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171B1 -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171B1
KR100472171B1 KR10-2001-0041646A KR20010041646A KR100472171B1 KR 100472171 B1 KR100472171 B1 KR 100472171B1 KR 20010041646 A KR20010041646 A KR 20010041646A KR 100472171 B1 KR100472171 B1 KR 10047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yew
cosmetic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997A (ko
Inventor
김인영
이주동
정성원
이계종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1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주목의 잎, 줄기 또는 그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중에 침적시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은 주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0.01 내지 2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주목의 잎 또는 줄기로부터 주목추출물을 고농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주목추출물이 식물추출물이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없이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이어서, 스킨 화장료, 로션 화장료, 크림 화장료, 에센스 화장료, 클렌징 화장료, 팩 화장료, 마시지 화장료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 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TAXUS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SKIN CONTAINING TAXUS EXTRACT}
본 발명은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목의 잎 또는 줄기로부터 고농축으로 주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노화방지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특히 유럽을 비롯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화장품 관련 기업에서는 식물추출물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수 많은 식물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보습제를 겨냥한 추출물, 피부 화이트닝 효능을 갖는 추출물, 피부노화방지 기능을 갖는 추출물, 잔주름 개선효과를 갖는 추출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추출물들이 천연물의 추출기술을 통하여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피부 노화예방 화장료에 관한 기술들이 많은 논문과 특허들로부터 발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 화장품들로는 오이추출물, 녹차추출물, 상지추출물, 닥나무추출물, 흑두 추출물, 깻잎추출물 등 여러 천연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품은 스킨류, 로션류, 크림류, 에센스류 등과 같이 다양한 제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의 추출은 매우 다양한 기술들로 추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출방법들의 대부분은 용제를 이용한 방법들이며, 그 예로 용제를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폴리올인 프로필렌글리콜을 적당량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는 방법, 일정량의 에탄올과 물을 적당량 배합하는 방법, 또는 이들을 일정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물질로 추출하는 방법 등 이들의 방법은 아주 다양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출방법은 식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다량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물량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다량 추출할 수 있도록 추출방법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면서 일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일정비로 배합함으로써 고농축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피부노화 예방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식물추출물 중에서 녹차추출물이 황산화 효과가 뛰어나다고 밝혀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녹차추출물보다 황산화 효과가 뛰어나면서, 화장료의 다양한 제형에 도입될 수 있는 식물추출물을 연구하면서, 의약이나 한방에서 특별한 효능이 있는 성분으로 연구되고 있는 주목을 선정하여 피부학적으로 접근하였고, 결과적으로 주목추출물이 황산화 효과는 물론 콜라겐의 성장률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율이 녹차보다 우수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목으로부터 그의 활성성분들을 고농축으로 추출할 수 있는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황산화 효과를 갖는 주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목의 잎, 줄기 및 그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주목 10 내지 40중량%을 추출 용매 60 내지 90중량%중에 침적시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프로판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40내지 80중량%, 부틸렌글리콜 10 내지 3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 10 내지 30중량%의 혼합 용매이다. 본 발명의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추출단계는 주목 10 내지 40중량%을 추출용매 60 내지 90중량%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65℃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5일간 200 내지 800rpm으로 교반하는 단계; 교반 후 최대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진공 하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주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건조중량에 기초하여 0.01 내지 2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안정화제로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제형, 로션제형, 크림제형, 에센스제형, 클렌징제형, 팩제형 또는 마사지 제형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고 있는 주목은 도 1a 및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철 푸른 침엽수림으로써 앞은 끝이 뾰족한 좁은 선형이고 윗면보다 아래 면은 연한 풀색이다. 또한, 그의 열매는 둥글고 여물며 붉은 색을 띤다. 주목은 한방분야에서는 이미 그 효능이 입증되어 있으며, 주목의 성분 중 탁신은 혈압을 내리게 하고 심장의 운동을 느리게 하며, 숨쉬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심장 기능이 약할 때에는 영향을 준다. 또한, 그외에 민간에서는 기침약, 신경통, 치료약으로 사용한다.
