
e) 가능하게는, 2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본원에서 가교 단량체로 칭하여짐)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 다음의 성분 a) ∼ e)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즉, 고농도 및 중간정도의 농도의 건조 성분과 무기 물질을 현탁시킬 수 있도록 a) 유형의 단량체를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고농도 및 중간정도의 농도의 건조 성분과 무기 물질의 수성 현탁액을 전기 입체적으로 안정화시키도록 a) 유형의 단량체를 c) 유형의 단량체와 함께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
b) 가능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
c)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비이온성 단량체 ;
d) 가능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 이상의 수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 및
e) 가능하게는 1종 이상의 가교 단량체.
여기서, 성분 a), b), c), d) 및 e)의 함량은 총 100%이다.
본 발명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 및 수용성 공중합체의 수용액중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용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의 용도에서는, 상기 공중합체가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산 헤미에스테르 예컨대, 말레산 또는 이타콘산의 C1∼C4모노에스테르를 보유하는 단량체들로부터 선택된 것,
b) 가능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시트라콘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을 보유하는 단량체들로부터 선택된 것들과의 혼합물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 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비닐 인산,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포스폰산 비닐에서 선택된 것,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비이온 단량체,
화학식 Ⅰ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p)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가능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및
e) 가능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폴리올 예컨대,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비한정적으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 단량체
로 이루어진 것과[여기서, 성분 a), b), c), d) 및 e)의 함량은 총 100%임],
상기 공중합체는 비점도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공중합체의 용도에서는, 상기 공중합체가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2 ∼ 85%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8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산성 헤미에스테르 예컨대, 말레산 또는 이타콘산의 C1∼ C4모노에스테르와 같은 모노카복실산 작용기 및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
b)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0∼80%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예컨대,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말레산, 시트라콘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비닐 인산,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포스폰산 비닐에서 선택된 것,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20 ∼ 95%,
화학식 Ⅰ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p)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0 ∼ 50%의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혼합물 또는 1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및
e)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또는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비한정적으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 단량체 0 ∼ 3%.
(여기서, 상기 단위는 모두 중량%이고, 성분 a), b), c), d) 및 e)의 함량은 총 100%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중합체는 비점도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용도에서는 다음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는 바람직하게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고,
b)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이타콘산 또는 말레산을 포함하는 이산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 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에서 선택된 것,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비이온 단량체에 있어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고,
d)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되고, 수불용성 단량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부터 선택되며,
e) 가교 단량체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된 공중합체는 촉매계 및 공지의 전이제의 존재하에 용액중, 직접 에멀젼(direct emulsion) 또는 역 에멀젼(reverse emulsion)중, 적당한 용매중 현탁액 또는 침전물중, 라디칼 공중합화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다.
산의 형태로 얻어지고 가능하게는 증류될 수 있는 공중합체는 또한 예를 들어, 일가 작용기에 대하여는 알칼리성 양이온, 구체적으로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또는 지방족 및/또는 시클릭 1차, 2차 또는 3차 아민 예를 들어, 스테아릴아민, 에탄올아민(모노-, 디-, 트리에탄올아민), 모노 및 디에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메틸시클로헥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또는 다가 작용기에대하여는 알칼리토 이가 양이온,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및 칼슘 또는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과, 3가의 양이온,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다가의 원자가를 갖는 임의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과 같은, 일가 중화 작용기 또는 다가 중화 작용기를 보유하는 1 이상의 중화제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중화제는 이후 각각의 원자가 함수에 고유한 중화도에 따라서 작용한다.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공중합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공중합체는 완전 또는 부분 중화 반응 이전 또는 이후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정적 또는 동적 방법에 따라서, 특히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1 이상의 극성 용매에 의하여 처리되어 몇몇 상으로 분리된다.
이후 이들 상중 하나는 본 발명에 따라서 수성 현탁액중 무기 물질에 대한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 사용된 공중합체에 해당한다.
이 공중합체의 비점도는 문자 η로서 표시되며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소다로 중화된 무수 중합체 2.5 g 및 이치환수의 용액 50 ㎖의 용액을 얻기 위하여 중합물 용액을 취한다. 이후 온도를 25℃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배쓰에 방치한 바움 상수 0.000105인 모세관 점도계를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전술한 용액의 소정의 부피에 대한 총소모 시간과, 상기 공중합체를 보유하지 않는 이치환수의 용액의 동일한 부피에 대한 총소모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로써, 다음의등식에 의해 비점도 η를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세관을 선택하면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치환수 용액의 소모 시간(run-out time)이 약 60 ∼ 100초가 되어, 비점도가 매우 정밀하게 측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한편으로는,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에 낮은 제타 전위를 부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현탁액을 전기 입체적으로 안정화시키는 수성 현탁액중 안료 및/또는 무기 충전제용인 수용성, 약음이온성 제제,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에 관한 것이다. 이 제제는 전술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은 상기 제제를,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05 ∼ 5 건조 중량%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3 ∼ 1.0 건조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또한 상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가 천연 탄산칼슘 예컨대, 방해석, 백악 또는 대리석, 침전 탄산 칼슘이라고 불리우는 합성 탄산 칼슘, 돌로마이트, 수산화마그네슘, 카올린, 활석, 석고, 산화티타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일반적으로 제지 또는 원유 생산 분야에 사용되는 임의의 충전제 및/또는 안료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매질의 pH 및 이온 세기에 약간 감수성이고 제타 전위가 낮은 즉, 제타 전위가 0 ∼ -30 mV이고 바람직하게는 0 ∼ -20 m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제조되거나 코팅된 종이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제 및/또는 안료들의 수성 현탁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추용 진흙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재로, 분산 공정(무기 충전제가 분산되도록 분산시키는 공정으로도 칭함)은 2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방법중 하나는, 경시적으로 안정하고, 침전되지 않으며, 제지용 제형에 사용되는 매질의 pH 및 이온 세기에 약간 감수성이고, 제타 전위가 낮은 즉, 제타 전위가 0 ∼ -30 mV, 바람직하게는 0 ∼ -20 mV이며, 중간 내지 높은 정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교반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분산제를 모두 또는 일부만 수성 상에 첨가한후, 무기 물질을 첨가하여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은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침전되지 않고, 제지용 제형에 사용되는 매질의 pH 및 이온 세기에 약간 감수성이며, 제타 전위가 낮은 즉, 제타 전위가 0 ∼ -30 mV, 바람직하게는 0 ∼ -20 mV이며, 중간 내지 높은 정도의 무기 물질을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테스트할 분산제의 전량을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 케이크에 첨가하여 무기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미분쇄 과정 직후 이하 기술된 분산 공정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분쇄 과정과는 완전 별개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정제할 무기 물질의 미분쇄 공정은 미분쇄 조제를 함유하는 수성 매질중에서 초미립자 물질을 미분쇄함으로써 무기 물질을 미분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분쇄될 무기 물질의 수성 현탁액에 입도가 바람직하게는 0.20 ∼ 4 ㎜인 미분쇄 물질을 첨가한다. 미분쇄 물질은 일반적으로 산화실리콘,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이 다양한 물질의 입자의 형태 및 고경도의 강철 등과 같은 물질을 함유하는 합성 수지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미분쇄 물질의 조성물의 예는 특허 FR 2 303 681에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미분쇄 성분이 산화지르코늄 30 ∼ 70 중량%, 산화 알루미늄 0.1 ∼ 5 중량% 및 산화 실리콘 5 ∼ 20 중량%로 형성되어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미분쇄 물질은 이러한 미분쇄 재료와 미분쇄될 무기 물질 사이의 중량비가 2/1 이상, 바람직하게는 3/1 ∼ 5/1이 되도록 만드는 양으로 현탁액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현탁액 및 미분쇄 물질의 혼합물은 교반과 같은 기계적 작용이 수행되는데, 이 작용은 미량 원소를 사용하는 종래의 미분쇄제중에서 발생할 수 있다.
미분쇄될 무기 물질의 성질 및 양, 미분쇄 공정시 사용된 교반 방식 및 매질의 온도에 따라서 미분쇄 공정을 변화시킨 이후에 무기 물질의 필요 순도를 얻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얻어진 수성 현탁액은 낮은 제타 전위를 갖는 종이의 다량 충전 또는 코팅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시트지의 제조 과정 즉, 다량의 충전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코팅 브로크(coating broke)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현탁액은 또한 예를 들어, 연질 벤토나이트 진흙, 포화 염 진흙 및 해수 진흙과 같은 진흙을 시추하는 분야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이점은 다음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간단한 현탁에 의한 탄산칼슘 현탁액의 제조 및 비이온성 단량체중 1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의 존재에 의하여 얻어지는 특성들을 규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마이크로메리틱스에서 입수한 세디그라프(상표명) 5100을 사용하여 측정된, 입자중 73%의 입경이 1 ㎛ 미만인 대리석 여과 케이크를 사용하여 다음의 각각의 테스트를 수행하였는데, 이때 대리석의 수성 현탁액은 건조 물질 농도 61%인 탄산칼슘의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현탁액에 첨가될 상기 케이크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테스트될 분산제의 건조 중량을 필요량 만큼 케이크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교반후 20분 경과시, 얻어진 탄산칼슘 현탁액 샘플을 플라스크에 회수하여 , 25℃의 온도에서 적당한 스핀들을 사용하여 분당 10 ∼ 100 rpm의 회전 속도로 브룩필드(상표명) RVT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였다.
