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038A -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038A
KR20030000038A KR1020010035651A KR20010035651A KR20030000038A KR 20030000038 A KR20030000038 A KR 20030000038A KR 1020010035651 A KR1020010035651 A KR 1020010035651A KR 20010035651 A KR20010035651 A KR 20010035651A KR 20030000038 A KR20030000038 A KR 20030000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unit
size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0038A/ko
Publication of KR2003000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크기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음향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향출력부의 출력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수신된 출력명령에 대응되는 볼륨조절부에 의해 기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인지를 판별하고, 출력음향의 크기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음향기기를 재생시킬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높은 출력음향으로 인한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 음향조절방법{Sound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load of hearing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향기기 및 그 음향크기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크기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정의 기록들을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생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왔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기기는 더욱 소형화, 대용량화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음향데이터를 재생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재생기기가 소형화 및 대용량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그 재생기기를 휴대하며 음향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향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향기기(100)는 입력부(101), 볼륨조절부(103), 음향출력부(105), 설정치저장부(107), 및 제어부(109)를 구비한다. 여기서, 입력부(101)는 일시정지 /해지버튼(101a) 및 재생버튼(101b)을 구비한다.
일시정지/해지버튼(101a)은 음향기기(100)의 재생동작을 일시정지시키거나 일시정지를 해지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음향기기(100)의 재생동작 중에 일시정지/해지버튼(101a)이 눌러지면 재생 진행중이던 데이터의 진행은 일시적으로 중지되며, 일시정지/해지버튼(101a)이 다시 한번 눌러짐에 따라 데이터 재생의 일시정지는 해제되어 다시 연속적으로 재생이 진행되게 된다.
재생버튼(101b)은 음향기기(100)가 전원오프(Power off) 또는 재생멈춤된 경우에 다시 데이터를 진행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식으로 구현되는 음향기기(100)의 경우에는 재생버튼(101b)의 작동에 따라 중단되었던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진행되며, 디지털식으로 구현되는 음향기기(100)의 경우에는 재생버튼(101b)의 작동에 따라 중단되었던 데이터는 다시 처음부터 진행되게 된다.
볼륨조절부(103)는 음향기기(100)의 음향출력부(105)로 출력되는 출력음향의 크기를 조절한다. 볼륨조절부(103)는 일반적으로 다이얼식으로 구현되어 그 방향에따라 출력음향의 크기를 증감시킨다. 또한, 볼륨조절부(103)는 양방향의 두개의 버튼으로 구현되어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음향크기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도록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
음향출력부(105)는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이어폰(earphone) 또는 헤드폰(headphone) 등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피커(speaker)로 구현되기도 한다.
설정치저장부(107)는 볼륨조절부(103)에 의해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를 저장한다. 설정치저장부(107)는 볼륨조절부(103)에 의해 최종적으로 설정된 음향크기만을 저장하며, 따라서 설정치저장부(107)는 일반적으로 선입선출(FIFO : First-in First-out) 방식의 버퍼로 구현된다.
제어부(109)는 일시정지상태에서 일시정지/해지버튼(101a)으로부터 일시정지/해지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재생이 일시정지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생시킨다. 재생부(109)가 재생버튼(101b)으로부터 재생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음향기기(100)가 취하는 방식에 따라 재생이 중단된 데이터를 다시 처음부터 또는 연속적으로 재생시킨다.
여기서, 음향기기(100)에서 데이터의 재생이 일시정지 후 일시정지 해지되거나, 데이터의 재생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재생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09)는 설정치저장부(107)에 저장된 음향의 크기로 음향출력부(105)의 출력음향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설정치저장부(207)를 생략하고, 음향기기(100)에서 데이터의 재생이 일시정지 후 일시정지 해지되거나, 데이터의 재생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재생이 진행되는 경우에 제어부(109)가 볼륨조절부(103)에 의해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음향의 크기로 음향출력부(105)를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향기기(100)에 있어서, 재생이 중단되기 전에 볼륨조절부(103)에 의해 설정되었던 출력음향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일정시간 경과후에 다시 음향기기(100)를 재생시키게 되면, 갑작스러운 음향의 크기로 청력에 부담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음향기기를 재생시키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갑작스러운 출력음향의 크기에도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크기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향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음향기기를 이용한 음향크기 조절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a : 일시정지/해지버튼 201b : 재생버튼
203 : 볼륨조절부 205 : 음향출력부
207 : 설정치저장부 209 : 소정치설정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는,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부, 및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동작 개시시점에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치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음향의 크기를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크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기기는 상기 소정치의 설정입력을 위한 소정치설정부를 더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향출력부의 출력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출력명령에 대응되는 볼륨조절부에 의해 기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음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치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치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크기 조절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소정치 이하로 제어된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크기를 기 설정된 상기 출력음향의 크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음향기기를 소정시간 중단시킨 후에 재생시키는 경우에도 소정치 이상의 갑작스러운 음향크기로 청력에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향기기(200)는 입력부(201), 볼륨조절부(203), 음향출력부(205), 설정치저장부(207), 소정치설정부(209), 및 제어부(211)를 구비한다. 여기서, 입력부(201)는 일시정지/해지버튼(201a) 및 재생버튼(201b)을 구비한다.
