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963A - 올 스팀 다리미 - Google Patents

올 스팀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963A
KR20030006963A KR1020020027039A KR20020027039A KR20030006963A KR 20030006963 A KR20030006963 A KR 20030006963A KR 1020020027039 A KR1020020027039 A KR 1020020027039A KR 20020027039 A KR20020027039 A KR 20020027039A KR 20030006963 A KR20030006963 A KR 2003000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iron
flow path
hole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오이소지
Original Assignee
나오모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오모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오모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2Externally-heated hand irons; 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means other than electricity, e.g. by solid fuel, by steam
    • D06F75/06Externally-heated hand irons; 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means other than electricity, e.g. by solid fuel, by steam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or liquid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supplied to the iron from an external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ron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안전하고, 또한, 열효율이 좋고, 가벼운 올 스팀 다리미(all steam iron)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리미 본체(1)에 예열용 중공실부분을 생략하여, 예열용 순환유로(32)를 형성하고, 예열용 순환유로(32)에 증기를 흐르게 하여 상기 다리미 본체(1)를 데우도록 구성한다. 또, 조작밸브(7)에 의해 연통 차단이 자유로워지는 분기유로(31)를 인두면(2) 근방을 따라서 배열설치하여, 조작밸브(7)를 개방상태로 한 증기 분출 조작시에는, 분기유로(31)를 통하여 상기 인두면(2)의 다수의 증기 분출구멍(3 …)으로부터 증기가 분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올 스팀 다리미{ALL STEAM IRON}
본 발명은, 다리미 본체에 전기 발열체를 가지지 않고,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다림질 작업을 행하는 올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미 본체(41)에 전기 발열체를 가지지 않고,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다림질 작업을 행하는 올 스팀 다리미에 있어서, 공급로(43)를 통하여 공급된 증기는, 일단, 중공실부(中空室部;44)에 충만된다. 그리고, 다림질 작업시의 증기 분출 작업시에 스팀밸브(45)가 개방되어, 증기는, 중공실부(44)로부터 흡입구(46), 스팀밸브(45) 및 주반송로(47)를 통하여, 복수의 분기유로구멍(48)으로 이송되고, 다리미 인두면(42)의 증기 분출구멍(49)으로부터 증기를 분출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또, 중공실부(44)는, 작업평판(50)과 셸부재(51)에 의한 용접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실부(44), 주반송로(47)와 분기유로구멍(48)은, 각각 압력용기가 되어, 그 기계적 강도가 필요하기때문에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이들의 사용판 두께는 커져서, 다리미 본체(41)가 매우 무거워지기때문에, 다림질의 작업성이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테인레스는 열전도가 나빠서, 인두면(42)의 온도가 낮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중공실부(44)를 구성하는 작업평판(50)과 셸부재(51)는, 용접구조가 되고, 그 용접량은 많아서, 용접 시공에 수고가 들고, 또, 외측에서의 편면 용접에만 의해 조립이 행하여지기때문에, 압력 용기로서의 신뢰성에 불안이 있었다. 그 외에 많은 구성부품(주반송로; 47,분기유로구멍; 48)도, 용접구조에 의해 구성·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제작에 있어서의 시공성, 제품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안전하고, 게다가, 열효율이 좋으며, 가벼운 올 스팀 다리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올 스팀 다리미의 실시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측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올 스팀 다리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올 스팀 다리미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4는, 역지밸브를 설명하는 측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역지밸브를 설명하는 측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올 스팀 다리미의 측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다리미 본체 2 인두면
3 증기분출구멍 4 증기공급호스
5 제 1 공급로 6 제 2 공급로
7 조작밸브 8 역지밸브
12 분기유로구멍 13 예열용 순환유로구멍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올 스팀 다리미는, 다리미 본체에 예열용 중공실부분을 생략하여, 예열용 순환유로를 형성한 것이다. 또, 다리미 본체에 예열용 중공실부분을 생략하여, 예열용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그 예열용 순환유로에 증기를 흐르게 하여 상기 다리미 본체를 데우도록 구성하고, 조작밸브에 의해 연통 차단이 자유롭게 되는 분기유로를 인두면 근방을 따라서 배열설치하여, 그 조작밸브를 개방상태로 한 증기 분출 조작시에는, 그 분기유로를 통하여 상기 인두면의 다수의 증기 분출구멍으로부터 증기가 분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다리미 본체가, 평면형상의 인두면에 배열설치된 다수의 증기 분출구멍과, 그 증기 분출구멍에 연통한 그 인두면에 평행한 다수의 분기유로구멍과, 그 분기유로구멍의 상방에 배열설치된 예열용 순환유로구멍을 가지고, 상기 분기유로구멍과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을 일체물의 블록체로 성형한 것이다.