또한, 주목에는 여러 가지 폴리페놀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알카로이드, 쿠마린이 있고, 6월에 채취한 잎에는 알카로이드인 탁신(C37H51O10N)이 있다. 그외에도 탁시닌(C30H31O8), 계피산 플라보노이드인 쓰지아도피리신(C34 H24O10)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주목의 폴리페놀류가 피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 노화 예방 화장료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주목으로부터 상기 폴리페놀류 성분을 고농도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용매선정과 그 농도를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한 기술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주목의 잎 또는 줄기를 추출용매중에 일정기간 침적시켜 활성물질을 빼내는 것이며, 이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활성이 높고, 피부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주목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주목으로부터 잎 또는 줄기를 채취하여 잎은 대략 1 내지 5㎜로 자르고, 줄기를 0.5 내지 1㎝로 자른 후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정제수로 된 추출용매와 함께 반응용기에서 혼합한다(S11).
여기서, 잎 또는 줄기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주목과 추출용매는 주목 10 내지 40중량%에 대해서 추출용매 60 내지 90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목과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주목으로부터 활성성분을 가능한 많이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로 된 추출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40내지 80중량%, 부틸렌글리콜 10 내지 3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 10 내지 30중량%의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추출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프로판올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반응용기에 혼합된 혼합물을 20 내지 65℃의 온도범위에서 약 1 내지 15일간 200 내지 800rpm으로 교반한다(S12). 여기서 교반의 조건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목으로부터 활성성분이 최대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다.
교반 후, 최대 30℃까지 냉각한다(S13). 여기서 냉각은 잔류물을 걷어내기 위해서이다.
냉각 후, 200 내지 600메쉬로 진공하에서 여과하여(S14), 주목 추출물을 얻어낸다(S15).
이와 같이 주목으로부터 얻은 주목추출물은 건조중량으로써 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써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양이다. 상기 0.01중량% 미만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 주목추출물의 활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2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그의 성분의 수용성이기 때문에 화장품으로 제형화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 추가로 화장료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성분들이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일정량 함유할 수 있다.
주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팩 또는 마사지류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주목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피부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만,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주목의 잎 추출물의 제조
주목의 잎을 채취하여, 깨끗한 물로 씻어 낸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렸다. 추출물 100g이 되도록 추출물을 만들기 위하여, 이것을 대략 1~5mm 크기로 잘라서 25g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반응용기에 넣은 다음, 부틸렌글리콜 20g, 프로필렌글리콜 20g, 정제수를 35g 각각 넣어 혼합하였다. 이것을 20 내지 65℃범위에서 약 7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주목의 잎에 있는 활성성분이 다 빠질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그 다음 30℃까지 냉각하여 잔류물을 걷어 내고 400메쉬로 진공하에서 필터링하여 주목의 잎 추출물을 얻었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추출물은 연노랑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액으로 이들의 시험성적서는 하기 표 1과 같다. 성상은 연노랑의 특이 취가 있으며, pH는 5.3, 굴절률(n25 )은 1.375 ±0.05, 비중(d25)은 1.012±0.5이고, UVB영역에서 흡광도가 있으며, 건조 잔량은 7.8중량%로 일반 추출물인 1~2중량%보다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실시예 2
주목의 줄기 추출물의 제조
