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579A - 정제용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정제용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579A
KR20030007579A KR1020027014840A KR20027014840A KR20030007579A KR 20030007579 A KR20030007579 A KR 20030007579A KR 1020027014840 A KR1020027014840 A KR 1020027014840A KR 20027014840 A KR20027014840 A KR 20027014840A KR 20030007579 A KR20030007579 A KR 20030007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cess
packaging box
wal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763B1 (ko
Inventor
딩-산 고
Original Assignee
딩-산 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딩-산 고 filed Critical 딩-산 고
Publication of KR2003000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8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articles passing through a small opening or passage, without additional dispensing devices and without retaining means for the following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65D2583/0477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dispensing of several successive articles or d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용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이 포장 상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용기(1)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방출실(3)을 갖고 힌지(4)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밀폐 뚜껑(2)을 구비한다. 힌지의 회전축은 용기의 보다 큰 면과 수직하여 연장되는데, 여기서 고정 수단은 용기의 내벽 및 밀폐 뚜껑(2)의 인접한 벽간에 구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방출 및 폐쇄 위치에서 밀폐 뚜껑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고정 수단이 밀폐 뚜껑(2)의 측벽상의 돌출 요소(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돌출 요소는 용기의 보다 큰 내벽상에 그리고 상기 용기의 내벽내의 홈(7")과 접하며, 이것(홈)은 힌지의 축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상기 거리는 힌지의 축에 대한 돌출 요소(6)의 회전 반경과 동일하다. 상기 홈(7")들중 한 홈은 방출 위치에 대응하는 반면, 다른 홈(7)은 밀폐 뚜껑의 폐쇄 위치에 대응한다.

Description

정제용 포장 상자{PACKAGING BOX FOR TABLETS}
이런 종류의 상자는 WO 96/33927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원리적으로 공지된 포장 상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힌지된 밀폐 뚜껑(hinged closing cap)은 방출실을 갖는데, 이 방출실을 거쳐 측면상의 개구를 통해서 하나이상의 정제(tablets)가 방출될 수 있다. 이 개구는 방출실의 측벽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방출실을 지닌 밀폐 뚜껑은 사용중 두개 이상의 위치, 즉 폐쇄 위치 및 방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힌지와 대향되는 혀 모양의 돌출(tongue-like protrusion)부는 방출 위치에 있을 때 방출실을 제한시키고, 밀폐 뚜껑이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방향을 바꿀때 이 밀폐 뚜껑을 안내하도록 작용한다. 공지된 포장 상자의 경우에, 세로의 리브(longitudinal rib)로 이루어진 고정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 고정 메커니즘은 용기의 내벽, 즉 실제로 전체 길이에 걸쳐 보다 큰 측벽들중 한 측벽을 따라서 진행한다. 밀폐 뚜껑에서, 이 세로의 리브는 이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관련하여 작동함으로써, 두개의 원하는 위치를 규정하여 청취가능하고 만져서 알수 있는 클릭(audible and tangible click)을 생성한다. 세로의 리브는 용기의 내부를두개의 실(chambers)로 분할하여, 작거나 얇은 정제 만을 한 실에서 다른 실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간단히 구성되며, 포장 상자의 밀폐 뚜껑이 신리할 수 있게 원하는 위치를 취하고 실제로 전체 내부가 정제 보관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상술된 유형의 포장 상자를 만드는 작업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을 따른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1은 간결성을 위하여 한 측벽이 생략되어 있는, 완전 개방된 상태, 즉 소위 충전 위치에서 본 발명을 따라 개조된 포장 상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도1의 측면도이지만, 작은 정제를 방출하기 위하여 중간 위치에 잇는 밀폐 뚜껑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 및 도2의 측면도이지만, 큰 정제를 방출하기 위하여 방출 위치에 있는 밀폐 뚜껑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4는 도 1 내지 도3의 측면도이지만, 폐쇄 위치에 있는 밀폐 뚜껑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에 제공된 도면에서 밀폐 뚜껑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6은 스프링이 설치된 돌출부를 갖는 다소 수정된 유형의 밀폐 뚜껑을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한 측면도.
도7은 두개의 밀폐 뚜껑과 함께 분리된 두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두 부분을 조립한 단면도.
청구항 1에 서술된 특징이 이 문제를 해결한다.
돌출부와 함께 고정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용기의 내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정제의 자유 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돌출부 또는 이와 다른 노두(outcrops)(본원에 제공된 재료로 이루어짐)가 존재하지 않는다. 전체 내부는 매끄럽기 때문에, 정제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오목부는 두껍거나 얇을 수 있는 측벽에 형성된다. 원하는 경우, 포장 상자가 청구항 2에 따라서 구성되면, 오목부는 추가적인 깊이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는 다소 두꺼운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청구항 3에 규정된 바와같은 큰 장점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면의 파형 형태는 돌출부가 오목부로 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이동을 지원한다.
