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758A - 치환된 1-아미노알킬-락탐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길항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치환된 1-아미노알킬-락탐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길항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758A
KR20030003758A KR1020027015824A KR20027015824A KR20030003758A KR 20030003758 A KR20030003758 A KR 20030003758A KR 1020027015824 A KR1020027015824 A KR 1020027015824A KR 20027015824 A KR20027015824 A KR 20027015824A KR 20030003758 A KR20030003758 A KR 2003000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ropyl
tetrahydro
amino
bu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125B1 (ko
Inventor
마데라앤마리
스테블러러셀스티븐
웨이커트로버트제임스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0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0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24Oxygen or sulfur atoms
    • C07D207/262-Pyrrolidones
    • C07D207/2632-Pyrrolidon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 C07D207/272-Pyrrolidon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6Anti-spasmod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6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11/7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74Oxygen atoms
    • C07D211/76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2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2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23/08Oxygen atoms
    • C07D223/10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even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2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even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9/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9/10Oxygen or 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 C07D24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4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 C07D24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5/041,3-Oxazines; Hydrogenated 1,3-oxazines
    • C07D265/061,3-Oxazines; Hydrogenated 1,3-oxazi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5/081,3-Oxazines; Hydrogenated 1,3-oxazi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65/101,3-Oxazines; Hydrogenated 1,3-oxazi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ix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7/02Seven-membered rings
    • C07D267/06Seven-membered ring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ix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7/02Seven-membered rings
    • C07D267/08Seven-membered ring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4
    • C07D267/10Seven-membered ring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4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more than six member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7/22Eight-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9/041,3-Thiazines; Hydrogenated 1,3-thiazines
    • C07D279/061,3-Thiazines; Hydrogenated 1,3-thiazi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스카린성 M2/M3 수용체 길항제로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X, Y 또는 Z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4이고 나머지 둘은 -CH2-이고;
p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R3은 (C1-6)-알킬, (C1-6)-알케닐, (C1-6)-알키닐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고;
R1, R2및 R3은 수소 또는 특정한 치환체이다.
상기 화합물은 평활근 장애와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치환된 1-아미노알킬-락탐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용도{SUBSTITUTED 1-AMINOALKYL-LACTAMS AND THEIR USE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놀랍게도, 화학식 I의 화합물이 M2/M3 선택성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임을 밝혀냈다.
아세틸콜린(Ach)은 부교감신경계의 주요 전달물질이다. Ach의 생리적인 작용은 니코틴성 또는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활성에 의해 조정된다. 이러한 수용체 부류는 둘다 불균질성이다. 예를 들어, 무스카린성 수용체류는 각각 독특한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고 특유의 약리학 및 분포 특성을 갖는 5개의 아형(M1, M2, M3, M4및 M5)을 포함한다.
거의 모든 평활근 조직은 한 가지 기능을 하는 무스카린성 M2 및 M3 수용체를 둘다 발현한다. M2 수용체는 M3 수용체보다 대략 4 내지 1의 비율로 수적으로 우세하다. 일반적으로, M3 수용체는 방대한 대부분의 평활근 조직에서 아세틸콜린의 직접적인 수축 효과를 조정한다. 반면, M2 수용체는 (β-아드레날린수용체)-조정된 이완을 교감 억제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평활근 수축을 유발시킨다.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은 부적합한 평활근 기능과 관련된 여러 질병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왔다. 최근까지, 이러한 화합물은 대부분 다양한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에 대해 비선택성이어서, 구내 건조, 변비, 흐린 시력 또는 빈맥과 같은 불쾌한 항콜린성 부작용을 유발시켰다. 이러한 부작용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타액선에서 무스카린성 수용체 차단으로부터 나타나는 구내 건조이다. 최근 개발된 M2 또는 M3 특이적 길항제는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증거들은, M2 및 M3 수용체의 동시 차단이 평활근 장애와 관련된 질병 상태의 치료에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M2/M3 선택성 길항제는 거의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부적합한 평활근 기능과 관련된 질병 상태의 치료에 유용한 상기 유형의 길항제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 및 이의 길항제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는 하기 문헌으로부터 입수될 수 있다. 평활근에서 특정한 아형의 무스카린성 수용체는 문헌[엘러트(Ehlert) 등의Life Sciences1997, 61, 1729-1740]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문헌[헤지(Hedge) 등의Life Sciences1999, 64, 419-428]에는 방광에서 평활근 수축성을 조정하는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이 언급되어 있다. 문헌[에글런(Eglen) 등의Trends. Pharmacol. Sci.1994, 15, 114-119 및Pharmacol. Rev.1996, 48, 531-565]에는 특정한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 및 평활근 기능이 언급되어 있다. 선택적인 무스카린성 길항제에 대한 임상적인 연구에 대해서는 문헌[닐베브란트(Nilvebrant) 등의Life Sciences1997, 60, 1129-1136; 알라바스터(Alabaster)의Life Sciences1997, 60, 1053-1060; 오사유(Osayu) 등의Drug Res.1994, 44, 1242-1249 및 홈마(Homma) 등의Neurourology and Urodynamics1997, 345-346]에 기술되어 있다.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의 선택적인 조정은 문헌[에글런 및 헤지의Emerging Drugs1998, 3, 67-79]에 보고되어 있다. 문헌[에글런 등의Curr. Opin. Chem. Biol.1999, 3, 426-432]에는 무스카린성 수용체 리간드 및 그의 치료적 가능성이 언급되어 있다.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특정 분류가 문헌[콜필드(Caulfield) 등의Pharmacological Reviews1998, 50(2), 279-290]에 기술되어 있다.
하기 문헌에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관련된 화합물이 기술되어 있다. 에이사이 캄파니 리미티드(Eisai Co., Ltd.)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382,595 호, 제 5,177,089 호, 제 5,047,417 호 및 제 5,607,953 호에는 특정한 부테노산 및 프로페노산 유도체가 언급되어 있다. 메렐 다우 팜 인코포레이티드(Merrell Dow Pharm. Inc.)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748,182 호에는 특정한 방향족 2-아미노알킬-1,2-벤조이소티아졸-3(2H)온-1,1-디옥사이드 유도체 및 항고혈압제 및 불안제거제로서의 그의 용도가 언급되어 있다. 바이엘 아게(Bayer AG)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880,802 호 및 제 5,298,513 호에는 중추 신경계, 심혈관계 또는 장관계의 치료에 유용한 특정 아미노테트랄린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닥커 카를 토매 게엠베하(Dr. Karl Thomae GmbH)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584,293 호에는 특정한 아미노테트랄린 및 심박수를 저하시키기 위한 그의 용도가 언급되어 있다. 도파민 D-2 수용체 활성을 나타내는 특정한 아미노테트랄린 유도체는 화이트바이 리서치 인코포레이티드(Whitby Research Inc.)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118,704 호에 기술되어 있다. 업존 캄파니(Upjohn Co.)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545,755 호에는 충주 신경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특정 아미노테트랄린 유도체가 언급되어 있다.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F. Hoffmann-La Roche AG)에게 양도된 국제 특허공개공보 제 WO 99/43657 호에는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로서 특정한 2-아릴에틸-(피페리딘-4-일메틸)아민 유도체가 언급되어 있다. 도파민 D2,D3 및 세로토닌 5HT-1A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특정 2-아미노테트랄린 벤즈아미드가 문헌[호만(Homan) 등의Bioorg. Med. Chem.1999, 7(6), 1111-1121]에 개시되어 있다. 문헌[글레논(Glennon) 등의J. Med. Chem.1989, 32, 1921-1926]에는 세로토닌성 약제로서 N-프탈이미도알킬 유도체가 언급되어 있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특허공보, 특허 및 특허출원은 앞에서 또는 뒤에서 그의 전체 개시내용이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I의 벤조사이클로알킬레닐아민 유도체, 그의 전구약물, 그의 개별적인 이성질체, 이성질체들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비라세미 혼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 그의 개별적인 이성질체, 이성질체들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비라세미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의 치료학적 효과량을 하나 이상의 적합한 담체와의 혼합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무스카린성 M2/M3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완화되는 질병 상태를 갖는 대상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스카린성 M2/M3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완화되는 질병 상태를 갖는 대상의 치료에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대상은 평활근 장애, 바람직하게는 비뇨생식기로 장애, 기도 장애, 위장관 장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뇨생식기로 장애, 예를 들어 과활동성 방광 또는 방광근 활동항진, 및 그의 증상 예를 들어 긴급성, 빈발성, 감소된 방광 용량, 실금 경험 등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는 변화; 방광 용량, 배뇨 역치, 불안정한 방광 수축, 괄약근 경련 등과 같은 요역동학적으로 나타나는 변화; 및 배출로 폐색, 배출로 결함, 골반 과민증 등과 같은 조건, 또는 배뇨근 불안정성과 같은 특발성 조건에서의 배뇨근 과반사(신경인성 방광)로 보통 나타나는 증상 등을 포함하는 질병 상태를 갖는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질병은 알러지 및 천식과 같은 기도 장애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질병 상태는 위장 장애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 R2, R3, p, m, n, X,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하기 용어는 하기의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달리 문맥상에서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물을 포함한다.
"저급 알킬"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6의 선형 또는 분지된 1가의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저급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1-에틸프로필, 2급-부틸, 3급-부틸, n-부틸, n-펜틸, n-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치환된 저급 알킬"이라는 용어는 하이드록실, 알콕시, 아미노, 아미도, 카복실, 아실,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티올 등과 같은 치환기 1 내지 3개, 바람직하게는 하나를 포함하는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치환기들은 저급 알킬 잔기의 임의의 탄소 원자에 부착될 수 있다. 치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2-메톡시에틸, 2-하이드록시-에틸, 디메틸-아미노카보닐메틸, 4-하이드록시-2,2-디메틸-부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부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제한되지 않는다.
"알킬렌"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6의 선형 또는 분지된 2가의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렌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부틸렌, 2-에틸부틸렌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케닐"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탄소수 2 내지 6의 선형 또는 분지된 1가의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케닐 라디칼의 예로는 에테닐, 알릴, 1-프로페닐, 2-부테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키닐"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탄소수 2 내지 6의 선형 또는 분지된 1가의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키닐 라디칼의 예로는 에티닐, 1-프로피닐, 2-부티닐, 프로파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콕시"라는 용어는 화학식 -O-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콕시 라디칼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나의 개별적인 고리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의 고리가 특성상 방향족인 하나 이상의 융합 고리로 이루어지며, 임의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할로겐알콕시, 알킬티오, 할로겐, 할로겐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니트로, 알콕시카보닐, 아미노, 알킬아미노, 알킬설포닐, 아릴설포닐, 알킬아미노설포닐, 아릴아미노설포닐, 알킬설포닐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 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1가의 방향족 카보사이클릭 라디칼을 의미한다. 다르게는, 아릴 고리의 2개의 인접한 원자는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 기로 치환될 수 있다. 아릴 라디칼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비페닐, 인다닐, 안트라퀴놀릴, 3급-부틸-페닐, 1,3-벤조디옥솔릴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알킬"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 라디칼이고, R"은 본원에 정의된 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벤질, 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고리 당 탄소수가 3 내지 8인 하나 이상의 고리,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로 이루어지며, 임의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할로겐알콕시, 알킬티오, 할로겐, 할로겐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니트로, 알콕시카보닐, 아미노, 알킬아미노, 알킬설포닐, 아릴설포닐, 알킬아미노설포닐, 아릴아미노설포닐, 알킬설포닐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 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1가의 포화 카보사이클릭 라디칼을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3-에틸사이클로부틸,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헵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사이클로알킬알킬"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고, R"은 본원에 정의된 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사이클로헥실메틸, 사이클로펜틸에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고리 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개의 헤테로원자(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됨)가 혼입되어 있고 고리 당 원자수가 4 내지 8인 하나 이상의 고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고리를 가지며, 임의로 하이드록시, 시아노,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할로겐알콕시, 알킬티오, 할로겐, 할로겐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니트로, 알콕시카보닐, 아미노, 알킬아미노, 알킬설포닐, 아릴설포닐, 알킬아미노설포닐, 아릴아미노설포닐, 알킬설포닐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 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1가의 방향족 환식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 라디칼의 예로는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피라지닐, 티에닐, 푸라닐, 피리디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조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오피라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족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피라닐, 인다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나프티리디닐, 벤젠설포닐-티오페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알킬"(또는 "헤테로아르알킬")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 라디칼이고, R"은 본원에 정의된 알킬렌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2-이미다졸릴메틸, 3-피롤릴에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릴"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고리 헤테로원자(N, O 또는 S(O)0-2로부터 선택됨)가 혼입되어 있으며 고리 당 원자수가 3 내지 8인 하나 이상의 고리,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로 이루어지며, 임의로 하이드록시, 옥소, 시아노,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저급 할로겐알콕시, 알킬티오, 할로겐, 할로겐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니트로, 알콕시카보닐, 아미노, 알킬아미노, 알킬설포닐, 아릴설포닐, 알킬아미노설포닐, 아릴아미노설포닐, 알킬설포닐아미노, 아릴설포닐아미노,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 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1가의 포화 환식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의 예로는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티오모르폴리닐, 퀴누클리디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또는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사이클릭 라디칼이고, R"은 본원에 정의된 알킬렌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1-피페라지닐메틸, 2-모르폴리노메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할로겐"이라는 용어는 라디칼 플루오로, 브로모, 클로로 및/또는 요오도를 의미한다.
