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483B1 -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83B1
KR0129483B1 KR1019940017631A KR19940017631A KR0129483B1 KR 0129483 B1 KR0129483 B1 KR 0129483B1 KR 1019940017631 A KR1019940017631 A KR 1019940017631A KR 19940017631 A KR19940017631 A KR 19940017631A KR 0129483 B1 KR0129483 B1 KR 012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audio signal
level
switch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254A (ko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483B1/ko
Publication of KR96000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2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볼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륨 조절용 노브나 리모콘으로 조절하여 청취하던 볼륨이 메인 파워 온/오프와 함께 임의로 설정된 볼륨으로 궤환되도록 한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음향기기의 메인전원을 재투입하면 음향기기의 메인 전원이 오프되기 이전의 오디오 신호레벨로 궤환되기 때문에 음향기기를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사람이 설정한 레벨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의해 놀라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 2 도에서와 같이 음향기기에 별도의 기능 온/오프 스위치를 구성하고 기능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한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면 메인전원을 차단한후 메인 전원 재공급시에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궤환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볼륨 조절용 노브 14 : 볼륨 조절장치.
16 : 기어부 18 : 모터
20 : 엔코우더 22 : 마이콤
24 : 기억 장치 26 : 볼륨 설정용 스위치
28 : 기능 온/오프 스위치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설정 볼륨 궤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륨 조절용 노브나 리모콘으로 조절하여 청취하던 볼륨이 메인 파워 온/오프와 함께 임의로 설정된 볼륨으로 궤환되도록 한 설정 볼륨 궤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일반적인 음향기기는 음향기기의 출력장치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청취하기에 적당한 레벨로 청취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의 증폭레벨을 조절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였었다.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가변저항으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향기기에 설치된 가변저항을 조작하여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음향기기의 볼륨레벨을 각기 다르게 설정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음향기기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음향기기가 위치한 장소까지 이동하여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기계적으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 조절을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함은 물론이고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기계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점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의 볼륨 조절 방식을 종래에는 음향기기 자체에 설치되며 볼륨조절장치에 연결된 볼륨 조절용 노브에 의하여 조절함은 물론이고 볼륨조절장치에 모터를 연결하고 모터의 구동을 리모콘으로 원격 조절하여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원격제어하였었다.
따라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음향기기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떨어진 지점에서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제어할 수 있었으나,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일정레벨로 설정한후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고 메인 전원을 차단한후 다시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고 메인 전원을 차단한후 다시 음향기기 신호를 청취하기 위하여 메인 전원을 공급하면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레벨이 제로(0)상태가 되어 볼륨 조절용 노브나 리모콘을 다시 조작하여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 볼륨 레벨을 조절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향기기의 볼륨조절장치에 마이콤을 연결하여 마이콤으로 하여금 동작중인 음향기기의 최종적으로 설정된 볼륨레벨을 인식하여 마이콤에 연결된 기억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고 음향기기의 메인 전원이 차단된후에는 이를 음향기기에 공급되는 스탠바이 전원으로 저장하도록 하며, 음향기기의 메인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기억 장치에 저장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 레벨에 대한 조절 데이터를 볼륨 조절장치에 공급하여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 레벨이 메인 파워 온/오프 전의 오디오 신호의 레벨로 궤환되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음향기기의 볼륨을 조절하여 청취하던중에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 레벨을 대단히 높은 레벨로 설정한 후에 음향기기에 공급되던 메인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기 위하여 음향기기에 메인 전원을 공급하면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 레벨이 저장된 마이콤이 음향기기의 볼륨조절장치의 오디오 신호 레벨을 전에 상태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전에 설정된 오디오 신호 레벨을 알지 못하는 사용자가 음향기기를 조작하여 메인전원을 공급하면 갑자기 출력 레벨이 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어 놀라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향기기의 구동 초기에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레벨을 설정하여 음향기기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메인 전원이 유입되면 설정된 볼륨레벨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볼륨 레벨 궤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륨 조절용 노브나 리모콘의 키 조작으로 조절된 볼륨 레벨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음향기기의 메인전원이 차단된후 다시 유입되면 전에 출력되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기능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한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설정하고 메인 전원을 차단한후 재공급하면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 1 도에서와 같이 볼륨 조절용 노브(12), 볼륨 조절 장치(14), 기어부(16), 모터(18), 엔코우터(20), 마이콤(22), 기억장치(24), 볼륨 설정용 스위치(26), 기능 온/오프 스위치(28)로 구성된다.
