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777Y1 - 용지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777Y1
KR200291777Y1 KR2020020017733U KR20020017733U KR200291777Y1 KR 200291777 Y1 KR200291777 Y1 KR 200291777Y1 KR 2020020017733 U KR2020020017733 U KR 2020020017733U KR 20020017733 U KR20020017733 U KR 20020017733U KR 200291777 Y1 KR200291777 Y1 KR 200291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cartridge
hous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방현
Original Assignee
(주)카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시스 filed Critical (주)카이시스
Priority to KR2020020017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777Y1/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적층된 용지로부터 1매씩 용지가 정확히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개선된 용지 자동공급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일단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용지가 수용되는 회전카트리지(110)를 구비한다. 하우징내에는 구동모터(120)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롤러(130) 및 가이드롤러(131)(13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들 롤러들에는 다수의 흡입공(141)이 형성된 이송벨트(140)가 권회되어 있다. 회전카트리지(110)는 상단부에 송풍구(114)가 형성되고 내부에 송풍구(114)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115)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카트리지에는 크기가 다른 용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2 및 제3용지받침대(111)(112)(113)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카트리지(110)의 내측면에는 제1,2용지받침대가 출몰되는 관통공(116a)(116b)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116)로 마감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다수매 적층 수용된 용지로부터 최상면의 용지를 공기흡착으로 이송벨트에 부착시킴으로써 정확하게 1매의 용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용지 자동공급장치{Paper auto feeding apparatus}
본 고안은 다수매가 적층된 용지들로부터 1매씩 용지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한 용지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적층된 용지로부터 용지들의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크기가 다른 용지들을 선택적으로 수용가능한 용지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용지를 채용하는 복사기 및 프린터 또는 비교적 큰 용지를 채용하는 플로터등에는 용지들을 다수 적층수용하는 카트리지를 구비하여서, 이로부터 용지를 1매씩 공급하여 복사 및 프린팅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용지공급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0)의 상부측에 마련된 급지롤러(15)와 적층된 용지중의 최상면 용지(11)와의 마찰력으로 용지가 공급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지 공급장치는 카트리지(10)에 채용된 스프링(12)력과 급지롤러(15)와의 압력차이에 따라 용지가 복수매 공급되는 잼(jam)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급장치는 크기가 다른 용지공급을 위해서는 별도의 카트리지를 채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지에 커얼(curl)이 발생되면 급지시 잼(jam)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다수매의 용지로부터 용지가 1매씩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용지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간단한 구조로 크기가 다른 용지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된 용지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용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급지가 가능하고 약간의 커얼(curl)이 발생하여도 급지가 가능한 용지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통상의 급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용지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크기가 작은 용지를 수용한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이송벨트의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회전카트리지를 나타낸 개략 분리사시도,
도 7은 용지상단에 공기가 송풍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흡입팬의 배치도,
도 9는 가이드플레이트의 각도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크기가 큰 용지를 수용한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10...회전카트리지
111,112...용지받침대 120...구동모터
130...구동롤러 131,132...가이드롤러
140...이송벨트 141...흡입공
150...가이드벨트 161,162...흡입팬
171,172...제1,2배출롤러 180...피동롤러
190...가이드플레이트 210,220...용지
310...제1센서 311,312...제2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용지 자동공급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구동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무한궤도로 권회되어 회전되며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이송벨트와,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용지가 상기 이송벨트와 면대향되도록 수용되는 회전카트리지와,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용지중 1매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된 용지를 상기 이송벨트와의 압착으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롤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카트리지는 상단부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송풍구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더 구비되어서, 상기 회전카트리지에 수용된 용지들의 상단부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카트리지에는 크기가 다른 용지의 채용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한 용지받침대가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구동되는 피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에 