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998A -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998A
KR20030007998A KR1020010041647A KR20010041647A KR20030007998A KR 20030007998 A KR20030007998 A KR 20030007998A KR 1020010041647 A KR1020010041647 A KR 1020010041647A KR 20010041647 A KR20010041647 A KR 20010041647A KR 20030007998 A KR20030007998 A KR 2003000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weight
extract
oi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426B1 (ko
Inventor
김인영
이주동
김혁
김보라
유희창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4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주목의 씨앗을 추출 용매 중에 침적시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은 주목 씨앗을 핵산 중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주목 씨앗 추출물, 주목 씨앗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유효성분으로서 0.001 내지 20 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목 씨앗으로부터 주목 씨앗 추출물과 주목 씨앗 오일을 고농도로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주목 씨앗 추출물과 주목 씨앗 오일은 항 산화효과 및 항 염증효과 인하여 화장료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Method for preparing Taxus seed extract and Taxus seed oil,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 또는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목 씨앗으로부터 용매를 이용하여 고농축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주목 씨앗으로부터 고(高)정제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추출물 또는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예방 및 항 염증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피부 노화예방용 화장료를 특징으로 하는 기술들이 다수의 논문 및 특허를 통하여 발표되고 있으며, 매우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이추출물, 녹차추출물, 상지추출물, 닥나무추출물, 흑두추출물, 깻잎추출물 및 박추출물 등의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 화장료가 스킨류, 로션류, 크림류 및 에센스류 등의 제품으로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 추출물은 매우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추출되고 있는데, 그 중 용제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용제로서 물을 이용하는 방법, 폴리올인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거나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는 방법, 에탄올과 물을 적당량 배합하는 방법, 또는 상기 용제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출방법은 실제로 활성성분들을 고농도로 추출할 수 없고 소량으로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물량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목 씨앗으로부터 활성성분을 다량 추출할 수 있도록 추출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면서 추출 용매 선정과 추출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고농축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항 산화효과가 뛰어나면서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에 도입될 수 있는 식물추출물을 연구하면서, 의약이나 한방에서 특별한 효능이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나, 화장품 분야에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는 주목 씨앗을 피부학적으로 접근하여 주목 씨앗으로부터 활성성분을 추출함으로써 화장료용으로서의 그 효능을 입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목 씨앗에 함유된 활성물질을 최대한 많이 추출해 낼 수 있는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목 씨앗으로부터 고 정제된 주목 씨앗 오일을 제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목 씨앗 추출물 또는 주목 씨앗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예방 및 항 염증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주목 씨앗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주목 씨앗 오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주목 씨앗 추출물의 항 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폴리페놀의 표준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주목 씨앗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탄닌산의 표준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주목 씨앗 추출물에 함유된 총 탄닌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주목 씨앗 오일의 항 염증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마우스 등에 상처를 내고 나서 주목 씨앗 오일을 도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염증부위를 찍은 사진이다.
도 13은 주목 씨앗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목 씨앗 10 내지 30 중량%를 추출 용매 70 내지 90 중량% 중에 침적시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부틸렌글리콜 20 내지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내지 3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건조된 주목 씨앗 10 내지 30 중량%와 잔량으로서 추출 용매를 넣어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하는 단계; 20 내지 50 ℃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500 내지 2,000 rpm으로 교반하는 단계; 20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잔류물을 걷어내고 300 내지 500 메쉬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목 씨앗 40 내지 60 중량%를 핵산 40 내지 60 중량%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은 주목 씨앗 40 내지 60 중량%을 핵산 40 내지 60 중량%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20 내지 30 ℃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잔류물을 걷어내고 300 내지 500 메쉬로 여과하는 단계; 및 40 내지 70 ℃에서 진공증류시켜 핵산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주목 씨앗 추출물, 주목 씨앗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유효성분으로서 0.001 내지 20 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안정화제로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제형, 로션제형, 크림제형, 에센스제형, 클렌징 제형, 팩제형 또는 마사지 제형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고 있는 주목은 사철 푸른 침엽수림으로써 잎은 끝이 뾰족한 좁은 선형이고 윗면보다 아래 면이 연한 풀색이다. 또한 열매는 10월경에 동그란 모양으로 열리고 여물면 붉은색을 띤다. 또한 주목의 씨앗(도 13)에는 여러 가지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주목의 성분 중 탁신은 혈압을 내리게 하고 심장의 운동을 느리게 하며, 숨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심장기능이 약할 때에는 영향을 주며, 적은 양에서는 강심작용이 있다. 그외에 민간에서는 기침약이나 신경통 치료약으로도 사용한다.