여기서 12는 음향기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용 노브이고, 14는 음향기기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볼륨 조절용 노브(12)의 조작에 따라 음향기기의 출력장치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장치이며, 16은 기어부이며, 18은 도면에서 미도시된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하여 상기 기어부(16)를 경유하여 볼륨 조절 장치(14)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또한 20은 리모콘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18)의 회전에 따른 회전검출신호를 검출하여 하기 마이콤(22)에 공급하는 엔코우더이고, 22는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의 조작으로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과 상기 엔코우더(20)에서 검출된 회전검출신호를 근거로 모터(18)회전에 따른 볼륨레벨을 검출하여 기억장치(24)에 저장하고, 하기 볼륨 설정용 스위치(26)나 기능 온/오프 스위치(28)조작을 검출하여 볼륨 조절장치(14)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이며, 24는 상기 마이콤(22)에서 검출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마이콤(22)의 제어로 돌출하는 기억장치이며, 26은 일정레벨의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설정하는 볼륨 설정용 스위치이며, 28은 상기 볼륨 설정용 스위치(26)의 조작으로 볼륨 조절장치(14)의 볼륨이 설정된 볼륨 레벨로 궤환되도록 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 온/오프 스위치이다.
예시도면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로서,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의 키조작으로 조절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음향기기의 메인전원이 차단된후 다시 유입되면 전에 출력되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기능 온/오프 스위치(28)를 조작한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설정하고 메인 전원을 차단한후 재공급하면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볼륨 조절용 노브(12)를 조작하여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레벨을 설정하면 볼륨 조절용 노브(12)의 조작상태를 검출한 볼륨 조절장치(14)가 조작된 볼륨 조절용 노브(12)에 대응하여 동작함으로 오이도 신호가 도면에서는 미도시된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어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로 볼륨 조절용 노브(12)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볼륨 조절용 노브(12)의 조작으로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에 대한 데이터가 볼륨 조절장치(14)에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초로 인가되어짐과 함께 마이콤(22)에 인가되어 마이콤(22)에 연결된 기억장치(24)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미도시된 리모콘을 이용하여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설정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면 리모콘 수신부에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콤(22)에 인가함으로 마이콤(22)은 이를 인식하여 모터(18)에 구동데이터를 인가시켜 모터(18)를 동작시키게 된다.
동작된 모터(18)의 회전력은 기어부(16)를 통하여 볼륨 조절장치(14)에 전달되어 볼륨 조절장치(14)가 볼륨 조절용 노브(12)가 조작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가 도면에서는 미도시된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어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로 리모콘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리모콘의 조작으로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에 대한 데이터를 인식한 마이콤(22)의 제어로 모터(18)를 회전시켜 볼륨 조절장치(14)를 구동시키는 리모콘 신호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초로 마이콤(22)에 인가되어짐과 함께 마이콤(22)에 연결된 기억 장치(24)에 저장되게 된다.
