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879Y1 -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879Y1
KR200299879Y1 KR20-2002-0029195U KR20020029195U KR200299879Y1 KR 200299879 Y1 KR200299879 Y1 KR 200299879Y1 KR 20020029195 U KR20020029195 U KR 20020029195U KR 200299879 Y1 KR200299879 Y1 KR 200299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transformer
pressure rel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이명희
정성교
김상현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파워
Priority to KR20-2002-0029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 외부 선로의 전류 및 전압값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선로측의 고장을 감지하고 선로측의 고장이 감지된 경우에는 충격 압력계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변압기의 외부 고장에 의해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시스템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mal-operation of sudden pressure relay system for protecting transformer}
본 고안은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내부의 고장이 아닌 선로 측의 고장에 의해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사고는, 변압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권선의 전부 또는 부분 단락과 권선의 지락과 1차측 및 2차측 권선의 혼촉 및 단선 등이 있으며, 변압기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2차측 선로의 단락과 지락 및 과부하 등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이다.
비교적 장치규모가 큰 전력용 변압기에는, 그 변압기의 내부 사고를 방지하고자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0)와, 이 변압기에 연결된 1차측 선로(20) 및 2차측 선로(30)와, 1차측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40)와, 2차측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50) 및, 변압기(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변압기 내의 가스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가스 압력에 따라 변압기의 1, 2 차측 차단기(40, 50)를 동작시키는 충격 압력계전기(6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급격한 전류변화에 의해 변압기(10) 내의 절연유로부터 가스가 발생되고 이 발생된 가스의 압력이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충격 압력계전기(60)가 동작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 충격 압력계전기(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차단기(40, 50)가 동작하여 사고가 발생된 변압기(10)를 1차측 및 2차측의 각 선로(20, 3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충격 압력계전기가 동작되는 조건인 가스의 압력 증가는 급격한 전류변화가 주요원인인데, 이러한 급격한 전류변화는 변압기 내부 사고뿐만 아니라 변압기의 외부 사고 시에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변압기의 외부 사고에 의해 충격 압력계전기가 오동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변압기의 외부 사고시에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아날로그 필터부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선로측 사고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요소 특성곡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변압기 120: 1차측 선로
130: 2차측 선로 140, 150: 차단기
160: 충격 압력계전기 200: 전류 감지부
210: 전압 감지부 300: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
310: 입력신호 처리 모듈 312: 신호 입력부
314: 아날로그 필터부 316: A/D 변환부
320: 제어모듈 322: 기억부
324: 제어부 330: 인터페이스 모듈
332: 키입력부 334: 표시부
336: 통신부 340: 신호 입출력모듈
342: 디지털 입출력부 344: 스위칭 제어부
350: 버스 400: 스위칭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는, 변압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변압기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충격 압력계전기와 이 충격 압력계전기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변압기가 연결된 선로를 개방하는 차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에 있어서, 변압기 외부 선로의 전류치와 전압레벨을 각각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각각의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판별되는 변압기 외부 선로의 전류치와 전압레벨에서 위상 및 크기를 추출하여 고장종류 및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결과 선로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충격 압력계전기로부터의 제어신호 출력라인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계전수단과, 상기 계전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 접점을 개방하여 충격 압력계전기의 제어신호 출력라인을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은, 변압기(110)와, 이 변압기(110)에 연결된 1차측 선로(120) 및 2차측 선로(130)와, 1차측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140)와, 2차측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150)와, 변압기(110)의 내부에 설치된 충격 압력계전기(160)와, 전류감지부(200)와, 전압감지부(210)와,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와, 스위칭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변압기(110)는 1차측의 전압을 설정된 변압비로 변압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1차측 선로(120) 및 2차측 선로(130)는 각기 3상(a, b, c 상)의 전력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1차측 차단기(140)와 2차측 차단기(150)는 충격 압력계전기(1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기 1차측 선로(120) 및 2차측 선로(130)의 회로를 차단하는 회로차단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충격 압력계전기(160)는 변압기(110) 내부의 가스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가스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면 변압기(110)를 1차측 및 2차측 선로(120, 1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1차측 차단기(140)와 2차측 차단기(150)로 각각 인가한다.
상기 전류 감지부(200)는 변압기 2차측 선로(200)의 3상 전류를 각각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각 상별 아날로그의 전류감지신호를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로 인가하는 것으로, 일예로, 전류 감지부(200)는 3상용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일 수 있다.
상기 전압 감지부(210)는 변압기 2차측 선로(200)의 3상 전압을 각각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각 상별 아날로그의 전압감지신호를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로 인가하는 것으로, 일예로, 전압 감지부(200)는 3상용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PT")일 수 있다.
