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828Y1 -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 Google Patents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828Y1
KR200297828Y1 KR2020020026925U KR20020026925U KR200297828Y1 KR 200297828 Y1 KR200297828 Y1 KR 200297828Y1 KR 2020020026925 U KR2020020026925 U KR 2020020026925U KR 20020026925 U KR20020026925 U KR 20020026925U KR 200297828 Y1 KR200297828 Y1 KR 200297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asting plate
plate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윤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수 filed Critical 윤근수
Priority to KR2020020026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828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에서 육류를 익힐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배출구를 따라 빠져나갈 때 배출구를 나가는 기름이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 기름 유도관이 형성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종 고기를 굽는 구이판에 있어서, 구이판의 중앙 일측에 편심되어 기름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구와 연통됨과 동시에 구이판의 하부에 기름이 역류하지 않고 배출되도록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단턱이 형성된 기름유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구이판의 하부로 배출되는 기름이 김름유도관의 표면을 타고 역류하지 않으므로 화재가 일어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으며, 기름이 역류하면서 주변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환경이 청결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구이판은 기름과 육류의 찌꺼기가 각각 분리되어 수거됨으로써 구이판의 소제가 빠르고 쉬운 효과가 있으며, 찌꺼기가 걸러진 기름은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A GUIDE PIPE HAVING A ROAST PLATE FOR KEEPING OFF FLOW OIL}
본 고안은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구이판에서 육류를 익힐 때 발생되는 기름이 배출구를 따라 빠져나갈 때 배출구를 나가는 기름이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 기름 유도관이 형성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은 음식접등의 업소에서 화덕 또는 가스렌지등에 안착시킨 후 열원으로 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구이판을 달궈 육류나 기타 음식물을 굽거나 익혀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구이판은 금속재가 이용되어 주물작업이나 다이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제작되어지고, 육류를 익힐때 발생되는 기름을 배출하기 위하여 기름배출구가 구이판의 일측 또는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기름배출구로 육류의 기름 또는 찌꺼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구이판의 하측면을 타고 역으로 흘러서 열원의 불꽃과 접촉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6097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구이판의 중앙에 기름배출구를 형성하여 기름을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의 중앙에 기름배출구가 끼워지고 그 하부로 기름배출통이 위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렌지를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 제작된 휴대용 가스렌지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기름때가 기름 유도관의 하부 또는 기름 배출구의 하부에 찌든 때로 남게 되어 소제의 블편함이 있었다.
통상의 구이판에서는 기름과 육류의 찌꺼기가 함께 배출됨으로써 기름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는 바, 본 고안은 육류에서 나오는 기름을 재활용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름이 배출되는 기름 유도관을 이단구조로 형성하여 배출되는 기름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기름유도관의 단부에 소정의 돌기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고 기름이 깔끔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구이판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육류의 찌꺼기가 섞이지 않는 순도가 높은 기름을 수거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을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중앙부 11 : 기름배출구
20 : 기름유도관 22 : 단턱
24:돌기 26 : 기름 배출공
28 : 기름 안내홈 30 : 연결홈
100:구이판
본 고안은 각종 고기를 굽는 구이판에 있어서, 구이판의 중앙 일측에 편심되어 기름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구와 연통됨과 동시에 구이판의 하부에 기름이 역류하지 않고 배출되도록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단턱이 형성된 기름유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름유도관은 구이판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연장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름유도관의 단턱은 소정의 경사가 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이판의 평면부에는 구이판의 기름안내홈과 기름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홈이 더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을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이판(10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부에 손잡이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평면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구이판 몸체(9)와, 상기 구이판 몸체(9)의 하부 일측에중앙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기름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기름 유도관(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이판 몸체(9)의 내측에는 다수의 원호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상의 홈을 세로로 교차하는 기름 안내홈(28)이 평면부(1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 몸체(9)의 평면부(10)는 중앙에 위치하여 빠르게 익혀서 먹을 수 있는 김치, 양파 등의 음식물을 올려놓고, 육류를 구을 때 발생하는 기름을 이용하여 튀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된다.
상기 평면부(10)의 일측에는 기름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은 상기 기름 배출구(11)를 통해서 구이판(100)의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기름배출구(11)는 구이판(100)의 중앙 위치에서 일정한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소정의 편심거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름 유도관(20)은 상기 구이판(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름배출구(11)와 연통되는 기름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름 유도관(20)은 상기 구이판의 중앙 위치에서 연장되어 구이판의 가장자리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 유도관(20)의 중간 부분에는 단턱(22)이 형성되어 이단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22)은 외측 뿐만 아니라 내측에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다.