또, 증기를 다리미 본체에 공급하는 증기 공급호스가, 제 1 공급로와 제 2 공급로를 가지고, 그 제 1 공급로는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에 연통하고, 그 제 2 공급로는, 조작밸브에 연통하고, 그 조작밸브는 증기 분출 조작시에 증기를 상기분기유로구멍에 공급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 증기 비분출 조작시에, 상기 제 2 공급로에서 공급된 증기를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으로 이송하고, 또한, 증기 분출 조작시에,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에서 발생한 물이 그 제 2 공급로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밸브를 구비한 것이다.
또, 다리미 본체를 알루미늄, 티탄, 마그네슘, 내지 이들의 합금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이하, 도시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올 스팀 다리미의 실시의 한 형태의 측부 단면도이다. 올 스팀 다리미는, 도시생략한 증기발생·공급수단(보일러)으로부터, 증기공급호스(4)를 통하여, 다리미 본체(1)에 증기를 공급하고, 그 증기에 의해 다리미 본체(1)(인두면; 2)의 예열·보온을 하고, 또한, 인두면(2)으로부터 증기의 분출도 행하여, 다림질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올 스팀 다리미는, 다리미 본체(1)에 예열용 중공실부분을 생략하고, 인두면(2), 증기통과유로(11), 조작밸브(7)등을 구비한 다리미 본체(1)를 구비하고, 다리미 본체(1)의 외측(상방)에 플라스틱제 등의 화상방지 보호용의 커버(9)를 구비하고 있다.
예열용 중공실부분이란, 도 6 에 나타내는 종래의 올 스팀 다리미에 설치되어 있는 확대 공간부로서, 증기를 중공실부(44)에 일단 모아서, 다리미 본체(41)를 예열·보온하고, 그 후, 증기를 인두면으로부터 분출시키기 위한 증기저장·공급의압력용기이다.
증기통과유로(11)는, 예열용 순환유로(32)와 분기유로(31)를 구비한 관로이다.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예열용 순환유로(32)는, 증기를 흐르게 하여 열을 전달해서 다리미 본체(1)를 데우도록(가열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분기유로(31)는, 분기유로(31)의 상류단에 설치한 조작밸브(7)의 조작에 의해 공급호스(4)측의 관로와 연통 차단이 자유롭게 되어, 분기유로(31)와 연통하는 다리미 인두면(2)에 설치한 다수의 증기 분출구멍(3 …)으로부터 증기가 분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예열용 순환유로(32)는, 증기의 순환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가 증기 공급호스(4)를 통하여 예열용 순환유로(32)를 통과하고, 다리미 본체(1)로부터 화살표(Z)방향으로 증기가 흘러나가는(순환하는) 순환유로의 일부분이다.
