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018Y1 - 홍삼중탕기 - Google Patents

홍삼중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018Y1
KR200289018Y1 KR2020020017304U KR20020017304U KR200289018Y1 KR 200289018 Y1 KR200289018 Y1 KR 200289018Y1 KR 2020020017304 U KR2020020017304 U KR 2020020017304U KR 20020017304 U KR20020017304 U KR 20020017304U KR 200289018 Y1 KR200289018 Y1 KR 200289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ing
red ginseng
steamer
chamb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이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영 filed Critical 이근영
Priority to KR2020020017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018Y1/ko

Link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홍삼중탕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탕기를 이용한 홍삼의 증숙과 숙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홍삼성분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홍삼중탕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0) 상에 숙성기(30)와 증숙기(50)를 차례로 안치하고, 상기 증숙기(50) 상에 냉각커버(60)를 안치하여서 된 통상의 홍삼중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증숙기(50)에 구성된 삽입공(55)에 증숙통(40)을 안치하여 증숙통(40)의 본체(43)가 숙성실(31) 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증숙통(40)의 본체(43) 측면 및 바닥에는 통공(44)을 뚫어 구성하고, 증숙통(40) 상단에는 덮개(45)를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중탕기{Double boiler for ginseng steamed red}
본 고안은 홍삼중탕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홍삼중탕기를 이용한 증숙과 숙성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증숙과 숙성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여러종류의 인삼 중에서도 약리성분이 우수한 것으로서 최근들어 건강증진의 목적으로 홍삼의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홍삼중탕기 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제공되고 있는 홍삼중탕기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진다.
즉 본체 상에 숙성실을 구성하되, 숙성실 바닥에는 히터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숙성실 상부에는 증숙실을 구성하며 증숙실 상에는 냉각커버가 조립구성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홍삼중탕기들을 이용하여 홍삼액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먼저 숙성실에 일정량의 물을 채워 넣고, 동시에 증숙실 바닥에 일정량의 홍삼을 채워 넣은 다음 히터를 발열시켜 숙성실에 채워진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증기는 위로 상승하면서 증숙실에 채워진 홍삼을 찌게 된다.
상기에서 홍삼을 찐 다음 위로 상승하는 증기는 증숙실 상부에 위치한 냉각커버와 접하게 되고, 냉각커버에서는 내외부의 온도편차에 의한 결로현상에 의해 결로수로 응집된 다음 숙성실로 원복하여 다시 증기화되어 홍삼의 찜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로 약12시간 정도 처리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증숙이 완료되면 숙성실에 적량의 물을 보충하고, 히터외면에 커버를 씌워 히터와 홍삼이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고, 동시에 증숙실에서 증숙완료된 홍삼을 다시 숙성실로 옮긴 다음 약70℃의 온도에서 약72시간 정도 숙성시켜 홍삼액 추출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홍삼액 추출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즉 증숙실에 홍삼을 채워 넣은 다음 숙성실에 채워진 물의 증기로 홍삼을 찌게 되나 증기발생부, 즉 히터로부터 멀리 떨어져있어 충분한 증숙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고른 증숙을 기대하기가 어려워 이상적인 증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증숙완료된 홍삼을 숙성실에 옮긴 다음 숙성하기 위하여 히터 외면에 별도의 커버를 씌워 홍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케 하여야 할 뿐 아니라 숙성완료후 추출액으로부터 홍삼을 분리시킬 때에도 홍삼 하나하나를 일일이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증숙 혹은 숙성과정에서 내부증기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냉각커버가 증기압력에 의해 요동하게 되고, 상기 요동에 의해 중탕기 내의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므로 홍삼의 효과적인 증숙 및 숙성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홍삼중탕기를 구성하되,홍삼의 증숙시 증기의 누출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고른 증숙과 효과적인 증숙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숙성을 위한 숙성작업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홍삼중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 상에 내면에 히터가 구성된 숙성기를 일체형으로 조립구성하고, 상기 숙성기 상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증숙기를 안치하고, 상기 증숙기상에는 냉각커버를 결합구성하되, 증숙기의 삽입공에는 덮개가 조립된 증숙통을 결합하여 상기 증숙통의 본체가 숙성기 내에 구성되는 숙성실에 위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2 : 도 1의 분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중탕기를 이용한 증숙상태도
도 4 : 본 고안의 중탕기를 이용한 숙성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중탕기 (20)--본체
(30)--숙성기 (31)--숙성실
(32)--바닥 (33)--지지부
(34)--밀폐용 패킹 (40)--증숙통
(41)--수장실 (42)--테두리
(43)--본체 (44)--통공
(45)--덮개 (50)--증숙기
(51)--삽입관체 (52)--받침부
(53)--걸림턱 (54)--단턱
(55)--삽입공 (60)--냉각커버
(61)--하단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홍삼중탕기(10)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은 분해구성도로서, 본체(20) 상에 숙성실(31)이 형성된 숙성기(30)를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하되, 상기 숙성실(31) 바닥(32)에는 히터(H)가 돌출구성되게 하고, 숙성기(30) 상단에는 숙성기(30) 내경보다 좁은 내경을 갖는 지지부(33)를 돌출구성하고, 상기 지지부(33) 외면에는 밀폐용 패킹(34)이 끼워져 있다.