플라스크내에서 8일 경과후, 이를 교반되지 않은 플라스크에 첨가하였으며, 25℃의 온도 및 적당한 스핀들을 사용하여 10 ∼ 100 rpm의 회전 속도로 브룩필드(상표명) RVT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현탁액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였다[BS 점도 = 교반 이전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일단 플라스크를 교반한후 동일한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고, 교반후 브룩필드(상표명) 점도의 결과를 구성하였다[AS 점도].
제타 전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조된 탄산칼슘 현탁액 샘플도 회수하였으며, 교반후 20분 경과시, 이 샘플을 몇방울 적하한후 현탁액을 기계적으로 여과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제조된 여과액에 현탁시켜 탁하지 않은 콜로이드성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 현탁액을, 제타 전위 값을 mV 단위로 직접 나타내는, 말번으로부터 입수한 제타마스터 S 제타미터의 측정용 셀에 도입하였다.
다음의 테스트에 의하여 상이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테스트 1 :
본 테스트는 선행 기술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4.80인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테스트 2 :
본 테스트는 선행 기술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38이며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아크릴산 말레 무수물 공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테스트 3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의 범위 외의 기술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1이며 단일 단량체가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인 호모폴리머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테스트 4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2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8.0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5.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우레탄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13임]의 단량체 82.0 중량%
d) 에틸 아크릴레이트 4.5 중량%.
테스트 5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7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8.0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5.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우레탄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0임]의 단량체 75.0 중량%
d) 에틸 아크릴레이트 11.5 중량%.
테스트 6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51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8.0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5.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우레탄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25임]의 단량체 71.0 중량%
d) 에틸 아크릴레이트 15.5 중량%.
테스트 7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51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8.0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5.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우레탄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7임]의 단량체 67.0 중량%
d) 에틸 아크릴레이트 19.5 중량%.
테스트 8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56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6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2.0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13.0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13임]의 단량체 85.0 중량%
테스트 9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7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6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2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13.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3 중량%.
테스트 10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6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6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8.5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13.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7임]의 단량체 78.0 중량%.
테스트 11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07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6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17.0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12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04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2 중량% 및 아크릴산 13.0 중량% ;
b)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아미도 메틸 프로판설폰산 8.0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75.8 중량%.
테스트 13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47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3 중량% 및 아크릴산 13.0 중량% ;
b)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5.0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78.7 중량%.
테스트 14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3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0.8 중량% 및 아크릴산 79.3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19.9 중량%.
테스트 15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3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0.4 중량% 및 아크릴산 79.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13임]의 단량체 20.0 중량%.
테스트 16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2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35.0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우레탄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7임]의 단량체 20.0 중량%.
테스트 17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03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35.0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20.0 중량%
테스트 18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65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15.0중량% 및 아크릴산 12.0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8임]의 단량체 73.0 중량%.
테스트 19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3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의 단량체 82.1 중량%
c) 가교 단량체로서 EDMA 1.0 중량%.
테스트 20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16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9 중량% 및 아크릴산 1.1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95.0 중량%.
테스트 21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07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0.8 중량% 및 아크릴산 79.2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20.0 중량%.
테스트 22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2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1.7 중량% 및 아크릴산 13.2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프로필 라디칼이고 단, (m+n+p)q = 64임]의 단량체 85.6 중량%.
테스트 22-1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6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7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45 중량% ;
b)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아미도 메틸 프로판설폰산 3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7임]의 단량체 20 중량%.
모든 실험 결과는 표 1a ∼ 표 1d에 제시하였다.
표 1a ∼ 표 1d의 결과를 통하여, 비이온성 단량체로서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재료를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제를 상이한 수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수행 방법 및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상이한 수준의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23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4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24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17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6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1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25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86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1.0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7임]의 단량체 83.0 중량%.
이 실험의 모든 결과들을 이하 표 2에 제시하였다.
표 2의 결과를 통하여,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은,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총 건조 중량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제를,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05 ∼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1.0 중량% 함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산제인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비이온성 사슬을 보유하는 단량체의 생성물의 상이한 (m+n+p)q 값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수행 방식 및 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상이한 공중합체를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26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19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4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7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27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81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8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2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28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05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4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29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2.57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0.4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13임]의 단량체 83.0 중량%.
모든 실험 결과를 이하의 표 3에 제시하였다.
표 3의 결과를 통하여, 비이온성 단량체로서 1종 이상의 화학식 Ⅰ[5≤(m+n+p)q≤150]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상이한 분자량의 분산제를 사용하였을때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수행 방식 및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단량체의 동일한 조성 및 중화의 동일한 방식에 대하여 상이한 비점도를 갖는 상이한 공중합체에 대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 30 ∼ 35에 있어서,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공중합체들은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지고 이하의 점도를 갖는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2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13.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3 중량%
테스트 30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6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7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1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6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57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2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75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3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8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3.72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4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3.74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5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5.08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6 ∼ 39에 있어서, 사용된 공중합체들은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지고 다음의 비점도를 갖는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8.0 중량% ;
b)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5.5 중량% ;
c)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우레탄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113임]의 단량체 82.0 중량%
d) 에틸 아크릴레이트 4.5 중량%.
테스트 36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8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19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7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8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31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8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8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1.83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39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8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2.04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0 ∼ 41에 있어서, 사용된 공중합체들은 소다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지고 다음의 비점도를 갖는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40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4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1
본 테스트에 사용된 중합체는 대리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4 건조 중량%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2.33이며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및 수행 조건을 사용하여 측정된 모든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제타 전위에 대한 실험 결과들을 이하 표 4a 및 표 4b에 제시하였다.
표 4a 및 표 4b를 통하여, 비점도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무기 물질 함량이높고,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이 얻어진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의 목적은 상이한 유형 및 상이한 중화도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제에 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수행 방식 및 장치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되, 다음의 상이한 공중합체를, 대리석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4 건조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때 공중합체는 단량체 중량부의 동일한 조성에 대하여 상이한 중화도 및 동일한 비점도를 갖는다.
여기서 모든 공중합체는 비점도가 1.05이며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5 중량% 및 아크릴산 13.5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상이한 유형 및 상이한 중화도는 다음과 같았다.
테스트 42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칼륨으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3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수산화암모늄으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4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전체적으로 산성(totally acidic)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5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6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수산화리튬으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7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수산화마그네슘으로 50 몰%로 중화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8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70 몰%의 소다 및 30 몰%의 석회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스트 49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50 몰%의 소다 및 50 몰%의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완전히 중화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및 동일한 수행 조건하에서 측정된 모든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제타 전위를 이하 표 5a 및 표 5b에 제시하였다.
표 5a 및 표 5b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산성 또는 일가의 중화 작용기 또는 다가의 중화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중화제로 부분 중화 또는 완전 중화된,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무기 물질 함량이 높고,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이 제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은 미립성 현탁액으로 정제하기 위하여 천연 탄산칼슘의 현탁액을 미분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각각의 테스트에 있어서, 탄산칼슘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75 건조 중량%의 테스트할 미분쇄 조제를 카라라 침전물에서 얻어진 평균 입경이 약 10 ㎛인 대리석 건조 물질의 42 %의 수성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고정 실린더 및 회전 임펠러가 장착된 다이노-밀 유형의 미분쇄기내에서 현탁액(여기서, 미분쇄 물질은 지름이 0.6 ∼ 1 ㎜인 강옥 볼로 이루어짐)을 순환시켰다.
미분쇄 물질이 차지하는 총 용량은 1150 입방 센티미터였으며, 이의 중량은 2900 g이었다.
미분쇄 챔버의 용량은 1400 입방 센티미터였다.
미분쇄기의 원주 속도는 10 ㎧ 였다.
탄산칼슘의 현탁액은 18 ℓ/시의 속도로 재순환되었다.
다이노-밀의 배출구에는 미분쇄시에 얻어진 현탁액과 미분쇄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200 μ의 메쉬가 장착된 분리기가 제공되었다.
각 미분쇄 테스트시의 온도는 약 60℃로 유지시켰다.
미분쇄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T0)에서, 안료 용액의 샘플을 플라스크에 회수하였다. 현탁액의 입도(1 ㎛미만 입자 %)는 마이크로메리틱스에서 입수한 세디그라프(상표명) 5100 입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20℃ 및 적당한 스핀들을 사용하여 회전 속도 10 rpm 및 100 rpm에서, 브룩필드(상표명) RVT형 점도계로 현탁액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였다.