"할로겐알킬"이라는 용어는 본원에 정의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임의의 위치에서 치환된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할로겐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1,2-디플루오로프로필, 1,2-디클로로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하이드록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하이드록시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프로필, 2-하이드록시부틸, 3-하이드록시부틸, 4-하이드록시부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 2,3-디하이드록시부틸, 3,4-디하이드록시부틸 및 2-(하이드록시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실옥시"라는 용어는 화학식 -O-C(O)-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실옥시 라디칼의 예로는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콕시카보닐" 또는 "알킬 에스테르"라는 용어는 화학식 -C(O)-O-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콕시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2급-부톡시카보닐, 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옥시카보닐" 또는 "아릴 에스테르"라는 용어는 화학식 -C(O)-O-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옥시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페닐 에스테르, 나프틸 에스테르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알콕시카보닐"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라는 용어는 화학식 -C(O)-O-RR'[여기서, R은 저급 알킬 라디칼이고,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옥시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벤질 에스테르, 페닐 에틸 에스테르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카보닐"(또는 "아실")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C(O)-[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아세틸, 프로피오닐, n-부티릴, 2급-부티릴, t-부티릴, 이소-프로피오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C(O)-[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벤조일, 나프토일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알킬카보닐"(또는 "아르알킬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C(O)-[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알킬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페닐아세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C(O)-[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피리디노일, 3-메틸이속사졸로일, 이속사졸로일, 티에노일, 푸로일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릴카보닐"(또는 "헤테로사이클로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C(O)-[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릴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피페라지노일, 모르폴리노일, 피롤린디노일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사이클로알킬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R-C(O)-[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카보닐 라디칼의 예로는 사이클로부타노일, 사이클로펜타노일, 사이클로헥사노일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아미노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C(O)N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아미노카보닐의 예로는 메틸아미노카보닐, 디메틸아미노카보닐, t-부틸아미노카보닐, n-부틸아미노카보닐, 이소-프로필아미노카보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아미노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C(O)-N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아미노카보닐의 예로는 페닐아미노카보닐, 메톡시페닐아미노카보닐, 디페닐아미노카보닐, 디메톡시페닐아미노카보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아미노카보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C(O)-NR'R"[여기서, R'은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아미노카보닐의 예로는 피리디닐아미노카보닐, 티에닐아미노카보닐, 푸라닐아미노카보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카보닐아미노"라는 용어는 화학식 -N-C(O)-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카보닐아미노의 예로는 메틸카보닐아미노, 이소-프로필카보닐아미노, t-부틸카보닐아미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카보닐아미노"라는 용어는 화학식 -N-C(O)-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카보닐아미노의 예로는 페닐카보닐아미노, 토실카보닐아미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카바모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O-C(O)-N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카바모일의 예로는 메틸카바모일, 에틸카바모일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카바모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O-C(O)-N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아릴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카바모일의 예로는 페닐카바모일, 나프틸카바모일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알킬카바모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O-C(O)-NH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고,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아릴알킬카바모일의 예로는 벤질카바모일, 페닐에틸카바모일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아미노설포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N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아미노설포닐의 예로는 메틸아미노설포닐, 디메틸아미노설포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아미노설포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N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아미노설포닐의 예로는 페닐아미노설포닐, 메톡시페닐아미노설포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아미노설포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NR'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이고,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아미노설포닐의 예로는 티에닐아미노설포닐, 피페리디닐아미노설포닐, 푸라닐아미노설포닐, 이미다졸릴아미노설포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설포닐아미노"라는 용어는 화학식 -N-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설포닐아미노의 예로는 메틸설포닐아미노, 프로필설포닐아미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설포닐아미노"라는 용어는 화학식 -N-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설포닐아미노의 예로는 페닐설포닐아미노, 나프틸설포닐아미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설포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설포닐의 예로는 메틸설포닐,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 프로필설포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설포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설포닐의 예로는 페닐설포닐, 니트로페닐설포닐, 메톡시페닐설포닐, 3,4,5-트리메톡시페닐설포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설포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설포닐의 예로는 티에닐설포닐, 푸라닐설포닐, 이미다졸릴설포닐, N-메틸이미다졸릴설포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릴설포닐"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사이클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릴설포닐의 예로는 피페리디닐설포닐, 피페라지닐설포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설포닐옥시"라는 용어는 화학식 -O-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설포닐옥시의 예로는 메틸설포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 프로필설포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설포닐옥시"라는 용어는 화학식 -O-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설포닐옥시의 예로는 벤젠설포닐옥시, 4-클로로-벤젠설포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설포닐옥시"라는 용어는 화학식 -O-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아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설포닐옥시의 예로는 티에닐설포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릴설포닐옥시"라는 용어는 화학식-O-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헤테로사이클릴이다]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릴설포닐옥시의 예로는 3,5-디메틸-이속사졸설포닐옥시, 피롤리디닐설포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로(의)" 또는 "임의적으로"라는 용어는 후속적으로 기술되는 사건 또는 환경이 일어날 수는 있으나 반드시 일어날 필요는 없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사건 또는 환경이 일어나는 경우 및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결합"이란 결합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단일,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한다.
"이탈기"라는 용어는 합성 유기 화학에서 통용되는 의미를 갖는 기, 즉 알킬화 조건하에서 치환될 수 있는 원자 또는 기를 의미한다. 이탈기의 예로는 할로겐, 알칸- 또는 아릴설포닐옥시, 예를 들어, 메탄설포닐옥시, 에탄설포닐옥시, 티오메틸, 벤젠설포닐옥시, 토실옥시 및 티에닐옥시, 디할로겐포스피노일옥시, 임의로 치환된 벤질옥시, 이소프로필옥시, 아실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성 기" 또는 "보호기"라는 용어는 합성 화학에서 통용되는 의미로 다른 보호되지 않은 반응 부위에서 화학 반응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다작용성 화합물에서 하나의 반응 부위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방법은 반응물내에 존재하는 반응성 산소 원자를 차단하는 보호기에 좌우된다. 연속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알콜계 또는 페놀계 하이드록실기를 위한 허용가능한 보호기는 아세테이트, 할로겐알킬 카보네이트, 벤질 에테르, 알킬실릴 에테르, 헤테로사이클릴 에테르 및 메틸 또는 알킬 에테르 등으로서 보호된 기를 포함한다. 카복실기를 위한 보호 또는 차단 기는 하이드록실기에 대해 기술한 기와 유사하고, 바람직하게는 3급-부틸, 벤질 또는 메틸 에스테르이다. 보호기의 예는 문헌[그리니(T.W.Greene) 등의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J. Wiley, 2nded. 1991) 및 해리슨(Harrison) 등의Compendium of Synthetic Organic Methods, Vols. 1-8(J. Wiley and Sons 1971-1996)]에서 찾을 수 있다.
"아미노-보호기"라는 용어는 합성 과정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에 대해 질소 원자를 보호하기 위한 유기 기를 지칭하는 보호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벤질, 벤질옥시카보닐(카보벤질옥시, CBZ), p-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p-니트로벤질옥시카보닐, 3급-부톡시카보닐(BOC),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아미노-보호기로서 BOC 또는 CBZ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BOC의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염산과 같은 약산에 의해 또는 CBZ의 경우 촉매성 수소화에 의해 제거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이다.
"탈보호화" 또는 "탈보호"라는 용어는 선택성 반응이 완료된 후 보호기가 제거되는 공정을 의미한다. 특정 보호기가 제거의 편리성 또는 상대적인 용이성 때문에 다른 것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보호된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복실기에 대한 탈보호 시약으로는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 알콜계 용액 중의 수산화리튬, 메탄올 중의 아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팔라듐 촉매 또는 붕소 트리브로마이드 등이 포함된다.
"이성질체"라는 용어는 동일한 분자식을 가지나 특성상 상이하고, 원자 결합 순서가 상이하거나 공간에서의 원자 배열이 상이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공간에서의 원자 배열이 상이한 이성질체를 "입체이성질체"라고 한다. 서로에 대해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부분입체이성질체"라고 하고, 겹쳐질 수 없는 거울상인 입체이성질체를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때때로 광학 이성질체라고 한다. 4개의 동일하지 않은 치환기에 결합된 탄소 원자를 "키랄 중심"이라고 한다.
"키랄 이성질체"는 하나의 키랄 중심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키랄 이성질체는 대향 키랄성의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 형태를 갖고, 개별적인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대향 키랄성의 개별적인 거울상이성질체 형태를 동일한 양으로 함유하는 혼합물을 "라세미 혼합물"이라고 한다.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갖는 화합물은 2n-1거울상이성질체 쌍을 가지며, 여기서 n은 키랄 중심의 수이다.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갖는 화합물은 개별적인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이라 한다. 하나의 키랄 중심이 존재하는 경우, 입체이성질체는 키랄 중심의 절대 배열(R 또는 S)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절대 배열이란 키랄 중심에 부착된 치환체의 공간에서의 배열을 지칭한다. 고려중인 키랄 중심에 부착된 치환체는 문헌[Sequence Ruleof Cahn, Ingold and Prelog]에 따라 등급화된다. (참조: 칸(Cahn) 등의Angew. Chem. Inter. Edit. 1966, 5, 385; errata 511 및Angew. Chem.1966, 78, 413; 칸 및 인골드(Ingold)의J. Chem. Soc.1951(런던), 612; 칸 등의Experientia1956, 12, 81; 칸의J. Chem. Educ.1964, 41, 116)
"기하 이성질체"라는 용어는 이중 결합 주위의 장애된 회전 때문에 존재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배치는, 기가 칸-인골드-프렐로그(Cahn-Ingold-Prelog) 법칙에 따라 분자내 이중결합의 동일한 측 또는 반대 측상에 있음을 나타내는, 앞에 붙이는 시스 또는 트란스 또는 Z 및 E에 의해 명칭상 구별된다.
"위축성 이성질체"라는 용어는 중심 결합에 대하여 큰 기의 회전 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제한적인 회전 때문에 존재하는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순수한"이란 용어는 목적하는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가 약 8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몰% 이상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의 약학 용도로 허용가능함을 포함한다.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용어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모화합물(parent compound)의 목적하는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으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포함된다: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을 사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 염; 또는 아세트산, 벤젠설폰산, 벤조산, 캄포르설폰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글리콜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무콘산, 2-나프탈렌설폰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숙신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메틸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 염; 또는
(2) 모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가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알칼리금속 이온, 알칼리토금속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으로 대체되거나, 유기 염기 또는 무기 염기와 조화되는 경우 형성되는 염. 허용가능한 유기 염기로는 디에탄올아민,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등이 포함된다. 허용가능한 무기 염기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및 수산화나트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및 인산으로부터 형성된 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대한 참조는 동일한 산 부가 염의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매 부가 형태(용매화합물) 또는 결정 형태(다형체)를 포함함을 이해해야 한다.
"결정 형태"(또는 다형체)라는 용어는 화합물이 상이한 결정 패킹 배열로 결정화될 수 있는 결정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은 모두 동일한 원소 조성을 갖는다. 상이한 결정 형태는 통상적으로 X선 회절 패턴, 적외선 분광, 융점, 밀도 경도, 결정 형상, 광학 및 전기 특성, 안정성 및 용해도가 상이하다. 재결정화 용매, 결정화율, 저장 온도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해 하나의 결정 형태가 우세할 수 있다.