여기서, 일시정지/해지버튼(201a), 재생버튼(201b), 볼륨조절부(203), 음향출력부(205), 및 설정치저장부(207)는 도 1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소정치설정부(209)는 볼륨조절부(203)에 의해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와 비교되는 소정치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입력된 소정치를 저장한다. 이러한 소정치설정부(209)는 음향기기(200)의 제조과정에서 미리 설정입력되고, 이에 대한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절한 기준치를 선택하여 입력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11)는 입력부(201), 볼륨조절부(203), 음향조절부(205), 설정치저장부(207), 및 소정치설정부(209)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한다.
제어부(211)가 입력부(201)로부터 일시정지 해지명령 또는 재생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제어부(211)는 음향기기(200)의 방식에 따라 볼륨조절부(203), 설정치저장부(207), 및 소정치 설정부(209)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에 따라 음향출력부(205)를 제어한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음향기기를 이용한 음향크기 조절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정치설정부(209)를 통하여 소정치의 입력 및 저장이 가능하다(S301). 여기서, 소정치는 음향기기(200)의 제조과정에서 미리 설정 입력 및 저장되고, 이후의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11)가 음향기기(200)의 재생동작 중에 음향기기(200)의 재생정지명령을 수신하면(S303), 제어부(211)는 볼륨조절부(203)에 의해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를 설정치저장부(207)에 저장한다(S305). 여기서, 설정치저장부(207)에 출력음향의 크기를 저장하는 과정은 볼륨조절부(203)가 원판형 노브와 같은 아날로그식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211)는 수신된 재생정지명령에 따라 음향출력부(205)의 출력동작을 중단시킨다(S307).
음향기기(200)의 출력동작이 중단된 후에, 제어부(211)가 음향출력부(205)에 대한 음향출력명령을 수신하면(S309), 제어부(211)는 수신된 음향출력명령이 일시정지/해지명령인지 또는 재생명령인지를 판단한다(S311). 음향출력명령이 재생명령이라고 판단하면, 제어부(211)는 볼륨조절부(203) 또는 설정치저장부(207)와 소정치저장부(209)를 검색하여 설정된 음향출력의 크기가 소정치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313).
음향출력의 크기가 소정치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제어부(211)는 음향출력의 크기를 소정치 이하로 다운시킨다(S315). 제어부(211)는 그 다운된 음향출력의 크기로 음향출력부(205)를 출력시킨다. 이 때, 제어부(211)는 음향출력의 크기를 다운된 음향출력의 크기로부터 기 설정된 음향출력의 크기까지 1단계씩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출력하도록 음향출력부(205)를 제어한다(S317).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음향출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음향출력의 크기에 도달하면, 음향출력부(205)에서 출력되는 음향출력의 크기는 기 설정된 음향출력의 크기로 고정된다(S319).
음향출력의 크기가 소정치 이하라고 판단하면, 제어부(211)는 음향출력부(211)의 출력음향의 크기를 기 설정된 음향출력의 크기로 고정하여 출력시킨다(S319).