우선 주목의 줄기를 채취하여, 깨끗한 물로 씻어 낸 후 서늘한 곳에서 말렸다. 이것을 대략 0.5~1cm의 크기로 잘라서 30g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반응용기에 넣은 다음, 부틸렌글리콜 20g, 프로필렌글리콜 20g, 정제수 30g을 각각 넣어 혼합하였다. 이것을 20 내지 65℃범위에서 약 7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주목의 줄기에 있는 활성성분이 다 빠질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그 다음 30℃까지 냉각하여 잔류물을 걷어 내고 400메쉬로 필터링하여 주목의 줄기추출물을 얻어냈다. 최종적으로 나온 추출물은 갈색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액으로 이들의 시험 성적서는 하기 표 2와 같다. 성상은 갈색의 맑은 액으로 특이 취가 있으며, pH는 5.2 ±0.5이며 굴절율은 1.392 ±0.05, 비중은 1.012 ±0.5이며, UVB영역에서 약의 흡광도가 있는 것으로 200~320nm에서 약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잔량은 3.34중량%로 일반 추출물인 1~2중량%보다 훨씬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으로 주목을 추출한 결과, 일반적인 추출물의 양보다 많은 양의 활성물질이 추출됨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주목의 잎과 줄기를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들이 화장품 원료로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고, 특히 항산화 효과와 티로신네이즈 억제효과로써의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효능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항산화효과, 콜라겐 생성능 실험, PPE 저해능 실험과 폴리페놀과 탄닌을 정량분석하여 추출물의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시험예 1
NBT를 이용한 항 산화효과 실험
준비시약
① 0.05M(50mM) Na2CO3 완충액(MW=105.99):
탄산나트륨 5.25g(50mM)을 물에 용해한 용액과 50mM NaHCO3(MW=84.01) 용액을 혼합하여 pH 10.2로 한다.
② 3mM 크산틴용액:
크산틴(半井化學, MW=152.11)) 45.6㎎을 물에 용해하여 10㎖로 한다.
③ 3mM EDTA용액:
에틸렌디아민4초산나트륨(同仁化學, MW=60.1)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3mM로 한다.
④ 0.15% BSA용액:
BSA(Fraction V, powder, Sigma) 15㎎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로 한다.
⑤ 0.75mM NBT용액: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MW=817.65, 東京化學)) 61.32㎎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로 한다.
⑥ 크산틴 옥시다제용액:
크산틴 옥시다제(Boehringer)를 증류수로 약 100배로 희석하고 측정조작에서 공 시험의 흡광도가 0.2-0.23의 범위에 들도록 한다. 즉, 흡광도의 변화가 A560=0.3/20분이 되게 정제수로 희석한다.
⑦ 6mM CuCl2 용액:
염화동(CuCl2-2H2O, MW=134.45)를 102.29㎎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00㎖로 한다.
측정방법
① 바이엘 병 3개에 하기 표 3의 용액(1, 2, 3, 4, 5)을 각각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녹차추출물, 주목잎 추출물 및 주목줄기 추출물) 0.1㎖을 각각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효소인 6 용액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에 7 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각각의 시료용액에 대해서 측정한다.
④ 효소인 6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So를 측정한다.
⑤ 공 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⑥ 역시, 시료용액의 Blank는 6 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⑦ 상기에서 구한 측정값을 가지고 하기의 계산방법에 따라서 산화억제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도 3에 다이아그램으로 나타내었다.
계산방법
억제율(%)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하기 표 4는 St, Bt, So 및 Bo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결과
NBT법에 의한 항 산화효과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중량%의 주목잎의 추출물의 항 산화효과는 75%, 줄기는 64%의 효과가 있었으며, 비교 제품인 판매 중인 녹차 추출물인 경우 52%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항 산화효과는 주목의 잎의 경우 44.2%정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피부 각질 세포간 지질 속에 불포화 지방산류들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 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콜라겐 생성능 실험
세포 배양
본 발명의 주목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사용된 세포는 정상의 사람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이고, 이를 세포 독성의 실험에서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실험하였다. 세포의 배양은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1x105개 세포/웰로 심은 다음, 세포가 약 79-80%까지 합류해질 때까지 키웠다. 세포에 시험 물질(녹차 추출물 0.01중량%, 주목 잎 추출물 0.02중량%, 주목 줄기 추출물 0.02중량%, 및 주목 씨 추출물 0.02중량%)을 각각 처리한 후 2일간 인큐베이터에 정체시킨 다음 2일 후, 세포 배지와 세포를 각각 따로 모아 냉장 보관하였다. 세포 추출물은 단백질 분석법(BCA Protein assay Kit, PIERCE23225)으로 분석하였고, 배지는 콜라겐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단백질 분석
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에 PBS를 소량 넣고, 세포를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긁어냈다. 1N NaOH를 100㎕와 증류수 400㎕에 넣어 밤새 방치한 후 단백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콜라겐 분석
세포로부터 분리한 배지를 어세이 키트(Assay Kit)를 이용하여 전처리 한 후 각 튜브에 1.0㎖ 실콜(Sircol) 염색 시약을 첨가하여 30분간 혼합하고, 5,000g 이상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은 제거하고, 1.0㎖의 실콜(Sircol) 알카리 시약을 첨가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로부터 각각의 시험물질에 대한 콜라겐 합성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다이아그램으로 나타냈다.