"용매화합물"이라는 용어는 화학량론적 양 또는 비화학량론적 양의 용매를 함유하는 용매 부가 형태를 의미한다. 일부의 화합물은 결정질 고체 상태에서 용매 분자의 고정 몰비를 잡아 용매화합물을 형성하는 경향을 갖는다. 용매가 물인 경우 형성된 용매화합물은 수화물이며, 용매가 알콜인 경우 형성된 용매화합물은 알콜레이트이다. 수화물은 하나 이상의 물 분자와 하나의 물질을 조합시킴으로써형성되며, 여기서 물은 H2O로서 분자 상태로 유지되고, 조합물은 하나 이상의 수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전구약물"이라는 용어는 목적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대상에게 투여한 후 화합물의 약리학적 활성 형태로, 생체내에서 예를 들어 생물학적 유체 또는 효소에 의해 신진대사되어야 하는 화합물의 약리학적 불활성 형태를 의미한다. 전구약물은 흡수 전, 흡수 도중, 흡수 후 또는 특정 부위에서 신진대사될 수 있다. 신진대사가 주로 간에서 많은 화합물에 대해 일어나지만, 거의 모든 다른 조직 및 기관, 특히 폐는 신진대사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화합물의 전구약물 형태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생체이용률을 개선시키고, 쓴 맛 또는 위장 자극성과 같은 불쾌한 특성을 감추거나 저하시키는 것과 같은 대상 허용성을 개선시키고, 정맥내 용도를 위해 용해도를 변화시키고, 연장되거나 지속되는 방출 또는 전달을 제공하고, 제형화의 용이성을 개선시키거나 화합물의 부위-특이성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전구약물은 문헌[The Organic Chemistry of Drug Design and Drug Action, by Richard B. Silverman, Academic Press, San Diego, 1992, Chapter 8: "Prodrugs and Drug delivery Systems" pp. 352-401;Design of Prodrugs, edited by H. Bundgaard, Elsevier Science, Amsterdam, 1985;Design of Biopharmaceutical Properties through Prodrugs and Analogs, ed. by E.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Washington, 1977; 및Drug Delivery Systems, ed. by R. L. Juliano, Oxford Univ. Press, Oxford, 1980]에기술되어 있다.
"대상"이란 포유동물 및 비포유동물을 의미한다. 포유동물은 인간, 인간이 아닌 영장류, 예를 들어 침팬지 및 기타 유인원 및 원숭이종; 농장 동물, 예를 들어 소, 말, 양, 염소 및 돼지; 가축, 예를 들어 토끼, 개 및 고양이; 설치류를 포함하는 실험실 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및 기니아 피그(guinea pig) 등을 포함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 포유류의 일원을 의미한다. 비포유동물의 예로는 새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치료학적 효과량"이라는 용어는 질병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대상에게 투여되는 경우 질병 상태를 위한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학적 효과량"은 화합물, 치료되는 질병 상태, 치료되는 질병 또는 위중성, 대상의 연령 및 상대적인 건강상태, 투여 경로 및 형태, 주치 의사 또는 수의사의 판단,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본원에 사용되는 "약리학적 효과"라는 용어는 의도한 치료 목적을 성취하는 대상에게서 발생하는 효과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약리학적 효과는 치료되는 대상의 주된 징후가 예방되고, 완화되거나 저하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리학적 효과는 치료되는 대상에서 주된 징후의 예방, 완화 또는 저하를 일으키는 효과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약리학적 효과는 치료되는 대상의 주된 징후의 장애 또는 증상이 예방되고, 완화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리학적 효과는 치료되는 대상에서 주된 징후의 예방 또는 저하를 일으키는 효과이다.
"질병 상태"는 임의의 질병, 조건, 증상 또는 징후를 의미한다.
질병 상태의 "치료"는 하기를 포함한다:
(1) 질병 상태의 예방, 즉 질병 상태에 노출되거나 질병에 걸리기쉽지만 질병 상태의 증상을 경험하거나 나타내지 않는 대상에게서 질병 상태의 임상적 증상을 발달시키지 않는 것,
(2) 질병 상태의 억제, 즉 질병 상태 또는 그의 임상적 증상의 발달을 저지하는 것; 또는
(3) 질병 상태의 경감, 즉 질병 상태 또는 그의 임상적 증상을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퇴화시키는 것.
"길항제"라는 용어는 다른 분자 또는 수용체 부위의 작용을 감소시키거나 예방시키는 분자, 예를 들어 화합물, 약물, 효소 억제제 또는 호르몬을 의미한다.
"요로의 증상"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요로 장애" 또는 "요로병증"은 요로에서의 병적 변화를 의미한다. 요로의 증상으로는 과활동성 방광(또한 방광근 활동항진으로도 공지되어 있음), 배출로 폐색, 배출로 결함 및 골반 과민증이 포함된다.
"과활동성 방광" 또는 "방광근 활동항진"으로는 긴급성, 빈발성, 감소된 방광 용량, 실금 등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는 변화; 방광 용량, 배뇨 역치, 불안정한 방광 수축, 괄약근 경련 등과 같은 요역동학적으로 나타나는 변화; 및 배출로 폐색, 배출로 결함, 골반 과민증 등과 같은 조건, 또는 배뇨근 불안정성과 같은 특발성 조건에서의 배뇨근 과반사(신경인성 방광)로 보통 나타나는 증상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배출로 폐색"으로는 양성전립선비대증(BPH), 요도협착증, 종양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보통 폐쇄성(저유동률, 배뇨 개시의 어려움 등) 또는 자극성(긴급성, 치골상 통증 등)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난다.
"배출로 결함"으로는 요도 과운동성, 고유 괄약근 결핍 또는 혼합적인 실금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보통 스트레스 실금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난다.
"골반 과민증"으로는 골반 통증, 간질 (세포) 방광염, 프로스타다이니아(prostadynia), 전립선염, 벌바다이니아(vulvadynia), 요도염, 고환통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골반 영역과 관련된 통증, 염증 또는 불쾌 증상으로 나타나며, 보통 과활동성 방광 증상을 포함한다.
명명법: 본 발명 화합물의 명칭 및 번호 지정은 하기에 예시된다.
화학식 I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IUPAC 체계 명명법 세대를 위해 베일스테인 인스티튜트(Beilstein Institute) 컴퓨터화된 시스템인 오토놈(AUTONOMTM)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R1및 R2가 메톡시이고, R3이 프로필이고, p가 2이고,n이 3이고, m이 2이고, X 및 Y가 -CH2-이며, Z이 >N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4-{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으로 명명된다.
발명의 요약란에 정의된 본 발명의 화합물 중에서,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 그의 개별적인 이성질체, 이성질체들의 라세미 또는 비라세미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이 바람직하다.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소, 할로겐, (C1-6)-알킬, 알콕시, 알킬설포닐 또는 알킬설포닐옥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톡시, 메틸설포닐 또는 메틸설포닐옥시이다.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저급 알케닐 또는 저급 알키닐,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알릴 또는 프로파길,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 또는 프로필이다.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p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이다.
m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이다.
n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이다.
X, Y 또는 Z중 하나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S-, -0- 또는 >N-R4, 보다 바람직하게는 >N-R4, 더욱 바람직하게는 >NH이다.
p가 2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고 나머지 둘이 -CH2-이고; 다른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고 나머지 둘이 -CH2-이며, 여기서 R4는 수소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1이고;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1이고, Y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고;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1이고, Y가 >NH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p가 2이고, m이 1이고, Z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고;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p가 2이고, m이 1이고, Z가 >NH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2이고;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2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고;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p가 2이고, m이 2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H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2이고, X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2이고, Y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 4-(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 또는 1-{4-[(7-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p가 2이고, m이 2이고, Z가 >N-R4이고 나머지 둘이 -CH2-이며,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3,5-디메틸-이속사졸-4-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 또는 4-{5-[(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n이 3이고; 다른 양태에서는 n이 3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다른 양태에서는 n이 3이고, p가 2이고; 다른 양태에서는 n이 3이고, p가 2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고; 다른 양태에서는 n이 3이고, p가 2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H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n이 3이고, p가 2이고, m이 2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고;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n이 3이고, p가 2이고, m이 2이고, X가 >NH이며 Y 및 Z가 -CH2-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n이 3이고, p가 2이고, m이 2이고, Y가 >NH이며 X 및 Z가 -CH2-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n이 3이고, p가 2이고, m이 2이고, Z가 >NH이며 X 및 Y가 -CH2-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p가 2이고, m이 2이고, n이 3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O-이며 나머지 둘이 -CH2-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3-{4-[(6-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 또는 3-{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나트륨 또는 인산으로부터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은 염산,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제시되고 기술되는 예시적인 합성 반응식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 및 시약은 일반적으로 시판하는 공급업체, 예를 들어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Aldrich Chemical Co.)에서 구입할 수 있거나, 문헌([Fieser and Fieser,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Wiley & Sons, New York, 1991, Volumes 1-15], [Rodd,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89, Volumes 1-5 및 부록] 및 [Organic Reactions, Wiley & Sons, New York, 1991, Volumes 1-40])에 제시된 과정에 따라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하기 합성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시킬 수 있는 일부 방법의 단순한 예시이고, 이들 반응식을 다양하게 개질시킬 수 있으며, 본원에 개시된 내용과 관련된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들 반응식이 다양하게 개질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합성 반응식의 출발 물질 및 중간체는 경우에 따라 여과, 증류,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포함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 통상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단리 및 정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물리적 상수 및 스펙트럼 데이터를 포함한 통상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특성화될 수 있다.
상반되게 명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술된 반응은 대기압하에서 약 -78 내지 약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125℃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실온(상온), 예를 들어 약 2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기술된 과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A
일반적으로 반응식 A는 X, Y, Z, R1, R2, R3, p, m 및 n이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환원성 아민화 조건하에서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와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을 커플링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환원 조건은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티탄 이소프로폭사이드 및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수소 및 금속 촉매, 및 수소 전달제, 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센, 포름산 및 그의 염, 아연 및 염산, 포름산, 또는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이후 포름산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응에 적합한 불활성 유기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알콜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은 1,2-디클로로-에탄 중의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여 염기성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환원성 아민화 과정은 화학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J. Org. Chem.1996, 61, 3849] 및 문헌[Tetrahedron Letters1996, 37, 3977]에는 각종 아민을 사용한 알데히드의 환원성 아민화를 위한 시약으로서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J. Am. Chem. Soc.1971, 93, 2897] 및 문헌[Org. Synth. Coll.1988, 6, 499]에는 카보닐 화합물의 환원성 아민화를 위한 시약으로서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반응식 A의 통상적인 출발 물질은 시판중이거나,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숙련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 물질인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는 하기 반응식 (1),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1)
X, Y, Z, m 및 n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는 염기성 조건하에서 화학식 a의 화합물의 아미도기를 화학식 L(CH2)nCH=CH2[여기서, L은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또는 메탄설포닐옥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이다]의 알킬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b의 화합물을 수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알킬화 반응 후 화학식 b의 화합물의 말단 알켄기를 알데히드기로 산화/절단시켜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를 수득한다. 알켄의 알데히드로의 산화/절단에 사용되는 각종 산화제가 화학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J. Org. Chem.1956, 21, 478]에는 사산화오스뮴 및 (메타)과요오드산나트륨을 이용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문헌[Syn. Comm.1982, 12, 1063]에는 과망간산칼륨 및 (메타)과요오드산나트륨을 이용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문헌[J. Org. Chem.1987, 52, 3698]에는 과망간산칼륨 및 실리카겔을 이용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문헌[Chem. Rev.1958, 58, 925]에는 오존을 이용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문헌[J. Org. Chem.1986, 51, 3213]에는 과망간산칼륨만을 이용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문헌[J. Org. Chem.1987, 52, 2875]에는 (메타)과요오드산나트륨 및 촉매성 루테늄을 이용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은 사산화오스뮴 및 (메타)과요오드산나트륨 또는 오존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반응식 (2)
다르게는, X, Y, Z, m 및 n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는 화학식 a의 화합물의 자유 아민기를 화학식 L(CH2)nC(OR)2[여기서, R은 저급 알킬이고, L은 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브로모이다]의 알킬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c의 화합물을 수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알킬화 반응 후 화학식 c의 화합물의 아세탈기를 산성 조건하에서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를 수득한다.
반응식 (3)
다르게는, X, Y, Z, m 및 n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는 R이 저급 알킬인 화학식 d의 아미노아세탈을 화학식 L(CH2)nCOL', L(CH2)nOCOL' 또는 L(CH2)nN=C=O[여기서, L'은 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이다]의 아실화제와 같은 적합한 아실화제로 처리하여 화학식 e의 화합물을 수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아실화 반응 후 화학식 e의 화합물의 내부 N-알킬화를 수행하고, 후속적으로 화학식 f의 아세탈기를 가수분해하여 화학식 1의 카복스알데히드를 수득한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은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4)
R1, R2및 R3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은 화학식 g의 벤조사이클릴온을 환원성 아민화 조건하에서 화학식 R3NH2의 1급 아민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의 다양한 합성방법이 화학 문헌, 예를 들어 문헌[J. Med. Chem. 1980, 23, 745-749]; 문헌[J. Med. Chem.1981, 24, 429-434]; 문헌[J. Med. Chem.1989, 32, 2128-2134]; 문헌[J. Org. Chem.1996, 61, 3849-3862] 및 문헌[Bioorg. Med. Chem. Lett.1997, 15, 1995-1998]에 기술되어 있다.