주목 씨앗에는 여러 가지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알칼로이드, 쿠마린이 있고, 6월에 채취한 잎에는 0.22%의 알칼로이드인 탁신(C37H51O10N)이 있다. 그외에 탁시닌(C30H31O8), 계피산 플라보노이드인 스찌아도피리신(C34H24O10)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주목의 폴리페놀류가 피부 항 산화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 노화예방 화장료에 충분히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건조된 주목 씨앗 10 내지 30 중량%와 잔량으로서 추출 용매를 넣어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한다(S11). 그런 다음, 이 혼합물을 20 내지 50 ℃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500 내지 2,000 rpm으로 교반한다(S12). 이어서 20 내지 40 ℃로 냉각시킨다(S13). 이어서 잔류물을 걷어내고 300 내지 500 메쉬로 여과(S14)함으로써 주목 씨앗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주목 씨앗과 추출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S11)에서, 주목 씨앗을 10 내지 3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주목 씨앗으로부터 활성성분을 가능한 많이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일 뿐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주목 씨앗으로부터 활성성분을 고농축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최적 용매 및 그 농도의 선정이 매우 중요한데, 상기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부틸렌글리콜 20 내지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내지 3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하는 단계(S12)에서 혼합물은 20 내지 50 ℃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500 내지 2000 rpm으로 교반된다. 여기서, 교반 조건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목 씨앗으로부터 활성성분이 최대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주목 씨앗 40 내지 60 중량%를 핵산 40 내지 60 중량%와 혼합한다(S21). 그런 다음, 상기 혼합액을 20 내지 30 ℃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교반한다(S22). 이어서 잔류물을 걷어내고 300 내지 500 메쉬로 여과한다(S23). 이어서 40 내지 70 ℃에서 진공증류시켜 핵산을 증발(S24)시킴으로써 주목 씨앗 오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주목 씨앗과 핵산을 혼합하는 단계(S21)에서, 주목 씨앗을 40 내지 6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주목 씨앗으로부터 오일을 가능한 많이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일 뿐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교반하는 단계(S22)에서 혼합물은 20 내지 30 ℃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교반된다. 여기서, 교반 조건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목 씨앗으로부터 오일이 최대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이다.
주목 씨앗으로부터 수득된 주목 씨앗 추출물, 주목 씨앗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가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주목 씨앗 추출물 또는 오일의 활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화장품으로 제형화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 화장료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성분들이 함유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목 씨앗 추출물, 주목 씨앗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팩 또는 마사지류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국한시키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주목 씨앗을 채취하여 깨끗한 물로 씻어 낸 후 말려야 한다. 추출물 100g을 제조하기 위해서, 20g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반응용기에 넣은 다음, 부틸렌글리콜 20g, 프로필렌글리콜 20g, 정제수 40g을 넣어 믹서로 갈아 짓이겨 혼합한다. 이것을 20~50℃범위에서 약 1~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주목의 씨앗에 있는 활성성분이 다 빠질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 다음 30℃까지 냉각하여 잔류물을 걷어 내고 400메쉬로 여과하여 씨앗추출물을 얻어내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추출물의 시험 성적서는 표 1과 같다. 성상은 연갈색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액으로 특이취가 있으며, pH는 5.4±0.5, 굴절률(n25)은 1.382±0.05, 비중(d25)은 1.013 ± 0.05이며, UVB영역에서 흡광도가 있으며, 건조 잔량은 2.75중량%로 일반 추출물인 1~2중량%보다 많은 량이 검출되었다.
실시예 2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주목의 씨앗을 채취하여, 깨끗한 물로 씻어 낸 후 말려야 한다. 그런 다음 씨앗 100g을 핵산 100g에 짓이겨 넣어 유용성 성분들이 핵산과 완전히 혼합되도록 1~5시간 동안 아지믹서로 섞는다. 이를 잔류물은 걷어 내고, 400메쉬로 여과한 액을 진공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감압상태에서 40~70℃로 핵산을 증발시킨 다음, 남은 액을 오일이라고 명명하였다. 최종적으로 나온 오일의 시험 성적서는 표 2와 같다. 성상은 갈색의 투명 또는 반투명 액으로 특이취가 있으며, 굴절율은 1.472 ±0.05, 비중은 0.922 ±0.05이며, 산가는 맥스 0.2, 요오드가는 189 ~ 197로 나타났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주목 씨앗 추출물 및 주목 씨앗 오일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실험하였다. 일반적으로 식물추출물은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이 많고 분리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항 산화효과로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폴리페놀과 탄닌을 정량분석하여 씨앗 추출물의 활성도를 증명하였으며, 고(高)정제 오일에 대하여도 항 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감초 추출물과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예 1
NBT를 이용한 항 산화효과 실험
준비시약
1) 0.05M(50mM) Na2CO3완충액(MW=105.99):
탄산나트륨 5.25g(50mM)을 물에 용해한 용액과 50mM NaHCO3(MW=84.01) 용액을 혼합하여 pH 10.2로 한다.
