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691B1 -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 Google Patents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691B1
KR100347691B1 KR1019990036153A KR19990036153A KR100347691B1 KR 100347691 B1 KR100347691 B1 KR 100347691B1 KR 1019990036153 A KR1019990036153 A KR 1019990036153A KR 19990036153 A KR19990036153 A KR 19990036153A KR 100347691 B1 KR100347691 B1 KR 10034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ed ginseng
food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631A (ko
Inventor
김용진
유경상
Original Assignee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8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252Y1/ko
Priority to KR1019990036153A priority patent/KR1003476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물을 말톨성분을 함유한 홍삼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가정용 홍삼중탕기는 본체에 설치된 가열판으로 조리물과 물이 담긴 가열용기를 가열하여 증기응결기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 장치인데, 여기에 가열용기의 내부에 안착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수면 위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수납용기, 증기응결기의 하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둘레로 설치되는 작동수단, 증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증기공이 외주에 형성되며 증기응결기에 설치되는 스팀관, 및 증기가 통과되고 상기 스팀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작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가정용 홍삼중탕기에 수납되는 수납용기는 유리관, 그 유리관의 상부에 조립되며 증기공을 갖는 상부 캡 및 유리관의 하부에 조립되어 조리물이 얹혀지며 다수의 관통공을 갖는 하부 캡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찜작업과 중탕작업을 겸하여 가정에서도 노화억제물질을 함유한 홍삼농축액을 용이하게 얻는다.

Description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HOME RED GINSENG DOUBLE BOILER WITH STEAM FUNCTION}
본 발명은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삼 또는 백삼(이하 조리물)을 일정시간동안 찜을 한 후 물속에 담가 중탕할 수 있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蔘)은 한방학적으로나 임상경험적으로 약효의 효능이 공인된 제품으로서 가공방법에 따라 수삼, 백삼 및 홍삼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수삼은 밭에서 수확한 생(生)인삼으로 70~8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자연상태의 삼을 말하며, 백삼은 수삼을 찌지 않고 껍질을 제거하여 건조시킨 삼을 지칭하고, 마지막으로 홍삼은 세척된 수삼을 수증기로 증삼하고 건조하여 제조한 삼을 말한다.
이렇게 제조된 홍삼에는 인체에 유익한 각종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각종 성분 중에서 노화억제물질로 알려진 말톨(maltol)성분은 조리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물질이다.
최근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가정용 중탕기는 조리물을 중탕시켜 농축액으로 만드는 장치이다. 즉, 조리물을 수납용기에 담고 그 수납용기를 일정량의 물이 담긴 유리병의 내부에 담근 후 물을 장시간(12시간 내지 24시간) 가열하여 농축액을 얻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가정용 중탕기에는 조리물을 찔 수 있는 장치나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화방지를 억제하는 물질로 알려진 수종의 페놀성 화합물과 말톨성분을 추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조리물을 일정시간동안 찜을 한 후 물속에 담가 중탕으로 소정시간 가열하여 조리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말톨성분을 함유한 홍삼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본 발명의 가정용 홍삼중탕기는 본체에 설치된 가열판으로 조리물과 물이 담긴 가열용기를 가열하여 증기응결기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 장치인데, 여기에 가열용기의 내부에 안착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수면 위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수납용기, 증기응결기의 하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둘레로 설치되는 작동수단, 증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증기공이 외주에 형성되며 증기응결기에 설치되는 스팀관, 및 증기가 통과되고 상기 스팀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작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수단은 솔레노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스팀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금속 개폐관 및 상기 금속 개폐관의 외주에 설치되는 마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개폐관의 일단이 스팀관의 내부를 밀봉시킨다.
상기 가열용기의 내측에 관통공을 갖는 안착판이 설치되어 상기 수납용기가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증기공은 증기응결기에 채워지는 물의 표면보다 항시 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가정용 홍삼중탕기에 수납되는 수납용기는 유리관, 그 유리관의 상부에 조립되며 증기공을 갖는 상부 캡 및 유리관의 하부에 조립되어 조리물이 얹혀지며 다수의 관통공을 갖는 하부 캡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납용기는 조리물이 얹혀지는 하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하부 캡, 상면에 증기공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과 하부 캡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바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수납용기는 조리물이 얹혀지며 다수의 관통공을 가진 선반과,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선반이 걸쳐지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통의 상면은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어 선반이 하부를 통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홍삼중탕기의 중요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홍삼중탕기의 가열용기와 증기응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홍삼중탕기에 구비되는 수납용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홍삼중탕기에 구비되는 수납용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홍삼중탕기에 구비되는 수납용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전원공급선 S:조리물(수삼 또는 백삼)
100:홍삼중탕기
120:본체 121:가열판
140:가열용기 141:유리병
142:뚜껑 142a:뚜껑의 증기공
143:손잡이 144:수납용기
160:증기응결기 161:순환관
162:증기응결기의 뚜껑 163:관통공
164:솔레노이드 165:금속 개폐관
166:마개 167:스팀관
167a:다수의 증기공 168:밀봉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홍삼중탕기의 중요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홍삼중탕기의 가열용기와 증기응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A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홍삼중탕기(100)는 내부에 각종 전기부품등이 내장된 본체(120)와, 본체(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판(121)과, 가열판(121)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유리로 구성된 가열용기(加熱用器)(140)와, 가열용기(140)의 상부인 본체(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가열용기(140)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응결시켜 가열용기(140)로 회수되도록 하는 증기응결기(蒸氣 凝結器)(160)로 구성된다.