실험결과
상기 실험 결과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목 잎과 줄기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율이 비교 시료인 0.01중량%의 녹차추출물의 경우의 콜라겐 생성율보다 월등히 높았다. 구체적으로, 녹차추출물의 콜라겐 생성율은 -11.87%인데 반하여, 주목의 줄기추출물에서는 가장 높은 54.16%의 효과를 보였으며, 잎 추출물에서는 33.18%, 씨앗 추출물에서는 36.28%로 녹차추출물 보다는 현격하게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콜라겐 생성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피부의 생리활성이 강화되어 피부 보호 및 잔주름 개선효과나 피부 탄력 효과에 영향을 준다는 간접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시험예 3
PPE(Porcine pancreatic elastase) 저해 실험
주목추출물에 대하여 피부의 탄력도를 저해시키는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시험한 것이다. 시험 방법은 피부 노화 방지 측면의 in vitro 측정의 한 방법으로서, 피부탄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체내 효소 엘라스타제를 저해하는 억제제를 1차적으로 스크리닝 하기 위함이다. 측정 원리는 값비싼 사람 백혈구 엘라스타제(HLE) 대신 PPE(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를 이용하여 실험구성을 하였다. PPE가 합성 기질인 N-석시닐-(알라닌)3-p-니트로아닐리드를 분해하면 p-니트로아닐린을 만드는데 이것이 노란색을 발색하게 한다. 이 발색 정도를 흡광 광도계로 측정하여 PPE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시료(녹차 추출물, 주목잎 추출물 및 주목줄기 추출물)에 대한 PPE 저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①효소와 억제제를 테스트 튜브에 넣고 15 분간 37 ℃에서 예비배양하였다. ②15 분 후 기질을 넣고, 20 분간 37 ℃에서 반응시켰다. ③ 각 시료 테스트 튜브마다 1분 간격으로 반응시키고, 20분 후에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p-니트로아닐린 방출 정도 검출). 그리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엘라스타제의 억제 효과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차추출물에는 13.7%의 억제율을 보였으나, 주목의 줄기에서는 42.8%, 주목의 잎에서는 38.7%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주름의 발생원인 중 하나인 엘라스타제의 억제 효과가 줄기에서 특히 있는 것으로 보아, 주목추출물은 피부 잔주름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기능까지 부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주목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류 정량분석
주목 추출물의 폴리페놀류를 분석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Foin & Ciocalteu법에 의하여 분광 광도계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검량선 작성
우선,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갈산 표준용액 0㎖, 1㎖, 2㎖, 3㎖ 및 5㎖을 각각 25㎖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각각에 폴릭-시오칼테우 시약(Folic-Ciocalteu reagent) 0.5㎖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3분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1M Na2CO3용액 10㎖을 가하고 흔들어 섞은 후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물을 표선까지 가한 후, 잘 흔들어 섞고 10㎜ 셀에 옮기고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파장 7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검량선은 도 6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주목 추출물 시험액과 비교시료로서 녹차 추출물 시험액의 조제는 각각 시료 원액 1㎖을 50㎖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하게 옮기고, 에탄올(50% v/v)을 사용하여 희석한 후 시험액으로 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액 적당량(0.5 내지 1.0㎖)을 25㎖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폴릭-시오칼테우 시약(Folic-Ciocalteu reagent) 0.5㎖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3분간 방치하였다. 이하 검량선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작하고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750nm)를 측정하고 검량선에서 갈산의 양을 구하였다. 상기 갈산의 양으로부터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결과
폴리페놀류의 총 함량은 비교 시료로서 녹차추출물과 비교한 결과 녹차추출물의 경우 0.39%, 주목잎 추출물은 0.563%와 주목줄기 추출물은 0.325%로 잎 추출물은 녹차보다 아주 많은 량이 검출되었으며, 줄기에서는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은 녹차보다 항 산화효과가 우수하다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주목 추출물의 탄닌 함량 측정
주목의 잎과 줄기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류를 정량 분석하는 것에 이어서, 또한 총 페놀류의 총량 속에는 탄닌의 함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정량 분석하였다.