이 현탁액을 플라스크에 8일 동안 방치한후, 20℃의 온도 및 적당한 스핀들을 사용하여 10 ∼ 100 rpm의 회전 속도하에 교반하지 않은 플라스크에 브룩필드(상표명) RVT형 점도계의 적당한 스핀들을 넣어 현탁액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였다[BS 점도 = 교반 이전].
일단 플라스크를 교반한후 동일한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한후, 교반후 AS(교반 이후) 점도의 결과를 측정하였다.
이로써, 상이한 테스트에서 다음과 같은 상이한 미분쇄 조제를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50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100% 중화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51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칼륨으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52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완전히 중화되고[산성 기의 50%는 소다로 중화되었고, 나머지 산성 기의 50%는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중화됨], 이하의 성분들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사용한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53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화되지 않은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및 동일한 수행 조건을 사용하여 측정된 모든 실험결과에 따른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제타 전위를 이하 표 6에 제시하였다.
표 6의 결과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산성이거나 또는 일가 중화 작용기 또는 다가 중화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중화제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중화된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고, 제타 전위가 낮은, 본 발명에 의한 미분쇄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현탁액을 미립자 현탁액으로 정제하기 위하여 돌로마이트 현탁액을 미분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테스트에서, 4.2%는 100 ㎛의 채를 통과하지 않고, CILAS 850형 입도계로써 측정한 평균 입경이 15.03 ㎛인 돌로마이트 건조 물질이 65%로 존재하는 수성 현탁액에 테스트될 미분쇄 조제를 돌로마이트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5 건조 중량%로 첨가하였다.
고정 실린더 및 회전 임펠러가 장착된 다이노-밀 유형의 미분쇄기내에서 현탁액(여기서, 미분쇄 물질은 지름이 0.6 ∼ 1 ㎜인 강옥 볼로 이루어짐)을 순환시켰다.
미분쇄 물질이 차지하는 총 부피는 1150 입방 센티미터였으며, 이의 중량은 2900 g이었다.
미분쇄 챔버의 부피는 1400 입방 센티미터였다.
미분쇄기의 원주 속도는 10 ㎧ 였다.
돌로마이트 현탁액은 18 ℓ/시의 속도로 재순환되었다.
다이노-밀의 배출구에는 미분쇄에 의하여 얻어진 현탁액과 미분쇄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200 μ의 메쉬가 장착된 분리기가 제공되었다.
각 미분쇄 테스트시의 온도는 약 60℃로 유지시켰다.
미분쇄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T0)에서, 안료 현탁액의 샘플을 플라스크에 다시 회수하였다. 현탁액의 입도(2㎛ 미만 입자 %)는 CILAS 850형 입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20℃ 및 적당한 스핀들을 넣어 회전 속도 10 rpm 및 100 rpm에서, 브룩필드(상표명) RVT형 점도계로 현탁액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였다.
이 현탁액을 플라스크에 8일 동안 방치한후, 교반되지 않은 플라스크에 0℃의 온도 및 10 ∼ 100 rpm의 회전 속도를 갖는 브룩필드(상표명) RVT형 점도계의 적당한 스핀들을 사용하여 현탁액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였다[BS 점도 = 교반 이전].
일단 플라스크를 교반한후 동일한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측정하고, 교반후 AS(교반 이후) 점도의 결과를 특정하였다.
이로써, 상이한 테스트에서 다음과 같은 상이한 미분쇄 조제를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54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화되지 않은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55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 중화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56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비점도가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칼륨으로 완전히 중화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및 동일한 수행 조건을 사용하여 측정된 모든 실험결과에 따른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제타 전위를 이하 표 7에 제시하였다.
표 7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본 발명에의한 미분쇄된 돌로마이트의 수성 현탁액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산업용 미량 원소 미분쇄기에서 천연 탄산칼슘의 현탁액을 미립 현탁액으로 정제하기 위하여 미분쇄한후, 본 발명에 의한 분산제에 의하여 농축 현탁액을 재농축 및 분산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각각의 테스트(테스트 57 및 58)에 서 탄산칼슘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6 건조 중량%의 본 발명에 의한 미분쇄 조제를 사용하여 노르웨이 대리석의 건조 물질 41%를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을 미분쇄한 후, 비점도 0.98이며, 이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칼륨으로 50 몰% 정도로 중화시키고, 무수 탄산칼슘 농도가 72%인 슬러리가 얻어질 때까지 얻어진 정제 현탁액을 고온 재농축시켰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57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재농축 단계시 고온 농축기에 비점도가 0.98이고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진, 소다로 완전 중화된 공중합체를 탄산칼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75 건조 중량%를 도입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58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재농축 단계시 고온 농축기에 비점도가 0.98이고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진, 칼륨으로 완전 중화된 공중합체를 탄산칼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75 건조 중량%를 도입하였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및 수행 조건을 사용하여 측정된 모든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제타 전위 및 입도에 대한 실험 결과들을 이하 표 8에 제시하였다.
표 8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미분쇄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이 얻어지는데, 이후 본 발명에 따라서 재농축될 경우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현탁액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간단한 분산에 의한 상이한 무기 충전제의 현탁액의 제조 및 비이온성 단량체중 1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의 존재에 의하여 얻어지는 특성들을 규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테스트할 제제를 물에 첨가한후 분산시킬 무기 물질을 첨가하여 테스트될 무기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테스트 59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건조 물질 농도가 60.5%인 카올린(ECC에서 입수한 카올린 SPS)을 사용하고, 분산제로서는 카올린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 건조 중량%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상기 공중합체는 비점도가 0.98이며, 칼륨으로 완전히 중화되었으며 다음의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a)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 3.4 중량% 및 아크릴산 13.6 중량% ;
b) 화학식 Ⅰ[여기서, R1및 R2는 수소이고, R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이며, R'는 메틸 라디칼이고 단, (m+n+p)q = 45임]의 단량체 83.0 중량%.
테스트 60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R-HD2라는 상표명으로 티옥시드로부터 시판중인 이산화티탄(건조 물질 농도는 60.4%)과, 분산제로서 테스트 59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이산화티탄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4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테스트 61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건조 물질 농도 60.6%인 알드리치에 의하여 공급된 석회와, 분산제로서 테스트 59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석회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테스트 62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건조 물질 농도 60.5%인 알드리치에 의하여 공급된 수산화마그네슘과, 분산제로서 테스트 59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수산화마그네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4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테스트 63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건조 물질 농도 70%인 오미야에 의하여 상표명 에티께뜨 비올레뜨로 시판중인 백악과, 분산제로서 테스트 59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백악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3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및 동일한 수행 조건을 사용하여 측정된 모든 실험결과에 따른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제타 전위를 이하 표 9에 제시하였다.
표 9의 결과를 통하여, 비이온성 단량체로서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이 얻어지는데, 이로써 사용된 무기 물질이 무엇이든지에 상관없이,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제타 전위가 낮은 현탁액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의 목적은 알칼리 pH에 대한 감수성이 낮은 본 발명에 의한 수성 현탁액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무기 물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73 건조 중량%에 해당하는 테스트할 다량의 중합체를 물에 첨가하였다.
이 중합체를 물에 넣어 교반하여 균질화시킨후, 여기에 소다를 첨가하여 매질의 pH를 9로 맞추었다.
pH는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건조 물질 농도가 70%가 되도록 필요량 만큼의 무기 물질을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후, pH가 10이 될때까지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였다.
이후 샘플을 3개의 부분으로 나누었다.
첫번째 부분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한 수행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보존하여 두었다.
샘플의 두번째 부분은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한지 30분 경과후,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pH를 7.5로 낮추었다.
마지막으로 20 분 동안 더 교반한후에, 위센샤프트리쉬 테크니쉬 베르크스타텐에서 시판중인 전도율 측정기 LF 320형으로 무기 물질의 수성 현탁액의 전도율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pH 7.5의 현탁액의 전도율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조사하였다.
샘플의 세번째 부분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한지 30분 경과후, 소다를 첨가하여 pH를 13으로 상승시켰다.
마지막으로 20 분 동안 더 교반한 후에, 이전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전도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무기 물질의 수성 현탁액의 전도율을 측정하였다. 이후 이 측정값은 pH 13의 현탁액의 전도율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조사하였다.
테스트 64 :
본 테스트는 선행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상표명 소칼(상표명) P3으로 솔베이에 의하여 시판중인 침전 탄산칼슘과, 분산제로서 비점도 0.84인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하였다.
테스트 65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소칼(상표명) P3으로 솔베이에 의하여 시판중인 침전 탄산칼슘과, 분산제로서 테스트 59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모든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전도율에 관한 실험 결과들을 이하 표 10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10의 결과를 통하여, 비이온 단량체로서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이 얻어지는데, 이로써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알칼리 pH에 대한 감수성이 낮은 현탁액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산성 또는 약알칼리성 pH에 대한 낮은 감수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무기물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45 건조 중량%에 해당하는 테스트할 다량의 중합체를 물에 첨가하였다.