가열용기(140)는 유리병(141)의 개구에 증기공(142a)을 가진 뚜껑(14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리병(141) 외주에는 손잡이(143)가 부착되어 있다. 가열용기(140)의 내부에는 다수의 관통공(148a)을 가진 안착판(148)이 설치되는 바, 가열용기(140)에 채워지는 물의 수면은 안착판(148)과 닿지 않는다.
유리병(141)의 내부에는 수납용기(150)가 안착되는데, 수납용기(150)의 상부에는 증기공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 캡(147)이 조립된다. 수납용기(150)의 하부에는 다수의 관통공을 가진 하부 캡(146)이 조립된다.
이에 따라 가열용기(140) 내부에 채워진 물의 가열시 발생되는 증기가 안착판(148)의 다수의 관통공(148a)과 하부 캡(146)의 관통공(146a)을 통과하여 조리물(S)을 찌게 된다.
가열용기(140)의 상방에 위치하면서 본체(120)에 설치되는 증기응결기(160)는 외주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순환관(161)이 설치되고, 개구된 상부는 증기공(162a)을 갖는 뚜껑(162)에 의해 개폐된다.
증기응결기(160)의 하부는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되며 최하부에는관통공(163)이 형성되어 증기응결기(160)에 채워지는 물이 용이하게 하방으로 흘러 내리도록 한다.
관통공(163)의 둘레에는 전원공급선(w)과 연결된 작동수단이 설치되는바,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164)가 설치되며, 관통공(163)은 후술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진다.
개폐수단은 금속개폐관(165)과, 그 금속개폐관(165)의 외주에 장착된 마개(16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진다.
금속개폐관(165)은 관통공(163)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솔레노이드(164)의 작동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되며, 일단은 후술하는 스팀관(167)에 삽입되고 타단은 관통공(163)의 내부에 삽입된다. 금속개폐관(165)의 외경은 관통공(163)의 내경보다 작게 설계되어 금속개폐관(165)과 관통공(163)의 사이로 물이 통과된다.
스팀관(167)의 상단은 증기응결기 뚜껑(162)의 증기공(162a)에 결합되고 스팀관(167)의 외주에는 다수의 증기공(167a)이 형성되어 금속개폐관(165)을 통과한 증기가 다수의 증기공(167a)을 경유하여 증기응결기(160)의 내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다수의 증기공(167a)은 스팀관(167)의 중간 이상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증기응결기(160)의 내부로 채워지는 물이 다수의 증기공(167a)을 통해 가열용기(140) 쪽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팀관(167)과 금속개폐관(165)의 사이에는 밀봉링(168)이 조립되어증기응결기(160)에 채워진 물이 스팀관(167)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가열용기를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증기응결기(160)의 내부와 유리병(141)의 내부에는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고, 수납용기(150)의 내부에는 조리물(S)이 올려진다. 여기서 유리병(141)의 내부에 채워진 물은 조리물(S)을 적시지 않을 정도로 채워지되 바람직하게는 안착판(148)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증기 응결기 내부의 물과 가열용기 내부의 물을 합한 전체 물의 량은 찜이 끝난 후, 증기 응결기의 물이 가열용기로 모두 흘러내리면 수납용기에 있는 조리물을 잠기게 하여 중탕을 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가열판(121)을 작동하여 가열용기(140) 내부의 물을 가열시키면, 증기가 발생되면서 수납용기(150) 내부의 조리물을 찌게 된다.
이 과정에서 증기에는 노화억제물질인 수종의 페놀화합물과 말톨성분이 함유되고 그 증기는 금속개폐관(165)을 경유하여 스팀관(167)에 다다르고 다수의 증기공(167a)을 통해 증기응결기(160)에 도달하여 증기응결기(160)에서 응축된다. 이에 따라, 증기응결기(160)에 채워진 물과 혼합되면서 물의 색깔은 점차 갈색을 띠어간다.
