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345B1 -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345B1
KR100744345B1 KR1020060075321A KR20060075321A KR100744345B1 KR 100744345 B1 KR100744345 B1 KR 100744345B1 KR 1020060075321 A KR1020060075321 A KR 1020060075321A KR 20060075321 A KR20060075321 A KR 20060075321A KR 100744345 B1 KR100744345 B1 KR 10074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evel
audio file
optimum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48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고속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확인된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력레벨, 최적-출력레벨, 포맷정보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UDIO PROCESSING IN A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디오 파일의 고속 재생을 통해 오디오파일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오디오 파일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단순한 통신 기기로서의 의미를 벗어나,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엔터테인먼트 기기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의 복합기 성격이 강화되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써,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기기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휴대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에는 특정 코덱의 오디오 파일(예를 들어, mp3, aac 및 ogg 등)이나,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파일(예를 들어, 벨소리 등)등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오디오 파일의 일정하지 않은 음량 때문에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때 너무 큰 음량에 귀에 고통을 느끼거나 너무 작은 음량에 오디오 파일의 감상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어왔다. 이는, 오디오 파일의 재생시의 음량 설정과 관계된 출력레벨에 대한 기준이 없고 오디의 파일의 다양한 획득 경로로 인해서 오디오 파일마다 각각의 출력레벨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공개번호 10-2005-0018427, 10-2005-0021700)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완벽하게 해소해 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제시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특정 하드웨어요건을 필요로 하였다. 즉, 종래의 기술은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오디오 파일의 결과로부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오디오 파일의 즉각적인 재생이 불가능하였고 버퍼링을 위한 커다란 용량의 메모리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였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오디오 파일의 재생 구간 중에서 처음 몇 초만을 버퍼링하여 출력레벨을 추출하기 때문에, 클래식이나 재즈처럼 전주부분이 조용한 오디오 파일은 정확한 출력레벨을 추출할 수 없는 맹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추출한 후 각 오디오 파일마다 일정한 출력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고속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확인된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최적-출력레벨에 오디오 파일의 출력이득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재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최적-출력레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코덱은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게인(GAIN)을 설정하는 앰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메모리(30)에는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디오 파일은 링톤(Ring Tone) 또는 기타 다양한 포맷의 파일이 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예로써 Mp3, Ogg Vorbis, WAV, WMA 또는 AAC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오디오 파일은 동영상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가 될 수도 있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LCD 또는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또는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출력 이득의 재설정이 요청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요청되면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최적-출력레벨으로 재설정하여 재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디오 파일의 고속 재생을 통해 오디오파일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에 대한 재설정이 요청되면(S201), 제어부(10)는 재설정이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고속 재생하여(S202), 재설정이 요청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한다(S20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상황을 출력레벨의 재설정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휴대단말기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 컴퓨터 또는 주변의 휴대단말기 등)로부터 오디오 파일이 수신(또는 교환)되는 첫 번째의 경우와,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저장소(예를 들어, 폴더 또는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한 후 선택한 오디오 파일 또는 저장소에 대해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의 재설정을 요청하는 두 번째의 경우이다. 출력레벨의 재설정이 요청된 이후 제어부(10)는 재설정 요청된 오디오 파일(재설정 요청된 것이 플레이리스트 또는 폴더일 경우 재설정될 오디오 파일은 복수 개이다)을 고속 재생하여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사용자에게는 들리지 않도록 뮤트(mute) 상태인 채로 오디오 파일을 고속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배속으로 고속 재생한다고 가정하면, 정상적으로 4분의 플레이 타임을 가지는 오디오 파일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고속 재생되면 24초의 플레이 타임을 가지게 되며, 고속 재생되는 동안 고속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의 소리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다른 동작모드(예를 들어, 문자 및 호의 송수신이나 게임 플레이 등의 동작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으면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S201 내지 S203 단계를 통해 출력레벨의 재설정이 요청된 오디오 파일의 출력 이득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0)는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0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출력레벨은 세 가지 경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사용자가 일정 레벨의 소리 크기를 원하고 그에 따라 특정 크기의 출력레벨 값을 입력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로는 오디오 파일이 재생될 때 클리 핑(Clipp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특정 출력레벨 값이 미리 설정된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파일은 코덱에 따라 디코딩되어 재생되는데 이때 오디오 파일의 특정 구간이 다른 구간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은 음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오디오 재생 기기는 오디오 파일의 높은 음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재생 기기의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오디오 파일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음량에 해당하는 구간을 잘라버리게(클리핑)되는데, 이러한 클리핑은 오디오 파일의 음질의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출력레벨은 이러한 클리핑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설정하여, 오디오 파일을 음질의 열화없이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의 경우에 해당하는 최적-출력레벨은 이하 S206 내지 S208 단계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S204 단계의 확인 결과,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면 제어부(10)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최적-출력레벨으로 재설정한다(S205).