권회된 가이드벨트와, 상기 피동롤러와 대향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벨트와의 압착으로 용지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롤러를 구비하여서, 상기 구동롤러와 제1배출롤러를 경유한 용지가 가이드벨트를 따라 배출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피동롤러와 제2배출롤러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 위치에 걸쇠가 형성되며, 상기 피동롤러의 일측에 상기 걸쇠가 걸어지는 래칫휠이 마련되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임의각도로 조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흡입팬들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이 고정플레이트에 상기 회전카트리지에 수용된 용지와 면접촉되는 지지판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용지 자동공급장치는 다수매 적층수용된 용지로부터 최상면의 용지를 공기흡착으로 이송벨트에 부착시킴으로써 정확하게 1매의 용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송풍구를 통하여 용지의 상단부에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다수매 적층된 용지의 분리를 원할하게 하며, 복수의 용지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용지의 채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용지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용지(210)(220)가 수용되는 회전카트리지(11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0)내에는 구동모터(120)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롤러(130) 및 가이드롤러(131)(13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들 롤러들에는 다수의 흡입공(141)이 형성된 이송벨트(140)가 권회되어 있다. 이 이송벨트(140)는 일정간격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으며,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카트리지(110)는 상단부에 송풍구(114)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송풍구(114)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11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회전카트리지(110)에는 크기가 다른 용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2 및 제3용지받침대(111)(112)(1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2용지받침대(111)(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핀(pin)으로 형성되며 회전카트리지(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제3용지받침대(113)는 회전카트리지(110)의 저부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카트리지(110)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용지받침대(111)(112)가 출몰되는 관통공(116a)(116b)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116)로 마감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회된 이송벨트(140)의 내측에는 상기 이송벨트(140)의 흡입공(141)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시키는 복수의 흡입팬(161)(16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입팬(161)(16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용지의 공급시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롤러(130)와 대향되어서는 상기 이송벨트(140)에 흡착된 용지를 상기 이송벨트(140)와의 압착으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롤러(17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140)의 상부측에는 상기 구동롤러(130)와 연결되어 함께 구동되는 피동롤러(180)와, 상기 구동롤러(130)와 피동롤러(180)에 권회된 가이드벨트(150)와, 상기 피동롤러(180)와 대향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벨트(150)와의 압착으로 용지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롤러(17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벨트(150)의 후단부에는 상기 피동롤러(180)와 제2배출롤러(172)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190)가 마련되어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0)는 상기 하우징(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 위치에 걸쇠(191)가 형성되며, 상기 피동롤러(180)의 일측에 상기 걸쇠(191)가 걸어지는 래칫휠(192)이 마련되어 있다.이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0)를 임의각도로 조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내에는 상기 흡입팬(161)(162)들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01)가 마련되어 있고, 이 고정플레이트(101)에는 크기가 큰 용지가 회전카트리지(110)에 수용될때 용지의 자중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지지판(102)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판(102)은 상기 회전카트리지(110)가 도 10과 같이 하우징(100)에 닫힐때, 용지(220)와 면접촉되어 용지(220)들이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용지 자동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카트리지(110)를 오픈하여 용지(210)를 수용시킨다. 이때 크기가 작은 용지(210)는 제1용지받침대(111)를 취출하여 수용시키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용지(220)는 제2용지받침대(112)를 취출하여 수용시킨다.
이와 같이 용지(210)(220)가 수용된 회전카트리지(110)를 하우징(100)에 닫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용지(220)가 수용된 경우 지지판(102)이 용지(220)와 면접촉되어 수용된 용지(220)를 지지시킨다.
이후 하우징(100)에 마련된 조작패널(300)을 조작하여 전원을 on시키면, 구동모터(120)가 구동되어 이송벨트(140)가 회전되고 동시에 흡입팬(161)(162)이 작동하여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입팬(161)(162)은, 도 8 참조, 용지(210)(220)의 중앙부분에 대향되는 구역(A)의 흡입팬들이 먼저 작동하여 용지의 중앙부분을 흡입하고, 이어서 용지의 가장자리에 대향되는 구역(B)의 흡입팬들이 작동하여 용지의 가장자리 부분을 흡입한다. 이 경우 적층된 용지(210)(220)로부터 최상면의 용지가 1매씩 정확하게 분리되어 이송벨트(140)에 흡착되게 된다.
한편, 흡입팬(161)(162)이 작동되는 동안, 회전카트리지(110)에 내장된 송풍팬(115)이 작동하여 적층된 용지(210)(220)들의 상면에 공기를 송풍시킨다. 이때 송풍구(114)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용지(210)(220)들의 상면을 분리시킴으로써 1매씩 용지분리를 더욱 정확하게 한다.