검량선 작성
탄닌의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반응물로써, 철(III)과 1,10-페난트롤린(Phenanthroline)을 주목추출물과 반응시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탄닌 표준용액 0㎖, 0.5㎖, 1㎖, 2㎖ 및 5㎖을 각각 25㎖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각각에 산성의 염화나트륨(Acidic sodium chloride) 용액 0.6㎖, 철(III) 용액 2.5㎖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80℃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아세트산 완충액 2.5㎖, 1,10-페난트롤린 5㎖ 및 EDTA 용액 0.5㎖를 가하고 흔들어 섞은 후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시켰다. 물을 표선까지 가한 후, 잘 흔들어 섞고 10㎜셀에 옮기고 바탕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파장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그 검량선을 도 8에 나타내었다.
탄닌 함량 측정
① 시료용액의 탄닌 함량(Ta) 측정
주목추출물과 비교시료인 녹차추출물의 탄닌(tannic acid) 함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료 원액 1㎖을 각각 50㎖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여 옮기고, 에탄올(50%,v/v)을 사용하여 희석한 후 시험액으로 하였다. 시험액 적당량(0.2 내지 0.4㎖)을 25㎖ 볼루메트릭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산성의 염화나트륨 용액 0.6㎖, 철(III) 용액 2.5㎖을 가하여 잘 흔들어 섞고 80℃ 수욕상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이하 검량선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작하고 바탕 시험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에서 시료 각각의 탄닌 양을 구하였다(Ta).
②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에 의한 탄닌 함량 측정(Tb)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의 시험액 10㎖을 100㎖ 비이커에 취하고, 젤라틴 용액 5㎖, 산성의 염화나트륨 용액 10㎖ 및 카올린 2g을 가하여 수 분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침전을 정치하고 용액을 0.45㎛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액 10㎖을 100㎖ 비이커에 취하고, 물 6㎖, 젤라틴 용액 3㎖, 산성의 염화나트륨 용액 6㎖ 및 카올린 2g을 가하여 수 분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0.45㎛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여액 1.25 내지 2.5㎖을 취하여 상기 ① 측정에서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탄닌의 양을 구하였다(Tb).
③ 젤라틴 용액의 바탕시험에 의한 탄닌 함량(Tc)
젤라틴 용액에 대한 바탕시험을 위해 물 10㎖을 취하여 상기 ①에서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탄닌의 양을 구하였다(Tc).
④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의 탄닌 양(Td)
시료용액과 젤라틴의 바탕시험에서 구한 탄닌의 함량(Tb와 Tc)의 차로써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의 탄닌의 양을 구하였다(Td).
⑤ 탄닌 총량(Ts)
또한, 탄닌의 총량(Ts)은 탄닌의 함량(Ta)과 시료용액의 바탕시험에서 구한 탄닌 함량(Td)의 차로써 탄닌의 양을 구하였다.