상기 숙성기(30)는 내열성 강화유리, 혹은 내열성 강화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숙성실(31)의 바닥(32) 중앙에 돌출구성된 히터(H)는 본체(20)에 구성된 조작스위치(도시안됨)의 작동에 의해 온도 및 발열시간이 조정된다.
숙성실(31) 상부에는 윗쪽이 개방된 증숙기(50)를 안치하되, 증숙기(50) 하단에는 증숙기(50)의 내경보다 좁은 내경을 갖는 삽입관체(51)를 하향돌출구성하므로서, 증숙기(50) 내면에는 삽입공(55)과 받침부(52)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받침부(52) 저면에는 걸림턱(53)이 구성되게 하며, 상단 내면에는 단턱(54)이 구성되게 한다.
상기 증숙기(50) 내면에 구성된 삽입공(55)에는 수장실(41)이 형성된 증숙통 (40)을 끼워 증숙통(40) 상단에 구성된 테두리(42)가 증숙기(50)의 받침부(52)에 걸려 고정되게 하므로서 증숙통(40)의 본체(43)가 숙성실(31) 내에 위치되게 하며, 상기 증숙통(40)의 본체(43) 측면과 바닥에는 다수 개의 통공(44)을 뚫어 구성하고, 증숙통(40) 상부에는 덮개(45) 를 결합 구성한다.
상기 증숙통(40)은 게르마늄과 같이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원적외선방사소재를 이용하여 소성제조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증숙기(50)내에 증숙통(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증숙기(50)상단에 냉각커버(60)를 안치하여 냉각커버(60)의 하단부(61)가 증숙기(50)상단 내측면에 구성된 단턱(54)에 조립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70)은 홍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3에서와 같이 숙성실(30)내에 일정량의 물을 채워 넣고 동시에 증숙통(40)의 수장실(41)에 필요한 량의 홍삼(70)을 채워넣은 다음 히터(7)에 전원을 인가하여 증숙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증숙기(30)내에 채워지는 물의 량은 대체적으로 증숙통(40)내에 채워지는 재료의 종류와 량에 따라 증감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히터(H)에 의해 숙성실(31)내에 채워진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면 증기가 상승하면서 증숙통(40)을 가열하게 되고, 동시에 통공(44)을 통하여 증숙통(40)내에 채워진 홍삼(70)을 증숙하게 된다.
홍삼(70)을 증숙한 증기는 증숙통(40)상에 결합된 덮개(45)와 접하게 되고, 덮개(45)와 접한 증기는 결로 현상에 의해 결로수로 응집되었다가 다시 숙성실(31)내로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증숙과정에서 증숙통(40)의 상부로 새어나온 일부 증기는 증숙기(50)상단에 결합된 냉각커버(60)와 접하게 되고, 이때에도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 현상에 의해 결로수로 응집되었다가 흘러내리면서 숙성실(31)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증기의 응집장치가 이중으로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대부분의 증기가 증숙통(40)내에서 응집되어 숙성실(31)로 복귀하게 되고, 일부 증숙통(40)으로부터 새어나온 증기는 다시 냉각커버(60)에 의해 2차 응집회수되므로 종래와 같이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따라서 보다 이상적인 홍삼액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증숙통(40)은 게르마늄과 같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증숙통(40)이 가열되면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증가되고, 따라서 원적외선의 심달력에 의해 홍삼의 내부까지 열침투가 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홍삼성분의 추출효율을 그 만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한 상태로 약 12시간정도 증숙하게 되면 증숙통(40)내에 채워진 홍삼의 증숙이 완료된다.
홍삼의 증숙이 완료되면 숙성실(31)내에 홍삼이 잠겨질 정도의 물을 보충하여 숙성하게 되며 숙성조건은 일반적인 숙성과 같이 약 70℃에서 72시간정도 숙성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홍삼중탕기(10)는 종래와 같이 증숙완료된 홍삼을 손으로 끄집어 낸 다음 다시 증숙실(31)에 채워 넣을 필요없이 증숙통(40)내에 홍삼이 담겨진 상태 그대로 증숙을 하게 된다.
