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888A -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888A
KR20020066888A KR1020010007338A KR20010007338A KR20020066888A KR 20020066888 A KR20020066888 A KR 20020066888A KR 1020010007338 A KR1020010007338 A KR 1020010007338A KR 20010007338 A KR20010007338 A KR 20010007338A KR 20020066888 A KR20020066888 A KR 2002006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signal
switch
player
externa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125B1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1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MP3 재생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장치가, 마이크의 출력부에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와, 혼합모드 설정시 스위치를 온 스위칭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기와, MP3재생기와 스위치 출력을 입력하여 두 오디오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혼합기의 출력을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는 잭을 구비하여,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와 MP3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혼합하여 외부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OF CELLULAR PHONE HAVING MP3 PLAYER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3신호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PCS폰, IMT-2000 단말기, GSM 단말기, 휴대폰, 핸드폰, 이동 전화기를 포함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 또한 다양해져 가고 있다. 그래서 휴대용 단말기가 고유의 통화 기능 외에도 문자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 기능을 여러 가지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다. 또한 점점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동시에 사용자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들이 더 추가된다.
부가 서비스 기능 중에 하나가 MP3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휴대용 단말기(이하 MP3 폰이라 칭한다)의 등장이다. 현재 사용자중인 MP3재생기능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MP3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곡을 들려주면서 동시에 표시부에는 타이틀 및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준다. 따라서 상기 MP3 음악파일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면, 상기 MP3 폰을 다른 용도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MP3폰에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고, 마이크(Mic:송화기)를 이용하여 상기 MP3폰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반주로하여 노래를 부르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P3 폰에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여 MP3 오디오 파일과 사용자의 음성을 혼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P3폰에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고, MP3 폰의 송화기를 이용하여 저장된 음악파일을 반주로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재생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장치가, 마이크의 출력부에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와, 혼합모드 설정시 상기 스위치를 온 스위칭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기와,상기 MP3재생기와 상기 스위치 출력을 입력하여 두 오디오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의 출력을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는 잭을 구비하여,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와 상기 MP3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혼합하여 외부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MP3 재생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방법이, 혼합모드 설정시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MP3 재생기와 마이크의 오디오신호를 혼합하는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혼합된 오디오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혼합모드가 설정되지 않을 시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혼합경로를 차단하며, 상기 MP3 재생모드시 통화 기능과 독립적으로 상기 MP3 재생기의 출력을 외부스피커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MP3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MP3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라 오디오신호들을 혼합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MP3 폰에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고, MP3 폰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MP3 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배경으로 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혼합 또는 더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MP3 폰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반주로하여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노래를 부르면 노래방 기기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P3 폰에 자기가 원하는 음악파일 또는 다른 음향 파일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더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이 내장된 MP3 폰 및 주변 관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서는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오디오 계층(audio layer)3] 음악 파일로 압축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0은 MP3 폰을 나타낸다. 그밖에 녹음·재생기(200), 컴퓨터(300), 서버(server)(400) 그리고 외부 메모리(500)는 상기 주변 장치들에 해당한다. 녹음·재생기(200)는 오디오를 기록매체에 녹음하거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기록매체로는 카세트 테이프, 콤펙트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레이져 디스크,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컴퓨터(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터넷상의 서버(400)에 연결하여 공개된 MP3 음악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캡션포맷 파일을 다운로드(download)받아 MP3 폰(100)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하며, MP3 폰(100)로부터 전달받은 음악 파일을 전자우편을 통해 상대방(다른 MP3 폰 소유자)에게 보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대방이 보낸 음악 파일을 수신하여 MP3 폰(100)에 다운로드한다. 서버(4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압축 비율을 갖는 음악 파일들 및 그에 상응하는 캡션포맷 파일을 저장하며, 무선으로 MP3 폰(100)와 접속하거나 유선으로 컴퓨터(300)와 접속하여 전자우편 프로토콜에 따라 음악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캡션포맷 파일을 원격지의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원격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외부 메모리(500)는 MP3 폰(100)의 내부 메모리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카드 혹은 하드디스크 혹은 플로피디스크 등을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MP3 폰(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함.)