반응식 B
반응식 B는 특히 X가 >N-R4, -O- 또는 -S-이고, Y 및 Z가 각각 -CH2-이고, R1, R2, R3, R4, p, m 및 n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반응식 A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반응식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b의 카복스알데히드를 환원성 아민화 조건하에서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B의 화합물의 제조예가 실시예 1에 기술된다.
반응식 C
반응식 C는 특히 X 및 Z가 각각 -CH2-이고, Y가 >N-R4, -O- 또는 -S-이고, R1, R2, R3, R4, p, m 및 n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화학식 ICa, ICb 또는 ICc의 화합물은 반응식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Y가 -O- 또는 -S-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c의 카복스알데히드를 환원성 아민화 조건하에서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Y가 >N-R4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P가 적합한 질소-보호기인 화학식 1d의 질소 보호된 카복스알데히드를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과 커플링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후 산성 조건하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질소-보호기를 제거하여 Y가 >NH인 화학식 ICa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Y가 >N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과정에 의해 적합한 알킬화제, 아실화제 또는 설포닐화제와 반응시켜, Y가 >N-R4[여기서, R4는 H 이외의 것이다]인 화학식 ICb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Ca, ICb 또는 ICc의 화합물의 제조예가 실시예 2, 3 및 4에 제시된다.
반응식 D
반응식 D는 특히 X 및 Y가 각각 -CH2-이고, Z가 >N-R4, -O- 또는 -S-이고, R1, R2, R3, R4, p, m 및 n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화학식 IDa, IDb 또는 IDc의 화합물은 반응식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Z가 -O- 또는 -S-인 화학식 IDc의 화합물은 화학식 1e의 카복스알데히드를 반응식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Z가 >N-R4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P가 적합한 질소-보호기인 화학식 1f의 아미노 보호된 카복스알데히드를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2의 벤조사이클릴아민과 커플링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후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질소-보호기를 산성 조건하에서 제거하여 Z가 >NH인 화학식 IDa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임의로 화학식 IDa의 화합물을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과정에 의해 적합한 알킬화제, 아실화제 또는 설포닐화제와 반응시켜 Z가 >NR4[여기서, R4는 H 이외의 것이다]인 화학식 IDb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Da, IDb 또는 IDc의 화합물의 제조예가 실시예 5, 6 및 7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이다.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은 부적합한 평활근 기능과 관련된 여러 질병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왔다. 최근까지, 이러한 화합물은 대부분 다양한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에 대해 비선택성이어서, 구내 건조, 변비, 흐린 시력 또는 빈맥과 같은 불쾌한 항콜린성 부작용을 유발시키며, 이러한 부작용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타액선에서 무스카린성 수용체 차단으로부터 나타나는 구내 건조이다. 최근 개발된 M2 또는 M3 특이적 길항제는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계론적으로 M2 및 M3 수용체의 M5 수용체에 대한 동시 차단이 평활근 장애와 관련된 질병 상태, 예를 들어 비뇨생식기로 장애, 기도 장애, 위장관 장애 및 평활근 장애의 치료에 치료 효과적일 수 있음을 증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가능한 비뇨생식기로 장애로는 구체적으로 과활동성 방광 또는 방광근 활동항진, 및 그의 증상, 예를 들어 긴급성, 빈발성, 감소된 방광 용량, 실금 경험 등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는 변화; 방광 용량, 배뇨 역치, 불안정한 방광 수축, 괄약근 경련 등과 같은 요역동학적으로 나타나는 변화; 및 배출로 폐색, 배출로 결함, 골반 과민증 등과 같은 조건, 또는 배뇨근 불안정성과 같은 특발성 조건에서의 배뇨근 과반사(신경인성 방광)로 보통 나타나는 증상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가능한 위장관 장애로는 구체적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 게실성 질환(diverticular disease), 이완불능증, 위장 과운동 장애(gastrointestinal hypermotility) 및 설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가능한 기도 장애로는 구체적으로 만성 폐색성 폐질환, 천식 및 폐섬유증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거나 다른 치료학적 용도가 예를 들어 문헌[굿맨 앤드 길맨(Goodman & Gilman)의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 9판, McGraw-Hill, New York 1996, Chapter 26, 601-616] 및 문헌[콜맨(Coleman, R. A.)의Pharmacological Reviews1994, 46, 205-229]에 기술되어 있다.
시험 화합물의 무스카린성 수용체 친화도는 재조합 인간 무스카린성 수용체(M1-M5)를 발현하는 중국산 햄스터의 난소 세포로부터 제조된 세포막을 이용하는 시험관내 수용체 결합 검정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5에서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시험 화합물의 무스카린성 길항제 특성은 마취된 래트의 무스카린성 수용체 조정된 타액 분비에 대한 억제 활성을 결정하는 생체내 검정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6 옥소트레모린/필로카핀-유도된 타액분비(OIS/PIS) 모델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시험 화합물의 무스카린성 길항제 특성은 마취된 래트의 무스카린성 수용체 조정된 방광 수축에 대한 억제 활성을 결정하는 생체내 검정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7 체적 유도된 수축 억제 검정법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시험 화합물의 무스카린성 길항제 특성은 마취된 개의 무스카린성 수용체 조정된 방광 수축 및 타액 분비에 대한 억제 활성을 결정하는 생체내 검정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8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 그의 개별적인 이성질체, 이성질체들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비라세미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과 함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임의로 기타 치료 및/또는 예방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사한 유용성을 제공하는 약제에 대해 허용되는 임의의 투여 방식에 의해 치료학적 효과량으로 투여될 것이다. 적합한 투여량의 범위는 치료되는 질병의 위중성, 대상의 연령 및 상대적인 건강상태, 사용된 화합물의 효능, 투여 경로 및 형태, 투여방법에 대한 지시사항, 및 의사의 선호도 및 경험과 같은 수많은 요인에 따라, 1일 1 내지 500mg, 바람직하게는 1 내지100mg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mg이다.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라면 부적절한 실험을 하지 않고서도 개인의 지식 및 본원의 개시내용에 따라 특정 질병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학적 효과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협측 및 설하 투여를 포함함), 직장내, 비강내, 국소, 폐내, 질내 또는 비경구(근육내, 동맥내, 경막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를 포함함) 투여에 적합한 형태, 또는 흡입 또는 주입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형태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으로서 투여될 것이다. 투여의 바람직한 방식은 통증의 정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알맞은 1일 투여 처방을 사용하는 경구 투여법이다.
하나 이상의 통상의 보조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 조성물 및 단위 투여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 및 단위 투여 형태는 추가의 활성 화합물 또는 원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통상 성분을 통상 비율로 포함할 수 있고, 단위 투여 형태는 사용되는 의도된 1일 투여량 범위와 유사한 활성 성분의 임의의 적합한 효과량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으로 정제 또는 충전된 캡슐과 같은 고형물, 반고형물, 분말, 지효성 제형, 또는 용액, 현탁액, 유화액 또는 엘릭시르(elixir)와 같은 액체로서 사용되거나; 직장내 또는 질내 투여용으로 좌약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비경구용으로 멸균성 주사 용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알의 정제당 약 1mg의 활성 성분 또는 더욱 광범위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0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제형이 적합한 대표적인 단위 투여 형태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고형의 제제는 분말, 정제, 환제, 캡슐, 카셰, 좌약 및 분산성 과립을 포함한다. 고형 담체는 희석제, 풍미제, 가용화제, 윤활제, 현탁제, 결합제, 방부제, 정제 붕해제 또는 캡슐화 물질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분말에서, 담체는 일반적으로 미분된 활성 성분과의 혼합물인 미분된 고형물이다. 정제에서,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필수 결합능을 갖는 담체와 적합한 비율로 혼합되고, 목적하는 형상 및 크기로 압착된다. 분말 및 정제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화합물을 약 1 내지 약 70% 함유한다. 적합한 담체로는 탄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석, 당, 락토즈, 펙틴, 덱스트린, 전분, 젤라틴, 트래거캔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저용융 왁스, 코코아 버터 등이 포함되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제제"라는 용어는, 담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활성 성분이 캡슐화 물질과 관련된 담체에 의해 둘러싸인 캡슐을 제공하는, 담체로서 캡슐화 물질을 갖는 활성 화합물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카셰 및 로젠지(lozenge)가 포함된다. 정제, 분말, 캡슐, 환제, 카셰 및 로젠지는 고체 형태로서 경구 투여에 적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적합한 기타 형태로는 유화액, 시럽, 엘릭시르, 수용액, 수성 현탁액을 포함하는 액형 제제, 또는 사용 바로 전에 액형 제제로 전환되는 고형 제제가 포함된다. 유화액은 프로필렌 글리콜 수용액중의 용액으로 제조되거나, 레시틴,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또는 아카시아와 같은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용액은 수중에 활성 성분을 용해시키고 적합한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천연 또는 합성 검, 수지,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기타 공지된 현탁제와 같은 점성 물질을 사용하여 수중에 미분된 활성 성분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용액, 현탁액 및 유화액을 포함하고, 활성 성분 이외에,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완충제, 인공 및 천연 감미제, 분산제, 증점제, 가용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경구 투여용으로(예를 들어, 일시 주사 또는 연속식 주입과 같은 주사에 의해) 제형화되고, 첨가된 방부제와 함께 앰플, 예비-충전된 주사기, 소량의 주입 또는 다중투여용 용기중에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현탁액, 용액, 또는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중의 유화액, 예를 들어 수성 폴리에틸렌 글리콜중의 용액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유성 또는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또는 비히클의 예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유(예: 올리브유) 및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테르(예: 에틸 올리에이트)가 포함되고,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르게는, 활성 성분은 사용 전 발열물질이 없는 무균성 물과 같은 적합한 비히클로 구성되는, 멸균성 고형물의 무균성 단리에 의해 수득된 분말 형태이거나, 용액으로부터 동결건조시켜 수득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연고, 크림 또는 로션으로서, 또는 경피 패치(patch)로서 표피에 대한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연고 및 크림은, 예를 들어 적합한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를 첨가하여 수성 또는 유성 기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로션은 수성 또는 유성 기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화제, 안정화제, 분산제, 현탁제, 증점제 또는 착색제도 함유할 것이다. 구강으로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으로는 풍미화된 기제, 통상 수크로즈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중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로젠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즈 및 아카시아와 같은 불활성 기제중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향정; 및 적합한 액체 담체중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함수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좌약으로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또는 코코아 버터의 혼합물과 같은 저용융 왁스를 먼저 용융시키고, 활성 성분을 예를 들어 교반에 의해 균질하게 분산시킨다. 이어서, 상기 용융된 균질한 혼합물을 알맞은 크기의 주형에 붓고, 냉각시켜 고형화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 투여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용액 또는 현탁액은 통상의 수단, 예를 들어 적하기(dropper), 피펫(pipette) 또는 스프레이로 비강에 직접 투여된다. 상기 제형들은 단일투여 또는 다중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적하기 또는 피펫의 다중투여 형태는 적합한 소정 체적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스프레이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칭량용 분무 스프레이 펌프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내 투여를 포함하여 특히 기도에 에어로졸(aerosol)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약 5㎛ 이하의 작은 입경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입경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미세화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예: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또는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기타 적합한 기체와 같은 적합한 추진제로 가압된 팩(pack)으로 제공된다. 에어로졸은 또한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알맞게 함유할 수 있다. 약물의 투여량은 칭량된 밸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활성 성분은 건조한 분말, 예를 들어 락토즈, 전분, 전분 유도체(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PVP)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중의 화합물의 분말 혼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분말 담체는 비강중에 겔을 형성할 것이다. 분말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 예를 들어 분말이 흡입기를 통해 투여될 수 있는 젤라틴 또는 블리스터(blister) 팩의 캡슐 또는 카트리지(cartridge)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피 또는 피하 약물 전달 기구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 체계는 화합물의 지효성이 필요한 경우 및 치료 섭생에 따른 환자에게는 곤란한 경우 유용하다. 경피 전달 체계에서 화합물은 종종 피부-접착 고형 지지체에 부착된다. 흥미있는 화합물은 침투 증강제, 예를 들어 아존(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과 조합될 수도 있다. 지효성 전달 체계는 수술 또는 주사에 의해 피하층으로 피하 삽입된다. 피하 이식물은 지용성 멤브레인(예: 실리콘 고무) 또는 생분해성 중합체(예: 폴리락트산)로 화합물을 캡슐화시킨다.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단위 투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서, 제제는 적절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량으로 나뉜다. 단위 투여 형태는 패키지화된(packaged) 제제일 수 있고, 상기 패키지는 패킷화된(packeted) 정제, 캡슐, 및 바이얼(vial) 또는 앰플중의 분말과 같은 분리된 양의 제제를 함유한다. 또한, 단위 투여 형태는 캡슐, 정제, 카셰 또는 로젠지 단독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적절한 수를 포함하는 패키지화된 형태일 수 있다.
