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53Y1 -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 Google Patents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53Y1
KR200290853Y1 KR2019990008954U KR19990008954U KR200290853Y1 KR 200290853 Y1 KR200290853 Y1 KR 200290853Y1 KR 2019990008954 U KR2019990008954 U KR 2019990008954U KR 19990008954 U KR19990008954 U KR 19990008954U KR 200290853 Y1 KR200290853 Y1 KR 200290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entral
assembly members
assembly member
speed bu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988U (ko
Inventor
전영식
Original Assignee
서일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8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53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분할 성형한 합성수지재 과속 방지턱의 부품을 도로상에 조립하고 도로에 설치한 앵커볼트로 부착하는것에 있어서, 원호형 과속 방지턱을 중앙부 조립부재(1)와 양단부 조립부재(2)로 나누어 조성하고 중앙부 조립부재(1)는 대칭 돌출부를 조성하는 상부 돌출 원호면(1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12) 및 복수의 중앙부 조립부재(1)을 이어 붙일 수 있게 하는 양단 수직면(13)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양단부 조립부재(2)는 중앙부 조립부재의 돌출 원호면(11)을 도로 바닥에 연결하는 접속구면(2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22), 중앙부 조립부재(1)의 외단 수직면(13)에 부합되는 내단 수직면(23) 및 만곡 외륜(24)으로 구성 하며;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 홈(31)내에 부착시트(32) 및 부설구멍(33)를 조성하며;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에 외광 내협 홈(35)을 조성하고 전조등 반사각(36)으로 설치된 내단 반사면(37)에 불빛 반사체(39)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이다.

Description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Overspeed prevention jaw for Road installation}
본 고안은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성형 요철 구조물을 도로에 연결하여 부설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부설용 과속방지 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로에 부설하는 과속 방지 턱은 형상별로 원호형, 사다리꼴, 과속방지 턱이 있으나, 활용도가 가장 높고 현장성능이 검증이 된 형태는 원호형 과속방지 턱이다. 원호 과속 방지 턱의 상면은 원호 혹은 포물선 곡면이며, 좌우 대칭형으로서 본 고안에서 원호형 과속 방지턱이라 함은 이와 같은 방지턱을 의미한다. 원호형 과속 방지턱은 실험 속도별로 물리적 평가 항목인 수직 가속도와 안정성을 평가를 종합한 결과, 설치 길이 3.6m에 설치 높이 10cm이고 곡면 형상은 설치길이를 4등분하여 1/4, 2/4, 3/4 지점에서 각각 7.7cm, 10cm, 7.7cm를 근사 곡선으로 연결한 형상이다. 그러나 국지 도로 중 폭 6m 미만의 소로에서 과속 방지 턱은 길이 2m, 높이 7.5cm가 합리적이며, 이 경우 곡면 형상은 설치길이의 1/4, 2/4, 3/4 지점에서 각각 5.8cm, 7.5cm. 5.8cm를 근사 곡선으로 연결한 형상이다.
과속 방지 턱에 충분한 시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교통안전 시설의 노면표시 색상 기준에 따라(한국산업규격 KS M 5322, KS M 5333, KS M 5336) 하얀색과 노란색 반사성 도료를 도색 한다. 색상은 도로 포장면의 밝기를 참작한 색 대비를 고려한다.
과속방지 턱의 설치위치는 교차로 및 도로의 굴곡지점으로부터 30m 이내, 도로 오목 종단 곡선부의 끝으로부터 30m이내, 최대 구배 변화 일점으로부터 20m이내(10%이상 구배시), 기타 교통안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점이고, 과속 방지턱의 설치를 금하는 위치는 교차로로부터 15m이내, 건널목으로부터 20m이내, 버스정류장으로부터 20m이내, 교량·지하도·터널·어두운 곳 등, 연도의 진입이 방해되는 곳 또는 작업차량의 진입을 방해하는 장소이다.