2) 3mM 크산틴 용액:
크산틴(半井化學, MW=152.11) 45.6mg을 물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3) 3mM EDTA용액:
에틸렌디아민4초산나트륨(同仁化學, MW=60.1)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3mM로 한다.
4) 0.15% BSA용액:
BSA(Fraction V, powder, Sigma) 15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ml로 한다.
5) 0.75mM NBT용액: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MW=817.65, 東京化學)) 61.32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크산틴 옥시다제(Boehringer)를 증류수로 약 100배로 희석하고 측정조작에서 공 시험의 흡광도가 0.2-0.23의 범위에 들도록 한다. 즉, 흡광도의 변화가A560=0.3/20분이 되게 정제수로 희석한다.
7) 6mM CuCl2용액:
염화동(CuCl2-2H2O, MW=134.45)를 102.29m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측정방법
① 바이엘 병 2개에 표 3의 용액(1,2,3,4,5)을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주목 씨앗 추출물, 주목 씨앗 오일) 0.1ml을 각각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효소인 6용액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에 7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각각의 시료 용액에 대해서 측정한다.
④ 효소인 6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So를 측정한다.
⑤ 공 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⑥ 역시, 시료용액의 Blank는 6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⑦ 상기에서 구한 측정값을 가지고 하기의 계산방법에 따라서 산화억제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도 3에 다이아그램으로 나타내었다.
계산방법
억제율(%)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하기 표 4는 St, Bt, So 및 Bo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결과
NBT법에 의한 항 산화효과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중량%의 주목의 씨앗의 수용액으로서 항 산화효과는 86%효과가 있었으며, 비교 제품인 판매 중인 녹차 추출물인 경우 52%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항 산화효과는 녹차의 잎보다 60.4%정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피부 각질 세포간 지질 속에 불포화 지방산류들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주목 씨앗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류 정량분석
주목 씨앗 추출물의 폴리페놀류를 분석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폴릭-시오칼토우(Folic-Ciocalteu)법에 의하여 분광광도계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검량선 작성
우선,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갈산 표준용액 0ml, 1ml, 2ml, 3ml 및 5ml을 각각 25ml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각각에 폴릭-시오칼토우 시약 0.5ml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3분간 방치한다. 이어서, 1M Na2CO3용액 10ml을 가하고 흔들어 섞은 후 1시간 동안 방치한다. 물을 표선까지 가한 후, 잘 흔들어 섞고 10mm 셀에 옮기고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파장 7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그 검량선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주목 씨앗 추출물의 시험액과 비교시료로서 녹차 추출물 시험액의 조제는 각각 시료 원액 1ml을 50ml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하여 옮기고, 에탄올(50% v/v)을 사용하여 희석한 후 시험액으로 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액 적당량(0.5~1.0ml)을 25ml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폴릭 시오칼토우 시약 0.5ml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3분간 방치한다. 이하 검량선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작하고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750nm)를 측정하고 검량선에서 갈산의 양을 구한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결과
폴리페놀류의 총 함량은 비교 시료로서 녹차추출물과 비교한 결과 녹차추출물의 경우 0.39%, 주목 씨앗 추출물은 1.08%로 녹차추출물보다 36.1% 많은 량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주목의 씨앗 추출물은 녹차보다 항 산화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주목 씨앗 추출물의 탄닌(tannic acid) 함량 측정
주목의 씨앗추출물에 함유된 페놀류의 총량 속에는 탄닌의 함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정량 분석하였다.
검량선 작성
탄닌의 분석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반응물로써, 철(III)와 1,10-페난트롤린(Phenanthroline)으로 주목 씨앗 추출물을 반응시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우선, 검량선의 작성하기 위하여 탄닌 표준용액 0ml, 0.5ml, 1ml, 2ml 및 5ml을 각각 25ml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각각에 산성의 염화나트륨 (Acidic sodium chloride) 용액 0.6ml, 철(III) 용액 2.5ml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80℃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아세트산 완충액 2.5ml, 1,10-페난트롤린 5ml 및 EDTA 용액 0.5ml를 가하고 흔들어 섞은 후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한다. 물을 표선까지 가한 후, 잘 흔들어 섞고 10mm 셀에 옮기고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파장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그 검량선을 도 6에 나타내었다.
