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045Y1 - 링오실레이터 - Google Patents

링오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045Y1
KR200296045Y1 KR2019970043079U KR19970043079U KR200296045Y1 KR 200296045 Y1 KR200296045 Y1 KR 200296045Y1 KR 2019970043079 U KR2019970043079 U KR 2019970043079U KR 19970043079 U KR19970043079 U KR 19970043079U KR 200296045 Y1 KR200296045 Y1 KR 200296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mos transistor
inverter
ring oscillato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387U (ko
Inventor
초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2019970043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04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3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15Ring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버터의 상승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클럭 신호의 지연 시간을 줄이고, 고주파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링 오실레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례로 직렬 연결되되, 최종단의 출력 신호가 최초단의 입력 신호로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N(N은 3이상 홀수의 자연수)개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링 오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인버터 각각은, 전원전압단 및 접지전원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그 다음단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출력단을 풀-업 또는 풀-다운 구동하는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 및 앤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와 병렬 접속되며, 이전단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을 풀-업 구동하는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오실레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링 오실레이터{A ring oscillator}
본 고안은 회로 설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클럭을 생성하는 링 오실레이터(ring oscillat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 오실레이터는 소수개 인버터(inverter)의 입출력단을 서로 연결하여 체인(chain) 형식으로 구성하며, 시스템 동기화 및 데이터 샘플링(sampling) 시 사용되는 고주파 클럭을 생성한다.
도 1은 종래의 링 오실레이터에 대한 회로도로서, 인버터의 입출력단을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인버터 체인을 구성하고 있는 인버터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에 대한 파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인버터 체인만으로 구성된 종래의 링 오실레이터는, 도 2의 신호 파형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버터의 자체 지연 으로 인해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 사이에 소정 시간의 지연 시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버터 자체 지연 시간이 클럭 주파수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고주파 클럭 생성이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버터의 상승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클럭 신호의 지연 시간을 줄이고, 고주파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링 오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링 오실레이터 회로도.
도 2는 인버터 체인을 구성하고 있는 인버터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의 파형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5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링 오실레이터 회로도.
도 4는 인버터단으로 입력되는 신호들의 파형도.
도 5는 링 오실레이터 출력 신호에 대한 종래 기술과 본 고안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INV1 : 제1 인버터단 INV2 : 제2 인버터단
INV3 : 제3 인버터단 INV4 : 제4 인버터단
INV5 : 제5 인버터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례로 직렬 연결되되, 최종단의 출력신호가 최초단의 입력 신호로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N(N은 3이상 홀수의 자연수)개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링 오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인버터 각각은, 전원전압단 및 접지전원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그 다음단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출력단을 풀-업 또는 풀-다운 구동하는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 및 앤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와 병렬 접속되며, 이전단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을 풀-업 구동하는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오실레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피모스트랜지스터의 정공 이동도가 엔모스트랜지스터의 전자 이동도에 비해 2-3배 느려, 인버터의 상승 지연 시간이 하강 지연 시간보다 늦어지는 것에 착안하여, 인버터 회로의 피모스트랜지스터 및 엔모스트랜지스터 외에 하나의 피모스트랜지스터를 추가하고, 인버터 회로의 입력 신호와 추가된 피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의 지연을 다르게 제어하여 인버터의 상승 지연 시간을 줄이고, 주파수를 높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링 오실레이터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링 오실레이터는 제1 내지 제5 인버터단(INV1 내지 INV5)으로 이루어지되, 제1 인버터단(INV1)은 전원전압단과 접지전원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자신의 게이트로 제2 인버터단(INV2)의 출력 신호(30)를 각각 입력받는 피모스트랜지스터(P1) 및 엔모스트랜지스터(N1)와, 피모스트랜지스터(P1)와 병렬연결되며 자신의 게이트로 제5 인버터단(INV5)의 출력 신호(31)를 입력받는 피모스트랜지스터(P2)로 이루어진다. 제2, 제3, 제4 및 제5 인버터단(INV2, INV3,INV4 및 INV5)은 제1 인버터단(INV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1 인버터단(INV1)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는 도 4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모스트랜지스터(P1)와 엔모스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로 각각 입력되는 제2 인버터단(INV2)의 출력 신호(30)는 두 인버터단(INV1, INV2)을 통해 지연된 신호로서, 피모스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제5 인버터단(INV5)의 출력 신호(31)보다 소정 시간 더 지연됨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모스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가 논리 레벨 "1"로 입력되고, 인버터(P1, N1)의 입력 신호가 논리 레벨 "0"으로 입력되는 제1 구간에서는, 피모스트랜지스터(P1)가 턴-온(turn-on)되어 제2 인버터단(INV2)으로 논리 레벨 "1"을 출력한다.
그리고, 피모스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가 논리 레벨 "1"로 입력되고, 인버터(P1,N1)의 입력 신호가 논리 레벨 "1"로 입력되는 제2 구간에서는, 엔모스트랜지스터(N1)가 턴-온(turn-on)되어 제2 인버터단(INV2)으로 논리 레벨 "0"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피모스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가 논리 레벨 "0"으로 입력되고, 인버터(P1,N1)의 입력 신호가 논리 레벨 "1"로 입력되는 제3 구간에서는, 엔모스트랜지스터(N1) 및 피모스트랜지스터(P2)가 동시에 턴-온(turn-on)되어 결정되어지지 않는 값을 제2 인버터단(INV2)으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피모스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가 논리 레벨 "0"으로 입력되고, 인버터(P1,N1)의 입력 신호가 논리 레벨 "0"으로 입력되는 제4 구간에서는, 피모스트랜지스터(P1) 및 피모스트랜지스터(P2)가 동시에 턴-온(turn-on)되어 이전의 결정되어지지 않는 값을 빠르게 논리 레벨 "1"로 구동하여 제2 인버터단(INV2)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3 구간 및 제4 구간을 통해 인버터단의 논리 레벨 "0"에서 논리 레벨 "1"로의 상승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시말해, 엔모스트랜지스터에 의한 전자 이동도보다 피모스트랜지스터의 정공 이동도가 느리기 때문에 피모스트랜지스터(P2)와 엔모스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로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입력의 지연 시간에 해당하는 만큼의 구간에서 피모스트랜지스터(P2)와 엔모스트랜지스터(N1)가 동시에 턴-온 되어 피모스트랜지스터에 의한 인버터단의 상승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주파수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5 구간 및 제6 구간은 일반적인 인버터단을 사용할 경우의 각 트랜지스터 상태를 가진다.
도 5는 링 오실레이터 출력 신호에 대한 종래 기술과 본 고안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도로서, 본 고안의 출력 신호가 종래의 출력 신호에 비해 상승 지연 시간이 줄어 고주파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는 인버터 체인의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해 피모스트랜지스터를 추가로 구성하고, 인버터 입력 신호와 추가한 피모스트랜지스터의 입력 신호를 다르게 지연하여 인버터단의 상승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고주파 클럭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의 링 오실레이터를 고주파의 다중 클럭을 사용하는 칩에 적용하여, 복잡한 로직의 첨가 없이 고주파 클럭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례로 직렬 연결되되, 최종단의 출력 신호가 최초단의 입력 신호로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N(N은 3이상 홀수의 자연수)개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링 오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인버터 각각은,
    전원전압단 및 접지전원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그 다음단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출력단을 풀-업 또는 풀-다운 구동하는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 및 앤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와 병렬 접속되며, 이전단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을 풀-업 구동하는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오실레이터.
KR2019970043079U 1997-12-30 1997-12-30 링오실레이터 KR200296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079U KR200296045Y1 (ko) 1997-12-30 1997-12-30 링오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079U KR200296045Y1 (ko) 1997-12-30 1997-12-30 링오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87U KR19990030387U (ko) 1999-07-26
KR200296045Y1 true KR200296045Y1 (ko) 2003-02-05