상기 기름 유도관(20)은 중앙에서 연장되어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차로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기름 유도관(20)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분에 단턱(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름 배출구(11)를 통해서 빠져나오는 기름이 원할하게 흘러내릴 수 있고, 육류의 찌꺼기들은 기름과 같이 흘러내리다가 단턱(22) 부위에서 걸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단턱(20)에 의해서 육류의 찌꺼기들이 걸러지게 되므로 기름만을 따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된 기름은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름유도관(20)은 그 단부의 아래쪽에 역류방지용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름배출구(11)를 통해서 기름유도관(20)의 기름배출공(26)을 따라 흘러내리는 기름이 최종적으로 상기 돌기(24)에 의해 걸려서 기름 유도관(20)의 표면을 따라서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름 유도관(20)은 단턱(22)에 의해 걸러진 육류의 찌꺼기만을 별도로 수거할 수 있으므로 소제가 용이하다.
상기 기름 유도관(20)의 단턱(22)은 중간부분에 하나의 단턱을 형성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 이상의 단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기름 유도관의 구배를 더욱 증가시켜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열원을 공급하는 휴대용가스렌지 또는 가정용 가스렌지 등의 상부에 구이판(100)을 안착시키고 상기 구이판(100)에 육류를 올려놓고 열원을 공급하면 열원에 의해 육류를 익히면서 기름과 육류 찌거기가 발생되어 상기 평면부(10)에 모여져 기름배출구(11)를 통해 빠져나가고, 계속해서 기름은 기름유도관(20)과 연통된 기름배출공(26)을 통해서 이동되어 아래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상기 기름유도관(20)을 따라 이동되는 기름이 상기 돌기(24)에 의해 기름유도관(20) 저부 표면을 따라 역류하여 흐르지 않으므로서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스렌지나 바닥에 흘러내리지 않게 됨으로서 주변이 환경이 깨끗해진다.
그리고, 상기 기름유도관(20)을 따라 육류의 기름과 찌꺼기가 이동되면서 일정한 무게를 갖는 찌꺼기는 단턱(22)에 걸려서 모여지고 기름은 계속적으로 배출되어 양질의 기름을 얻을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평면부(10)에는 김치, 양파, 마늘, 고추 등의 음식물을 올려놓고 익힐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구이판(100)의 중앙에 형성된 평면부(13)에 다수의 연결홈(30)이 곡선을 그리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홈(30)은 구이판(100)에 형성된 다수의 기름 안내홈(28)과 평면부 일측에 형성된 기름 배출구(11)를 연결하여 기름이 흘러나가도록 연결한다.
상기 평면부(13)는 기름 안내홈(28)에 의해 안내되어 흐르는 기름이 원할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기름 배출구(11)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이판의 하부로 배출되는 기름이 김름유도관의 표면을 타고 역류하지 않으므로 화재가 일어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으며, 기름이 역류하면서 주변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환경이 청결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구이판은 기름과 육류의 찌꺼기가 각각 분리되어 수거됨으로써 구이판의 소제가 빠르고 쉬운 효과가 있으며, 찌꺼기가 걸러진 기름은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각종 고기를 굽는 구이판에 있어서,
    구이판의 중앙 일측에 편심되어 기름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구와 연통됨과 동시에 구이판의 하부에 기름이 역류하지 않고 배출되도록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단턱이 형성된 기름유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유도관이 구비된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유도관은 구이판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연장되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유도관이 구비된 구이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유도관의 단턱은 소정의 경사가 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유도관이 구비된 구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의 평면부에는 구이판의 기름안내홈과 기름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홈이 더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는 유도관이 구비된 구이판.
KR2020020026925U 2002-09-09 2002-09-09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KR200297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25U KR200297828Y1 (ko) 2002-09-09 2002-09-09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25U KR200297828Y1 (ko) 2002-09-09 2002-09-09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828Y1 true KR200297828Y1 (ko) 2002-12-11

Family

ID=7312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925U KR200297828Y1 (ko) 2002-09-09 2002-09-09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8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008A (ko) * 2019-08-29 2021-03-10 김종학 인덕션 렌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008A (ko) * 2019-08-29 2021-03-10 김종학 인덕션 렌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2245425B1 (ko) * 2019-08-29 2021-04-27 김종학 인덕션 렌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105A (en) Smokeless and scorchless grill pan
US7415922B2 (en) Grill pan
US5967024A (en) Juice removal frying pan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US7487717B2 (en) Flameless barbecue grill
KR20210056750A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구이판 및 그 구이판이 구성된 구이판 어셈블리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200297828Y1 (ko)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200332199Y1 (ko) 3단 구이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0330926Y1 (ko) 유로가 형성된 구이판
KR200239785Y1 (ko) 고기구이판
KR200297827Y1 (ko) 구이판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0298954Y1 (ko) 구이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100817530B1 (ko) 기름배출구조를 갖는 돌 구이판
KR200254124Y1 (ko) 분리형 2중 구이판
CN216364770U (zh) 一种空气炸锅用的炸篮组件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