조작밸브(7)의 개폐조작은,핸들(14)을 밀어넣는 동작 등에 의해, 밸브(7)의 밸브체(7a)가 밸브시트(7b)로부터 이격되어 개방상태로 되어, 증기분출상태가 되는 것으로, 핸들(14)을 잡는 것만으로는, 밸브(7)는 전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증기의 분출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도 1은, 밸브를 개방으로 한 증기 분출 조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2에 커버(9)를 떼어낸 상태의 올 스팀 다리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미 본체(1)에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인두면(2)과, 그 상방에 인두면(2)의 근방을 따라서 평행한 분기유로구멍(12 …)과, 또한 그 상방에 인두면(2)과 평행한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을 배열설치하고있다. 그리고, 인두면(21)에는, 점차 확대되는 형상의 증기 분출구부(3')를 가지는 다수의 증기 분출구멍(3 …)을 배열설치하고, 증기 분출구멍(3 …)은 분기유로구멍(12 …)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분기유로구멍(12 …)과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을, 일체물의 블록체로 성형한 것으로 한다. 즉, 주조나 단조에 의해 성형된 블록체(15)에, 천공기 등에 의한,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예열용 순환유로; 32)및 분기유로구멍(12 …)(분기유로; 31)의 비관통의 도려낸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그 구멍의 시단부(25 …)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이나 플러그마개 등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일체물의 블록체(15)란, 이음매가 없는 일체물인 경우와, 도시 생략하지만, 복수 블록체를 접촉·고정하여 일체형상으로 조합시킨 것도 포함한다.
즉, 다리미 본체(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두면(2)과 증기 분출구멍(31)을 가지는 작업 평판부(16)와, 분기유로구멍(12 …)이 배치되는 중층부(17)와,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이 배치되는 외층부(18)와, 조작밸브(7)가 배치되는 밸브상자부(19)와, 증기의 공급·배출을 행하는 수도(受渡) 배관부(20)를 가진다.
다리미 본체(1)의 수도 배관부(20)의 후단부 부착부(29, 30)에는, 화살표(A)방향으로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공급호스(4)와, 화살표(Z)방향으로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21)가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배출밸브(21)에는,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을 제거하는 물방울 배출밸브(22)(또는 스팀트랩)를 가지고 있다.
증기공급호스(4)는, 제 1 공급로(5)와 제 2 공급로(6)를 가지고, 제 2 공급로(6)가 제 1 공급로(5)에 안쪽으로 끼워져 2중 구조의 관로를 형성하고, 제 2 공급로(6)의 관로길이(L)가 200㎜ ~ 500㎜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공급로(5)는, 수도 배관부(20)의 제 1 배관구멍(23)을 통하여,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에 연통하고 있고, 제 2 공급로(6)는, 수도 배관부(20)의 제 2 배관구멍(24)을 통하여, 조작밸브(7)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밸브(7)가 개방상태가 되는 증기 분출 조작시에, 증기를 분기유로구멍(12)에 공급 가능하게 된다. 즉, 제 2 공급로(6)와 분기유로구멍(12)은, 조작밸브(7)에 의해 연통 차폐가 자유로워진다.
다음에, 증기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 에 나타내는 조작밸브(7)가 폐쇄상태의 증기 비분출시는, 보일러로부터의 증기는, 제 1 공급로(5)로부터 화살표(B)와 같이, 제 1 배관구멍(23)을 통하여, 후술하는 역지밸브(8)의 스프링측(도 4)을 통과하여,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 내의 화살표 (C) 및 (D)방향으로 흐른다.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은, 분기부(27)와 합류부(28)를 가지고, 다리미 본체(1) 내를 순행상태로 증기가 통과한다. 분기부(27)와 합류부(28)는 1조거나 복수조라도 좋고, 다리미 본체(1) 내를 통과하는 증기에 의해 균일하게 데울 수 있도록, 전역을 순환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은 최종적으로 한줄기로 되어, 화살표(E)의 방향으로, 배출밸브(21)를 통하여 물방울과 함께 다리미 본체(1)로부터 배출되어(화살표 Z),보일러측으로 귀환한다.