제어부(10)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최적-출력레벨으로 재설정하기 위해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과 최적-출력레벨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이득차를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0)는 추출된 이득차와 재설정되기 전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비교하는 참조-테이블을 작성하여 메모리(30)에 저장한다.
S204 단계의 확인 결과에서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을 확인하고(S206),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의 평균값을 추출한다(S207).
미리 설정된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을 확인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출력레벨의 확인은 S205 단계에서 생성된 참조-테이블을 통해 가능하다.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을 확인한 이후,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을 평균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평균값은 정확하게 산술되는 평균값일 수도 있으나, 평균값의 하한값 또는 상한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값이 89.7 dB의 산술 평균이 나왔을 경우, 제어부(10)는 89 dB 또는 90dB 중 어느 하나를 평균값으로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S208 단계에서 추출된 평균값을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으로 재설정한다(S208).
S206 내지 S207 단계를 통해 추출된 평균값은 S204 단계의 설명 과정에서 언급된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최적-출력레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참조-테이블에 오디오 파일의 재설정 전의 출력레벨과 S206 내지 S207 단계를 통해 추출된 평균값의 이득차를 저장한다.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요청되면(S209), 제어부(10)는 재설정된 출력레벨으로 재생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한다(S210).
오디오 파일의 재생 요청에, 제어부(10)는 참조-테이블에 존재하는 오디오 파일의 재설정전 출력이득출력레벨과 최적-출력레벨과의 이득차레벨차를 확인하고, 이득차레벨차만큼 코덱에 포함된 앰프의 출력게인을 보상하여 재생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과 같은 참조-테이블에서 최적-출력레벨이 89dB일때, 제어부(10)는 XXX라는 확장자를 가지는 오디오 파일 Over the rainbow는 출력레벨(94dB)와 이득차(+5dB)를 확인하고 -5dB 만큼 코덱에 포함된 앰프의 출력게인을 보상하여 89dB로 Over the rainbow를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YYY라는 확장자를 가지는 오디오 파일 Under the sea는 출력레벨(83dB)와 이득차(-6dB)를 확인하고 +6dB 만큼 코덱에 포함된 앰프의 출력게인을 보상하여 89dB로 Under the sea를 재생한다.
표 [1]
출력레벨 최적-출력레벨과의 이득차
Over the rainbow.XXX 94 dB +5 dB
Under the sea.YYY 83 dB -6 dB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맷정보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이 기록된 메타데이터(metadata) 또는 태그(tag)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각 단계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출력레벨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출력레벨과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에 대한 재설정이 요청되면(S301), 제어부(10)는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02).
S301 단계의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에 대한 재설정 요청은 도 2의 S201 단계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맷정보로서의 메타데이터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맷정보로서의 태그는 오디오 파일의 여러가지 등록 정보와 함께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태그는 ID3v2 또는 APEv2가 될 수 있으며, ID3v2는 ID3v1보다 많은 정보량을 저장할 수 있는 포맷정보 이며 APEv2 또한 ID3v1와 호환됨과 동시에 ID3v1의 확장된 형태의 포맷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오디오 파일의 메타데이터 및 태그는 오디오 파일의 헤더(Header) 영역에 저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가 존재하면, 제어부(10)는 포맷정보에 포함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한다(S303).
제어부(10)는 포맷정보에 포함된 출력레벨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출력레벨의 재설정이 요청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한다.
S303 단계이후, 제어부(10)는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304),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면 최적-출력레벨을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으로써 포맷정보에 기록한다(S305).
제어부(10)는 S304 단계에서 확인된 최적-출력레벨을 포맷정보의 종류(메타데이터 또는 태그)에 적합하도록 설정하여, 포맷정보의 출력레벨이 기록되는 부분(예를 들어, 헤더 부분)에 최적-출력레벨을 기록한다.
S304 단계의 확인결과,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을 확인하고(S306),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의 평균값을 추출한다(S307).
S306 단계 및 S307 단계는 도 2의 S206 단계 및 S207 단계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S307 단계에서 추출된 평균값을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으로써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에 기록한다(S308).
제어부(10)는 추출된 평균값을 포맷정보의 형태에 따라 적합하게 설정한 후에, 평균값을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으로 설정되도록 포맷정보의 출력레벨을 기록하는 부분에 평균값을 기록한다. 이때, S305 단계 또는 S308 단계를 통해 포맷정보의 출력레벨을 최적-출력레벨 또는 평균값으로 변경하게 될 경우, 변경되기 전에 저장되었던 출력레벨은 삭제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포맷정보를 통해 출력레벨을 변경할 경우, 재설정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의 변경되기 이전의 출력레벨으로 복원할 수 있다.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요청되면(S309), 제어부(10)는 포맷정보에 기록된 출력레벨으로 재생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한다(S310).