종래 도로 부설용 과속방지 턱으로서 실용신안공고 1994-6280호 자동차의 과속 방지용 돌출 장치는 상부 라운드형 굴곡면과 이 굴곡면의 삽입홈에 고정한 크리스탈 렌즈와 중앙 하측 요철부를 갖는 삽입 고정돌기와 양측 라운드면과 중앙일측에 돌기와 반대편에 요홈을 구성하는 과속방지구로서 이러한 기구는 물리적 평가 항목인 수직 가속도가 낮고 도로에 고정돌기를 매설하기 위한 도랑을 굴착해야만 도로에 부설 할 수 있어 부설시공이 어렵고 라운드형 굴곡면은 자동차 타이어와의 마찰력에 쉽게 손상되고 크리스탈 렌즈를 굴곡면에 삽입하는 구조이므로 자동차 전조등 불빛의 반사력이 약하여 시인성 개선이 미약한 것이었으며;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52834호의 조립식 과속방지턱은 고무재 등으로 만들어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중앙조립부재와 양단조립부재로 제조되며, 조립부재의 곡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조립부재의 연결부는 상오 끼움홈과 끼움테로 끼워져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양단 조립부재의 모서리는 앵커볼트로 고정하며, 조립부재의 전후면에 반사판을 부착한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위에 인용한 과속방지턱은 조립부재의 연결부를 끼움홈과 끼움테로 조립하고 있어 제작 조립이 간단치 않고 특히 조립시공 후 차량의 하중을 받게되면 연결부의 끼움테와 끼움홈이 먼저 파손되어 도로를 어지럽히고, 도로 시설로서 과속방지턱의 수명이 매우 단명하게 되는 것이며, 조립부재를 도로에 부설고정하는 수단도 조립부재의 양단 돌출부에만 앵커볼트로 고정할 수 있어서 도로시설로서 전체로서 부설 지지력이 매우 취약하고, 불빛 반사판도 단위체의 전후면에 불빛 반사각을 고려함이 없이 부착한것으로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이었고,종래 실용신안 공개 20-1993-2778호 도로용 조립식 과속 방지턱은 과속방지판을 분할하여 다수개의 험프를 구성하되 각 험프는 중앙판과 두 경사판으로 분활형성하고 그 분활면에 서로 치합되는 완부를 형성하며 중앙판과 두 경사판의 윗면에 요철면을 경사지게 반복 형성하여 요면에 황색 야광도료를 도포하고 중앙판과 경사판의 단부와 경사판의 단부 대향측에 볼트공을 뚫고, 또한 험프를 구성하는 중앙판과 경사판은 중앙판의 단부를 경사판의 단부 하측으로 결합하며 험프의 윗면에는 바둑판 형상의 요철면을 형성하여 요면에 황색 야광도료를 도포한 도로용 과속방지턱으로서 과속 방지턱이 중앙판과 두 경사판이 치합되는 완부로 연결되도록 분할 구성하고 있어 제작이 복잡하고 자동차의 큰 하중에 취약하여 부설 후 연결 설치부가 분리 파손되는 등 도로 설치물로서의 내구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었고,
종래 실용신안 공개번호 20-1998-14920호 도로의 과속 방지용 요철블록의 시공장치는 과속 방지용 요철블록 형태로 사출성형하고, 상기 과속 방지용 요철블록을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에 조립식으로 시공하되, 과속 방지용 요철블록의 테두리에 단턱이 구성된 체결공을 형성하고 도로상에는 체결공과 일치하는 앵커볼트를 고정하므로 과속 방지용 요철블록을 도로상에 안치하면 앵커볼트가 체결공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너트로 체결 고정되게 한 도로의 과속 방지용 요철블록의 시공장치로서, 현장에 부설 직후부터 사용 할 수 있고 장소를 옮겨 이설 할 수 있기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 물리적 평가 항목인 수직 가속도가 현저히 낮고 시공성이 불량한 등의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건식 부설시공법으로 설치되는 과속 방지턱을 제공함에 있어서, 시인성이 뛰어나고, 미려하여 도시 미관을 개선 할 수 있고, 도로폭에 맞게 임의의 길이로 부설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 가속성이 뛰어나 과속 방지효과가 높고, 연결부의 조기파손이 방지되고, 도로시설물로서 부설지지력이 견고하고, 불빛 반사체를 전조등 불빛 반사각으로 설치하여 시인성을 최대화 시킨 도로부설용 과속 방지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부설상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설치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 예 저면도