물에서 상기 중합체를 교반하여 균질화시킨후, 건조 물질 농도가 60%가 되도록 만드는 필요량만큼의 무기 물질을 첨가하였다.
교반 30분 경과후,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수행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에 대한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전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샘플을 3개의 부분으로 나누었다.
분산액 본래의 pH인 8에 해당하는 첫번째 부분은 실시예 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보존하여 두었다.
샘플의 두번째 부분은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6으로 낮추었다.
마지막으로 20 분 동안 더 교반한 후에, 무기 물질의 수성 현탁액의 전도율을 측정하였다. 이후 이 측정값은 pH 6.0의 현탁액의 전도율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조사하였다.
샘플의 세번째 부분에 염산을 더 첨가하여 pH를 3으로 낮추었다.
마지막으로 20 분 동안 더 교반한 후에, 이전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전도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무기 물질의 수성 현탁액의 전도율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은 pH 3의 현탁액의 전도율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연구하였다.
테스트 66 :
본 테스트는 선행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상표명 R-HD2로서 시판중인 이산화 티타늄과, 분산제로서 코아텍스에 의하여 상표명 코아텍스 BR3로 시판중인 비점도 1.3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이 테스트에서는, 산화티타늄이 뭉쳐져 분산제를 차단하기 때문에 pH가 3으로 강하되었을때 계속해서 분산시킬 수는 없었다.
따라서 이 pH에서는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전도율을 측정할 수 없었다.
테스트 67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상표명 R-HD2로서 시판중인 이산화 티타늄과, 분산제로서 테스트 59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모든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전도율에 관한 실험 결과들을 이하 표 11에 제시하였다.
표 11의 결과를 통하여, 비이온 단량체로서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이 얻어지는데, 이로써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 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분산액 본래의 pH로부터 산성 내지는 고도의 산성인 pH까지의 변화에 대한 감수성이 낮은 현탁액이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이온 세기에 대한 낮은 감수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전과 동일한 수행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무기 물질을 염수(염화나트륨 함량은 이치환수 1ℓ당 2몰) 현탁액에 건조 물질 농도 72%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테스트 68 :
본 테스트는 선행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상표명 소칼(상표명) P3으로 솔베이에 의하여 시판중인 침전 탄산칼슘과, 분산제로서 비점도 0.84인 폴리아크릴산을 침전 탄산칼슘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73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모든 침전 탄산칼슘을 현탁액에 넣을 수는 없었으며, 침전 탄산칼슘을 총량 도입시키기 전에 교반기의 스핀들을 잠궜다.
테스트 69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기 물질로서 침전 탄산칼슘[상표명 소칼 P3으로 솔베이에 의하여 시판중임]과, 분산제로서 테스트 5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공중합체를 침전 탄산칼슘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73 건조 중량% 사용하였다.
현탁액에 모든 침전 탄산칼슘을 넣을 수 있었으며,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및 전도율에 관한 실험 결과들을 이하 표 12에 제시하였다.
표 12의 결과를 통하여, 비이온 단량체로서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중간 농도 내지 고농도의무기 물질을 함유하면서, 경시적으로 안정하며, 매질의 이온 세기에 대한 감수성이 낮은, 본 발명에 의한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로써 진흙, 구체적으로 포화 염 진흙 및 해수 진흙의 시추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산제인, 공중합체를 페인트,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계 광택성 페인트 분야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가지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 테스트 70 : 이 테스트는 선행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분산제 코아텍스 BR3을 사용하였다.
- 테스트 71 : 이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테스트 42의 100% 칼륨 중화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선행 기술을 나타내는 테스트 70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수계 광택성 페이트의 성분들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40 g ;
물 64 g ;
고체 함량 40%인 코아텍스 BR3 분산제 5 g ;
트로이에 의하여 머갈(상표명) K6N으로서 시판중인 살균제 2 g ;
헨켈에 의하여 노프코(상표명) NDW로서 시판중인 소포제 1 g ;
오미야에 의하여 상표명 오미야 DP 80 OG로서 시판중인 탄산칼슘 150 g ; 및
밀레니엄에 의하여 상표명 RHD2로서 시판중인 이산화티탄 200 g ;
상기 성분들을 20분 동안 교반한후, 이하와 같은 기타의 성분들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로디아에 의하여 로도파스(상표명) DS 910으로 시판중인 분산액중 스티렌-아크릴산 결합제 450 g ;
부틸디글리콜 30 g ;
물 100 g ;
코아텍스에 의하여 상표명 코아텍스 BR100P로서 시판중인 증점제 4 g ;
28% 암모니아 1 g ; 및
노프코(상표명) NDW 3g.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조성물(pH 8.7)을 수 분동안 교반하여 양호하게 슬러리화되는 것을 확인한 후, 상이한 조성물들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필요한 스핀들이 장착된 표준 RVT 브룩필드(상표명) 점도계를 사용하여 25℃하에 10 rpm 및 100 rpm에서 측정한다. 이때의 점도는 10 rpm에서는 3400 mPa 이었으며 100 rpm에서는 1900 mPa 이었다.
원추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고 전단(10,000 S-1) 점도인 ICI 점도를 측정하였다.
이때의 ICI 점도는 1.5 였다.
스토머(KU) 점도도 스토머 점도계를 사용하여 크렙스 단위로 측정하였다.
스토머 점도는 94 KU 였다.
테스트 71 :
본 발명을 나타내는 테스트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수계 광택성 페인트 성분들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40 g ;
물 62.7 g ;
고체 함량 31.6%인 테스트 42의 중합체 6.3 g ;
트로이에 의하여 머갈(상표명) K6N로서 시판중인 살생물제 2 g ;
헨켈에 의하여 노프코(상표명) NDW로 시판중인 소포제 1 g ;
오미야에 의하여 상표명 오미야 DP 80 OG로서 시판중인 탄산칼슘 150 g ; 및
밀레니엄에 의하여 상표명 RHD2로서 시판중인 이산화티탄 200 g.
상기 성분들을 20 분 동안 교반한후, 이하와 같은 기타 성분들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로디아에 의하여 로도파스(상표명) DS 910으로 시판중인 스티렌-아크릴산 결합제 450 g ;
부틸디글리콜 30 g ;
물 100 g ;
코아텍스에 의하여 코아텍스 BR100P로서 시판중인 증점제 4 g ;
28% 암모니아 1 g ; 및
노프코(상표명) NDW 3 g.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조성물을 수 분 동안 pH 8.7 에서 교반하여 양호하게 슬러리화되는 것을 확인한 후, 상이한 조성물들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25℃에서 필요한 스핀들이 장착된 표준 RVT 브룩필드(상표명) 점도계를 사용하여 10 rpm 및 100 rpm에서 측정한다. 10 rpm에서는 3000 mPa 이었으며 100 rpm에서는 1700 mPa 이었다.
원추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고 전단(10,000 S-1) 점도인 ICI 점도를 측정하였다.
ICI 점도는 1.4 였다.
스토머(KU) 점도도 스토머 점도계를 사용하여 크렙스 단위로 측정하였다.
스토머 점도는 93 KU 였다.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였을때에 측정된 수치와, 당업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체를 사용하였을때에 측정된 수치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는 페인트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
본 실시예는 플라스틱 재료 분야에서, 분산제인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세디그라프(상표명) 5100에 의하여 측정된 평균 직경 2 ㎛인 대리석 여과 케이크로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하여 응집후에 얻어진 탄산칼슘(대리석)의 수성 현탁액을 여과하였다.
건조 물질 농도가 68%인 대리석의 수성 현탁액을 얻기 위하여, 이 케이크에 현탁액에 첨가할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4의 중합체 제제의 건조 중량부(상기 케이크의 건조 중량을 기준)로 필요량 만큼을 첨가하여, 상기 케이크로부터 대리석의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일단 상기 현탁액이 제조되면, 니로(상표명)형 실험실용 건조기를 사용하여 105℃ 미만의 온도에서 이를 건조시켰다.
이후 어떠한 응집물도 형성함이 없이 제조된 분말을 2개의 샘플로 나누고, 이들중 하나의 분산액은 열가소성 수지에서, 그리고 나머지 분산액은 열경화성 수지에서 분산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 72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것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에서 이전에 제조하였던 대리석 분말의 분산액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전에 제조하였던 평균 지름 2 ㎛인 분말형 대리석 300 g을 용량이 1.5 ℓ이고 전기적으로 240℃로 가열된 용기를 보유하는 Z-암형 기타드 혼합기에 넣었다.
15분 동안 내용물을 240 ℃로 예비 가열한후, 시판되는 스테아르산 아연 3 g 및 아프릴사에 의하여 상표명 PPH 3120MN1로서 시판중인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125.5 g을 첨가하였다.