원하는 경우, 포장 상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3의 위치는 작은 방출 개구가 거의 이에 대응하는 작은 정제를 방출시키도록 보장한다.
돌출부가 방출실의 바닥 바로 옆에 위치되는 경우, 벽은, 돌출부가 오목부와맞물릴때, 다소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소위 "벌룬현상(ballooning)"이 초래된다. 이것은, 특히 여러개의 상자가 채워져 있지만 서로 옆에 놓여있는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다수개의 상자의 벌룬현상으로 인한 팽창이 누적되기 때문이다. 포장 상자가 청구항 5에 따라서 구성되는 경우, 오목부를 갖는 측벽은 이동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돌출부가 현수 슬롯(suspension slot)으로 인해 스프링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출실의 측벽은, 돌출부가 이에 대응하는 오목부로 들어가고 나갈때, 안쪽으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포장 상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두개의 방출실을 갖는 포장 상자인데, 이것은 왼손 잡이 및 오른손 잡이를 고려하여 개조한 것이다. 사용자가 오른손 잡이든 왼손 잡이든 누구라도 개구를 손가락으로 튀기도록 되어 있어 방출실을 항상 이용할 수 있다. 용기를 분할하여 여러 유형의 정제를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유형의 정제는 자신의 밀폐 뚜껑을 갖는다. 이 개조된 포장 상자에서, 두 부분, 즉 밀폐 뚜껑을 지닌 상부 부분 및 용기는 사출 성형에 의해 별도로 제조되고, 나중에 함께 가압된다.
본 발명은 도면 및 각종 유형의 상자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다.
전체 도면에 도시된 포장 상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단일체로 제조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타입의 포장 상자는 정제를 수용하는 용기(1)를 구비한다. 큰 측벽은 (5)로 표시되고, 도1 내지 도4에서, "전면(front)" 벽은 간결성을 위하여 생략되었다.
용기 (1) 및 밀폐 뚜껑(2)은 힌지(4)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힌지는 필름 힌지 형태를 취하고, 이 힌지에 대해서 밀폐 뚜껑은 회전한다. 힌지의 축은 용기(5)의 두개의 큰 측벽에 대해 직각으로 진행한다. 밀폐 뚜껑(2)은 방출실(3)과 결합되는데, 정제가 용기실로부터 이 방출실내로 이동한다. 방출실의 한 측벽은 생략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적절한 방출 위치에 있을때, 이 정제는 이 측벽으로부터 방출되거나 꺼내진다. 서로다른 크기의 두개의 정제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인 환경하에서, 한가지 유형의 상자는 한가지 크기의 정제용으로 사용된다. 가변적인 삽입부(12)는 다양한 크기의 정제를 수용하도록 한다. 밀폐 뚜껑의 기존의 측벽상에(즉, 이것은 방출 개구와 대향되어 있다) 측벽의 레벨상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가 있다. 본원에 도시된 유형의 상자에서, 이 돌출부(6)는 3개의 오목부(7, 7', 7")에 대응하는데, 이 오목부들은 용기의 내벽상에 있다. 힌지의 축에 대한 오목부의 거리는 힌지에 대한 돌출부(6)의 궤적 반경과 동일하게 됨으로써, 이 돌출부는 필요에 따라서 어떤 오목부와도 맞물릴 수 있다. 게다가, 밀폐 뚜껑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위치에 놓일 수 있는데, 이 충전 위치에서, 돌출부(6)는 오목부(7, 7', 7")와 맞물리지 않는다. 오목부(7)는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두꺼운 영역(11)에 위치된다. 이 두꺼운 영역은 오목하게 하는데 충분한 재료 또는 깊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돌출부(6)가 활주하는 이 두꺼운 영역(11)의 표면상에 돌출부가 원하는 오목부와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를 손쉽게하도록 지원하는 파형의 등고선(wave-like contour)이 있다.
밀폐 뚜껑상의 안내부(9)가 힌지(4) 옆에 있는데, 이 안내부는 뚜껑의 이동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앞으로 진행되어, 용기(1)의 방향으로 뚜껑의 폐쇄 이동을 지원하고, 원하는 대로, 용기의 개구내로 밀폐 뚜껑의 방향을 바꾼다. 힌지(4)와 대향되는 좁은 벽상의 혀(tongue)(10)는 또한 안내부를 제공하고, 동시에, 이 영역에서 방출실(3)을 제한시킨다.
도1 내지 도4를 고려하면, 각종 위치가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 진다. 도1은 충전 위치, 즉 밀폐 뚜껑(2)이 완전히 측면으로 방향을 바꾼 위치를 도시한것이다. 용기가 정제로 충전되면, 밀폐 뚜껑(2)은 폐쇄된 위치로 이동되는데, 이 폐쇄 위치에서 안내부(9) 및 혀(10)는 용기 개구내로 원하는 이동이 실행되도록 보장한다.