또한, 수신된 음향출력명령이 일시정지/해지명령인 경우에는, 제어부(211)는 소정치 설정부(209)에 저장된 소정치에 관계없이 음향출력부(211)의 출력음향의 크기를 기 설정된 음향출력의 크기로 고정하여 출력시킨다(S319). 여기서,제어부(211)가 음향출력명령이 일시정지해지명령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도 그 일시정지된 시간이 소정시간간격 이상인 경우에는 설정치저장부(207)에 저장된 출력음향의 크기로 음향출력부(205)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음향기기의 음향크기 조절방법은 종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는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통해 음향출력이 귀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가정용 음향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기기를 재생시킬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높은 출력음향으로 인한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3)

  1.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부; 및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동작 개시시점에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치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음향의 크기를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크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동작이 중단되기 전의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를 저장하는 설정치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중단된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동작을 개시하는 출력개시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출력개시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설정치저장부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일시정지상태에서 연속하여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일시정지/해지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정지/해지버튼이 눌리는 경우 상기 소정치에 관계없이 상기 설정치저장부에 저장된 크기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일시정지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상기 일시정지/해지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음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치의 설정입력을 위한 소정치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8.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향출력부의 출력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출력명령에 대응되는 볼륨조절부에 의해 기 설정된 출력음향의 크기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음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치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가 상기 소정치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크기 조절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소정치 이하로 제어된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크기를 기 설정된 상기 출력음향의 크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크기 조절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동작이 중단되기 전의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출력음향의 크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크기 조절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상기 음향출력부의 일시정지상태에서 연속하여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일시정지 해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소정치에 관계없이 상기 설정치저장부에 저장된 크기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크기 조절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일시정지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상기 일시정지/해지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음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크기 조절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소정치의 설정명령에 따라 설정된 소정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조절방법.
KR1020010035651A 2001-06-22 2001-06-22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KR20030000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51A KR20030000038A (ko) 2001-06-22 2001-06-22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51A KR20030000038A (ko) 2001-06-22 2001-06-22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038A true KR20030000038A (ko) 2003-01-06

Family

ID=2771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651A KR20030000038A (ko) 2001-06-22 2001-06-22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00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34B1 (ko) * 2005-10-31 2007-05-31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청력 보호를 위한 오디오 재생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재생장치
WO2008054069A1 (en) * 2006-10-30 2008-05-08 Yun Ho Je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udio volume to prevent hearing loss or damage
WO2008093954A1 (en) * 2007-02-01 2008-08-07 Samsung Electronics Co, . Ltd.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auto volume control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3245U (ko) * 1989-12-30 1991-07-30 주식회사 금성사 음향기기에서의 뮤팅 및 볼륨 자동 조절회로
KR930009234A (ko) * 1991-10-10 1993-05-22 이헌조 켜짐 예약 설정장치의 음성출력 자동 조절방법
KR0129483B1 (ko) * 1994-07-21 1998-10-01 배순훈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KR20000031607A (ko) * 1998-11-07 2000-06-05 전주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초기 볼륨 레벨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방법
KR20020016169A (ko) * 2000-08-24 2002-03-04 윤종용 음향 레벨 자동 조절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3245U (ko) * 1989-12-30 1991-07-30 주식회사 금성사 음향기기에서의 뮤팅 및 볼륨 자동 조절회로
KR930009234A (ko) * 1991-10-10 1993-05-22 이헌조 켜짐 예약 설정장치의 음성출력 자동 조절방법
KR0129483B1 (ko) * 1994-07-21 1998-10-01 배순훈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KR20000031607A (ko) * 1998-11-07 2000-06-05 전주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초기 볼륨 레벨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방법
KR20020016169A (ko) * 2000-08-24 2002-03-04 윤종용 음향 레벨 자동 조절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34B1 (ko) * 2005-10-31 2007-05-31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청력 보호를 위한 오디오 재생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재생장치
WO2008054069A1 (en) * 2006-10-30 2008-05-08 Yun Ho Je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udio volume to prevent hearing loss or damage
WO2008093954A1 (en) * 2007-02-01 2008-08-07 Samsung Electronics Co, . Ltd.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auto volume control function
US9635459B2 (en) 2007-02-01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auto volume control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3495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376572A2 (en) A set of electronic apparatuses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JP2007324831A (ja) 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再生システムの音声同期方法
KR100609171B1 (ko) 이어폰의 기능 키를 이용한 음악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00038A (ko)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KR100663493B1 (ko) Mp3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4178558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97087A (ja) 音量調整装置
JP5842364B2 (ja) 音量制御装置及び音量制御方法
KR2005001729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및방법
JP5067240B2 (ja) 遅延制御装置
KR100744345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99792A (ko) 사운드 재생 장치
JP2003008700A (ja) 音楽データ再生システム
JP4246001B2 (ja) Avシステム、第2情報出力装置、第1情報出力装置
KR0155738B1 (ko) 모드별 볼륨 자동 콘트롤 방법
JP2023132138A (ja) サウンドバー装置、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サウンドバー装置の設定方法
KR20030076041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핸즈프리 겸용 리모콘
KR2002006688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88176B1 (ko) 외부 입출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1184077A (ja) 再生装置、及び再生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0118001Y1 (ko) 배경음악발생장치
JP5029840B2 (ja) 制御信号送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110384A (ja) 多チャンネルミキサー装置
KR19990012715U (ko) 자동 음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