또, 증기 비분출시의, 제 2 공급로(6)로부터 이송되는 증기는, 조작밸브(7)가 폐쇄상태에 있기때문에, 증기는 분기유로구멍(12)으로 이송되는 일은 없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밸브(7)의 상류측(조작밸브(7)의 하방측부)에 설치한 역지밸브(8)가 개방상태로 됨으로써, 화살표 (F)와 같이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 측으로 그 증기를 누출하고 있다. 역지밸브(8)는 화살표(F)의 흐름방향으로부터 차례로, 볼(33)과 그 시트면(34), 압축 코일스프링(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증기는, 조작밸브(7)가 폐쇄상태일 때, 볼(33)을 밀어내어(개방상태로 하여) 용이하게 흘려보내, 스프링(35)측에 연통하는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으로 이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공급로(6)를 통하여 이송되는 증기는, 증기 비분출시에 있어서도 항상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 측으로 누출되어, 조작밸브(7)의 상류측(하부)에 연통하는 제 2 배관구멍(24)에, 증기가 정체되는 일이 없고, 제 2 배관구멍(24)에서의 물방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증기 분출 조작시로 전환하여도, 증기분출구멍(3)(분기유로구멍; 12)으로 물방울이 흐르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조작밸브(7)가 개방상태인 증기 분출 조작시는, 도 1과 도 3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보일러에서 나오는 증기는,제 2 공급로(6)로부터 화살표(H)와 같이, 조작밸브(7)를 통과하여, 분기유로구멍(12)내의 화살표(I)방향으로 흐른다. 분기유로구멍(1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구멍(12a)과 다수의 분기구멍(12b…)을 가지고, 본구멍(12a)과 분기구멍(12b)내에, 인두면(2)으로부터 다수의증기분출구멍(3)이 관통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화살표(J)와 같이, 증기가 분기구멍(12b)으로도 흘러, 분기유로구멍(12) 내의 증기는 증기분출구멍(3)을 통하여, 인두면(2)으로부터 분출된다.
이 증기 분출 조작시에 있어서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기는, 제 1 공급로(5)로부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을 통하여 다리미 본체(1)를 가열하여 보온하고, 보일러측으로 증기가 순환하는 동작을 한다.
역지밸브(8)의 구조·배치는,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증기 비분출 조작시에는, 개방상태로 되어, 제 2 공급로(6)로부터 공급된 증기를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으로 이송하도록 기능하고, 또한, 증기 분출 조작시에 있어서는, 폐쇄상태에서,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에서 발생하여 잔류하는 물방울이 제 2 공급로(6)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증기 비분출 조작시에 있어서, 제 2 공급로(6)로부터 공급된 증기는, 역지밸브(8)가 열려서,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측으로 증기의 유속으로 흐르기때문에, 그 증기의 유출에 의해, 역지밸브(8)가 열려 있어도,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에서 발생한 물방울이 제 2 배관구멍(24)(제 2 공급로; 6)측으로 역류하는 일이 없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공급호스(4)의 제 1 공급로(5)에 안쪽으로 끼워져있는 제 2 공급로(6)는, 소정길이(L)로써, 제 1 공급로(5) 내에 개구하여 증기를 흡입하고 있다. 이 소정길이(L)는,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 내에서 발생한 물방울이 제 1 공급로(5)측으로 역류 또는 제 1 배관구멍(23)이나 부착부(29)에서 발생한 물방울이, 분기유로구멍(12)측에 연통하는 제 2 공급로(6)에, 침입하지 않을 만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더욱 증기분출구멍(3)으로부터 불필요한 물방울이 나가지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길이(L) < 200㎜이면, 물방울이 제 2 공급로(6)에 침입하기 쉬워진다. 반대로, L > 500㎜이면, 제 2 공급로(6)로서의 튜브가 불필요하게 된다.