도4는 폐쇄된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돌출부(6)는 오목부(7)와 맞물린다. 담배 라이터를 작동시 사용되는 손의 이동과 유사하게 손을 이동시킴으로써, 홈이 파인 작동 영역(grooved actuating area)의 도움으로, 밀폐 뚜껑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두개의 위치중 한 위치로 방향을 바꾼다. 도3은 방출기 개구를 가능한 가장 크게하는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방출기 개구는 여러개의 정제 또는 큰 정제를 꺼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이 돌출부(6)는 오목부(7")와 맞물린다.
도2에 도시된 위치는 중간 위치인데, 이 중간 위치에서 돌출부(6)는 오목부(7')와 맞물린다. 방출 개구는 보다 작게 되어, 작은 정제만이 꺼내질 수 있도록 한다.
방향을 바꾸는 이동동안, 돌출부(6)는 두꺼운 영역(11)의 표면의 파형의 등고선에 걸쳐 활주한다.
도6은 다소 변형된 유형의 상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유형의 상자의 경우에, 돌출부(6)는 바닥(floor)과 동일한 레벨에 있는 방출실의 측벽상에 위치된다. 이것은, 돌출부(6)가 오목부(7, 7', 7")로 들어가고 나갈때, 용기(1)의 측벽(5)을 다소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벌룬현상(ballooning)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도6에 도시된 유형의 상자에서 처럼, 방출실 측면의 돌출부(6) 바로 옆의 절단 제거된 곳에 현수 슬롯(suspension slot)(13)이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는 스프링과 같은 방식으로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오목부(7, 7', 7")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시 바닥에 더이상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용기(1)의 측벽(5)은 이와 같은 이동이 실행될때 밖으로 밀리지 않는데, 즉 벌룬현상이 초래되지 않는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유형의 상자는 두개의 밀폐 뚜껑(23 및 24)이 정확히 맞춰진다는 점에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상자와 상이하다. 이들 밀폐 뚜껑(23 및 24)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자신의 부분품(7)상에 설치된다. 이들은, 도7 및 도8를 통해서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를 거울에 비친 상처럼, 형성되고 정확히 맞춰진다.
이 용기는 또 다른 부품(21)에 위치된다.
부품(22)상에는 고정 돌출부(25)가 제공되는데, 이 돌출부는 고정 오목부(26)와 함께 부품(22 및 21)를 연결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두개의 부품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별도로 제조되고 나서 함께 가압되어, 고정 돌출부(25)가 고정 오목부(26)와 맞물리도록 한다. 조립 동안, 필름 힌지(27)는 정확하게 위치가 결정되도록 한다. 비대칭 플래그(28)는 제조중 이 단부를 작동시킨다.
도5에 도시된 유형의 상자에서 처럼, 도7 및 도8에 도시된 유형의 상자는 현수 슬롯(13)을 갖는데, 이 현수 슬롯은 돌출부(6)가, 오목부(7, 7')와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될때, 방출실(3)의 측벽과 함께 스프링과 같은 방식으로 안쪽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보장한다.

Claims (6)

  1.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용기(1)의 내부로 개방되는 방출실(3)을 지닌 밀폐 뚜껑(2)을 갖는 정제용 포장 상자로서, 상기 밀폐 뚜껑은, 축이 상기 용기의 큰 영역과 직각인, 힌지(4)에 대해서 회전됨으로써, 고정 메커니즘은 용기의 내벽 및 상기 밀폐 뚜껑(2)의 인접 벽간에 위치되고 방출 및 폐쇄 위치에서 상기 밀폐 뚜껑을 맞물리게하는, 정제용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큰 내벽들중 한 내벽에 인접하며, 상기 밀폐 뚜껑의 측벽상에 있는 돌출부(6) 및,
    상기 용기의 내벽내에 형성되는 오목부(7")를 구비하는데, 이들(오목부들)은 상기 힌지에 대한 돌출부(6)의 궤적 반경과 동일한 상기 힌지의 축과 거리를 두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중 한 오목부는 방출 위치(7")에 대응하고, 상기 다른 오목부는 밀폐 뚜껑의 폐쇄 위치(7)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포장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목부(7, 7')는 상기 용기 내벽의 두꺼운 영역(11)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포장 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영역(11)의 표면은 상기 돌출부가 선택된 오목부(7 또는 7')와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지원하는 상기 돌출부(6)의 이동 방향으로 파형 등고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포장 상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실(3)의 보다 작은 방출 개구가 작동되는 밀폐 뚜껑(2)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두개의 오목부(7, 7")간에 제3의 오목부(7')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포장 상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힌지(4))축 방향으로 돌출부(6)를 스프링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현수 슬롯(13)은 밀폐 뚜껑(2)의 측벽내의 돌출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도6)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포장 상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부품(22)은 상기 방출실(3)과 함께 서로 거울에 비친 상처럼 형성되고 정확히 맞춰진 두개의 밀폐 뚜껑(23, 24)과 정확히 맞춰지며, 다른 한 부부품(21)은 용기를 구성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두개의 부품은 함께 가압되는 고정 돌출부 및 오목부(25, 26)에 의해 결합되는(도7 및 도8)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용 포장 상자.