탄닌산 함량 측정
① 시료용액의 탄닌산 함량(Ta) 측정
주목 씨앗 추출물과 비교 시료인 녹차 추출물의 탄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 원액 1ml을 각각 50ml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여 옮기고, 에탄올(50%,v/v)을 사용하여 희석한 후 시험액으로 하였다. 시험액 적당량(0.2 내지 0.4ml)을 25ml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산성의 염화나트륨 용액 0.6ml, 철(III) 용액 2.5ml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80℃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이하 검량선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작하고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에서 탄닌 양을 구한다(Ta).
②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에 의한 탄닌 함량 측정(Tb)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의 시험액 10ml을 100ml 비이커에 취하고, 젤라틴 용액 5ml, 산성의 염화나트륨 용액 10ml 및 카올린 2g을 가하여 수 분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침전을 정치하고 용액을 0.45um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다. 여액 10ml을 100ml 비이커에 취하고, 물 6ml, 젤라틴 용액 3ml, 산성의 염화나트륨 용액 6ml 및 카올린 2g을 가하여 수 분간 교반하여 섞는다. 이 용액을 0.45um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여액 1.25~2.5 ml을 취하여 상기 ① 측정에서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탄닌을 구하였다(Tb).
③ 젤라틴 용액의 바탕시험에 의한 탄닌 함량 측정(Tc)
젤라틴 용액에 대한 바탕시험을 위해 물 10ml을 취하여 상기 ①에서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탄닌의 양을 구하였다(Tc).
④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에 의한 탄닌 함량 측정(Td)
시료용액과 젤라틴의 바탕시험에서 구한 탄닌 함량(TbTc)의 차로써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의 탄닌 양을 구하였다(Td).
⑤ 탄닌 총량(Ts)
또한, 탄닌의 총량(Ts)은 탄닌의 함량(Ta)과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에서 구한 탄닌의 함량(Td)의 차로써 탄닌의 양을 구하였다.
실험결과
탄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 시료인 녹차 추출물과 비교한 결과 녹차의 경우 0.084%로 총 폴리페놀량의 22.2%가 탄닌의 함량이었으며, 주목 씨앗 추출물의 탄닌량은 0.581%로 총 폴리페놀량의 53.9%가 탄닌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총 폴리페놀의 양 속에 함유된 탄닌의 양은 녹차추출물 보다 주목 씨앗 추출물에서 오히려 적은 양이 검출되었다. 이것은 주목 씨앗 추출물에서는 녹차와는 다른 항 산화성분인 다른 폴리페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주목 씨앗 오일의 항 염증효과 평가
측정방법
항 염증효과 평가 원리로써, 이 실험은 즉시형 알레르기에 의해서 유발되는 부종에 대한 억제효과를 실험하는 방법이다. 아라키돈산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체내에 유입되었을 때 보체 활성화에 의해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이 아라키돈산은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켜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유발물질인 히스타민의 분비를 촉진하는 물질이다. 이 실험은 억제물질 도포 후 아라키돈산을 투여하였을 때, 아라키돈산이 비만세포의 활성화를 저해하여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결국 염증유발을 제어하는 원리에 기초한 것이다.
시료의 준비로서, 주목 씨앗 오일은 생약의 오일성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오일에 50%로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비교 시료로서 항 염증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감초추출물을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에 1%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주목 씨앗 오일은 오일로서 농도가 높으므로 50%로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감초추출물의 경우 허용 사용함량이 0.5% 이하임을 감안하여 1%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실험방법
A. 마우스 귀 부종 평가
가. ICR게 마우스를 시료 도포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분류한다.
나. 마우스의 귀를 70% 에탄올로 거즈에 묻혀 씻는다.
다. 시료 도포군에는 시료 20㎕를, 대조군에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20㎕를 마우스의 귀에 1시간 간격으로 2회 도포한다. 도포한 후 1시간이 경과 후 히스타민 유리촉진 물질인 아라키돈산 0.01% 수용액을 귀 뒷부분에 피하 주사한다.
라. 1시간 후 마우스 귀를 지름 0.5㎝되는 펀치로 절개하여 무게를 달아 부종의 억제 정도를 평가한다.                