즉 숙성실(31)내에 물을 보충한 다음 증숙완료된 홍삼이 담겨진 증숙통(40)을 증숙기(50)의 삽입공(55)에 결합하게 되면 증숙통(40)의 본체(43)가 숙성실(31)내에 채워진 물에 잠기면서 증숙통(40)의 수장실(41)에 채워진 홍삼도 물에 잠기게 된다.
이때 홍삼은 증숙통(40)내에 채워져 있어 숙성실(31)바닥에 구성된 히터(H)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히터(H) 외면에 별도의 커버를 씌울 필요는 없다.
상기 숙성과정에서도 게르마늄으로 소성된 증숙통(40)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심달력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홍삼의 성분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숙성시에도 발생한 증기의 대부분은 증숙통(40)의 상면에 결합된 덮개(45)와 접하여 응집된 다음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고, 일부 새어나온 증기는 다시 냉각커버(60)에 접촉하면서 응집되어 아래로 흘러내려 숙성실(31)에 회수되므로 증기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는 전혀 없게 되므로 홍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홍삼 성분추출을 위한 홍삼중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숙성기상에 안치된 증숙기의 삽입공에 증숙통을 안치하여 증숙통의 본체가 숙성실 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증숙통내에 홍삼을 채워 넣은 다음 증숙작업과 숙성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뿐 아니라 증기의 응집수단도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어 증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효과적인 증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 상에 숙성기와 증숙기 및 냉각커버를 순차적으로 조립구성한 홍상 중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증숙기(50)에 구성된 삽입공(55)에 증숙통(40)를 결합하여 증숙통(40)의 본체(43)가 숙성실(30) 내에 위치되게 하되, 증숙통(40)상단에 구성된 테두리(42)가 증숙기(50)의 걸림턱(53)에 걸려 고정되게 하고, 상기증숙통(40)의 본체(43) 측면과 바닥에는 다수의 통공(44)을 뚫어 구성하고, 증숙통(40)상에는 덮개(45)를 조립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중탕기.
  2. 제1항에 있어서, 증숙통(40)은 게리마늄과 같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소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중탕기.
KR2020020017304U 2002-06-05 2002-06-05 홍삼중탕기 KR200289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04U KR200289018Y1 (ko) 2002-06-05 2002-06-05 홍삼중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04U KR200289018Y1 (ko) 2002-06-05 2002-06-05 홍삼중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018Y1 true KR200289018Y1 (ko) 2002-09-11

Family

ID=7308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304U KR200289018Y1 (ko) 2002-06-05 2002-06-05 홍삼중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0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83B1 (ko) * 2007-08-09 2008-04-16 (주)경산세라믹 홍삼 제조 용기
KR100862215B1 (ko) 2007-03-09 2008-10-09 병 기 김 홍삼제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15B1 (ko) 2007-03-09 2008-10-09 병 기 김 홍삼제조기
KR100822383B1 (ko) * 2007-08-09 2008-04-16 (주)경산세라믹 홍삼 제조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925847U (zh) 炖蒸器具
KR200289018Y1 (ko) 홍삼중탕기
JP321418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器
KR102565401B1 (ko) 조리 기구
KR101233358B1 (ko) 중탕용기 안착용 받침대
KR100495080B1 (ko) 다기능 중탕기
KR19980021753U (ko) 사이펀식 차(茶)추출기
KR200169252Y1 (ko)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및 이의 수납용기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CN208925956U (zh) 炖蒸器具
KR102027651B1 (ko) 건강보조식품용 농축기
KR200328594Y1 (ko)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용기
KR100243501B1 (ko) 증기 응결기에 손잡이가 형성된 약탕기
KR200238469Y1 (ko) 찜통기
JPS5925293Y2 (ja) 調理用釜
KR100347694B1 (ko) 증숙 기능을 갖는 가정용 중탕기 및 이를 이용한 홍삼엑스 제조방법
KR200295860Y1 (ko) 다용도 찜통
KR102397548B1 (ko) 자연 압력분사식 성분추출장치
CN213281852U (zh) 一种蒸汽加热便当盒
KR200312275Y1 (ko) 패킹이 장착된 조리구
KR200305018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골냄비겸용 찜솥
CN206303683U (zh) 一种砂锅
KR200238012Y1 (ko) 다용도 습기발생기
CN206659649U (zh) 一种汗蒸煲
KR200475238Y1 (ko) 중탕용기 안착용 받침대를 갖는 중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