실험결과
탄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시료인 녹차 추출물과 비교한 결과 녹차의 경우 0.084%로 총 폴리페놀량의 22.2%가 탄닌의 함량이었으며, 주목(잎) 추출물의 탄닌량은 0.037%로 총 폴리페놀량의 6.74%, 주목(줄기)추출물은 0.054%로 총 폴리페놀의 15.44%가 함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총 폴리페놀의 양 속에 함유된 탄닌의 양은 녹차추출물보다 주목추출물에서 오히려 적은 양이 검출되었다. 이것은 주목의 추출물에서는 녹차와는 다른 항산화성분인 다른 폴리페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5는 주목추출물이 피부노화예방을 위한 화장료의 성분으로 종래 사용되는 녹차추출물보다 우수함을 입증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목주출물의 효능을 정리해 보면,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차추출물보다 콜라겐 생성율, 엘라스타제 저해능, 항산화력 및 총폴리페놀 함량에서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탄닌의 함량은 녹차추출물보다 낮은 함량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주목에 녹차와 다른 성분의 폴리페놀류가 함유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내지 6 및 비교예 1
피부노화 예방용 스킨 화장료 제조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에 의한 피부노화 예방 스킨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는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피이지-1500을 사용하고, 첨가제로써 디칼륨그리시리지헤티네이트와 알란토인 등을 사용하여 스킨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하기 표 6의 1) 내지 9)성분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교반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10) 내지 13)의 가용화류를 정확하게 달아 40 내지 50℃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투명할 때까지 약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투명하게 가용화 정도를 확인한 후, 성분 14) 내지 16)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스킨류 화장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2
피부노화 예방용 로션 화장료 제조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 산화효과에 의한 피부노화예방 로션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는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유화제로서는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써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세틸옥타노에이트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고, 또한, 점증제로써 카보머와 산탄검을 사용하여 로션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 1) 내지 6)과 24)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 이상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7) 내지 18)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 이상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19)를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0) 내지 23)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로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2 및 비교예 3
피부노화 예방용 크림 제형의 화장료 제조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 산화효과에 의한 피부노화예방 크림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8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과 아미노코트를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써 스쿠알란, 마카데미아오일, 디메치콘, 미네랄오일, 세틸옥타노에이트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고, 왁스류로는 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왁스,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8의 성분 1) 내지 7)과 28)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8) 내지 22)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3)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1) 내지 24)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내지 15 및 비교예 4
피부노화 예방용 에센스 화장료 제조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 산화효과에 의한 피부노화예방 에센스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9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듐히아루로네이트와 아미노코트를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캐스터오일과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서 디메치콘과 마카데미아 오일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9의 성분 1) 내지 9)와 23)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10) 내지 17)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18)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19) 내지 22)를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에센스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내지 18 및 비교예 5
피부노화 예방용 클렌징 화장료 제조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 산화효과에 의한 노화예방 클렌징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10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를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고, 유연제로서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바세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세정능을 높이기 위하여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와 소듐L-라우로일-N-글루타메이트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10의 성분 1) 내지 5)와 26)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6) 내지 20)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1)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2) 내지 25)를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클렌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내지 21 및 비교예 6
피부노화 예방용 팩 화장료 제조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 산화효과에 의한 피부노화예방 팩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11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캐스터오일과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드-7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11의 성분 1) 내지 6)와 18)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3,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7) 내지 10)의 가용화물을 안전용해한 후, 상기 교반한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고, AGI믹서로 10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11) 내지 13)을 각각 투입한 후 5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최종적으로 성분 14) 내지 17)을 투입한 후 50rpm으로 교반한 후 탈포 공정을 거쳐 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내지 24 및 비교예 7
피부노화 예방용 마사지 화장료 제조