KR1020027014840A 2000-05-11 2000-07-29 정제용 패키징 박스 KR100809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08235.3 2000-05-11
DE20008235U DE20008235U1 (de) 2000-05-11 2000-05-11 Verpackungsschachtel für Tabletten
PCT/EP2000/007359 WO2001087717A2 (de) 2000-05-11 2000-07-29 Verpackungsschachtel für tablet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579A true KR20030007579A (ko) 2003-01-23
KR100809763B1 KR100809763B1 (ko) 2008-03-04

Family

ID=794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840A KR100809763B1 (ko) 2000-05-11 2000-07-29 정제용 패키징 박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280706B1 (ko)
JP (1) JP2003533410A (ko)
KR (1) KR100809763B1 (ko)
CN (1) CN1610637A (ko)
AT (1) ATE282556T1 (ko)
AU (1) AU3154401A (ko)
CA (1) CA2409508A1 (ko)
DE (2) DE20008235U1 (ko)
DK (1) DK1280706T3 (ko)
ES (1) ES2236038T3 (ko)
HK (1) HK1053817A1 (ko)
WO (1) WO20010877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579B2 (en) 2002-05-28 2005-06-28 Georgia-Pacific Corporation Refillable flexible sheet dispenser
GB2411893B (en) * 2004-03-12 2007-03-21 Reckitt Benckiser Healthcare Packaging for a pharmaceutical product
DE102004021670A1 (de) * 2004-05-03 2005-12-01 Saint-Gobain Calmar Gmbh Manuell betätigbarer Spender mit Schutzkappe
DE202007018559U1 (de) * 2007-08-25 2008-10-23 Anmed Gmbh Wochendosierer für Medikamente
JP5495262B2 (ja) * 2010-01-29 2014-05-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封緘容器
JP5339376B2 (ja) * 2010-01-29 2013-11-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菓子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09222A5 (ko) * 1970-10-07 1972-05-26 Safet Embamet Lethias
DE29506540U1 (de) * 1995-04-23 1995-08-31 Goh Djing San Dipl Kaufm Ing G Tabletten Verpackungsschach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0706A2 (de) 2003-02-05
KR100809763B1 (ko) 2008-03-04
EP1280706B1 (de) 2004-11-17
ATE282556T1 (de) 2004-12-15
WO2001087717A3 (de) 2002-11-28
CN1610637A (zh) 2005-04-27
DE20008235U1 (de) 2001-09-13
DK1280706T3 (da) 2005-03-14
ES2236038T3 (es) 2005-07-16
WO2001087717A2 (de) 2001-11-22
HK1053817A1 (en) 2003-11-07
JP2003533410A (ja) 2003-11-11
AU3154401A (en) 2001-11-26
DE50008708D1 (de) 2004-12-23
CA2409508A1 (en) 200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935B2 (en) Reusable child-resistant, senior friendly unit dose container
EP1923329B1 (en) Cigarette box and a blank set therefor
KR20050010966A (ko) 강성 궐련갑 상자
EP2424785B1 (en) Toggle-action dispensing closure with articulated rear flange
JP2014528875A (ja) 操作部と真正保証機能を有する開き蓋ロック機構
US10285438B2 (en) Storage case for storing hinge-lidded box-type package
KR20030007579A (ko) 정제용 포장 상자
HU224982B1 (en) Container comprising a slide cover
JP3597928B2 (ja) 包装箱
US11542073B2 (en) Childproof container closure
TW201704109A (zh) 具有蓋部的收納容器
US6561379B1 (en) Packaging box for tablets
KR20080034186A (ko)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
JP3678894B2 (ja) 錠剤収納容器
JP4861542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におけるキャップの閉蓋案内装置。
JP2007314194A (ja) 錠剤の携帯ケース
KR20210152528A (ko) 용기 특히 음료용기용 뚜껑
JP7118533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CN110446663B (zh) 塑料容器
JP4329928B2 (ja) 粒状物ケース
JP2021123377A (ja) 収納容器
KR20220146623A (ko) 박스 전방 벽면과 측벽면 사이에 경사진 길이방향 에지를 갖는 세장형 소비자 물품용 용기
JP2020001799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KR20220098585A (ko) 지함
KR200154819Y1 (ko) 캔디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