상기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는 전류 감지부(200)와 전압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된 변압기 2차측 선로(130)의 전류치와 전압값을 데이터화하여 수집 및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 및 전류 데이터에 의해 고장여부와 고장종류 및 방향 등을판단하여 스위칭부(31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 있어서,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는,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과 제어모듈(320)과 인터페이스 모듈(330)과 신호 입출력모듈(340) 및 버스(350)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은, 전류 감지부(200)와 전압 감지부(21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소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입력부(312)와, 이 신호 입력부(312)에 의해 각각 소신호로 변환된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에서 고조파를 제거하는 아날로그 필터부(314) 및, 이 아날로그 필터부(314)에서 필터링된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를 각각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3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아날로그 필터부(314)는 통상적인 로우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적용한 것으로, 고속동작을 위한 아날로그 신호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조파를 제거하여 에러를 감소시키고자 사용하는 것으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전달 함수 식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제어모듈(320)은, 기억부(322)와 제어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기억부(322)는 전류치와 전압값에 의해 사고의 방향과 종류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설정데이터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설정정보와 입력된 전류치 및 전압값과 제어부(324)에 의해 판단된 사고의 방향과 종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324)는,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선형 위상 특성의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고,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형태의 전류 감지신호와 전압 감지신호에 대해 반주기의 이산 푸리에 변환(Half Cycle Discrete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여 입력된 전류 감지신호와 전압 감지신호의 각 상별 위상 및 크기를 추출하고 이를 기억부(322)에 저장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324)는 상기 추출된 각 상별 위상 및 크기에 의해 고장의 종류 및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고장의 종류 및 방향을 기억부(322)에 기억시키되 선로 측의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충격 압력계전기(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어부(324)에 채용된 선형 위상특성의 디지털 필터는, 전력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류 오프셋(Offset)에 의한 에러를 감소시키고자 사용하는 것으로, 그 형태로는 제어부(324)에 내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형태의 필터이거나 제어부(324)에 포함된 하드웨어장치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선형 위상특성의 디지털 필터는, 고속동작에 적합한 FIR(Finite Impulse Response; 임펄스 수열의 응답이 유한한) 필터일 수 있으며, 그 식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Vk"는 아날로그 필터부(314)를 통과한 현재 샘플신호이고, "Xk"는아날로그 필터부(314)를 통과하기 전의 현재 샘플신호이며, "Xk-1"는 아날로그 필터부(314)를 통과하기 1 샘플 전 신호이다.
그리고, 제어부(324)에 의해 수행되는 반주기의 이산 푸리에 변환의 식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서, "Vx"는 신호의 실수부이고, "Vy"는 신호의 허수부이며, "N"은 1주기당 샘플링 수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330)은, 각종 제어명령의 입력, 설정값의 정정, 정보의 확인을 위해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332)와, 제어부(324)의 제어과정에 따른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34)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상위의 제어기기(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통신부(336)는 RS232C 방식의 직렬통신포트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입출력모듈(340)은, 제어 모듈(320)에 의한 연산처리와 정해진 일련의 처리과정을 통해 출력된 명령을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외부의 기기로 전달하고 차단기 및 충격 압력계전기 등으로부터의 외부 조건을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입력받기 위한 디지털 입출력부(342)와, 제어모듈(320)의 제어부(324)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부(400)의 스위칭절환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스(Bus)(350)는,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과 제어모듈(320)과 인터페이스 모듈(330)과 신호 입출력모듈(340) 간의 데이터통신을 매개한다.
상기 스위칭부(400)는 충격 압력계전기(160)로부터 1차측 및 2차측의 차단기(140, 150)로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제어신호 출력라인(161)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통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회로를 개방하는 상시폐로(常侍閉路)형 접점(이른바, "b"접점)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시폐로형 접점 스위치로는 릴레이(Relay)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상태에서, 변압기 2차측 선로(130)의 각 상별 전류치와 전압값이 전류 감지부(200)와 전압 감지부(210)에 의해 각각 감지되고, 그 감지된 각 상별 전류치와 전압값에 상응하는 아날로그형태의 감지신호가 전류 감지부(200)와 전압 감지부(210)로부터 각각 발생된다.
상기 전류 감지부(200)와 전압 감지부(210)로부터 발생된 아날로그 형태의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는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의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로 입력되고, 신호 입력부(312)에서 소신호로 변환된다.