증기통과유로(11)(분기유로구멍(12) 및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은, 증기가 흐르는 유로에 의해 구성되기때문에, 증기는 유속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로내에서, 내압이 과잉으로 커지는 일이 없다. 또, 구멍 단면은,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형의 관로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증기통과유로(11) 내의 증기에 의한 압력(내압)이 크더라도, 증기통과유로(11)의 외벽의 판두께는 얇아도 된다. 또 외벽이 상기와 같이 블록체(15)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다리미 본체(1)의 발생응력은 작아, 응력상태는 안정되어 있기때문에, 그 재질을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 등의 경금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좋고,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에서의 증기에 의한 열전달·열효율이 매우 바람직하기때문에,다리미으로서의 특성을 보다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알루미늄 이외에, 티탄, 마그네슘 내지 이들의 합금에 의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다리미 본체는 얇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져 컴팩트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커버(9)와 다리미 본체(1)의 사이에 공기층의 공간부(10)를 가질 수가 있기때문에, 다리미 본체(1)가 고열이라도, 커버(9)의 외벽면까지 뜨거워지는 일이 없어 커버(9)에 손이 접촉하여도, 화상입을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제 1 항에 의하면)큰 공동부(空洞部)가 되는 중공실이 없고, 증기가 작은 단면적의 유로만을 통과하는 구성이기때문에, 압력 유체로서의 증기를 흐르게 하는 내압구조로서 합리적이고, 구조의 간소화와 경량화가 도모되며, 안전한 올 스팀 다리미으로 할 수가 있다.
(제 2 항에 의하면)제 1 항과 동일한 상기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조작밸브(7)에 의해, 자유롭게 증기를 증기분출구멍(3 …)으로부터 분출할 수 있게 되고, 또, 증기를 장시간 계속 분출하여도, 다리미 본체(1)의 온도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시, 매우 깔끔하게 다림질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제 3 항에 의하면)증기의 내압에 의한 응력분포·응력상태를, 균일하고 안정된 것으로 할 수가 있어, 안전하고, 구조가 간단한 올 스팀 다리미으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가 약간 낮은 재료로 또한 열전도성이 양호한 경금속에 의해 다리미가 형성 가능해져, 매우 경량인 것으로 할 수 있어, 다림질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제 4 항에 의하면)조작밸브(7)에 의해, 자유롭게 증기를 증기분출구멍(3…)으로부터 분출할 수 있게 되고, 또, 증기를 장시간 계속 분출하여도, 다리미 본체(1)의 온도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시, 매우 깔끔하게 다림질 작업을 할 수 있다.
(제 5 항에 의하면)증기 비분출 조작시에 있어서도, 증기를 항상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증기를 정체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관로내의 물방울의 발생을 방지하여, 증기 분출 조작시로 전환하여도, 증기분출구멍(3)으로부터 다림질을 하는 의복을 향하여 여분인 물방울이 분출하는 일이 없다. 또,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 내에 잔류하는 물방울이 제 2 공급로(6)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때문에, 증기분출구멍(3)으로부터 다림질을 하는 의복을 향하여 여분인 물방울이 분출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시, 매우 깔끔하게 다림질을 할 수가 있다.
(제 6 ~ 9항에 의하면)매우 가벼운 다리미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다리미 인두면(2)의 온도를 올릴 수가 있어, 다림질의 작업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Claims (9)

  1. 다리미 본체(1)에 예열용 중공실부분을 생략하여, 예열용 순환유로(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2. 다리미 본체(1)에 예열용 중공실부분을 생략하여, 예열용 순환유로(32)를 형성하고, 그 예열용 순환유로(32)에 증기를 흐르게 하여 상기 다리미 본체(1)를 데우도록 구성하고, 조작밸브(7)에 의해 연통 차단이 자유롭게 되는 분기유로(31)를 인두면(2) 근방을 따라서 배열설치하여, 그 조작밸브(7)를 개방상태로 한 증기분출 조작시에는, 그 분기유로(31)를 통하여 상기 인두면(2)의 다수의 증기분출구멍(3 …)으로부터 증기가 분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3. 다리미 본체(1)가, 평면형상의 인두면(2)에 배열설치된 다수의 증기 분출구멍(3 …)과, 그 증기분출구멍(3)에 연통한 그 인두면(2)에 평행한 다수의 분기유로구멍(12 …)과, 그 분기유로구멍(12 …)의 상방에 배열설치된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을 가지고, 상기 분기유로구멍(12 …)과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을 일체물의 블록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4. 제 3 항에 있어서, 증기를 다리미 본체(1)에 공급하는 증기공급호스(4)가, 제 1 공급로(5)와 제 2 공급로(6)를 가지고, 그 제 1 공급로(5)는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에 연통하고, 그 제 2 공급로(6)는, 조작밸브(7)에 연통하고, 그 조작밸브(7)는 증기 분출 조작시에 증기를 상기 분기 유로구멍(12)에 공급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올 스팀 다리미.