이 온도에서 42 rpm의 속도로 전체 물질을 20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혼합물의 일부를 캘린더시켜(calendering) 이 혼합물을 시트 형태로 만들고, 이후 이를 작은 입방체(2 ㎜ ×3 ㎜)로 절단하였으며, 여기서 이 혼합물의 MFI 유동 지수는 230℃에서 지름 2.09 ㎜인 다이를 사용하여 하중 2.16 ㎏ 및 10 ㎏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MFI값은 8.0 g/10 분(230℃-2.16 ㎏-2.09 ㎜) 및 132 g/10 분(230℃-10 ㎏-2.09 ㎜) 이었다.
이와 같은 MFI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체인, 제제를 사용하면 열가소성 물질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중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테스트 73 :
본 테스트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유형의 열경화성 수지중 이전에 얻어진 대리석 분말의 분산액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피 500 ㎖의 금속 박스에, 바스프에 의하여 팔라프레그 P18로 시판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90 g, "로우 프로필"이라고 칭하여지며 유니온 카바이드로부터 LP40A로 시판중인 첨가물 60 g 및 제조된 대리석 분말 300 g을 평가하였다.
정치 보관하여 24시간 경과후, 균질화시키기 이전에 고착물 또는 침전물의 존재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후 압설기를 사용하여 교반함으로써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고, 브룩필드(상표명) 점도를 24 시간 동안 모듈 7이 장착된 브룩필드(상표명) RTV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100 rpm 에서 측정하였다.
이때의 점도는 32,000 mPa였다.
폴리에스테르 및 탄산칼슘의 예비 혼합은 SMC(시트 성형 화합물) 또는 BMC(벌크 성형 화합물) 유형의 예비포화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 15
본 실시예는 제지 분야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무기 충전제의 수성 현탁액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는 상이한 100% 탄산칼슘 코팅 물감의 상이한 함수값과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측정에 관한 것이다.
테스트 74 :
본 테스트는 선행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와 같은 성분들로 이루어진 코팅 물감을 사용한다.
- 건조 물질로서 나타내는 경우, 세디그라프(상표명) 5100에 의하여 측정된 지름이 1㎛ 미만인 입자들을 75%로 보유하고 코아텍스에 의하여 상표명 M 777로서 시판중인 분산제의 0 ∼ 75 건조 중량%과 탄산칼슘 72 건조 중량%을 함유하는, 선행 기술에 의한 수성 현탁액 100부 ;
- 건조 물질로서 나타내는 경우, 다우에 의하여 상표명 "DL 950"으로 시판중인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12 부 ; 및
- 건조 물질로서 나타내는 경우, 코아텍스에 의하여 상표명 레오코트 35로서시판중인 함수제 0.5 부.
상기 코팅 물감의 고체 함량은 약 65%이다.
테스트 75 :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음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코팅 물감을 사용한다.
- 건조 물질로서 나타내는 경우, 세디그라프(상표명) 5100에 의하여 측정된 지름이 1㎛ 미만인 입자들을 75%로 보유하고 아크릴산 20 중량% 및 비점도 1.26인 메톡시 PEG 2000 메타크릴레이트 80%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분산제 0 ∼ 75 건조 중량%와, 탄산칼슘 72 건조 중량%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수성 현탁액 100부 ; ,
- 건조 물질로서 나타내는 경우, 다우에 의하여 상표명 "DL 950"으로 시판중인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12 부 ; 및
- 건조 물질로서 나타내는 경우, 코아텍스에 의하여 상표명 레오코트 35로서 시판중인 함수제 0.5 부.
이 코팅 물감에 대한 고체 함량은 약 65%였다.
25℃에서 적당한 스핀들이 장착된 브룩필드(상표명) 점도계 DV-1형으로 10 rpm 및 100 rpm에서 측정한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측정값은 다음과 같았다.
- 선행 기술에 의한 테스트 74에 있어서 :
10 rpm에서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 8000 mPa,
100 rpm에서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 1500 mPa.
-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75에 있어서 :
10 rpm에서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 9200 mPa,
100 rpm에서의 브룩필드(상표명) 점도 = 1800 mPa.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함수량의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 선행 기술에 의한 테스트 74에 있어서 :
10분 경과후의 물의 부피는 3.2 ㎖이고,
-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75에 있어서 :
10분 경과후의 물의 부피는 2.8 ㎖이다.
이와 같이, 함수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테스트할 종이 코팅용 물감을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지형 외면이 장착된 표준 실린더내에서 100 psi(7 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였다.
10분 경과후, 회수된 물의 부피를 ㎖로 측정하였다.
10분 경과시에 회수된 물의 부피가 작을수록, 함수능은 더욱 양호하였다.
이를 위하여, 바로이드로부터 입수한 "API 유체 손실 측정" 필터 압력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필수적으로 필터 본체의 3개의 부분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나사가 제공된 클램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는 다음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 여과물이 흘러 통과하는 노즐이 제공된 구멍을 보유하는 기판. 이 기판은 메쉬가 60 ∼ 80인 금속 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필터지[와트만(상표명) 제50번]가 놓여져 있으며, 이의 대체물로서는 듀리으 블뤠(상표명) 제3번 유형이있다.
- 내부 지름이 76.2 ㎜이고 높이가 128 ㎜인 실린더
- 실린더에 의한 밀봉이 편평한 이음매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축 가스 유입구가 제공된, 상기 기재상에 장착된 것과 동일한 유형의 커버.
필터 압력을 적용하기 위하여, 다음의 순서로 다음 부재들을 고정시켰다.
- 기재상 이음매
- 이음매상 채
- 채상 필터지
-필터지상 제2 이음매
이후 베이어닛 시스템을 잠그기 이전에 기재상에 실린더를 고정시켰다.
이후 상기 커버를 이음매로 끼워져 있는 실린더상에 배치하기 이전에 이를 테스트할 코팅 물감(실린더 상부로부터 3 ㎝ 이상, 약 480 g)으로 충전시켰다.
이후 상기 조립체를 클램프에 넣은후 이를 클램프 나사로 잠그고 나서, 눈금이 그려진 튜브를 상기 노즐 아래에 배치하였다.
7 bar의 압력을 가하여, 경도계를 작동시켰다.
20분 경과후 테스트 튜브내 수집된 유체의 용적을 관찰하였다. 얻어진 결과의 정확도는 ±0.2 ㎖였다.
전술한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와 관련된 레올로지 특성 및 함수 특성은 종이 관련 분야, 구체적으로 종이의 코팅 분야에서 본 발명에 의한 현탁액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었다.

Claims (19)

  1. 수성 현탁액중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 사용되는 약음이온성이며 수용성인 공중합체의 용도로서, 이 공중합체는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산 헤미에스테르 예컨대, 말레산 또는 이타콘산의 C1∼C4모노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b) 가능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시트라콘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 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비닐 인산,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포스폰산 비닐에서 선택되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비이온 단량체,
    화학식 Ⅰ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p)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가능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의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및
    e) 가능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여기서, 성분 a), b), c), d) 및 e)의 함량은 총 100%임],
    를 포함하고, 이 공중합체의 비점도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체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산 헤미에스테르 예컨대, 말레산 또는 이타콘산의 C1∼ C4모노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모노카복실산 작용기 및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2 ∼ 85%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80% ;
    b)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말레산, 시트라콘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비닐 인산,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포스폰산 비닐에서 선택되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 ∼ 80% 및 더욱 구체적으로 0 ∼ 50% 및 가장 구체적으로 0 ∼ 20%,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20 ∼ 95%,
    화학식 Ⅰ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p)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1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0 ∼ 50%, 및
    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또는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 단량체 0 ∼ 3%
    [여기서, 상기 단위는 모두 중량%이고, 성분 a), b), c), d) 및 e)의 함량은 총 100%임]
    를 포함하고, 이 공중합체의 비점도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음이온성이며 수용성인 공중합체의 용도.
  3. 제2항에 있어서,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 단량체는 바람직하게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되고,
    b)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이타콘산 또는 말레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 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에서 선택되며,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비이온 단량체에 있어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내고,
    d)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되고, 수불용성 단량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부터 선택되며,
    e) 가교제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음이온성이며 수용성인 공중합체의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산의 형태로 얻어져서 증류된 것일수도 있는 상기 공중합체는 일가 중화 작용기 또는 다가 중화 작용기를 보유하는 1 이상의 중화제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가 작용기에 대하여는 알칼리성 양이온, 구체적으로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또는 지방족 및/또는 시클릭 1차, 2차 또는 3차 아민 예를 들어, 스테아릴아민, 에탄올아민(모노-, 디-, 트리에탄올아민), 모노 및 디에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메틸시클로헥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다가 작용기에 대하여는 알칼리토 이가 양이온,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및 칼슘 또는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과, 3가의 양이온,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다가의 원자가를 갖는 임의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음이온성이며 수용성인 공중합체의 용도.