도 5는 A-A선 단면 확대도
도 6은 B-B선 단면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 설치상태 예시도
<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
1:중앙부 조립부재 2:양단부 조립부재 11:원호면 12:바닥평면 13:수직면 21:접속구면 22:바닥평면 23수직면 24:외륜 31:홈 32:부착시트 33:부설구멍 35:홈 36:반사각 37:반사면 39:반사체 30:요철문
본 고안은 분할 성형한 합성수지재 과속 방지턱의 부품을 도로상에 조립하고 앵커볼트로 도로에 부착하고, 원호형 과속 방지턱을 중앙부 조립부재(1)와 양단부 조립부재(2)로 나누어 제조하고, 중앙부 조립부재(1)는 원호 돌출부를 조성하는 상부 돌출 원호면(1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12)을 구비하고, 양단부 조립부재(2)는 중앙부 조립부재(1)의 돌출 원호면(11)을 도로 바닥에 연결하는 접속구면(2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22)을 구비하고,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면에 반사등을 구비하여 되는 것에 있어서,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에 배열하는 홈(31)과; 홈(31)내에 조성하는 부착시트(32)와; 부착시트에 조성하는 부설구멍(33)과; 다시,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에 조성하는 외광 내협 홈(35)과; 홈(35)내에 전조등 불빛 반사각(36)으로 설치하여 불빛 반사체(37)를 전조등 불빛 반사각으로 설치할 수 있게하는 반사면(37)과; 복수의 중앙부 조립부재(1)를 맞 붙여 설치할 수 있게하는 양단의 수직면(13)과; 중앙부 조립부재(1)의 외단 수직면(13)에 부합되는 양단 조립부재(2)의 내단 수직면(23)과; 양단 조립부재(2)의 만곡 외륜(24)을 포함하여 구성한것이 특징인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이다.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원호형 과속 방지턱을 중앙부 조립부재(1)와 양단부 조립부재(2)로 나누어 조성하고 중앙부 조립부재(1)는 대칭 돌출부를 조성하는 상부 돌출 원호면(1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12) 및 복수의 중앙부 조립부재(1)을 이어 붙일 수 있게 하는 양단 수직면(13)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양단부 조립부재(2)는 중앙부 조립부재의 돌출 원호면(11)을 도로 바닥에 연결하는 접속구면(2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22), 중앙부 조립부재(1)의 외단 수직면(13)에 부합되는 내단 수직면(23) 및 만곡 외륜(24)으로 구성 하며;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 홈(31)에 부착시트(32)와 부설구멍(33)를 조성하고, 구멍(33)에 대응되게 도로면에 앵커너트(N)에 매설한 후 볼트(34)를 채워 조립부재(1,2)를 도로면에 부착 설치하며;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에 외광 내협 홈(35)을 조성하고 전조등 반사각(36)으로 설치된 내단 반사면(37)에 불빛 반사체(39)를 부착하며;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상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문(30)을 배열하여 구성한다. 요철문은 도면에 표현된 모양 기타 미끄럼 방지 문양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재(1,2)는 플라스틱(Plastics) 혹은 FRP(fibre riched plastice)로 성형한다. 플라스틱 조립부재(1,2)로서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ABS, Nylon, PBT, Nory(alloy)등을 사용한다. 또한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황색과 백색조립부재(1,2)를 교대로 조립하여 부설하며, 시인성 확보를 위한 착색 방법으로 형광안료를 수지에 배합하여 사출 성형하거나 형광도료를 금형에 스프레이하고 성형 프라스틱에 전이시키는 인 몰드 코팅을 행하거나, 또는 그림이 전사된 내 마모성 필름을 예비 포밍한 후 금형에 인서트 사출하여 착색 한다.