기타 적합한 약학 담체 및 그들의 제형은 문헌[Remington,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1995, edited by E.W. Martin, Mack Publishing Company, 19판,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제형의 대표예는 실시예 9 내지 15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 그의 개별적인 이성질체, 이성질체들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비라세미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6)-알킬, -OR', -SR', -NR'R", -SOR', -SO2R', -COOR', -OCOR', -OCONR'R", -OSO2R', -OSO2NR'R", -NR'SO2R", -NR'COR", -SO2NR'R", -SO2(CH2)1-3CONR'R", -CONR'R", 시아노, 할로겐알킬 또는 니트로이고;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치환된 (C1-6)-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1-3)-알킬, 헤테로사이클릴-(C1-3)-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거나, R' 및 R"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와 함께 5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고, 임의적으로는 N, O 또는 S(O)0-2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추가의 고리 헤테로원자가 상기 5 내지 7원 고리에 혼입될 수 있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케닐, (C1-6)-알키닐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고;
X, Y 또는 Z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4이고 나머지 둘은 -CH2-이고;
R4는 수소, (C1-6)-알킬, 할로겐알킬, 아릴-(C1-6)-알킬, 헤테로아릴-(C1-6)-알킬, -(C1-6)-CR'R'R', -COOR', -SO2R', -C(O)R', -SO2(CH2)0-3NR'R", -CONR'R" 또는 -PO(OR')2이고, 여기서 R' 및 R"은 상기 정의된 바와 동일하고;
p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고 대표하여 나타내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제조예 1(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
4-(5-옥소-[1,4]옥사제판-4-일)-부티르알데히드
디메틸포름아미드(50㎖) 중의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9g, 37.5mmol)의 교반된 현탁액에 1,4-옥사제판-2-온(30m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5-브로모-1-펜텐(5.03g, 33.7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오일로서 1-펜트-4-에닐-옥사제판-2-온(5.5g)을 수득하였다.
사산화오스뮴(17mg, 0.07mmol)을, 상온 수욕 냉각하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 및 물(50㎖)의 혼합물 중의 1-펜트-4-에닐-옥사제판-2-온(5.5g, 28.3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시키고, 고형 과요오드산나트륨(15.11g, 70.65mmol)을 15분에 걸쳐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고형 염화나트륨으로 포화시키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클로로포름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4-(2-옥소-옥사제판-1-일)-부티르알데히드(4.6g)를 수득하였다.
유사하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나, 임의로 1,4-옥사제판-2-온을 화학식 a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5-브로모-1-펜텐을 화학식 L(CH2)n-CH=CH2[여기서, L은 할로겐과 같은 이탈기이다]의 다른 적합한 알킬화제로 대체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화학식 1의 추가의 화합물, 예를 들어 5-옥소-4-(4-옥소부틸)-[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화학식 1의 화합물의 다른 제조예)
5-옥소-4-(4-옥소부틸)-[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6㎖) 중의 광유(0.2g, 5mmol) 중의 60% 나트륨 하이드라이드의 현탁액에 5-옥소-[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1.0g, 4.67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5분 동안 가온시킨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가온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4-브로모부티르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0.99g, 5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켰다. 클로로포름 중의 2% 메탄올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중질 시럽으로서 4-(4,4-디메톡시부틸)-5-옥소-[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0.8g)를 수득하였다. NMR: (클로로포름-d) δppm) 1.49, s, (9H); 2.64, m, 3H; 3.32, s, (3H); 4.37, m, (1H).
물 0.5㎖를 함유하는 빙초산(10㎖) 중의 4-(4,4-디메톡시부틸)-5-옥소-[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3g, 9.08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액을 감압하에 35℃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과 디에틸 에테르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디에틸에테르/헥산으로부터 잔류물을 재결정하여 5-옥소-4-(4-옥소부틸)-[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0.85g)를 수득하였다. m.p. 86 내지 87℃.
제조예 3(화학식 1의 화합물의 다른 제조예)
4-(2-옥소-[1,3]옥사조칸-3-일)-부티르알데히드
톨루엔(31㎖, 60mmol) 중의 1.93M 포스겐의 얼음같이 찬 용액에 톨루엔(40㎖) 중의 5-클로로-1-펜탄올(4.9g, 40mmol) 및 N,N-디에틸-아닐린(5.97g, 40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취하고, 여과시키고,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60㎖) 중의 4-아미노부티르알데히드 디에틸아세탈(7.09g, 44mmol) 및 트리에틸아민(4.45g, 44mmol)의 얼음같이 찬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헥산 중의 1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오일로서 (4,4-디에톡시부틸)카밤산 5-클로로-펜틸 에스테르(11.4g)를 수득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100㎖)에 용해된 (4,4-디에톡시부틸)카밤산 5-클로로-펜틸 에스테르(11.4g, 44mmol)의 용액에 탈오일화된 나트륨 하이드라이드(1.01g, 42.3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을 첨가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점성 오일로서 3-(4,4-디에톡시부틸)-[1,3]옥사조칸-2-온(2.03g)을 수득하였다.
3% 수성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 중의 3-(4,4-디에톡시부틸)-[1,3]옥사조칸-2-온(2g, 7.3mmol)과 다웩스(Dowex) 50W2-200 이온 교환 수지 1.5g의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고형화된 점성 오일로서 4-(2-옥소-[1,3]옥사조칸-3-일)-부티르알데히드(1.45g)를 수득하였다.
3-(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일)-프로피온알데히드
디에틸 에테르(35㎖) 중의 3-아미노프로피온알데히드 디에틸아세탈(5.88g, 40mmol)의 교반된 얼음처럼 찬 용액에 3-클로로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4.78g, 40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40㎖)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탈오일화된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96g, 40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40㎖)에 취하고,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10:9.7:0.3)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오일로서 1-(3,3-디에톡시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온(9.05g)을 수득하였다.
3% 수성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 중의 1-(3,3-디에톡시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온(1g, 4.35mmol) 및 다웩스 50W2-200 이온 교환 수지 1.0g의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30㎖)에 용해시키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3-(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일)-프로피온알데히드(0.46g)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4(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예)
(R 1 및 R 2 는 H이고, R 3 은 프로필이고, p는 2이다)
프로필-(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아민
1,2-디클로로에탄(250㎖) 중의 3,4-디하이드로-1-H-나프탈렌-2-온(5g, 34mmol)의 용액에 프로필 아민(2.8㎖, 34mmol)을 첨가한 후,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22g, 102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질소하에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 고형물을 1M 수산화나트륨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켰다. 여액을 에테르 중의 1M HCl로 산성화시키고, 연한 분홍색 침전물로서 프로필-(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아민을 6.3g 수거하였다.
실시예 1
(반응식 B에 나타낸 화학식 IB의 화합물의 제조)
3-{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9)
불활성 분위기하의 1,2-디클로로에탄(150㎖) 중의 7-메톡시-3,4-디하이드로-1-H-나프탈렌-2-온(5.0g, 28.4mmol) 및 프로필아민(2.8㎖, 34mmol, 1.2당량)의 용액에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5g, 71mmol, 2.5당량)를 단일부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 수성 KOH(150㎖)와 에틸 아세테이트(75㎖)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물질을 디에틸 에테르(100㎖)에 용해시키고, 에테르(28.4㎖) 중의 1M HCl로 처리하였다. 고형물을 수거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을 6.23g 수득하였다.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약 13㎎, 50μmol)에, 1,2-디클로로에탄 중의 4-(2-옥소-[1,3]옥사지난-3-일)-부티르알데히드(1,2-디클로로에탄 중의 0.125M),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EA) 30㎕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0.25M 슬러리 300㎕의 용액 440㎕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2% NaOH 2㎖로 켄칭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0.5㎖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함께 후처리(workup) 플라스크에 이송시켰다. 유기상을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9)을 수득하였다. MS: 375([M+H]+)
유사하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지만, 임의로 4-(2-옥소-[1,3]옥사지난-3-일)-부티르알데히드를 화학식 1b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을 화학식 2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X가 -O-인 화학식 I의 추가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3-{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20, MS: 389([M+H]+));
3-{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28, MS: 419([M+H]+));
3-{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29, MS: 405([M+H]+));
3-{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조칸-2-온(화합물 31, MS: 403([M+H]+));
3-{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57, MS: 381([M+H]+));
3-{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58, MS: 395([M+H]+));
3-{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조칸-2-온(화합물 60, MS: 409([M+H]+));
3-{4-[(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69, MS: 404([M+H]+));
3-{4-[(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70, MS: 390([M+H]+));
3-{4-[(7-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18, MS: 389([M+H]+));
3-{4-[(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145, MS: 403([M+H]+));
3-{4-[(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47, MS: 389([M+H]+));
3-{4-[(6-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61, MS: 425([M+H]+));
3-{4-[(6-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162, MS: 439([M+H]+)); 또는
3-{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174, MS: 419([M+H]+)).
실시예 2
(반응식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ICa의 화합물의 제조)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3)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500㎎, 2mmol, 1당량) 및 트리에틸아민(0.3㎖, 2.2mmol, 1.1당량)의 1,2-디클로로에탄(20㎖) 중의 용액에 불활성 분위하에서, 3-옥소-4-(4-옥소-부틸)-[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550㎎, 2mmol, 1당량)을 단일부로 첨가한 후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650㎎, 3mmol, 1.5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10% KOH(40㎖)와 에틸 아세테이트(75㎖)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를 858㎎ 수득하였다.
염화메틸렌(25㎖) 중의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858㎎, 1.64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을 단일부로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 건조시키고, 물에 용해시키고, 15% 수성 KOH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자유 염기(682㎎, 1.7mmol)를 디에틸 에테르(30㎖)에 취하고, 1M HCl/에테르(3.4㎖)로 처리하였다. 고형물을 수거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서 생성물(화합물 3)(767㎎, 98%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374([M+H]+)
유사하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지만, 임의로 3-옥소-4-(4-옥소부틸)-[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를 화학식 1d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을 화학식 2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Y가 >NH인 화학식 I의 추가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4-[(6-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 MS: 388([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2, MS: 374([M+H]+));
1-{4-[에틸-(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5, MS: 374([M+H]+));
1-{3-[(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1,4]디아제판-2-온(화합물 23, MS: 374([M+H]+));
1-{4-[(7-메탄설포닐-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25, MS: 418([M+H]+));
1-{4-[(7-이소프로폭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36, MS: 402([M+H]+));
1-{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54, MS: 480([M+H]+));
1-{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63, MS: 394([M+H]+));
1-{4-[(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72, MS: 403([M+H]+));
1-{3-[(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1,4]디아제판-2-온(화합물 74, MS: 389([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89, MS: 374([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91, MS: 374([M+H]+));
1-{4-[(R)-(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92, MS: 388([M+H]+));
1-{4-[(S)-(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93, MS: 388([M+H]+));
1-{4-[(7-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11, MS: 388([M+H]+));
1-{4-[(7-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12, MS: 402([M+H]+));
1-{4-[(6-이소프로폭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14, MS: 402([M+H]+));
1-{4-[(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48, MS: 388([M+H]+));
1-{5-[(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54, MS: 418([M+H]+));
1-{5-[(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55, MS: 432([M+H]+));
1-{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56, MS: 418([M+H]+));
1-{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66, MS: 404([M+H]+));
1-{4-[(7-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71, MS: 436([M+H]+)); 또는
1-{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73, MS: 418([M+H]+)).