  5. 제4항에 있어서, 공중합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공중합체는 가능하게는 완전 또는 부분 중화 반응 이전 또는 이후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정적 또는 동적 방법에 따라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1종 이상의 극성 용매에 의하여 처리되어 몇몇 상으로 분리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음이온성이며 수용성인 공중합체의 용도.
  6. 수성 현탁액중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로서,이 제제는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산 헤미에스테르 예컨대, 말레산 또는 이타콘산의 C1∼C4모노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b) 가능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시트라콘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 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비닐 인산,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포스폰산 비닐에서 선택되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비이온 단량체,
    화학식 Ⅰ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p)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가능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및
    e) 가능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 단량체
    [여기서, 성분 a), b), c), d) 및 e)의 함량은 총 100%임],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이 공중합체의 비점도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현탁액중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이산 헤미에스테르 예컨대, 말레산 또는 이타콘산의 C1∼ C4모노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2 ∼ 85%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80% ;
    b)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말레산, 시트라콘산 또는 카복실산 무수물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비닐 인산,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포스폰산 비닐에서 선택되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핀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 ∼ 80% 및 더욱 구체적으로 0 ∼ 50% 및 가장 구체적으로 0 ∼ 20%,
    c) 화학식 Ⅰ의 비이온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20 ∼ 95%,
    화학식 Ⅰ
    [상기 식중, m 및 p는 150 이하의 산화알킬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n은 150 이하의 산화에틸렌 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q는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은
    5 ≤(m+n+p)q ≤150의 관계에 있으며,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1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 예컨대,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 0 ∼ 50%, 및
    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 단량체 0 ∼ 3%
    [여기서, 상기 단위는 모두 중량%이고, 성분 a), b), c), d) 및 e)의 함량은총 100%임]
    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고, 이 공중합체의 비점도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현탁액중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a)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모노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며,
    b) 가능하게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과, 디카복실산 작용기, 또는 설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또는 포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디카복실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이타콘산 또는, 말레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설폰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설폰산, 메탈릴설폰산 나트륨, 비닐 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 또는 불포화 에틸렌 사슬 및 인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에톡실화물에서 선택되며,
    c) 화학식 Ⅰ의 불포화 에틸렌 사슬을 보유하는 1종 이상의 비이온 단량체,
    R1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며,
    R은 중합가능한 불포화 라디칼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이타콘산 에스테르, 크로톤산 에스테르 또는 비닐프탈산 에스테르 및 불포화 우레탄 예를 들어, 아크릴우레탄, 메타크릴우레탄, α- α'디메틸이소프로페닐 벤질우레탄 또는 알릴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또한 알릴 또는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것이고,
    R'는 1 ∼ 5개의 탄소 원자를 보유하는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가능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유형의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되고, 1종 이상의 수불용성 단량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부터 선택되며
    e) 가능하게는, 1종 이상의 가교제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말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미드, 테트라알릴옥시에탄,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폴리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얻어진 알릴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현탁액중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
  9.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일가 중화 작용기 또는 다가 중화 작용기를 보유하는 1 이상의 중화제에 의하여 중화된 공중합체로서, 예를 들어, 일가 작용기에 대하여는 알칼리성 양이온, 구체적으로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또는 지방족 및/또는 시클릭 1차, 2차 또는 3차 아민 예를 들어, 스테아릴아민, 에탄올아민(모노-, 디-, 트리에탄올아민), 모노 및 디에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메틸시클로헥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다가 작용기에 대하여는 알칼리토 이가 양이온,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및 칼슘 또는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3가의 양이온,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다가의 원자가를 갖는 임의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과 같은,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
  10. 제9항에 있어서, 공중합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공중합체는 가능하게는 완전 또는 부분 중화 반응 이전 또는 이후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정적 또는 동적 방법에 따라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1 이상의 극성 용매에 의하여 처리되어 몇몇 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
  11. 제6항내지 제10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제제를 함유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제를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05 ∼ 5 건조 중량% 함유하며, 더더욱 구체적으로는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3 ∼ 1.0 건조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
  12. 제11항에 있어서, 충전제 및/또는 안료는 천연 탄산칼슘 예컨대, 방해석, 백악 또는 대리석, 침전 탄산칼슘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합성 탄산칼슘, 돌로마이트, 수산화마그네슘, 카올린, 활석, 석고, 이산화티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일반적으로 제지 또는 원유 생산 분야에 사용되는 임의의 충전제 및/또는 안료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
  13. 제12항에 있어서, 매질의 pH 및 이온 세기에 약간 감수성이고 제타 전위가 낮은 즉, 제타 전위가 0 ∼ -30 mV이고 바람직하게는 0 ∼ -20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
  14. 제지 분야 및 더욱 구체적으로 시트지를 제조 및/또는 코팅하는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1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의 용도.
  15. 제1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을 함유하는 시트지.
  16. 원유 탐사 또는 추출에 사용되는 진흙 시추 분야, 구체적으로 포화 염 진흙 및 해수 진흙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1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의 용도.
  17. 제1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충전제 및/또는 안료의 수성 현탁액을 함유하는 시추용 진흙.
  18. 페인트 관련 분야에서 사용하는 제6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수성 현탁액중 무기 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의 용도.
  19. 플라스틱 재료 분야 및 더욱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6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무기 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 조제의 용도.
KR1020027017094A 2000-06-15 2001-06-12 무기 물질 수성 현탁액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조제로서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의 용도 KR100813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7639 2000-06-15
FR0007639A FR2810261B1 (fr) 2000-06-15 2000-06-15 Utilisation de copolymeres faiblement anioniques comme agent dispersant et/ou d'aide au broyage de suspension aqueuse de matieres minerales, suspensions aqueuses obtenues et leurs utilisations
PCT/FR2001/001804 WO2001096007A1 (fr) 2000-06-15 2001-06-12 Utilisation de copolymeres faiblement anioniques comme agent dispersant et/ou d'aide au broyage de suspension aqueuse de matieres minera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722A true KR20030010722A (ko) 2003-02-05
KR100813785B1 KR100813785B1 (ko) 2008-03-13

Family

ID=885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094A KR100813785B1 (ko) 2000-06-15 2001-06-12 무기 물질 수성 현탁액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조제로서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의 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946510B2 (ko)
EP (3) EP1762297A3 (ko)
KR (1) KR100813785B1 (ko)
AU (2) AU6762701A (ko)
BR (1) BR0111616B1 (ko)
CA (1) CA2410518C (ko)
FR (1) FR2810261B1 (ko)
HK (1) HK1054520A1 (ko)
MX (1) MX250698B (ko)
MY (1) MY123635A (ko)
NO (1) NO332057B1 (ko)
TW (1) TW552337B (ko)
UY (1) UY26773A1 (ko)
WO (1) WO2001096007A1 (ko)
ZA (1) ZA2003001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092A (ko) * 2012-07-13 2015-04-08 코아텍스 소시에떼 빠 악숑 셈쁠리삐에 탄산칼슘을 함유하고 감소된 온도 민감성을 가지는 현탁액 제조를 위한 빗형 고분자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8166B1 (fr) * 2000-12-20 2003-10-31 Coatex Sas Agent d'aide au broyage et/ou de dispersion de materiaux mineraux en suspension aqueuse. suspensions aqueuses obtenues et leurs utilisations
DE10121707A1 (de) * 2001-05-04 2002-12-12 Clariant Gmbh Teilester von Allylpolyalkylenglycolethern und deren Verwendung als Emulgatoren und hydrophile Monomere in der Emulsionspolymerisation
FR2846971B1 (fr) * 2002-11-08 2006-09-29 Omya Ag Utilisation d'un copolymere disposant d'au moins une fonction greffee alkoxy ou hydroxy polyalkylene glycol, comme agent ameliorant la brillance du papier et produits obtenus
FR2846978B1 (fr) * 2002-11-08 2007-05-18 Coatex Sas Utilisation d'un copolymere disposant d'au moins une fonction greffee alkoxy ou hydroxy polyalkylene glycol, comme agent ameliorant l'activation de l'azurage optique et produits obtenus
FR2846972B1 (fr) * 2002-11-08 2005-02-18 Omya Ag Suspensions aqueuses de matieres minerales broyees, faiblement chargees ioniquement et leurs utilisations
FR2871474B1 (fr) * 2004-06-11 2006-09-15 Omya Development Ag Nouveau pigment mineral sec contenant du carbonate de calcium, suspension aqueuse le contenant et ses usages
DE102004031158A1 (de) 2004-06-28 2006-01-19 Basf Ag Verwendung von Ethergruppen enthaltenden Polymeren als Lösungsvermittler
FR2872815B1 (fr) * 2004-07-08 2008-06-27 Coatex Soc Par Actions Simplif Utilisation de copolymeres acryliques hydrosolubles dans des formations aqueuses eventuellement pigmentees et formulations obtenues
US20060018863A1 (en) 2004-07-13 2006-01-26 Nathalie Mougin Novel ethylenic copolymer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same
FR2873122B1 (fr) 2004-07-13 2008-08-22 Oreal Nouveaux copolymeres ethyleniqu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procede de traitement
GB0428260D0 (en) * 2004-12-23 2005-01-26 Eastman Kodak Co Dispersant for reducing viscosity
GB0428262D0 (en) * 2004-12-23 2005-01-26 Eastman Kodak Co Dispersant for reducing viscosity of particulate solids
DE102005028460A1 (de) * 2005-06-17 2006-12-28 Basf Ag Verwendung von Alkylenoxideinheiten enthaltenden Copolymeren als Zusatz zu wäßrigen Systemen
FR2893031B1 (fr) * 2005-11-04 2008-02-08 Coatex Sa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resine thermoplastique avec une resistance a l'impact amelioree mettant en oeuvre un polymere peigne avec au moins une fonction greffee oxyde de polyalkylene et resines obtenues.