FRP 조립부재의 경우 폴리에스터(Polyester), 에폭시(Epoxy), 페놀(Phenol), 폴리비닐에스터(Polyvinylester) 등을 이용하여 화이버(Fibre) 즉, 레이온(Nylon), 비닐론(vinylon), 그라스화이버(glass fiber) 천연섬유 등을 함침하여 진공성형법으로 성형한다. 이 경우에도 착색을 위하여 형광안료를 혼가 하거나 인 몰드 코팅에 의한 착색 코팅하거나, 또는 그림이 전사된 내 마모성 필름을 예비 포밍한 후 금형에 인서트 사출하여 착색 한다.
미설명 부호 41은 재료에 따라 적절하게 조성하는 살빼기 홈이다.
<실시 예 1>
조립부재규격
성형재료 PP
성형방법 사출성형
크기(cm) 50×50×10 (길이×폭(W)×높이(H))
부착시트 두께(t) 10mm
원호면의 두께 20mm
살빼기 구멍크기 25×25mm
부착볼트 직경 10mm
반사각 ∠12°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 7에 보인바와 같이 폭 W인 본 고안 원호 과속 방지턱 1조이상을 종래 원호 과속 방지턱의 길이(L) 내에서 포장도로(P) 상면에 부설하는 것이다.
부설 시공 순서는 과속 방지턱을 부설할 조수를 결정하고, 포장도로(P) 표면에 부설할 조립부재(1,2)의 볼트 구멍(33) 위치에 맞게 앵커너트(N)시공 위치를 지정정하고, 너트시공 위치마다 드릴로 구멍을 뚫어 앵커 너트(N)를 삽입 고정한다. 이때 앵커 너트(N)의 상단이 포장도로(P) 표면과 일치하게 한다. 너트(N)를 배열 고정 한 후 중앙부 조립부재(1)와 양단부 조립부재(2)를 차례로 배열하면서 구멍(3)을 통해 볼트(34)를 너트(N)에 결합하여 부설시공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너트를 배열 고정한 다음 볼트로 조립부재(1,2)를 노면에 부착하는 건식 부설시공법으로 과속 방지턱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시공이 신속 간편하고, 시공후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과속 방지턱을 철거하거나 이설하여 재 사용 할 수 있으며, 안료를 수지에 혼합하거나 금형에 스프레이한후 도막층을 전이시켜 착색하므로 주간 시인성이 뛰어나고 홈내에 반사각으로 불빛 반사체를 설치함으로 야간 시인성이 뛰어나며, 부설 볼트와 불빛 반사체는 홈내에서 보호되며, 외관이 미려하여 도시 미관을 개선 할 수 있고, 도로폭에 맞게 임의의 길이로 부설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 가속성이 뛰어나 과속 방지효과가 높은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분할 성형한 합성수지재 과속 방지턱의 부품을 도로상에 조립하고 앵커볼트로 도로에 부착하고, 원호형 과속 방지턱을 중앙부 조립부재(1)와 양단부 조립부재(2)로 나누어 제조하고, 중앙부 조립부재(1)는 원호 돌출부를 조성하는 상부 돌출 원호면(1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12)을 구비하고, 양단부 조립부재(2)는 중앙부 조립부재(1)의 돌출 원호면(11)을 도로 바닥에 연결하는 접속구면(21), 도로 바닥에 부합되는 바닥평면(22)을 구비하고,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면에 반사등을 구비하여 되는 것에 있어서,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에 배열하는 홈(31)과;
    홈(31)내에 조성하는 부착시트(32)와;
    부착시트에 조성하는 부설구멍(33)과;
    다시,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의 전,후변에 조성하는 외광 내협 홈(35)과;
    홈(35)내에 전조등 불빛 반사각(36)으로 설치하여 불빛 반사체(37)를 전조등 불빛 반사각으로 설치할 수 있게하는 반사면(37)과;
    복수의 중앙부 조립부재(1)를 맞 붙여 설치할 수 있게하는 양단의 수직면(13)과;
    중앙부 조립부재(1)의 외단 수직면(13)에 부합되는 양단 조립부재(2)의 내단 수직면(23)과;
    양단 조립부재(2)의 만곡 외륜(24)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방지턱의 길이(L) 내에서 1조이상을 도로 상면에 부설하는 것이 특징인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2. 제 1항에 있어서, 조립부재(1,2)는 형광안료를 수지에 혼가 하여 얻는 착색, 금형에 스프레이한 안료를 조립부재에 전이시켜 얻는 착색 및 코팅하거나, 그림이 전사된 내 마모성 필름을 예비 포밍한 후 금형에 인서트 사출하여 얻는 착색의 어느 하나로 하고; 중앙부 및 양단부 조립부재(1,2)상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문(30)을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KR2019990008954U 1999-05-25 1999-05-25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KR200290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954U KR200290853Y1 (ko) 1999-05-25 1999-05-25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954U KR200290853Y1 (ko) 1999-05-25 1999-05-25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988U KR19990034988U (ko) 1999-09-06