제어부(10)는 S305 단계 및 S308 단계를 통해서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에 기록된 출력이득출력레벨을 확인한 후에, 확인된 출력이득출력레벨에 따라 코덱에 포함된 앰프의 출력게인을 설정하여 재생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확인하고, 출 력레벨을 최적-출력레벨으로 재설정한 후에 최적-출력레벨으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함에 있어서, 오디오 파일의 고속 재생을 통해 검출함으로써 출력레벨을 확인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줄어들며, 대용량의 버퍼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적-출력레벨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존에 저장되었던 오디오 파일들의 출력레벨들로부터 추출된 출력레벨들의 평균값으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재설정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은 모두 일정한 음량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과 최적-출력레벨과의 출력차를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게 저장한 후에 오디오 파일의 재생시에는 출력차만큼만 보상하여 재생함으로써, 오디오 파일 자체의 출력레벨 값이 변경되지 않으므로 오디오 파일을 원본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고속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확인된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은 뮤트(MUTE)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출력레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출력레벨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레벨의 재설정은 상기 출력레벨과 상기 최적-출력레벨 사이의 레벨차를 상기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6. 제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요구되면,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레벨차만큼 보상하여 상기 재생이 요구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7.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최적-출력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출력레벨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출력레벨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레벨의 재설정은 상기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에 포함된 출력레벨을 상기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요구되면, 상기 출력레벨이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12.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재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최적-출력레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값을 상기 최적-출력레벨로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 서 오디오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의 평균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평균값을 상기 최적-출력레벨로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파일을 고속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파일을 뮤트(MUTE) 상태로 고속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속 재생하여 검출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과 상기 최적-출력레벨 사이의 레벨차를 상기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포맷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포맷정보에 포함된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19. 제12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요구되면, 상기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레벨차만큼 보상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20. 제12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요구되면, 상기 포맷정보에 포함된 오디오 파일의 출력레벨을 상기 최적-출력레벨로 재설정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
KR1020060075321A 2006-08-09 2006-08-09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74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21A KR100744345B1 (ko) 2006-08-09 2006-08-09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21A KR100744345B1 (ko) 2006-08-09 2006-08-09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345B1 true KR100744345B1 (ko) 2007-07-30

Family

ID=3849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321A KR100744345B1 (ko) 2006-08-09 2006-08-09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56782A1 (en) * 2014-08-21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542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아이큐브 오디오 출력레벨 자동 보정 시스템
KR20050091460A (ko) * 2004-03-12 2005-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운드 파일의 출력음량 조절 장치와 방법
KR20060104246A (ko) * 2005-03-29 2006-10-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음원의 최적 디폴트 증폭게인 산출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20070015743A (ko) * 2005-08-01 2007-02-06 주식회사 팬택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음량 조절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542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아이큐브 오디오 출력레벨 자동 보정 시스템
KR20050091460A (ko) * 2004-03-12 2005-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운드 파일의 출력음량 조절 장치와 방법
KR20060104246A (ko) * 2005-03-29 2006-10-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음원의 최적 디폴트 증폭게인 산출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20070015743A (ko) * 2005-08-01 2007-02-06 주식회사 팬택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음량 조절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56782A1 (en) * 2014-08-21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US9729116B2 (en) * 2014-08-21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342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US8165321B2 (en) Intelligent clip mixing
JP4203495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5253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playback device volum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0354715B1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 및 음향 재생장치
US20080043996A1 (en) Systems And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udio Levels Based On User Selectable Parameters
JP6497986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オーディオ信号制御方法
US9756439B2 (en) Method and devices for outputting an audio file
EP1376572A2 (en) A set of electronic apparatuses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CN104798301A (zh) 音频响度控制系统
JP2008521028A (ja) 録音音量の正規化方法
US20070185601A1 (en) Presentation of audible media in accommodation with external sound
EP34447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003617A1 (en) Power Supplies
KR101120019B1 (ko) 무선 통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831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단축 저장 방법
KR100744345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9155680B (zh) 当前音视频再现被中断覆盖后继续当前再现的方法和设备
JP2005333191A (ja) 携帯端末型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201302457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based upon characteristics of music
US20210400355A1 (en) Audio device with learning and adaptive quiet mode capabilities
KR10060585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음악 파일의 재생 방법
KR100490409B1 (ko)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KR10060612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31651B1 (ko) 음악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이퀄라이저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