실시예 3
(반응식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ICb의 화합물의 다른 제조)
4-(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64)
불활성 분위기하에 염화메틸렌(10㎖) 중의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0㎎, 0.3mmol) 및 트리에틸아민(0.2㎖, 1.3mmol)에 2-클로로에탄 설포닐 클로라이드(0.03㎖, 0.3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2% 탄산나트륨으로 켄칭시켰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1,4]디아제판-1-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불활성 분위기하에 염화메틸렌(15㎖) 중의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1,4]디아제판-1-설포닐 클로라이드(0.3mmol) 및 트리에틸아민(0.1㎖, 0.6mmol)에 THF(0.17㎖, 0.34mmol) 중의 2M 디메틸 아민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 오일을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을 수득하여 이를 디에틸 에테르(10㎖)에 취하고, 에테르 중의 1M HCl로 처리하였다. 고형물을 수거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서 4-(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83㎎)을 수득하였다. MS: 523([M+H]+)
유사하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지만, 임의로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을 화학식 ICa의 다른 자유 아민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2-클로로에탄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다른 적합한 아실화제, 알킬화제 또는 설포닐화제로 대체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Y가 >N-R4인 화학식 ICb의 추가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4-(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1-{4-[(6-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2, MS: 523([M+H]+));
4-(4-플루오로-벤조일)-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21, MS: 496([M+H]+));
4-(2,2-디메틸-프로피오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22, MS: 458([M+H]+));
4-이소부티릴-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23, MS: 444([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4-(티오펜-2-카보닐)-피페라진-2-온(화합물 124, MS: 484([M+H]+));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피페라진-1-카복실산 디에틸아미드(화합물 125, MS: 473([M+H]+));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피페라진-1-카복실산 디메틸아미드(화합물 126, MS: 445([M+H]+));
4-아세틸-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27, MS: 416([M+H]+));
4-(3,5-디메틸-이속사졸-4-카보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28, MS: 497([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4-(티오펜-2-설포닐)-피페라진-2-온(화합물 129, MS: 520([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4-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피페라진-2-온(화합물 130, MS: 506([M+H]+));
4-벤젠설포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31, MS: 514([M+H]+));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피페라진-1-설폰산 디메틸아미드(화합물 132, MS: 481([M+H]+));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피페라진-1-카복실산 페닐아미드(화합물 133, MS: 493([M+H]+));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피페라진-1-카복실산 3급-부틸아미드(화합물 134, MS: 473([M+H]+));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3-옥소-피페라진-1-카복실산 메틸아미드(화합물 135, MS: 431([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4-티오펜-2-일메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36, MS: 470([M+H]+));
4-에틸-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37, MS: 470([M+H]+));
4-(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메틸)-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38, MS: 549([M+H]+)); 또는
4-메탄설포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39, MS: 452([M+H]+)).
실시예 4
(반응식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ICc의 화합물의 제조)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3-온(화합물 17)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은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약 13㎎, 50μmol)에, 1,2-디클로로-에탄 중의 4-(2-옥소-[1,4]옥사제판-4-일)-부티르알데히드(1,2-디클로로에탄 중의 0.125M),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EA) 30㎕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0.25M 슬러리 300㎕의 용액 440㎕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2% NaOH 2㎖로 켄칭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0.5㎖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함께 후처리 플라스크에 이송시켰다. 유기상을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3-온(화합물 17)을 수득하였다. MS: 389([M+H]+)
유사하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지만, 임의로 4-(2-옥소-[1,4]옥사제판-4-일)-부티르알데히드를 화학식 1c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을 화학식 2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Y가 -O-인 화학식 ICc의 추가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4-{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27, MS: 419([M+H]+));
4-{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3-온(화합물 55, MS: 395([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4-(모르폴린-4-카보닐)-피페라진-2-온(화합물 120, MS: 487([M+H]+)); 또는
4-{4-[(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3-온(화합물 144, MS: 403([M+H]+)).
실시예 5
(반응식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IDa의 화합물의 제조)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5)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800㎎, 3.3mmol, 1당량)의 1,2-디클로로에탄(40㎖) 중의 용액에 불활성 분위하에서 5-옥소-4-(4-옥소-부틸)-[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1.0g, 3.6mmol, 1.1당량)를 단일부로 첨가한 후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1.7g, 8.25mmol, 2.5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10% KOH(50㎖)와 에틸 아세테이트(100㎖)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5-옥소-[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를 1.1g 수득하였다.
염화메틸렌(15㎖) 중의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5-옥소-[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800㎎, 1.64mmol)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을 단일부로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 건조시키고, 물(40㎖)에 용해시키고, 15% 수성 KOH(20㎖)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자유 염기(636㎎, 1.64mmol)를 디에틸 에테르(30㎖)에 취하고, 에테르 중의 1M HCl(3.3㎖)로 처리하였다. 고형물을 수거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5)을 732㎎ 수득하였다. MS: 374([M+H]+)
유사하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지만, 임의로 5-옥소-4-(4-옥소부틸)-[1,4]디아제판-1-카복실산 3급-부틸 에스테르를 화학식 1f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을 화학식 2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Z가 >NH인 화학식 IDa의 추가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4-{4-[(6-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4, MS: 388([M+H]+));
N-(2-(에틸-[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아미노}-인단-5-일)-4-메탄설포닐-벤즈아미드(화합물 7, MS: 388([M+H]+));
4-(4-{프로필-[6-(티아졸-2-설포닐)-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8, MS: 505([M+H]+);
4-{4-[에틸-(5-메톡시-인단-2-일)-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9, MS: 360([M+H]+);
4-{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0, MS: 418([M+H]+);
4-[4-(에틸-인단-2-일-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1, MS: 330([M+H]+);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피페라진-2-온(화합물 13, MS: 374([M+H]+);
4-{4-[에틸-(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6, MS: 374([M+H]+);
4-{4-[(7-이소프로폭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22, MS: 416([M+H]+);
메탄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38, MS: 452([M+H]+);
에탄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39, MS: 466([M+H]+);
프로판-1-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0, MS: 480([M+H]+);
프로판-2-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1, MS: 480([M+H]+);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2, MS: 506([M+H]+);
벤젠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3, MS: 514([M+H]+);
티오펜-2-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4, MS: 520([M+H]+);
페닐-메탄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5, MS: 528([M+H]+);
3,5-디메틸-이속사졸-4-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6, MS: 533([M+H]+);
4-메톡시-벤젠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7, MS: 544([M+H]+);
4-클로로-벤젠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8, MS: 548([M+H]+);
4-클로로-벤젠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9, MS: 548([M+H]+);
3-클로로-벤젠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50, MS: 548([M+H]+);
디메틸-설팜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51, MS: 481([M+H]+);
피롤리딘-1-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52, MS: 507([M+H]+);
4-{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61, MS: 494([M+H]+);
4-{4-[(7-하이드록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65, MS: 374([M+H]+);
1-메틸-1H-이미다졸-4-설폰산-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66, MS: 518([M+H]+);
4-{4-[(7-페녹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67, MS: 450([M+H]+);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4-[(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71, MS: 403([M+H]+);
4-{5-[(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73, MS: 417([M+H]+);
4-{4-[(7-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75, MS: 402([M+H]+);
N-(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피온아미드(화합물 76, MS: 429([M+H]+);
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아미드(화합물 77, MS: 441([M+H]+);
N-(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이소부티르아미드(화합물 78, MS: 443([M+H]+);
2,2-디메틸-N-(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피온아미드(화합물 79, MS: 457([M+H]+);
3,3-디메틸-N-(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부티르아미드(화합물 80, MS: 457([M+H]+);
피롤리딘-1-설폰산(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아미드(화합물 81, MS: 506([M+H]+);
4-(4-{[7-(2,2-디메틸-프로필아미노)-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82, MS: 443([M+H]+);
4-{4-[(7-사이클로헥실아미노-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83, MS: 455([M+H]+);
1-이소프로필-3-(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우레아(화합물 84, MS: 458([M+H]+);
1-3급-부틸-3-(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우레아(화합물 85, MS: 472([M+H]+);
1-벤조일-3-(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우레아(화합물 86, MS: 520([M+H]+);
4-{4-[(S)-(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87, MS: 388([M+H]+);
4-{5-[(R)-(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88, MS: 402([M+H]+);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90, MS: 388([M+H]+);
에탄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94, MS: 466([M+H]+);
프로판-2-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95, MS: 466([M+H]+);
벤젠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96, MS: 514([M+H]+);
페닐-메탄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97, MS: 528([M+H]+);
4-메톡시-벤젠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98, MS: 544([M+H]+);
2-클로로-벤젠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99, MS: 548([M+H]+);
피롤리딘-1-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0, MS: 507([M+H]+);
메탄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1, MS: 452([M+H]+);
프로판-1-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2, MS: 480([M+H]+);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3, MS: 506([M+H]+);
1-메틸-1H-이미다졸-4-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4, MS: 518([M+H]+);
티오펜-2-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5, MS: 520([M+H]+);
3,5-디메틸-이속사졸-4-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6, MS: 533([M+H]+);
4-클로로-벤젠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7, MS: 548([M+H]+);
3-클로로-벤젠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8, MS: 548([M+H]+);
디메틸-설팜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09, MS: 548([M+H]+);
4-{4-[(7-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10, MS: 402([M+H]+);
4-{4-[(6-이소프로폭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13, MS: 416([M+H]+);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6-{[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40, MS: 508([M+H]+);
4-{4-[(6-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41, MS: 436([M+H]+);
4-{5-[(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42, MS: 402([M+H]+);
4-{4-[(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50, MS: 402([M+H]+);
4-{5-[(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52, MS: 416([M+H]+);
4-{3-[(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1,4]디아제판-5-온(화합물 153, MS: 388([M+H]+);
4-{5-[(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57, MS: 436([M+H]+);
디메틸-카밤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67, MS: 445([M+H]+);
모르폴린-4-카복실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68, MS: 487([M+H]+);
이소프로필-카밤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69, MS: 459([M+H]+);
프로필-카밤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170, MS: 459([M+H]+); 또는
4-{5-[(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172, MS: 432([M+H]+).
실시예 6
(반응식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IDb의 화합물의 제조)
1-(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24)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732㎎, 1.6mmol) 및 트리에틸아민(0.78㎖, 5.6mmol)의 염화메틸렌(20㎖) 중의 용액에 불활성 분위하에서 2-클로로에탄 설포닐 클로라이드(0.17㎖, 1.6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2% 탄산나트륨으로 켄칭시켰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클로로에틸설폰아미드를 수득하였다.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염화메틸렌(30㎖) 중의 클로로에틸설폰아미드(1.6mmol) 및 트리에틸아민(0.5㎖, 3.6mmol, 2.25당량)에 디메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8㎎, 1.8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 오일을 실리카겔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투명한 오일로서 자유 염기를 수득하였다. 자유 염기(215㎎, 0.41mmol)를 디에틸 에테르에 취하고, 에테르 중의 1M HCl(0.82㎖)로 처리하였다. 고형물을 수거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서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24)을 238㎎ 수득하였다. (M+H)+=523
유사하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지만, 임의로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화학식 IDa의 다른 자유 아민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클로로에틸설폰아미드를 다른 적합한 아실화제, 알킬화제 또는 설포닐화제로 대체하고,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Z가 >N-R4인 화학식 IDa의 추가의 화합물, 예를 들어 1-(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메틸)-4-{4-[(6-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6, MS: 523([M+H]+))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반응식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IDc의 화합물의 제조)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18)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약 13㎎, 50μmol)에 1,2-디클로로에탄 중의 4-(6-옥소-[1,4]옥사제판-4-일)-부티르알데히드(1,2-디클로로에탄 중의 0.125M),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EA) 30㎕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의 0.25M 슬러리 300㎕의 용액 440㎕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2% NaOH 2㎖로 켄칭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0.5㎖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함께 후처리 플라스크로 이송시켰다. 유기상을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8, MS: 375([M+H]+))을 수득하였다.
유사하게, 실시예 7에 기술한 과정을 수행하지만, 임의로 4-(6-옥소-[1,4]디아제판-4-일)-부티르알데히드를 화학식 1e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임의로 (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민을 화학식 2의 다른 적합한 화합물로 대체하고,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개질을 이용함으로써, Z가 -O-인 화학식 IDc의 추가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4-{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26, MS: 419([M+H]+));
4-{4-[(7-이소프로폭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34, MS: 417([M+H]+));
4-{4-[(5,7-디플루오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56, MS: 395([M+H]+));
4-{4-[(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68, MS: 404([M+H]+));
4-{4-[(7-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116, MS: 403([M+H]+));
4-{4-[(6-에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143, MS: 403([M+H]+)); 또는
4-{4-[(6-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5-온(화합물 160, MS: 439([M+H]+)).
실시예 8
경구 투여용 조성물
성분 중량%
활성 성분 20.0%
락토즈 79.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5%
성분들을 혼합하고 각각 약 100㎎을 함유하는 캡슐에 분배시켰다. 하나의 캡슐은 총 1일 투여량에 가깝다.
실시예 9
경구 투여용 조성물
성분 중량%
활성 성분 20.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5%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2.0%
락토즈 76.5%
PVP(폴리비닐피롤리딘) 1.0%
성분들을 조합하고, 메탄올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과립화시켰다. 이어서, 제형을 건조시키고, 적합한 정제화 기계를 사용하여 정제(활성 화합물 약 20㎎ 함유)로 형성시켰다.