  5. 제 4 항에 있어서, 증기 비분출 조작시에, 상기 제 2 공급로(6)에서 공급된 증기를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으로 이송하고, 또한, 증기 분출 조작시에, 상기 예열용 순환유로구멍(13)에서 발생한 물이 그 제 2 공급로(6)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밸브(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6. 제 1항에 있어서, 다리미 본체(1)를 알루미늄, 티탄, 마그네슘 내지 이들의 합금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7. 제 2 항에 있어서, 다리미 본체(1)를 알루미늄, 티탄, 마그네슘 내지 이들의 합금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8. 제 3 항에 있어서, 다리미 본체(1)를 알루미늄, 티탄, 마그네슘 내지 이들의 합금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다리미 본체(1)를 알루미늄, 티탄, 마그네슘 내지 이들의 합금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스팀 다리미.
KR1020020027039A 2001-06-19 2002-05-16 올 스팀 다리미 KR200300069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5354 2001-06-19
JP2001185354A JP3646076B2 (ja) 2001-06-19 2001-06-19 オールスチームアイロ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63A true KR20030006963A (ko) 2003-01-23

Family

ID=1902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039A KR20030006963A (ko) 2001-06-19 2002-05-16 올 스팀 다리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00116A1 (ko)
EP (1) EP1270796A1 (ko)
JP (1) JP3646076B2 (ko)
KR (1) KR20030006963A (ko)
CN (1) CN1392305A (ko)
MX (1) MXPA020055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672A (ko) * 2019-03-26 2019-10-07 노승현 휴대용 스팀 다리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1669B1 (en) 2004-06-23 2012-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controlling an ironing temperature during a steam ironing process and a corresponding steam iron
FR2880363B1 (fr) * 2005-01-06 2007-02-02 Rowenta Werke Gmbh Ges Mit Bes Appareil a vapeur pour repasser ou defroisser un linge muni d'un dispositif de controle de la distribution de vapeur
KR100748246B1 (ko) * 2006-03-29 2007-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침입탐지 로그수집 엔진과 트래픽 통계수집 엔진을 이용한다단계 통합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08038834A1 (fr) * 2006-09-29 2008-04-03 Cataler Corporation Produit chimique portant du rhodium et catalyseur du rhodium préparé à l'aide de celui-ci
FR2912429B1 (fr) * 2007-02-12 2009-03-06 Rowenta Werke Gmbh Appareil de repassage a vapeur comportant un reservoir d'eau en communication directe avec une chambre d'ebullition
KR100870978B1 (ko) 2007-05-30 2008-12-01 송창호 올스팀 다리미
EP2213784B1 (en) * 2009-01-30 2015-03-11 Polne, S.L. Soleplate and iron comprising such a soleplate
US20120102792A1 (en) * 2010-10-29 2012-05-03 Segye, Inc., d.b.a. Hot-Steam Steam Pressing Iron With Automatic Condensate Removal
FR3006337B1 (fr) * 2013-05-30 2015-05-22 Seb Sa Appareil de repassage a la vapeur comprenant un fer a repasser
FR3006338B1 (fr) * 2013-05-30 2015-05-22 Seb Sa Appareil de repassage a la vapeur