KR200290853Y1 true KR200290853Y1 (ko) 2002-10-04

Family

ID=5475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954U KR200290853Y1 (ko) 1999-05-25 1999-05-25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63B1 (ko) 2007-12-20 2010-04-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속 방지턱 및 이를 갖는 도로 시설물
WO2011025154A2 (ko) * 2009-08-27 2011-03-03 신도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럼블 스트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610A (ko) * 2001-11-02 2003-05-14 이예순 조립식 차량 과속 방지턱
KR100748829B1 (ko) * 2006-01-11 2007-08-13 방병민 주차 간격 유도판
KR101358191B1 (ko) * 2012-04-26 2014-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RU195042U1 (ru) * 2019-10-25 2020-01-14 Николай Геннадьевич Яковлев Дорожная рельефная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полос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63B1 (ko) 2007-12-20 2010-04-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속 방지턱 및 이를 갖는 도로 시설물
WO2011025154A2 (ko) * 2009-08-27 2011-03-03 신도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럼블 스트립 장치
WO2011025154A3 (ko) * 2009-08-27 2011-04-28 신도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럼블 스트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988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003B1 (ko) 바닥신호등
KR200290853Y1 (ko) 도로 부설용 과속 방지턱
CN117616487A (zh) 地面式步行信号机
US11644163B2 (en) Cast in-ground lighting assembly
KR102397106B1 (ko) 도로표지병
JP4099318B2 (ja) 支柱貼付用反射体
KR102270935B1 (ko)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50095754A (ko) 반사겸용 led 도로 표지병 시스템
KR101281154B1 (ko) 재귀반사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3284Y1 (ko) 도로 표식등
KR101281153B1 (ko) 도로표지용 반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22159A (ko) 재귀반사율을 증대시킨 합성수지반사체
JP3691270B2 (ja) 支柱取付用反射体
KR101732779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CN213952027U (zh) 一种市政道路阻车桩
KR200361127Y1 (ko) 도로용 안전 표지병
KR102027735B1 (ko) 교차로용 도로표지병 모듈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JP2006316572A (ja) 小型標識物
KR200222513Y1 (ko) 차량 진입방지용 지주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JP2019019469A (ja) 鉛直形反射標識物
CN2243702Y (zh) 反光标志
KR200272982Y1 (ko) 일체식 돌출 반사경이 형성된 부착용 도로 차선
JPH07292628A (ja) 車止め等の路上設置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