실시예 10
경구 투여용 조성물
성분
활성 화합물 1.0g
푸마르산 0.5g
염화나트륨 2.0g
메틸 파라벤 0.15g
프로필 파라벤 0.05g
과립화된 당 25.5g
소르비톨(70% 용액) 12.85g
비검(Veegum) K(반데르빌트 캄파니(Vanderbilt Co.)) 1.0g
풍미제 0.035㎖
착색제 0.5㎎
증류수 100㎖로의 적당량
성분들을 혼합하여 경구 투여용 현탁액을 형성한다.
실시예 11
비경구용 제형(IV)
성분 중량%
활성 성분 0.25g
염화나트륨 등장액을 형성하기 위한 적당량
주사용 물 100㎖
활성 성분을 주사용 물의 일부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충분한 양의 염화나트륨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등장 용액을 형성한다. 상기 용액에 잔여량의 주사용 물을 중량을 고려하여 충전시키고, 0.2㎛의 멤브레인 여과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멸균 조건하에서 포장하였다.
실시예 12
좌약 제형
성분 중량%
활성 성분 1.0%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74.5%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24.5%
성분들을 함께 용융시키고, 증기 욕에서 혼합하고, 총 2.5g 중량 용량의 주형에 부었다.
실시예 13
국소 제형
성분 g
활성 성분 0.2 내지 2
스판(Span) 60 2
트윈(Tween) 60 2
광유 5
와셀린 10
메틸 파라벤 0.15
프로필 파라벤 0.05
BHA(부틸화 하이드록시 아니졸) 0.01
적당량 100
물을 제외한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약 6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약 60℃에서 충분한 양의 물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성분들을 유화시킨 다음, 물을 적당량 약 100g으로 첨가하였다.
실시예 14
비강 분무용 제형
활성 화합물을 약 0.025 내지 0.5% 함유하는 여러 수성 현탁액을 비강 분무용 제형으로서 제조한다. 상기 제형은 임의로 예를 들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덱스트로즈 등과 같은 불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염산을첨가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다. 비강 분무용 제형은, 전형적으로 1회 작용에 대하여 제형 약 50 내지 100㎕를 분출하는 비강 분무 계량 펌프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전형적인 투여 스케줄은 4 내지 12시간 마다 2 내지 4회 분무이다.
실시예 15
방사성 리간드 결합 연구
시험관내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문헌[헤지(Hegde, S.S.) 등의Br. J. Pharmacol., 1997, 120, 1409-1418]에 기술된 방법을 개질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재조합 인간 무스카린성 수용체(m1-m5)를 발현하는 중국산 햄스터의 난소 세포로부터의 세포막을 사용하였다. 최종 체적 0.25㎖의 트리스-크렙스(Tris-Krebs) 완충액 중의 방사성 리간드 [3H]N-메틸 스코폴아민(0.4nM, 비활성 84Ci·mmol-1)을 사용하여 검정을 수행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1μM 아트로핀을 사용하여 정의하였다. 상기 검정법은 섬광 접근성 검정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0개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사용하여 경쟁-치환 곡선을 만들고, 4개 파라미터의 로그 방정식에 맞는 반복적인 곡선에 의해 분석하였다. pIC50값(IC50의 -log 값)을 쳉-프루소프(Cheng-Prusoff) 방정식을 사용하여 pKi 값으로 전환시켰다.
본 발명 화합물중 일부의 예시적인 화합물의 무스카린성 억제 활성(pKi값으로 표현됨)은 다음과 같았다:
화합물 m2 m3 m5
1-{4-[(6-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 7.66 7.06 5.75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3) 8.96 8.54 6.49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5) 8.25 7.69 6.56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옥사제판-3-온(화합물 17) 7.93 7.54 6.29
3-{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8) 8.10 7.69 6.44
3-{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지난-2-온(화합물 19) 8.20 7.56 6.30
벤젠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3) 7.68 7.09 6.31
3,5-디메틸-이속사졸-4-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화합물 46) 8.41 7.87 6.95
4-(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64) 8.66 7.59 6.88
4-{5-[(7-니트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73) 8.28 7.65 6.44
4-{5-[(R)-(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화합물 88) 8.15 7.47 6.23
1-{5-[(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55) 8.05 7.09 5.83
1-{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화합물 156) 8.63 7.58 6.05
3-{4-[(6-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화합물 162) 8.13 7.16 6.18
실시예 16
마취된 래트에서의 옥소트레모린/필로카핀-유도된 타액분비(OIS/PIS) 모델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암컷 래트(찰스-리버(Charles-River, 200 내지 300g)를 우레탄(1.5g/㎏, 피하)으로 마취시키고 기관절개시켰다. 하나의 대퇴 정맥에 약물 투여용 캐뉼러를 삽입하였다. 1시간의 안정화 기간 후, 래트를 메톡트라민(OIS만을 위해)으로 예비처리하여 M2수용체 조정된 서맥을 길항작용시켰다. 각각의 동물에게 비히클 또는 참조 화합물을 단일 투여량으로 정맥내 주사하였다.10분 후, 비히클 또는 옥소트레모린(0.1㎎/㎏, 정맥내)/필로카핀(1㎎/㎏, 정맥내)을 투여한 후 예비칭량한 면 패드를 동물의 구강에 놓았다. 새로운 면 패드를 옥소트레모린/필로키판 투여 5분 후에 놓고, 추가로 5분 동안 타액을 수거하였다. 이어서, 면 패드(5분 및 10분 기간)를 재칭량하여 10분 동안 분비된 타액의 양을 측정하였다.
옥소트레모린/필로카핀으로 처리된 그룹을 모두 하나의 방식의 변화 분석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짝을 이룬 현명한 비교는 두넷(Dunnett)의 시험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등급화된 데이터(논파라메트릭(non-parametric) 기법) 또는 데이터의 실제 수준(파라메트릭 기법)을 변화의 동차성을 시험하는 바틀렛(Bartlett)시험의 결과에 따른 분석법에 적용한다. 비히클/옥소트레모린 그룹 및 비히클/필로카핀 그룹을 등급-합계 시험에 대해 윌콕스(Wilcox)를 사용하여 비히클/비히클 그룹과 비교하였다. 각각의 동물에 대한 전체 10분의 분비 중량에 대해 각각의 화합물의 ID50의 평가치를 수득하였다. S자형 모델은 하기 수학식의 형태이다.
상기 식에서,
ID50은 최대 반응의 1/2을 성취하기 위한 투여량이고,
N은 곡률 파라미터이고,
max는 투여량 반응 곡선에 대한 최대 반응이다.
최소 반응은 모델에서 0으로 고정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검정법에서 활성이었다.
실시예 17
래트에서 체적 유도된 수축 억제
생체내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무스카린성 수용체 억제 활성을, 문헌[헤지 등의Proceedings of the 26th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1996, (August 27th-30th), Abstract 126]에 기술된 방법을 개질 사용하여 래트에서 측정하였다.
스프라그-돌리 암컷 래트를 우레탄으로 마취시키고, 약물의 정맥내 투여, 및 일부의 경우에는 동맥압, 심박수 및 방광내압의 측정을 위하여 기계에 설치하였다. 체적-유도된 방광 수축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과를 별도의 동물 군에서 측정하였다. 체적-유도된 반사 방광 수축을, 방광을 염수로 충진시켜 유도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10분의 주기로 점증적인 방식으로 정맥내 투여하였다. 아트로핀(0.3mg/kg, 정맥내)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연구의 마지막에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검정법에서 활성이었다.
실시예 18
마취된 개의 항무스카린성 활성
생체내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무스카린성 수용체 억제 활성을 문헌[뉴그린(Newgreen, D. T.) 등의J. Urol., 1996, 155(Suppl. 5), 1156]에 기술된 방법을 개질 사용하여 개에서 측정하였다.
암컷 비글(마샬 농장(Marshall Farms), 뉴욕주 노쓰 로즈 소재)을 실험하기전에 18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물은 임의로 먹게하였다. 실험 당일, 개를 마취시키고,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에 유지시켰다(36㎎/㎏, 초기 정맥내, 이어서 5 내지 10㎎/㎏, 유지를 위해 정맥내). 또한, 정맥내 유체를 나머지 실험을 위해 개에게 투여하였다. 하버드 호흡기(Harvard respirator)(모델 613)를 사용하여 기관내 관을 통해 개를 인위적으로 통기시켰다. 약물 투여 및 혈압 측정을 위해 대퇴 정맥 및 하나의 대퇴 동맥 둘다에 캐뉼러를 각각 삽입하였다. 혈압은 구드(Gould) 변환기(모델 P23XL)로 측정하고, 구드 기록기(모델 3400)로 기록하였다. 설하 절개하여 좌측 하악관을 노출시킨 다음, 타액을 예비칭량한 바이알에 수거하기 위해 캐뉼러를 삽입하였다. 좌측 타액선을 하악하 절개를 통해 노출시켰다. 설삭(chorda-lingual) 신경을 단리시키고, 자극을 위해 상기 신경상에 2극성 전극을 위치시켰다. 설삭 신경 자극에 대한 시험 반응을 수득하여 적합한 전극 배치를 확인하였다.
수술 완료 후, 피조스티그민(physostigmine)(180㎍/㎏/hr, 정맥내)(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을 나머지 실험을 위해 주입하였다. 1시간 안정화시킨 후, 2개의 대조 설삭 신경 자극을 12㎐, 10V, 0.5ms 지속시간(그래스(Grass) S48)에서 수행하였다. 설삭 신경을 각각의 세트의 자극들 간에 최소 10분의 간격을 두면서, 20초 및 20분 동안 각각 자극하였다. 2개의 일관된 대조 반응을 수득한 후, 비히클 또는 참조 화합물을 설삭 신경의 각각의 자극 3분 전에 점증적인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일정한 타액분비 반응이 수득될 수 없는 실험은 본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아트로핀(1.0㎎/㎏, 정맥내)을 본 연구의 마지막에 양성 대조군으로서 제공하였다.
평균 동맥 혈압을 심장확장 동맥압+(심장수축 동맥압-심장확장 동맥압)/3으로 계산하였다. 심박수는 압맥박으로부터 유도하였다. 타액을 예비칭량한 바이알에 수거하고, 각각의 수거 후 칭량하여 분비된 타액의 체적을 측정하였다. 타액선 반응 억제를 아트로핀(1㎎/㎏, 정맥내)의 효과의 %로 나타내었다.
ED50 평가
% 최대 억제 타액분비에 대해, 비선형 혼합된 모델을 사용하여 파라미터 평가를 수행하였다. 초기에는 PROC NLIN 및 반복적으로는 PROC MIXED를 사용하여 본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의 S자형 투여량-반응 모델로 가정하였다:
상기 식에서,
반응은 정점에서 방광 수축의 최대 억제율(%)이고,
χ는 log10처리투여량이고,
4개의 파라미터는 log10ED50(μ), 최대 및 최소 반응(Max 및 Min), 및 곡률(σ)이었다.
최소는 0%로 가정하였다. 이 방법은 공분산 구조에 대해 화합물 대칭을 가정하였다. 이는, 동일한 동물로부터의 다수의 측정치간의 의존도를 설명하고, 대상 상호관계내에 차지하는 오차 계산을 조절함으로써 목적하는 파라미터와 그의 신뢰 한계를 평가하는 반복적인 곡선-일치 과정이었다.
기준선 비교
모든 변수에 대한 기준선 대조에 대해 각각의 투여량을 비교하기 위해, 대상 및 치료의 주효과에 대해 2방식 아노바(ANOVA)를 수행한 후, 각각의 투여량 수준에서 한 쌍의 t시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치료 효과가 아노바에서 현저하지 않은 경우(p값>0.05), p값에 대한 본페로니(Bonferroni) 조절을 각각의 투여량에서 t시험 쌍의 p값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검정법에서 활성이었다.