주목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 산화효과에 의한 피부노화예방 마사지 화장료를 제조한 것이다. 하기 표 12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참조하여, 특히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서 미네랄오일,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12의 성분 1) 내지 5)와 26)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6) 내지 20)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1)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2) 내지 25)를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마사지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주목으로부터 그의 활성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은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여 활성성분을 완전하게 용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목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주목추출물은 폴리페놀류가 녹차추출물보다 많은 양이 검출되었고, 또한 그의 항산화 효과가 녹차추출물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의 원료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주목의 잎, 줄기 및 열매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주목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주목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주목추출물의 콜라겐 생성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주목추출물의 PPE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폴리페놀의 표준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주목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탄닌의 표준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주목추출물에 함유된 총 탄닌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4)

  1. 부틸렌 글리콜 및 주목의 줄기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주목의 줄기 추출물의 함량이 건조중량에 기초하여 0.1 내지 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 콜라겐 생성능 및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제형, 크림제형 및 에센스제형 중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10 내지 40중량%의 주목의 줄기를 정제수 40 내지 80중량%, 부틸렌글리콜 10 내지 30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 1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 추출 용매 60 내지 90중량%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65℃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5일간 200 내지 800rpm으로 교반하는 단계;
    교반 후 최대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진공 하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41646A 2001-07-11 2001-07-11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7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46A KR100472171B1 (ko) 2001-07-11 2001-07-11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46A KR100472171B1 (ko) 2001-07-11 2001-07-11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997A KR20030007997A (ko) 2003-01-24
KR100472171B1 true KR100472171B1 (ko) 2005-03-07

Family

ID=2771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646A KR100472171B1 (ko) 2001-07-11 2001-07-11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916A (zh) * 2019-02-26 2019-04-23 浙江中医药大学 一种具有抗菌消炎作用的纳米级身体乳及其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379B1 (ko) * 2002-12-10 2005-08-17 엔프라니 주식회사 주목(朱木) 과육(果肉)으로부터 유래된 폴리사카라이드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7101577B2 (en) * 2003-08-25 2006-09-05 National Yang-Ming University Extract of plant Dendrobii caulis and preparing process thereof
KR101100867B1 (ko) 2008-05-14 2012-01-02 주식회사 운화 주목의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132469B1 (ko) * 2019-11-19 2020-07-09 심백만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284A1 (en) * 1994-12-28 1996-07-04 Indena S.P.A. Hydroxyproline-rich proteins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JPH08283172A (ja) * 1995-04-14 1996-10-29 Kose Corp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0143488A (ja) * 1998-11-16 2000-05-23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0284A1 (en) * 1994-12-28 1996-07-04 Indena S.P.A. Hydroxyproline-rich proteins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JPH08283172A (ja) * 1995-04-14 1996-10-29 Kose Corp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0143488A (ja) * 1998-11-16 2000-05-23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2916A (zh) * 2019-02-26 2019-04-23 浙江中医药大学 一种具有抗菌消炎作用的纳米级身体乳及其生产方法
CN109662916B (zh) * 2019-02-26 2022-01-04 浙江中医药大学 一种具有抗菌消炎作用的纳米级身体乳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997A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439B1 (ko) 육모제
KR101310980B1 (ko) 구기자 나무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02138B1 (ko) 탈색소제로서의 머틀 추출물 용도
KR20160021676A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41520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황칠나무, 산수유 및 구기자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692979B1 (en) Dahlia pinnata composition, dahlia pinnata composition powder, cosmetic composition,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72171B1 (ko) 주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주목 주출물을함유한 피부노화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7875302B2 (en) Methods of using grape seed extract to stimulate tyrosinase gene expression
KR101966755B1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Doungsaard et al.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anti-aging potential of Dimocarpus longan leaf extracts
KR100955388B1 (ko)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51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5929B1 (ko)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299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바나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4244B1 (ko) 토마토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2249772A (ja)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20210094312A (ko)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432426B1 (ko) 주목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주목 씨앗 오일의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811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570117B1 (ko) 금모구척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