CN106661817B (zh) * 2014-08-26 2019-09-2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蒸汽熨斗
EP3186431B1 (en) 2014-08-26 2018-10-17 Koninklijke Philips N.V. A steam iron head
CN105344081A (zh) * 2015-11-11 2016-02-24 安徽省无为县奥宇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羽毛球羽毛熨烫器
FR3060031B1 (fr) * 2016-12-13 2019-12-13 Seb S.A. Fer a vapeur comportant un circuit de distribution de vapeur menage dans un corps en contact thermique avec une surface de repassage
FR3072102B1 (fr) * 2017-10-05 2020-07-31 Seb Sa Tete de defroissage comprenant une chambre interne pourvue de canaux d'expulsion de vapeu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2355A (en) * 1920-04-19 1923-07-17 Herman W Peth Pressing iron
US2021606A (en) * 1931-02-02 1935-11-19 Mitzman Irving Steam iron
US2027062A (en) * 1933-12-23 1936-01-07 Puretz Julius Pressing iron
US1979574A (en) * 1934-02-17 1934-11-06 Alfred E Reimers Sadiron
US1991381A (en) * 1934-06-11 1935-02-19 Samuel Bean Superheated steam flat iron
CH184856A (de) * 1935-07-03 1936-06-30 Knecht Ammann H Dampfbeheiztes Bügeleisen, das zur Abgabe von Dampf während des Bügelns eingerichtet ist.
US2285757A (en) * 1939-11-28 1942-06-09 Smith Norman Steam electric flatiron
US2326890A (en) * 1941-08-20 1943-08-17 Morris A Schwartz Check valve injector for steam generating irons
US2495397A (en) * 1946-09-24 1950-01-24 Albert J Weber Condensation trap for steam irons
US2597763A (en) * 1949-06-24 1952-05-20 Sussman Arthur Steam pressing iron
US2987839A (en) * 1957-11-19 1961-06-13 Reimers Electric Appliance Co Steam-superheating and steam-emitting pressing irons
US3248813A (en) * 1962-02-16 1966-05-03 Carl F Quick Steam iron
JP3288013B2 (ja) * 1998-07-17 2002-06-04 直本工業株式会社 業務用アイロン及びスチーム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672A (ko) * 2019-03-26 2019-10-07 노승현 휴대용 스팀 다리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00116A1 (en) 2003-01-02
MXPA02005527A (es) 2004-07-16
CN1392305A (zh) 2003-01-22
EP1270796A1 (en) 2003-01-02
JP2003001000A (ja) 2003-01-07
JP3646076B2 (ja)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6963A (ko) 올 스팀 다리미
CN1986950B (zh) 熨斗
JP2005533960A5 (ko)
JP4316527B2 (ja) 蓄熱式熱供給装置
JP2006258317A (ja) 気化冷却装置
JP4897465B2 (ja) 気化冷却装置
KR100763388B1 (ko) 온수제공장치
JP4964655B2 (ja) 気化冷却装置
KR101474475B1 (ko) 스팀다리미
JP2006308187A (ja) 気化冷却装置
JP2006349248A (ja) 加熱冷却装置
JP2006255503A (ja) 加熱冷却装置
JP2008261592A (ja) 気化冷却装置
CN216304250U (zh) 一种单向气道铝底
JP2006308185A (ja) 気化冷却装置
JPH11351507A (ja) 蒸気タービン用脱気器
JP2006258315A (ja) 気化冷却装置
JP2004076986A (ja) 蒸気加熱装置
KR101041546B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 온수매트용 가열히터
JP2007078277A (ja) 蒸気加熱装置
JP4964656B2 (ja) 気化冷却装置
JPS5935640B2 (ja) スチ−ムアイロン
JPH01247954A (ja) 貯湯温水器
JP4970962B2 (ja) 気化冷却装置
TWM576240U (zh) Electric water heater and its flow gui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