FR2896171B1 (fr) * 2006-01-19 2010-12-17 Omya Development Ag Procede de fabrication de particules a base de carbonate de calcium naturel et de sels d'acide ethylene acrylique, suspensions et pigments secs obtenus, leurs utilisations.
US20090176925A1 (en) * 2006-05-22 2009-07-09 Morikatsu Matsunaga Dispersing agent
FR2907347B1 (fr) 2006-10-19 2008-12-05 Coatex Sas Utilisation d'un agent dispersant sterique de matieres minerales dans l'eau, dispersion aqueuse obtenue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u papier
WO2008061177A2 (en) * 2006-11-15 2008-05-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aper coating composition
FR2913426B1 (fr) 2007-03-05 2009-06-05 Coatex Soc Par Actions Simplif Utilisation comme agent de rheologie dans une pate plastique chargee,d'un carbonate de calcium broye a sec avec un copolymere de l'acide (meth) acrylique avec une fonction alcoxy ou hydroxy polyalkyleneglycol.
FR2913427B1 (fr) 2007-03-05 2011-10-07 Omya Development Ag Procede de broyage a sec d'un ou plusieurs materiaux comprenant au moins un carbonate de calcium
FR2913428B1 (fr) * 2007-03-05 2009-06-05 Coatex Soc Par Actions Simplif Utilisation dans une peinture,d'un carbonate de calcium broye a sec avec un copolymere de l'acide (meth) acrylique avec une fonction alcoxy ou hydroxy polyalkyleneglycol.
EP1990375B1 (fr) * 2007-05-11 2010-07-21 Coatex S.A.S. Utilisation d'une émulsion inverse d'un polymère de l'acrylamide avec un monomère acrylique comme agent stabilisant et réducteur de mousse, dans un procédé de broyage en milieu aqueux de matières minérales et de liants.
DE102007045230A1 (de) 2007-09-21 2009-04-09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Polycarboxylatether als Dispergiermittel für anorganische Pigmentformulierungen
DE102007058342A1 (de) * 2007-12-03 2009-06-04 Henkel Ag & Co. Kgaa Verminderung der Biofilmbildung durch multifunktionelle Copolymere
EP2075374A1 (fr) * 2007-12-17 2009-07-01 Omya Development AG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sauce de couchage avec mise en oeuvre d'un epaississant acrylique à chaine hydrophobe ramifiée et sauce obtenue
PT2157136T (pt) * 2008-08-13 2019-06-21 Omya Int Ag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carbonato de cálcio precipitado implementando um polímero contendo uma baixa carga de acrilato e/ou maleinato
FR2939055A1 (fr) * 2008-12-03 2010-06-04 Coatex Sas Utilisation de polymeres acryliques dont l'acide acrylique est issu du glycerol, comme agent de dispersion ou de broyage de matieres minerales.
FR2940295B1 (fr) * 2008-12-18 2010-12-17 Coatex Sas Macromonomeres ameliorant la stabilite thermique de polymeres (meth)acryliques peigne, utilisation de ces polymeres dans des compositions plastiques chargees
IT1393465B1 (it) 2009-03-16 2012-04-20 Lamberti Spa Poliuretano idrofilico a pettine
IT1393466B1 (it) 2009-03-16 2012-04-20 Lamberti Spa Composizioni per la patinatura della carta
FI20096408A (fi) * 2009-12-30 2011-07-01 Kemira Oyj Dispersioainekoostumus, sen käyttö ja sitä käsittävä päällystyskoostumus ja menetelmä päällystyskoostumuksen tai lietteen viskositeettiominaisuuksien parantamiseksi
DE102010009493A1 (de) 2010-02-26 2011-09-29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Polymere und ihre Verwendung als Dispergiermittel mit schaumhemmender Wirkung
FR2961211B1 (fr) * 2010-06-10 2012-07-27 Coatex Sas Polymeres peignes (meth)acryliques a fonction hydroxy polyalkylene glycol, leur utilisation comme agent rheofluidifiant dans des sauces de couchage et sauces les contenant.
FR2963939B1 (fr) 2010-08-19 2013-11-15 Coatex Sas Utilisation en sauces de couchage papetieres de polymeres (meth)acryliques peignes amphiphiles et non hydrosolubles
FR2963934B1 (fr) 2010-08-19 2013-10-25 Coatex Sas Polymeres (meth)acryliques peignes amphiphiles et non hydrosolubles
IT1402689B1 (it) 2010-09-15 2013-09-13 Lamberti Spa Poliuretani a pettine utili per la patinatura della carta
IT1402349B1 (it) 2010-09-15 2013-08-30 Lamberti Spa Composizioni per la patinatura della carta
EP2574636B1 (de) 2011-09-30 2014-04-16 BASF Construction Solutions GmbH Schnell suspendierbare pulverförmige Zusammensetzung
WO2013063209A2 (en) 2011-10-26 2013-05-02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Dispersant composition
FR2981939B1 (fr) * 2011-10-26 2015-02-20 Coatex Sas Procede de fabrication de suspensions aqueuses de talc a partir d'un polymere acrylique a fonction tensio-active greffee, suspensions obtenues et leurs utilisations.
ITVA20110030A1 (it) 2011-11-11 2013-05-12 Lamberti Spa Composizione acquosa di polimeri per la patinatura della carta
FR2982887B1 (fr) * 2011-11-18 2014-01-31 Coatex Sas Polymeres faiblement anioniques pour sauces de couchage destinees a des papiers pour impression de type jet d'encre
AU2012355705B2 (en) 2011-12-22 2016-02-11 Rohm And Haas Company Calcium carbonate slurries
HUE027523T2 (en) 2012-03-23 2016-11-28 Omya Int Ag Production of pigments
PL2679638T3 (pl) 2012-06-28 2016-02-29 Omya Int Ag Wodna zawiesina minerału i/lub wypełniacza i/lub pigmentu o dużej zawartości części stałych w środowisku o kwaśnym pH
FR2992969B1 (fr) * 2012-07-06 2014-07-11 Coatex Sas Utilisation de nouveaux additifs, dans une formulation de peinture comprenant des particules de dioxyde de titane, comme agents ameliorant l'opacite du film sec ou en cours de sechage
BR112015007288A2 (pt) * 2012-10-18 2017-07-04 Coatex Sas composição de protetor solar incluindo copolímero metacrílico e partículas de pigmento
CN103768991B (zh) * 2012-10-25 2015-09-0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阴非磺酸盐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
FR2998194B1 (fr) * 2012-11-19 2014-11-21 Coatex Sas Suspension aqueuse de chaux,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2998195B1 (fr) * 2012-11-19 2015-01-16 Coatex Sas Utilisation d'un copolymere hydrosoluble pour preparer une suspension aqueuse de chaux
US9757685B2 (en) 2012-11-19 2017-09-12 Coatex Aqueous lime slurry, preparation process and uses
EP2784036A1 (de) 2013-03-26 2014-10-01 Basf Se Schnell suspendierbare pulverförmige zusammensetzung
EP2784038A1 (de) 2013-03-26 2014-10-01 Basf Se Fließmittel auf Zuschlägen
EP2784040A1 (de) 2013-03-26 2014-10-01 Basf Se Schnell suspendierbare pulverförmige Zusammensetzung
EP2952492A1 (de) 2014-06-06 2015-12-09 Basf Se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Calciumsilikat-Hydrat
CN104086715A (zh) * 2014-06-25 2014-10-08 中科院广州化学有限公司南雄材料生产基地 一种高岭土用分散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3018108A1 (de) 2014-11-10 2016-05-11 Basf Se Polymer mit Polyetherseitenketten
US10865144B2 (en) 2015-03-13 2020-12-15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a dispersant
CN109562996A (zh) 2016-08-11 2019-04-02 巴斯夫欧洲公司 用于无机固体悬浮液的分散剂组合物
FR3056983B1 (fr) 2016-09-30 2020-05-22 Coatex Copolymere anionique epaississant
WO2018177908A1 (de) 2017-03-30 2018-10-04 Basf Se Zwei-komponenten stabilisator für anorganische suspensionen