(61)는 녹음·재생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를 압축하고자 하는 비트율, 즉 MP3 음악 파일 형태로 샘플링하거나 전자우편을 통해 받은 오디오신호를 샘플링하여 MP3 음악 파일 형태로 압축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후술하는 압축/복원기[MP3처리기(63)]에서 압축이 해제된 음악 파일, 즉 샘플링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버퍼 메모리(62)는 DSP(61)에서 녹음·재생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를 샘플링하여 MP3 음악 파일 형태로 변환할 때 지연이 일어나는 현상에 대비하여 샘플링된 오디오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또한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DSP(61)에서 오디오신호로 변환할 때 지연이 일어나면 그 음악 파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상기 버퍼 메모리(62)는 램(RAM)을 사용할 수 있다. MP3처리기(63)는 샘플링된 오디오신호를 MP3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압축하여 MP3 음악 파일로 변환하거나 외부 혹은 내부의 저장매체(플레쉬(flash)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내부 메모리(64), 외부 메모리(500)]로부터 그곳에 저장되어 있는 MP3 음악 파일을 읽어 압축을 해제함으로써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CPU(65)는 상기 DSP(61)와 MP3처리기(63) 등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P3 폰에서의 MP3 음악파일의 녹음/재생기능 및 상기 MP3 음악파일의 곡에 상응하는 캡션포맷 파일을 읽어 그 캡션자막이 표시부(66)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한다. 표시부(66)는 상기 CPU(65)의 제어를 받아 MP3 음악 파일의 녹음/재생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일어나는 각종 상태를 문자나 숫자 등의 형태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CPU(65)의 제어 하에 MP3 음악파일의 곡에 상응하는 캡션포맷 파일의 캡션자막을 디스플레이한다. RF부(67)는 상기 CPU(65)의 제어를 받아 고유의 통화 기능은 물론이고, 대기중 전자우편을 통해 MP3 음악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캡션포맷파일을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키입력부(68)는 고유의 통화 기능은 물론이고, MP3 음악 파일의 녹음/재생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각종 키를 갖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이다. 오디오출력부(69)는 상기 CPU(65)의 제어를 받아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얻은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가청음 형태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력은 스피커는 물론이고 이어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오디오 이퀄라이져(70)는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음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질을 높이기 위한 공지의 처리를 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컴퓨터(300)와 MP3 폰(100)가 각각 적외선 송·수신기를 가질 경우 이들 사이에 MP3 음악 파일을 송·수신할 때 적외선 송·수신을 이용함으로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MP3 폰은 전화 기능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면서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도 2는 도 1과 같은 MP3 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MP3 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MP3 재생기(MP3 player part)(211)는 MP3 폰에서 수신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217)은 MP3의 송화기로써,단말기의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신호(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증폭기(MIC amp)(219)는 상기 마이크(217)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증폭 출력한다. 오디오처리기(phone audio part)(213)는 MP3 폰의 송수신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기(231)는 상기 증폭기(2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및 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제어기(audio controller)(215)는 MP3 폰의 오디오신호를 제어하며, 도시하지 않은 키패드로부터 혼합모드가 설정되면,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스위치(221)은 상기 증폭기219의 출력단에 상기 오디오 처리기(213)과 병렬 연결되며, 상기 오디오 제어기(215)에서 스위치 제어신호 발생시 온 스위칭되어 상기 증폭기(219)의 출력 통로를 형성한다. 혼합기(mixer)(222)는 상기 MP3 재생기211) 및 스위치(221)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스위치(221)이 온 스위칭 될 때 상기 MPC 오디오 파일과 상기 마이크(217)의 출력을 혼합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증폭기(223)는 상기 혼합기(222)의 출력을 증폭하여 외부스피커(external speaker)(227)이 연결되는 잭(ear jack adaptor)(225)에 출력한다. 상기 잭(225)은 MP3의 이어폰이 연결되는 단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증폭기(223)는 외부 스피커227에서 혼합된 오디오신호가 재생될 수 있는 크기로 증폭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는 키입력부를 통해 MP3 폰의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혼합모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 스피커(227)을 잭(225)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혼합모드 설정키 및 MP3 재생기(211)을 구동시키기 위한 입력을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MP3 재생기(211)이 구동되며,이때 원하는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음악이 재생된다. 또한 사용자는 혼합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에 의해 상기 오디오제어기(215)는 상기 스위치(221)을 온시키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221이 온되어 마이크(217)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혼합기222에 인가되는 통로가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MP3 폰의 사용자가 외부 스피커227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따라 노래를 부르면, 상기 음악파일 및 사용자의 음성이 혼합기(222)에서 혼합(mixing)되어 출력되며, 증폭기(223)은 상기 혼합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외부 스피커(227)에서 재생할 수 있는 크기로 증폭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스피커(227)은 상기 혼합된 음악 및 노래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혼합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면, 상기 오디오 제어기(215)는 상기 스위치(221)을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그러면 상기 스위치(221)은 오프되어 상기 마이크(217)에서 수신되는 오디오신호가 상기 혼합기(222)에 인가되는 경로를 단절시킨다. 따라서 상기 상기 외부스피커(227)에는 상기 MP3 재생기(211)에서 재생되는 음악 파일만 재생된다. 또한 이런 상태에서 상기 MP3 재생기(211)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외부 스피커(227)에 인가되는 오디오신호가 없게되며, 따라서 외부 스피커(227)로 재생되는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MP3 폰은 통화모드를 설정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MP3 재생기(211)을 구동하여 외부 스피커(227)을 통해 원하는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MP3 폰은 통화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다른 가입자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단말기 내부의 MP3 재생기(211)을 통해 원하는 음악파일을 청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노래 반주기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혼합모드(mixing mode)를 설정하면, 상기 오디오 제어기(215)에서 스위치(221)을 온시켜 마이크(217)을 통해 사용자의 노래 경로를 형성하고, 단말기의 오디오 경로는 차단한다. 이때 상기 MP3재생기(211)에서 반주가 되는 음악파일을 선택해서 재생시키면, 이들 두 오디오신호가 혼합기(222)에서 혼합된 후 잭(225)을 통해 외부 스피커(227)로 재생된다. 따라서 상기 MP3 폰을 노래 반주기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MP3 폰에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마이크 출력을 상기 MP3 음악파일의 경로에 혼합하는 기능을 구비하므로써, 실외나 자동차 등에서 MP3폰을 외부 스피커에 손쉽게 연결하여 원하는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재생되는 음악파일에 사용자의 오디오신호를 혼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MP3 폰에서 MP3 재생기를 통해 원하는 노래를 선택하고 마이크를 통해 노래를 부르면 간편하게 노래반주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MP3 재생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의 출력부에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와,
    혼합모드 설정시 상기 스위치를 온 스위칭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기와,
    상기 MP3재생기와 상기 스위치 출력을 입력하여 두 오디오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의 출력을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는 잭을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와 상기 MP3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혼합하여 외부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장치.