시료도포군 무게 - 시료무도포군 무게
부종 억제율 = 100 - --------------------------------------- X 100
대조군 무게 - 대조군 무도포 무게
B. 등 부위 상처 후 조직변화 관찰
가. ICR게 마우스를 시료도포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5마리씩 분류한다.
나. 마우스의 등을 제모기로 깍은 후 면도칼 뒷면으로 긁어 상처를 낸다.
다. 시료도포군의 등에는 시료 50㎕를, 대조군의 등에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0㎕를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7일간 도포한다.
라. 10일이 지난 후 건강한 상태의 마우스와 실험군의 등 부위 조직을 적출하여 염색 고정하여 염증부위의 조직을 관찰한다.
실험결과
A. 마우스 귀 부종 평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초추출물의 경우 24%, 주목의 경우 41%의 항 염증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주목 씨앗 오일의 항 염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감초추출물을 1% 용액으로 사용하였지만 일반적으로 화장품류에 배합량이 0.5% 이내인 것을 감안한다면 이에 상대하여 주목 씨앗 오일의 항 염증효과는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B. 등 부위 상처 후 조직변화 관찰
그 결과를 시간 경과에 따라 염증부위의 조직을 찍은 사진을 통하여 나타내었다. 도 9를 보면, 적 세포(염증세포)가 진피층의 세포 외 공간에 흩어져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몇 개의 백혈구가 중앙수평선에서 가지 친 동맥선의 벽 쪽에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에오신 염색, 200X). 도 10에서 홍반과 열을 동반하는 염증 부위에 혈류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소와상 기포 공간(Alveolar spaces)으로 피브린 함유액이 스며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11에서 상처가 치유되는 중에 조그만 관이 형성되고 섬유아세포가 활성화되고 있음이 관찰되며, 이것은 과립조직을 형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상처가 거의 치유된 상태가 관찰되는데, 상피세포가 다시 재생되고 콜라겐을 형성하는 섬유아세포와 조그만 관을 가진 과립조직이 형성되었으며 상처부위에 항체가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상처를 내고나서 주목 씨앗 오일을 도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상처의 아무는 정도가 빨랐으며 상처치유과정에서 섬유아세포의 활성화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목 씨앗 주출물 및 오일이 항 산화효과 및 항 염증효과에 있어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내지 6 및 비교예 1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스킨 화장료 제조
주목 씨앗의 추출물 및 오일을 이용하여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스킨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주목의 추출물과 오일을 일정량 배합함으로써 항 산화효과를 부여하고 스킨의 자극을 낮추고자 하였으며, 하기 표 5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는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피이지-1500을 사용하고, 첨가제로써 디칼륨그리시리지헤티네이트와 알란토인 등을 사용하여 스킨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하기 표 5의 1) 내지 9)성분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교반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10) 내지 13)의 가용화류를 정확하게 달아 40 내지 50℃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투명할 때까지 약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투명하게 가용화 정도를 확인한 후, 성분 14) 내지 16)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스킨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2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로션 화장료 제조
주목 씨앗의 추출물 및 오일을 이용하여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로션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는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유화제로서는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서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세틸옥타노에이트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점증제로서 카보머와 산탄검을 사용하여 로션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 1) 내지 6)과 24)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 이상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7) 내지 18)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 이상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19)를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0) 내지 23)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로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2 및 비교예 3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크림 화장료 제조
주목 씨앗의 추출물 및 오일을 이용하여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크림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과 아미노코트를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서 스쿠알란, 마카데미아 오일, 디메치콘, 미네랄오일, 세틸옥타노에이트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였다. 왁스류는 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왁스,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7의 성분 1) 내지 7)과 26)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8) 내지 20)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1)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1) 내지 24)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내지 15 및 비교예 4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에센스 화장료 제조
주목 씨앗의 추출물 및 오일을 이용하여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에센스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8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듐히아루로네이트와 아미노코트를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캐스터오일과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서 디메치콘과 마카데미아 오일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8의 성분 1) 내지 9)와 23)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10) 내지 17)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18)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19) 내지 22)를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에센스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내지 18 및 비교예 5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클렌징 화장료 제조
주목 씨앗의 추출물 및 오일을 이용하여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클렌징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9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를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고, 유연제로서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바세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세정능을 높이기 위하여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와 소듐L-라우로일-N-글루타메이트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9의 성분 1) 내지 5)와 26)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6) 내지 20)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1)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2) 내지 25)를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클렌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내지 21 및 비교예 6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팩 화장료 제조