본 발명을 그의 특정 양태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동등물로 치환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특정한 상황, 물질, 물질의 조성, 공정, 공정의 단계 또는 단계들을 본 발명의 목적, 취지 및 범주에 적합하도록 여러가지로 개질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개질은 본원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7)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전구약물, 그의 개별적인 이성질체, 이성질체들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비라세미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합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6)-알킬, -OR', -SR', -NR'R", -SOR', -SO2R', -COOR', -OCOR', -OCONR'R", -OSO2R', -OSO2NR'R", -NR'SO2R", -NR'COR", -SO2NR'R", -SO2(CH2)1-3CONR'R", -CONR'R", 시아노, 할로겐알킬 또는 니트로이고;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치환된 (C1-6)-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아릴-(C1-3)-알킬, 헤테로아릴-(C1-3)-알킬, 헤테로사이클릴-(C1-3)-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거나, R' 및 R"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와 함께 5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하며, 임의적으로는 N, O 또는 S(O)0-2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추가의 고리 헤테로원자가 상기 5 내지 7원 고리에 혼입될 수 있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알킬, (C1-6)-알케닐, (C1-6)-알키닐 또는 사이클로알킬이고;
    X, Y 또는 Z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4이고 나머지 둘은 -CH2-이고;
    R4는 수소, (C1-6)-알킬, 할로겐알킬, 아릴-(C1-6)-알킬, 헤테로아릴-(C1-6)-알킬, -(C1-6)-CR'R'R', -COOR', -SO2R', -C(O)R', -SO2(CH2)0-3NR'R", -CONR'R" 또는 -PO(OR')2이고, 여기서 R' 및 R"은 상기 정의된 바와 동일하고;
    p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p가 2인 화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n이 3인 화합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고 나머지 둘이 -CH2-인 화합물.
  5. 제 2 항에 있어서,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고 나머지 둘이 -CH2-이며 R4가 수소인 화합물.
  6. 제 2 항에 있어서,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고 나머지 둘이 -CH2-이며 m이 1인 화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Y가 >N-R4이고 X 및 Z가 -CH2-인 화합물.
  8. 제 6 항에 있어서,
    Z가 >N-R4이고 X 및 Y가 -CH2-인 화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4-{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5-온인 화합물.
  10. 제 2 항에 있어서,
    m이 2인 화합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X, Y 또는 Z중 하나가 >NR4이고 나머지 둘이 -CH2-인 화합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R4가 수소인 화합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X가 >N-R4이고 Y 및 Z가 -CH2-인 화합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Y가 >N-R4이고 X 및 Z가 -CH2-인 화합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 4-(2-디메틸아미노-에탄설포닐)-1-{4-[(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 및 1-{4-[(7-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4]디아제판-2-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6. 제 10 항에 있어서,
    Z가 >N-R4이고 X 및 Y가 -CH2-인 화합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3,5-디메틸-이속사졸-4-설폰산 7-{[4-(7-옥소-[1,4]디아제판-1-일)-부틸]-프로필-아미노}-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에스테르; 및 4-{5-[(7-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펜틸}-[1,4]디아제판-5-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8. 제 2 항에 있어서,
    m이 2이고 n이 3이고 X, Y 또는 Z중 하나가 -O-이고 나머지 둘이 -CH2-인 화합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3-{4-[(6-브로모-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 및 3-{4-[(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프로필-아미노]-부틸}-[1,3]옥사제판-2-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치료학적 효과량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M2/M3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한 치료에 의해 완화되는 질병 상태를 가진 대상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것인 약학 조성물.
  22.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상기 식에서,
    R1, R2, R3, p, m, n, X, Y 및 Z는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23. 제 22 항에 따른 방법 또는 그의 동등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24. 질병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용도.
  25. M2/M3 무스카린성 길항제를 사용하여 완화되는 질병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용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질병 상태가 비뇨생식기로, 위장관 또는 호흡 상태의 질병을 포함하는 평활근 장애와 관련되는 용도.
  27. 전술한 발명.
KR1020027015824A 2000-05-25 2001-05-17 치환된 1-아미노알킬-락탐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용도 KR100599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748300P 2000-05-25 2000-05-25
US60/207,483 2000-05-25
US26761701P 2001-02-09 2001-02-09
US60/267,617 2001-02-09
PCT/EP2001/005631 WO2001090082A1 (en) 2000-05-25 2001-05-17 Substituted 1-aminoalkyl-lactams and their use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758A true KR20030003758A (ko) 2003-01-10
KR100599125B1 KR100599125B1 (ko) 2006-07-12

Family

ID=2690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824A KR100599125B1 (ko) 2000-05-25 2001-05-17 치환된 1-아미노알킬-락탐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3) US6500822B2 (ko)
EP (1) EP1289964B1 (ko)
JP (1) JP3955211B2 (ko)
KR (1) KR100599125B1 (ko)
CN (1) CN1187342C (ko)
AR (1) AR033377A1 (ko)
AT (1) ATE280162T1 (ko)
AU (2) AU2001260310B2 (ko)
BR (1) BR0111019A (ko)
CA (1) CA2408934C (ko)
CZ (1) CZ20024199A3 (ko)
DE (1) DE60106607T2 (ko)
ES (1) ES2230310T3 (ko)
HU (1) HUP0302015A2 (ko)
IL (1) IL152700A0 (ko)
MA (1) MA26904A1 (ko)
MX (1) MXPA02011417A (ko)
NO (1) NO20025641L (ko)
NZ (1) NZ522410A (ko)
PE (1) PE20011258A1 (ko)
PL (1) PL361361A1 (ko)
RU (1) RU2243222C2 (ko)
UY (1) UY26728A1 (ko)
WO (1) WO2001090082A1 (ko)
YU (1) YU890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0155B2 (en) 2000-08-22 2003-10-28 Lam Research Corporatio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s with central control of polishing pressure applied by polishing head
DE60238709D1 (de) 2001-12-03 2011-02-03 Hoffmann La Roche 4-piperidinylalkylamin-derivate, antagonisten von muscarinrezeptoren
ES2297029T3 (es) * 2001-12-03 2008-05-01 F. Hoffmann-La Roche Ag Derivados de aminotetralina como antagonistas de receptores muscarinicos.
WO2003057173A2 (en) * 2002-01-07 2003-07-17 Sequoia Pharmaceuticals Broad spectrum inhibitors
MXPA05000434A (es) 2002-07-08 2005-04-19 Ranbaxy Lab Ltd Derivados de hexano [3.1.0] azabiciclo 3,6-disustituido utiles como antagonistas de receptor muscarinico.
WO2004057344A1 (en) * 2002-12-23 2004-07-08 Bayer Healthcare Ag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for diseases associated with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2 (m2)
BRPI0406761A (pt) 2003-01-14 2005-12-20 Arena Pharm Inc Derivados de arila e heteroarila 1,2,3-trissubstituìdos como moduladores do metabolismo e a profilaxia e tratamento de distúrbios relacionados a estes tais como diabetes e hiper-glicemia
WO2004089898A1 (en) 2003-04-09 2004-10-21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Substituted azabicyclo hexane derivatives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CN100436414C (zh) 2003-04-11 2008-11-26 兰贝克赛实验室有限公司 作为毒蕈碱受体拮抗剂的氮杂双环衍生物
WO2006088246A1 (ja) * 2005-02-18 2006-08-24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Gpr34受容体機能調節剤
US7736310B2 (en) * 2006-01-30 2010-06-15 Abbott Diabetes Care Inc. On-body medical device securement
ES2439969T3 (es) * 2008-07-16 2014-01-27 F. Hoffmann-La Roche Ag Nuevos compuestos heterocíclic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cardiovasculares
CN102112451B (zh) * 2008-07-28 2014-01-22 弗·哈夫曼-拉罗切有限公司 用作趋化因子受体调节剂的二氮杂环庚烷和哌嗪衍生物
US20100101006A1 (en) * 2008-10-29 2010-04-29 Cleveland William K Headguard with temple protecting scallop that does not cover the ears
US8042198B1 (en) 2008-10-29 2011-10-25 Full90 Sports, Inc. Headguard with independently adjustable upper and lower bands
US8214928B1 (en) 2008-10-29 2012-07-10 Full90 Sports, Inc. Headguard with an eccentric dimple for accommodating the occipital bone
WO2010129686A1 (en) 2009-05-05 2010-11-11 Vapogenix, Inc. Novel formulations of volatile anesthetics and methods of use for reducing inflammation
AU2011305525B2 (en) 2010-09-22 2016-08-18 Arena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the GPR119 receptor and the treatment of disorders related thereto
WO2012092990A2 (de) 2011-01-05 2012-07-12 Udo Wenske Medizinprodukt zur verbesserung der konzeptionsfähigkeit eines säugetiers
US8476221B2 (en) 2011-03-18 2013-07-02 Halime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AU2016205361C1 (en) 2015-01-06 2021-04-08 Aren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ing conditions related to the S1P1 receptor
MA41629A (fr) 2015-03-04 2018-01-09 Center For Human Reproduction Compositions et méthodes d'utilisation de l'hormone anti-müllérienne pour le traitement de l'infertilité
WO2016149628A1 (en) * 2015-03-19 2016-09-22 Chembridge Corporation Tgr5 agonists
IL285890B (en) 2015-06-22 2022-07-01 Arena Pharm Inc Slate-free crystal of the arginine salt of (Ar)-2-(7-(4-cyclopentyl-3-(trifluoromethyl)benzyloxy)-4,3,2,1-tetrahydro-cyclopent[b]indole-3-yl ) acetic acid
WO2018026764A1 (en) 2016-08-01 2018-02-08 University Of Rochester Nanoparticles for controlled release of anti-biofilm agents and methods of use
US11534424B2 (en) 2017-02-16 2022-12-27 Arena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rimary biliary cholangitis
JP2022504834A (ja) 2018-10-09 2022-01-13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ロチェスター 外陰膣障害の治療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8270A1 (de) 1984-05-17 1985-11-21 Dr. Karl Thomae Gmbh, 7950 Biberach Neue aminotetralinderivat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748182A (en) 1986-03-05 1988-05-31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Aromatic 2-aminoalkyl-1,2-benzoisothiazol-3(2H)one-1,1-diox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hypertensive and anxiolytic agents
DE3718317A1 (de) 1986-12-10 1988-06-16 Bayer Ag Substituierte basische 2-aminotetraline
FI892362A (fi) 1988-06-01 1989-12-02 Eisai Co Ltd Buten- eller propensyraderivat.
US5177089A (en) 1988-06-01 1993-01-05 Eisai Co., Ltd. Butenoic or propenoic acid derivative
US5545755A (en) 1989-05-31 1996-08-13 The Upjohn Company Therapeutically useful 2-aminotetralin derivatives
US5118704A (en) 1989-08-30 1992-06-02 Whitby Research, Inc. Substituted 2-aminotetralins useful as dopaminergics
US6319920B1 (en) * 1998-02-27 2001-11-20 Syntex (U.S.A.) Llc 2-arylethyl-(piperidin-4-ylmethyl)ami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34331A (ja) 2003-11-18
AR033377A1 (es) 2003-12-17
IL152700A0 (en) 2003-06-24
MXPA02011417A (es) 2003-04-25
BR0111019A (pt) 2003-06-17
US6500822B2 (en) 2002-12-31
UY26728A1 (es) 2001-12-28
CN1430609A (zh) 2003-07-16
PE20011258A1 (es) 2001-12-11
NO20025641D0 (no) 2002-11-22
YU89002A (sh) 2006-01-16
CA2408934A1 (en) 2001-11-29
CA2408934C (en) 2009-04-14
ES2230310T3 (es) 2005-05-01
AU6031001A (en) 2001-12-03
DE60106607D1 (de) 2004-11-25
US20040034018A1 (en) 2004-02-19
NO20025641L (no) 2002-12-17
MA26904A1 (fr) 2004-12-20
KR100599125B1 (ko) 2006-07-12
ATE280162T1 (de) 2004-11-15
EP1289964B1 (en) 2004-10-20
US6818645B2 (en) 2004-11-16
HUP0302015A2 (hu) 2003-10-28
US20020004494A1 (en) 2002-01-10
NZ522410A (en) 2004-09-24
RU2243222C2 (ru) 2004-12-27
CZ20024199A3 (cs) 2004-01-14
AU2001260310B2 (en) 2007-04-05
WO2001090082A1 (en) 2001-11-29
PL361361A1 (en) 2004-10-04
EP1289964A1 (en) 2003-03-12
CN1187342C (zh) 2005-02-02
JP3955211B2 (ja) 2007-08-08
US20030109524A1 (en) 2003-06-12
DE60106607T2 (de) 2006-02-09
US6645958B2 (en) 200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125B1 (ko) 치환된 1-아미노알킬-락탐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용도
US7361648B2 (en) Heterocyclylakylamines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AU2001260310A1 (en) Substituted 1-aminoalkyl-lactams and their use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JP3475177B2 (ja) 4−アロイルピペリジンccr−3受容体拮抗剤iii
JP2005508952A (ja) 尿路障害の処置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ヘテロ環式化合物
KR100687992B1 (ko)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로서 4-피페리딘일 알킬아민 유도체
KR20050044641A (ko)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아미노테트랄린 유도체
ZA200209029B (en) Substituted 1-aminoalkyl-lactams and their use as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