  2. MP3 재생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방법에 있어서,
    혼합모드 설정시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MP3 재생기와 마이크의 오디오신호를 혼합하는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혼합된 오디오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혼합모드가 설정되지 않을 시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혼합경로를 차단하며, 상기 MP3 재생모드시 통화 기능과 독립적으로 상기 MP3 재생기의 출력을 외부스피커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방법.
KR1020010007338A 2001-02-14 2001-02-14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0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338A KR100606125B1 (ko) 2001-02-14 2001-02-14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338A KR100606125B1 (ko) 2001-02-14 2001-02-14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88A true KR20020066888A (ko) 2002-08-21
KR100606125B1 KR100606125B1 (ko) 2006-07-28

Family

ID=2769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338A KR100606125B1 (ko) 2001-02-14 2001-02-14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1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724B1 (ko) * 2004-08-2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장치
KR100695368B1 (ko) * 2005-06-28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음질의 음성 출력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의 음향처리장치
KR100703347B1 (ko) 2005-04-1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악파일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332B1 (ko) * 1996-09-25 1999-07-01 윤종용 일반음악 또는 가라오케용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디지탈오디오신호 재생장치 및 방법과 그 기록매체
JPH11112615A (ja) * 1997-09-30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20000050888A (ko) * 1999-01-15 2000-08-05 허진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재생장치
KR20000073402A (ko) * 1999-05-10 2000-12-05 윤재환 엠펙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재생방법
JP4182590B2 (ja) * 1999-05-26 2008-11-19 ヤマハ株式会社 携帯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170723Y1 (ko) * 1999-08-16 2000-02-15 오토데이타시스템주식회사 문자표시 기능과 전자수첩 기능을 갖는 엠피3 플레이어
KR20010076533A (ko) * 2000-01-26 2001-08-16 강원희 휴대전화 단말기의 노래방 기능 구현 및 사용방법
KR20010007751A (ko) * 2000-08-08 2001-02-05 이동걸 무선인터넷을 통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724B1 (ko) * 2004-08-2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장치
KR100703347B1 (ko) 2005-04-1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악파일 제어방법
KR100695368B1 (ko) * 2005-06-28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음질의 음성 출력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의 음향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125B1 (ko)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8523B (zh) 一种手机实现卡拉ok的方法及具有卡拉ok功能的手机
JP4206608B2 (ja) 通信端末の着信音出力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1197173A (ja) コードレス電話器と、コードレス電話器内にデジタルビットストリーム音楽プレイヤを組み込む方法
US20120078400A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US937445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7400905B1 (en) Insertion of sound segments into a voice channel of a communication device
KR100359664B1 (ko)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
KR10060612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60101600A (ko) 통화내용 녹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023535A (ja) 通信端末、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制御方法
KR100678159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음악파일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0585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음악 파일의 재생 방법
KR100597969B1 (ko) 주문형 오디오 재생장치
JP2002027029A (ja) 通信端末装置
KR100356033B1 (ko) 녹음 기능을 구비한 엠피3 플레이어
KR100525777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배경음원과 외부 입력오디오신호의 믹싱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89455B1 (ko) 휴대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메모리 확장팩
KR20000061910A (ko) 차량용 엠피3 플레이어
JP2005006161A (ja) 折畳み式携帯電話装置
KR200295672Y1 (ko) 선택된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이어마이크
KR20000050500A (ko) 음악 파일의 압축 녹음 및 재생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107168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대기음을 송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30076041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핸즈프리 겸용 리모콘
KR2006012976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mp3 기능을 배경음악으로 설정하는방법
KR20000061909A (ko) 무선 통신의 기능을 구비한 엠피3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