Family

ID=4939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079U KR200296045Y1 (ko) 1997-12-30 1997-12-30 링오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0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87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5761A1 (en) Pulse-based flip-flop
KR900005455A (ko) 레벨 변환 기능을 갖는 출력버퍼회로
US4472645A (en) Clock circuit for generating non-overlapping pulses
JPH09321596A (ja) 差動信号生成回路
KR200296045Y1 (ko) 링오실레이터
KR960026760A (ko) 펄스 신호 정형회로
US6456126B1 (en) Frequency doubler with polarity control
US20050134342A1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ignal pulse
JP3147955B2 (ja) 半導体装置
KR100476394B1 (ko) 글리치를제거한낸드게이트
JPS5997222A (ja) クロツクパルス発生回路
KR200296046Y1 (ko) 주파수분주장치
KR102674627B1 (ko) 레벨 쉬프터
JPH0795018A (ja) パルス幅延長回路
JP2000295081A (ja) レジスタ回路及びラッチ回路
US20030117178A1 (en) Modified charge recycling differential logic
US6476659B1 (en) Voltage level shifter and phase splitter
US6377096B1 (en) Static to dynamic logic interface circuit
TWM626307U (zh) 減少競爭之電位轉換電路
KR100295653B1 (ko) 전류감소형엔디씨회로
US20030117177A1 (en) Method for clocking charge recycling differential logic
JPH1141087A (ja) 出力バッファ回路
KR0122313Y1 (ko) 출력 버퍼
KR19980074438A (ko) 데이타 출력 버퍼
KR20210017209A (ko) 레벨 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