이와같이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으로 설정하여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중에 음향기기의 전면에 설치된 키 판넬에서 기능 온/오프 스위치(28)를 조작한후 볼륨 설정용 스위치(26)를 조작하여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면 설정된 볼륨 데이터가 마이콤(22)의 제어로 기억 장치(24)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마이콤(22)은 기능 온/오프 스위치(28)와 볼륨 설정용 스위치(26)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 데이터를 기억장치(24)에 저장시킴과 아울러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 데이터에 따라 볼륨 조절장치(14)의 구동을 제어하여 음향기기의 볼륨을 제어하게 된다.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던 중에 음향기기에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차단하면 볼륨 설정용 스위치(26)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 데이터와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 데이터를 음향기기가 스탠바이 상태인 동안 기억 장치(24)의 저장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탠바이 상태인 음향기기에 메인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콤(22)은 기능 온/오프 스위치(28)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이때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오프 상태이면 기억장치(24)에 저장된 볼륨 데이터 중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 데이터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제어하고,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온 상태이면 기억장치(24)에 저장된 볼륨 데이터 중 볼륨 설정용 스위치(26)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 데이터로 음향기기의 볼륨 조절 장치(14)를 구동시켜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마이콤(22)의 음향기기 볼륨 레벨 제어 과정을 예시도면 제 2 도에 의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온 상태이고 볼륨 설정용 스위치(26)의 조작으로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이 설정되어 볼륨 데이터가 기억장치(24)에 저장된 상태에서 음향기기의 메인전원이 유입(온)되면 마이콤(22)은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오프 상태이면 공지의 기술에서와 같이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에 의하여 설정된 볼륨 데이터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온 상태이면 모터(18)에 볼륨 설정용 스위치(26)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 데이터로 볼륨 조절 장치(14)를 구동시켜 볼륨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모터(18)의 구동은 기억 장치(24)에 저장된 볼륨 데이터와 모터(18)의 구동 상태를 인식한 엔코우더(20)로부터 인가되는 볼륨 데이터를 비교하여 같을 때까지 계속하여 회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능 온/오프 스위치(28)를 조작한 상태에서는 전에 듣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과 관계없이 볼륨 설정용 스위치(26)의 조작으로 설정된 볼륨레벨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음향기기를 처음 작동시켰을 때 갑자기 큰 레벨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별도의 기능 온/오프 스위치를 구성하고 기능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한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면 메인전원을 차단한후 메인전원 재공급시에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로 궤환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향기기 작동 초기에 오디오 신호가 갑자기 큰 레벨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볼륨 조절용 노브(12)나 리모콘의 키 조작으로 조절된 볼륨 레벨로 음향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음향기기의 메인전원이 차단된후 다시 유입되면 직전에 출력되던 볼륨 레벨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설정 볼륨궤환 제어방법에 있어서, 메인전원이 차단된 후 재유입이 감지되면 마이콤(22)은 기능 온/오프 스위치(28)의 접속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이때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오프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의 볼륨제어단계를 수행하는 한편, 기능 온/오프 스위치(28)가 온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볼륨조절레벨을 초기화 한 후 엔코우더(20)값이 설정값이 될 때까지 모터(18)를 구동시켜 볼륨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설정 볼륨 궤환 제어방법.
KR1019940017631A 1994-07-21 1994-07-21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KR012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631A KR0129483B1 (ko) 1994-07-21 1994-07-21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631A KR0129483B1 (ko) 1994-07-21 1994-07-21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254A KR960006254A (ko) 1996-02-23
KR0129483B1 true KR0129483B1 (ko) 1998-10-01

Family

ID=1938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631A KR0129483B1 (ko) 1994-07-21 1994-07-21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38A (ko) * 2001-06-22 2003-01-06 블루텍 주식회사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38A (ko) * 2001-06-22 2003-01-06 블루텍 주식회사 청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음향기기 및 그 음향기기의음향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254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483B1 (ko) 설정 볼륨 궤환 제어 방법
JP3108248B2 (ja) 音声再生機器の音量調整装置
JPH10313224A (ja) 音響装置および音響装置における音量調整方法
JP2872517B2 (ja) 音響システム機器
KR0131216Y1 (ko) 타이머 출력 선택회로
WO2023175627A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loudness
KR013648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전원 제어회로
KR0147165B1 (ko) 동형 스피커가 부착된 모니터의 제어장치
JP2000315925A (ja) 音響機器の音量制御装置
KR100242344B1 (ko) 음성 출력 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KR100211246B1 (ko) 티브이 수상기의 안테나 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530955Y2 (ja) 音響システム
JPH03119899A (ja) 超指向性スピーカー装置
KR970005504B1 (ko) 볼륨 페이드 업/다운 방법
KR0129572B1 (ko) 오디오출력기기의 음량제어장치
JPH05347523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KR0186026B1 (ko) 가라오께 시스템의 마이크 음성처리회로
JPH1127067A (ja) 音声出力制御装置
KR950026239A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알람 구동장치
JPH05153700A (ja) 左右スピーカ音バランス調整装置
JPH11123286A (ja) ラジオコントロール用送信装置
JP2000287289A (ja) 音声出力装置
KR19990032575A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전의 기능조절방법
KR970019360A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television having prevent crimes function by using remote controller)
JPH10209778A (ja) オーディ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