주목 씨앗의 추출물 및 오일을 이용하여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팩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10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캐스터오일과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드-7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10의 성분 1) 내지 6)와 18)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3,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7) 내지 10)의 가용화물을 안전용해한 후, 상기 교반한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고, AGI 믹서로 10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11) 내지 13)을 각각 투입한 후 5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최종적으로 성분 14) 내지 17)을 투입한 후 50rpm으로 5분간 교반한 후 탈포 공정을 거쳐 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내지 24 및 비교예 7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마사지 화장료 제조
주목 씨앗의 추출물 및 오일을 이용하여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마사지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11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서 미네랄오일,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11의 성분 1) 내지 5)와 26)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6) 내지 20)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1)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2) 내지 25)를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마사지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주목 씨앗으로부터 그의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은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여 활성성분을 다량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주목 씨앗 추출물 및 오일이 항 산화효과와 항 염증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화장료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피부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주목 씨앗 추출물, 주목 씨앗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유효성분으로서 0.001 내지 20 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화장료 조성물이 스킨제형, 로션제형, 크림제형, 에센스제형, 클렌징제형, 팩제형 및 마사지제형 중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예방 및 항 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3. 건조된 주목 씨앗 10 내지 30 중량%와 추출 용매로 부틸렌글리콜 20 내지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내지 3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넣어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하는 단계;
    20 내지 50 ℃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500 내지 2,000 rpm으로 교반하는 단계;
    20 내지 40 ℃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잔류물을 걷어내고 300 내지 500 메쉬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주목 씨앗 40 내지 60 중량%를 핵산 40 내지 60 중량%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20 내지 30 ℃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잔류물을 걷어내고 300 내지 500 메쉬로 여과하는 단계; 및
    40 내지 70 ℃에서 진공증류시켜 핵산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 씨앗 오일의 제조방법.
KR10-2001-0041647A 2001-07-11 2001-07-11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2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47A KR100432426B1 (ko) 2001-07-11 2001-07-11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47A KR100432426B1 (ko) 2001-07-11 2001-07-11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998A true KR20030007998A (ko) 2003-01-24
KR100432426B1 KR100432426B1 (ko) 2004-05-22

Family

ID=2771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647A KR100432426B1 (ko) 2001-07-11 2001-07-11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379B1 (ko) * 2002-12-10 2005-08-17 엔프라니 주식회사 주목(朱木) 과육(果肉)으로부터 유래된 폴리사카라이드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9321A (ko) * 2014-12-26 2016-07-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보강재용 원자재의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081B1 (ko) * 1993-07-06 1995-05-18 산림청임목육종연구소 주목 종자의 씨눈 유래의 체세포배 및 체세포배성세포 혹은 그 배양배지로부터 택솔(Taxol) 및 그 유도체를 생산하는 방법
IT1271342B (it) * 1994-12-28 1997-05-27 Indena Spa Proteine ricche in idrossiprolina e formulazioni farmaceutiche e cosmetiche che le contengono
JPH08198789A (ja) * 1995-01-27 1996-08-06 Res Inst For Prod Dev 抗酸化活性をもつカロチノイド含有エキス、その製造法及び抗酸化剤並びに着色料
JP4057170B2 (ja) * 1998-11-16 2008-03-05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379B1 (ko) * 2002-12-10 2005-08-17 엔프라니 주식회사 주목(朱木) 과육(果肉)으로부터 유래된 폴리사카라이드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9321A (ko) * 2014-12-26 2016-07-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보강재용 원자재의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426B1 (ko) 200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981B2 (en) Method of regulating a skin condition
KR101702138B1 (ko) 탈색소제로서의 머틀 추출물 용도
KR20230147028A (ko) 대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항염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6336430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20110078672A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6895B1 (ko) Pdrn추출방법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S63135310A (ja) 化粧料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1861486A1 (en) A process of preparing jambu extract, use of said extrac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reof and cosmetic products comprising said cosmetic compositions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6336421A (ja) 皮膚外用剤
KR100432426B1 (ko)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3081726A1 (en) Composition for skin anti-inflammation and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artemisia extract extracted with skin cosmetic solution as a solvent
JP7171355B2 (ja) メラニン分解促進剤
JP2008303147A (ja) 皮膚外用剤
KR20130109445A (ko)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72171B1 (ko)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249438A (ja) 生体の老化抑制剤
KR102251189B1 (ko) 기능성 다당체의 제조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955388B1 (ko)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144362B2 (ja) 皮膚外用剤
JPH03200708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