EP3931266B1 (en) 2019-02-26 2024-04-03 Omya International AG Process for preparing an aqueous suspension comprising a ground calcium carbonate-comprising material
CN110317296A (zh) * 2019-07-06 2019-10-11 西南石油大学 一种pH响应型微凝胶及其制备方法
US11314904B1 (en) 2019-12-23 2022-04-26 The Estimating Eagle LL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ansformation of construction drawings and visual tracking of data
US11321500B1 (en) 2020-08-26 2022-05-03 The Estimating Edge Llc Smart takeoff estim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2080252B (zh) * 2020-09-04 2021-06-08 江苏镇钛化工有限公司 一种精密研磨用助磨剂及其制备方法
CN112724308B (zh) * 2020-12-31 2023-03-10 九洲生物技术(苏州)有限公司 分散剂、研磨分散剂、造纸涂布用涂料
WO2022214567A1 (en) 2021-04-09 2022-10-13 Basf Se Use of polyethers for pigment dispersions
CN115821627B (zh) * 2022-12-27 2024-02-06 上海东升新材料有限公司 一种利用石灰石矿山废石制备造纸填料的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41733A (fr) * 1961-10-04 1963-11-02 Ici Ltd Pigments enduits
GB1196248A (en) * 1966-11-30 1970-06-24 Aqueous Solids Dispersions
DE2758122A1 (de) * 1977-12-24 1979-07-05 Basf Ag Wasserloesliche copolymerisate auf der basis von hydrophilen aethylenisch ungesaettigten monomeren
GB2060657B (en) * 1979-10-22 1983-03-09 Dulux Australia Ltd Water-miscible crosslinkable coating compositions
US4480985A (en) * 1980-12-22 1984-11-06 Arkansas Patents, Inc. Pulsing combustion
FR2531444A1 (fr) * 1982-08-06 1984-02-10 Coatex Sa Agent de broyage a base de polymeres et/ou copolymeres acryliques pour suspension aqueuse de materiaux mineraux grossiers en vue d'applications pigmentaires
EP0127388B1 (en) * 1983-05-20 1986-12-30 Ciba Specialty Chemicals Water Treatments Limited Water soluble polymers
NZ213578A (en) * 1984-11-09 1988-04-29 Calgon Corp Inhibiting corrosion and scale deposition in aqueous systems by adding water soluble polymers
GB8613408D0 (en) * 1986-06-03 1986-07-09 Crown Decorative Prod Ltd Thickeners
CA2080959C (fr) 1991-11-12 2002-06-04 Jean-Bernard Egraz Polymeres et/ou copolymeres hydrosolubles a biodegradabilite accrue et leurs applications
GB9208535D0 (en) * 1992-04-21 1992-06-03 Ici Plc Co-polymers
FR2693203B1 (fr) * 1992-07-01 1994-08-26 Coatex Sas Copolymère acrylique partiellement ou totalement hydrosoluble, réticulé ou non et son utilisation.
FR2693127B1 (fr) * 1992-07-01 1994-08-26 Coatex Sas Suspensions aqueuses stables de zéolithes, leurs procédés d'obtention et leurs utilisations.
US5464702A (en) * 1994-10-07 1995-11-07 Ciba-Geigy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epoxy resin systems containing trimethylquinoline oligomers
MY114306A (en) * 1995-07-13 2002-09-30 Mbt Holding Ag Cement dispers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cement composition using dispersant
KR100247527B1 (ko) * 1996-04-03 2000-03-15 겐지 아이다 시멘트분산방법및시멘트조성물
FR2751335B1 (fr) * 1996-07-19 1998-08-21 Coatex Sa Procede d'obtention de polymere hydrosolubles, polymeres obtenus et leurs utilisations
FR2752584A1 (fr) 1996-08-26 1998-02-27 Coatex Sa Agent compatible avec les tensioactifs utilises en detergence ou cosmetique
US5880237A (en) * 1997-01-31 1999-03-09 Nalco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and utility of water-soluble polymers having pendant derivatized amide, ester or ether functionalities as ceramics dispersants and binders
AT404730B (de) * 1997-04-07 1999-02-25 Holderchem Ag Acryl-copolymere und polymerzusammensetzungen sowie deren verwendung als additive oder beimischungen zur verbesserung der eigenschaften von dispersionen und baustoffen
FR2766107B1 (fr) * 1997-07-18 1999-08-20 Pluss Stauffer Ag Suspensions aqueuses de matieres minerales et leurs utilisations
FR2766106B1 (fr) * 1997-07-18 2001-09-07 Coatex Sa Utilisation d'un copolymere a structure tensio-active comme agent dispersant et/ou d'aide au broyage
US5880238A (en) * 1997-09-29 1999-03-0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olid ink resins substantially free of hazardous air pollutants
EP1052232A4 (en) * 1998-11-30 2003-03-19 Taiheiyo Cement Corp METHOD FOR PRODUCING A DISPERSING AGENT FOR POWDERED HYDRAULIC COMPOSITION
FR2792932B1 (fr) * 1999-04-30 2001-07-06 Coatex Sa Nouveaux agents de type copolymeres acryliques a base d'urethanne pour ameliorer la maniabilite des liants hydraul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s liant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WO2001014438A1 (fr) * 1999-08-23 2001-03-01 Kao Corporation Procede de production de polymeres (meth)acryl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092A (ko) * 2012-07-13 2015-04-08 코아텍스 소시에떼 빠 악숑 셈쁠리삐에 탄산칼슘을 함유하고 감소된 온도 민감성을 가지는 현탁액 제조를 위한 빗형 고분자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4476A1 (fr) 2003-03-26
HK1054520A1 (zh) 2003-12-05
AU2001267627B2 (en) 2006-08-03
FR2810261B1 (fr) 2002-08-30
AU6762701A (en) 2001-12-24
UY26773A1 (es) 2002-01-31
EP1762297A2 (fr) 2007-03-14
NO332057B1 (no) 2012-06-11
EP1762297A3 (fr) 2008-03-05
ZA200300153B (en) 2004-02-10
US6946510B2 (en) 2005-09-20
MXPA02012162A (es) 2003-06-06
WO2001096007A1 (fr) 2001-12-20
NO20025809L (no) 2003-01-22
CA2410518A1 (fr) 2001-12-20
EP1795265A2 (fr) 2007-06-13
MX250698B (es) 2007-10-23
NO20025809D0 (no) 2002-12-03
EP1294476B1 (fr) 2012-08-15
MY123635A (en) 2006-05-31
US20050143511A1 (en) 2005-06-30
CA2410518C (fr) 2011-02-15
KR100813785B1 (ko) 2008-03-13
US20040019148A1 (en) 2004-01-29
FR2810261A1 (fr) 2001-12-21
BR0111616A (pt) 2003-03-18
BR0111616B1 (pt) 2014-10-14
EP1795265A3 (fr) 2007-12-26
TW552337B (en) 200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785B1 (ko) 무기 물질 수성 현탁액의 분산제 및/또는 미분쇄조제로서의 약음이온성 공중합체의 용도
JP5346319B2 (ja) グラフトされた少なくとも1種のアルコキシまたはヒドロキシ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官能基を有するコポリマー、およびその使用
JP5384116B2 (ja) 天然炭酸カルシウムおよびアクリル酸−エチレンの塩に基づく粒子の製造方法、得られる乾燥顔料、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
US7951265B2 (en) Aqueous slurries of finely divided filler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filler-containing papers
KR101964537B1 (ko) 높은 광 산란 성질 및 높은 고체 함량을 갖는 초미세 gcc를 수득하는 방법
JP4686192B2 (ja) 低イオン負荷の粉砕無機物の水性懸濁液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101752012B1 (ko) 무기 물질의 수성 현탁액 또는 건조된 무기 물질의 제조 방법, 얻어진 생성물, 및 이의 용도
JPH11116238A (ja) 無機物質の水性懸濁液及びその使用
SK97098A3 (en) Use of a copolymer having surfactant structures as dispersing agent and/or grinding aid
MX2007000342A (es) Proceso de fabricacion de particulas pigmentarias autoligantes, secas o en suspension o dispersion acuosas, que contienen materias inorganicas y ligantes.
BRPI0808407B1 (pt) Processo de trituração a seco de um ou vários materiais minerais que compreendem pelo menos um carbono de cálcio, produtos e utilização dos produtos
RU2323945C2 (ru) Связующее вещество и модификатор реологии для водных суспензий минеральных веществ, полученные гранул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TW201434923A (zh) 包含具有降低之揮發性有機化合物(voc)含量的有機聚合物之流變穩定水性礦物材料懸浮液
JP5964515B2 (ja) 高温で改良されたレオロジー安定性を有する、炭酸カルシウムを含む材料の高固形分低粘度水性スラリー
CN107075272A (zh) 用于制造包含含碳酸钙材料的悬浮体的方法
CN113423787A (zh) 制备包含研磨的含碳酸钙材料的水性悬浮液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