신호 입력부(312)에서 소신호로 변환된 아날로그 형태의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는 아날로그 필터부(314)를 거치면서 고조파성분이 제거되고, A/D변환부(316)에 의해 디지털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버스(350)를 매개로 제어모듈(320)로 전송된다.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의 A/D변환부(316)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형태의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는 제어모듈(320)의 제어부(324)로 입력되면서 제어부(324)에 구비된 디지털 필터에 의해 그 신호의 왜곡이 정정된다.
제어부(324)는 입력 신호 처리모듈(310)의 A/D변환부(316)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형태의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에 대해 반주기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입력된 전류 감지신호와 전압 감지신호의 각 상별 위상 및 크기를 추출하고 이를 기억부(322)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324)가 일반적인 1주기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반주기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것은, 충격 압력계전기(160)가 동작되기 이전에 모든 연산처리를 완료하기 위한 것으로, 초고속의 디지털 처리 기법에 해당한다. 단, 이를 위해 제어부(324)는 매우 빠른 동작특성을 갖을 필요가 있는 바, 제어부(324)로서 빠른 동작주파수의 "DSP(S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적으로, 통상의 디지털 계전기들의 동작 속도가 대략 20 [msec]∼40 [msec] 정도인데 반해, 반주기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대략 12 [msec] 이내의 초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제어부(324)는 기억부(322)에 저장한 2차측 선로(130)의 각 상별 전류 및 전압값의 위상 및 크기를 기억부(322)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고장여부와 고장의 종류를 판단한다.
제어부(324)는 2차측 선로(130)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각 상별 전류 및 전압값의 위상 및 크기에 근거하여 사고의 종류에 따른 각각의 정상분 임피던스를 달리 적용해서 사고의 위치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고의 종류별로 각각 적용되는 정상분 임피던스는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
사고종류 적용 임피던스
a,b,c 상 단락 Za, Zb, Zc
a, b 상 지락 Za, Zb
b, c 상 지락 Zb, Zc
c, a 상 지락 Zc, Za
a, b 상 단락 Zab
b, c 상 단락 Zbc
c, a 상 단락 Zca
a상 지락 Za
b상 지락 Zb
c상 지락 Zc
상기 표 1에서, "Za"는 a상의 정상분 임피던스이고, "Zb"는 b상의 정상분 임피던스이며, "Zc"는 c상의 정상분 임피던스이다.
즉, 제어부(324)는 정상분 임피던스의 위상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요소 특성곡선에서 임피던스 평면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정방향의 사고인지 역방향의 사고인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판단된, 사고의 종류와 판단은 제어부(324)에 의해 기억부(322)에 기억됨과 더불어, 제어부(324)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334)를 통해 표시되며, 통신부(336)를 통해서는 상위의 제어기로 보고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4)에 의해 사고 전후의 데이터값이 분류되어 기억부(322)에 기억됨으로써, 추후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데 참고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324)는 판별된 고장이 변압기(110)의 내부 고장이 아닌 외부 고장 즉, 2차측 선로의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충격 압력계전기(160)의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스위칭부(400)의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전력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사고방향이 정방향일 때와 사고방향이 역방향일 때 중 어느 한쪽 방향일 때만 선택적으로 스위칭부(400)의 접점을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모듈(330)의 키입력부(332)를 통해 설정제어값을 정정함으로써 제어가 가능하다. 즉, 키입력부(332)를 통해 사용자가 사고방향에 따라 스위칭부(400)의 접점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정정값을 입력하면, 이 입력된 정정값이 인터페이스 모듈(330)로부터 제어모듈(320)의 제어부(324)로 입력되고 제어부(324)는 정정값을 기억부(322)에 기억시킨 다음 이 기억된 정정값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24)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는 버스(350)를 매개로 신호 입출력모듈(340)의 스위칭제어부(344)로 인가되고, 스위칭제어부(344)는 제어부(324)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부(400)를 제어하여 스위칭부(400)의 접점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400)의 접점이 개방됨으로써, 변압기(110)의 외부고장 즉, 선로측의 고장에 의해 충격 압력계전기(160)가 오동작하여 차단기(140, 150)를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더라도, 이 출력된 제어신호가 접점이 개방된 스위칭부(40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차단기(140, 15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2차측 선로(130)에서 발생된 고장으로 여타의 과전류 계전기나 지락 계전기 등이 동작하여 2차측 선로(130)가 개방될 경우, 본 고안의 방향성 과전류 계전기(300)에서는 더 이상 고장 감지가 되지 않으므로 제어부(324)로부터 제어신호의 출력이 중단되어 스위칭부(400)가 리셋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400)가 리셋되어 스위칭부(400)의 접점이 폐쇄되면, 오동작된 충격 압력계전기(110)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가 차단기(140, 150)으로 인가될 수 있는 바, 제어부(324)는 충격 압력계전기(160)가 작동한 후 자체적으로 리셋될 때까지의 시간을 초과하는 소정의 설정시간(예컨대, 15초 정도) 동안 제어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324)에서 지속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설정시간은 사용자가 키입력부(332)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3상 변압기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상 변압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변압기의 2차측 선로에 대한 전류·전압을 감지하도록 구성한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압기의 1차측 선로에 대해 전류·전압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변압기 외부 선로의 전류 및 전압값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선로측의 고장을 감지하고 선로측의 고장이 감지된 경우에는 충격 압력계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변압기의 외부 고장에 의해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시스템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변압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변압기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충격 압력계전기와 이 충격 압력계전기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변압기가 연결된 선로를 개방하는 차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에 있어서,