한편, 이송벨트(140)에 흡착된 용지는 흡착된 상태로 이송되며, 제1배출롤러(171)와 이송벨트(140)와의 압착력으로 가이드벨트(150)에 안내된다.
가이드벨트(150)에 안내되는 용지의 선단이 제1센서(310)에 감지되면 흡입팬(161)(162) 및 송풍팬(114)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용지의 후단이 제1센서(310)를 경유하면 다시 흡입팬(161)(162) 및 송풍팬(114)을 동작시킨다. 이에따라서 먼저 배출되는 용지가 피동롤러(180)와 제2배출롤러(172) 사이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동안, 다른 용지가 이송벨트(140)에 흡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경로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용지가 복수매로 함께 급지가 될 경우 제2센서(311)(312)에 의해서 검지되어 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가이드플레이트(190)는 배출되는 용지(210)(220)들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정한다. 예컨대, 배출되는 용지를 필요로 하는 플로터 또는 스캐너등의 위치에 따라 각도조절하여 용지들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다수매 적층 수용된 용지로부터 최상면의 용지를 공기흡착으로 이송벨트에 부착시킴으로써 정확하게 1매의 용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둘째, 송풍구를 통하여 용지의 상단부에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다수매 적층된 용지의 분리를 더욱 원할하게 한다.
세째, 회전카트리지에 복수의 용지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용지의 채용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구동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무한궤도로 권회되어 회전되며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이송벨트와,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용지가 상기 이송벨트와 면대향되도록 수용되는 회전카트리지와,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용지중 1매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된 용지를 상기 이송벨트와의 압착으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롤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카트리지는 상단부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송풍구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더 구비되어서,
    상기 회전카트리지에 수용된 용지들의 상단부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카트리지에 크기가 다른 용지의 채용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한 용지받침대가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와 연결되어 함께 구동되는 피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에 권회된 가이드벨트와, 상기 피동롤러와 대향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벨트와의 압착으로 용지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롤러를 구비하여서,
    상기 구동롤러와 제1배출롤러를 경유한 용지가 가이드벨트를 따라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러와 제2배출롤러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 위치에 걸쇠가 형성되며, 상기 피동롤러의 일측에 상기 걸쇠가 걸어지는 래칫휠이 마련되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임의각도로 조정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흡입팬들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이 고정플레이트에 상기 회전카트리지에 수용된 용지와 면접촉되는 지지판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제2배출롤러 사이에 용지급지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복수매의 용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자동공급장치.
KR2020020017733U 2002-06-11 2002-06-11 용지 자동공급장치 KR200291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33U KR200291777Y1 (ko) 2002-06-11 2002-06-11 용지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33U KR200291777Y1 (ko) 2002-06-11 2002-06-11 용지 자동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448A Division KR100446916B1 (ko) 2002-06-11 2002-06-11 용지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777Y1 true KR200291777Y1 (ko) 2002-10-11

Family

ID=7312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733U KR200291777Y1 (ko) 2002-06-11 2002-06-11 용지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7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16B1 (ko) * 2002-06-11 2004-09-08 (주)카이시스 용지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16B1 (ko) * 2002-06-11 2004-09-08 (주)카이시스 용지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20289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747151A (zh) 介质供给装置
JP7204284B2 (ja) 媒体供給装置
JP4983517B2 (ja) 印刷装置
JP2000103535A (ja) シート給送装置
KR200291777Y1 (ko) 용지 자동공급장치
KR100446916B1 (ko) 용지 자동공급장치
JP2002002986A (ja) 給紙装置
JP3653502B2 (ja) エア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0197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26426A (ja) エアー吸引式給紙装置
JP5206560B2 (ja) エア吸引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80192B2 (ja) 給紙装置および紙葉体の重送防止方法
JP2007111956A (ja) 入紙用冊子開き装置
US5560299A (en) Stencil discharging apparatus
JP2001031272A (ja) 給紙装置
JP2001039564A (ja) 給紙装置
JP4401280B2 (ja) 給紙装置
JP2004352396A (ja) シート給送装置
JP5208663B2 (ja) 画像形成装置用給紙装置
JP3529690B2 (ja) 給紙装置
JP2004352437A (ja) シート給送装置
JP4436549B2 (ja) 給紙装置
JP5163157B2 (ja) 印刷装置
KR200362498Y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