    변압기의 외부 선로에 대한 전류치와 전압레벨을 각각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각각의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판별되는 변압기 외부 선로의 전류치와 전압레벨에서 위상 및 크기를 추출하여 고장종류 및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결과 선로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충격 압력계전기로부터의 제어신호 출력라인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계전수단과,
    상기 계전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 접점을 개방하여 충격 압력계전기의 제어신호 출력라인을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디지털형태로 변환 출력하는 입력 신호처리 수단과,
    상기 입력신호처리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신호에 의해 선로 측의 전류와 전압레벨의 위상 및 크기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전압레벨의 위상 및 크기에 따라 고장의 종류 및 방향을 판별하며 판별결과 선로 측의 고장이면 상기 스위칭부의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각 감지신호를 소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소신호로 변환된 감지신호에서 고조파성분을 제거하는 아날로그 필터부와, 이 아날로그 필터부에 의해 고조파성분이 제거된 각 감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투 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반주기의 이산 푸리에 변환에 의해 전류와 전압의 위상 및 크기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전류 및 전압의 위상 및 크기에 의해 각 고장종류별 정상분 임피던스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정상분 임피던스의 위상각에 의해 사고의 방향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입력처리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의 위상이 선형이 되도록 왜곡을 정정하는 선형 위상 특성의 디지털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필터는, 임펄스 수열의 응답이 유한한 필터(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FIR"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설정시간동안 지속시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로측에 발생된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그 사고의 방향이 설정 방향일 경우에만 스위칭부의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및 추출된 각종의 데이터와 작동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기억장소에 기억시키고 미리 설정된 로직이나 사용자 또는 상위의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 및 정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및 정보는, 별도로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 및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신호의 형태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연산처리와 정해진 일련의 처리과정을 통해 출력된 명령을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외부의 기기로 전달하고 외부의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외부의 조건을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입력받기 위한 디지털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시폐로형 접점으로 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KR20-2002-0029195U 2002-09-30 2002-09-30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KR200299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95U KR200299879Y1 (ko) 2002-09-30 2002-09-30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95U KR200299879Y1 (ko) 2002-09-30 2002-09-30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377A Division KR100479692B1 (ko) 2002-09-30 2002-09-30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879Y1 true KR200299879Y1 (ko) 2003-01-06

Family

ID=4939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195U KR200299879Y1 (ko) 2002-09-30 2002-09-30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8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4364A (ko) 지락 방향 계전 장치
US79654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condition
KR100479692B1 (ko)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JP7008551B2 (ja) 故障判定装置、および保護継電装置
EP0604037A1 (en) Busbar protection method
KR200299879Y1 (ko) 변압기 보호용 충격 압력계전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장치
JP3829614B2 (ja) デジタル形保護継電装置
JP7117963B2 (ja) 保護リレー装置
JP2016152674A (ja) 保護リレー装置
JPH0625344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957187B2 (ja) 計器用変圧器の2次回路断線検出装置
JP4253310B2 (ja) 受配電設備を監視する中央監視装置、及びその監視記録方法
JP4006138B2 (ja) ロック協調制御回路と保護継電装置
JPH08265957A (ja) マトリックス演算形系統保護装置
JP7030621B2 (ja) 保護制御装置
KR200347633Y1 (ko) 고장 검출 및 선택적 자동재폐로를 위한 디지털 전력보호 감시제어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JP3378418B2 (ja) 漏電保護方式
JP2755697B2 (ja) 保護継電装置
JP3335788B2 (ja) 電力系統保護制御装置
JP2002101549A (ja) 地絡方向継電装置
SU13126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вухфаз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вторного включени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JP2022172806A (ja) 保護リレー装置
JPH02123912A (ja) 開閉器制御装置
JPH0583844A (ja) 距離継電装置
CN113964799A (zh) 一种防止t区两端差动保护误动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