이때 만일 증기응결기(160)의 내압이 크게 상승되면 증기응결기(160) 내부의 증기가 증기응결기 뚜껑(162)의 증기공(162a)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찜작업이 완료되면 가열판(121)의 가동을 중지하고 일정시간동안 건조과정을 거친 후에 솔레노이드(164)를 작동시킨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개폐관(165)이 상승되고 관통공(163)을 막고 있던 마개(166)도 함께 상승하여 증기응결기(160)에 채워진 물이 하부로흘러내려 유리병(141)의 내부에 채워진다.
유리병(141)의 내부로 물이 모두 흘러내리면, 가열판(121)을 재가동시켜 장시간동안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홍삼농축액을 얻게 된다.
한편, 가열용기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납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용기(180)는 유리관(182)의 상하부에 상부 캡(184)과 하부 캡(186)이 조립되는 구성이다.
유리관(182)의 상하부 외주에는 나사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부 캡(184)과 하부 캡(186)의 내주에도 나사홈이 형성되어 회전 조립된다.
상부 캡(184)과 하부 캡(186)의 중심에는 증기공이 형성되고 증기공의 주위로 다수의 관통공(184a)(186a)이 형성된다.
하부 캡(186)의 내측에는 조리물(S)인 수삼 또는 백삼 등이 수납된다.
이렇게 구성된 수납용기(180)가 가열용기(140)의 내부로 안착되고, 가열용기(140)의 내부로 물이 채워졌을 때 수삼 또는 백삼이 물이 닿게 되면 노화억제물질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도 6에서는 다른 수납용기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수납용기(190)는 상면에 증기공과 다수의 관통공(192a)을 갖고 하부는 개구된 상부 캡(192), 하면에 다수의 관통공을 갖고 내측면에 조리물(S)이 얹혀지며 상부가 개구된 하부 캡(194) 및 상부 캡(192)과 하부 캡(194)을 연결하는 다수의바(196)로 이루어진다.
상부 캡(192)의 내측 또는 하부 캡(194)의 내부에 조리물(S)인 수삼 또는 백삼을 넣는다.
이렇게 구성된 수납용기(190)가 가열용기(140)의 내부로 안착되고, 가열용기(140)의 내부로 물이 채워졌을 때 수삼 또는 백삼이 물이 닿게 되면 노화억제물질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도 7에서 도시한 수납용기(200)는 다수의 구멍(202a)을 가지며 내측면에 복수의 돌기(260b)가 형성된 원통(202)과, 원통(202)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기(260b)에 걸쳐져 조리물(S)이 얹혀지며 다수의 관통공(206a)을 가진 선반(20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원통(202)의 상부에는 증기공과 다수의 관통공(204a)을 가진 캡(204)이 조립된다.
여기서, 상술한 선반(206) 위에는 조리물(S)인 수삼 또는 백삼이 얹혀지며 그 상태에서 수납용기(200)가 물이 채워진 가열용기(140)의 내부에 수납되더라도 조리물(S)이 물에 닿지 않게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찜기능을 가진 홍삼중탕기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유리병 내부의 물에 조리물이 젖지 않도록 조리물을 수납용기 내부에 올려놓고 찜작업을 진행시켜 노화억제물질인 수종의 페놀 화합물과 말톨성분이 함유된 증기가 증기응결기에서 응축되도록 하고, 이어서 솔레노이드를 작동하여 증기응결기의 물을 유리병의 내부로 흘러 내리게 한 후 가열판을 재가동하여 장시간 중탕함으로써 홍삼농축액을 얻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는 찜작업과 중탕작업을 겸하여 가정에서도 노화억제물질을 함유한 홍삼농축액을 용이하게 얻는다.

Claims (10)

  1. (정정) 본체에 설치된 가열판으로 조리물과 물이 담긴 가열용기를 가열하고, 증기응결기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도록 된 가정용 홍삼중탕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에 안착되고, 조리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용기;
    상기 증기응결기의 하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로 설치되는 작동수단;
    상기 가열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증기공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증기응결기에 설치되는 스팀관; 및
    상기 증기가 통과되고 상기 스팀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열용기에 상기 수납용기의 조리물이 물에 닿지 않을 정도로 물을 넣고 상기 증기응결기에도 적정량의 물을 넣은 후 상기 가열판을 가열하여 상기 수납용기에 수용된 조리물을 찐 후,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을 열어 상기 증기응결기의 물이 상기 가열용기로 흘러 내리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납용기의 조리물이 물속에 잠겨 중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스팀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금속 개폐관; 및
    상기 금속 개폐관의 외주에 설치되는 마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개폐관의 일단이 상기 스팀관의 내부를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기의 내측에 관통공을 갖는 안착판이 설치되어 상기 수납용기가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은 상기 증기응결기에 채워지는 물의 표면보다 항시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홍삼중탕기.
  7.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유리관;
    상기 유리관의 상부에 조립되며 증기공을 갖는 상부 캡; 및
    상기 유리관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조리물이 얹혀지며 다수의 관통공을 갖는 하부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8.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조리물이 얹혀지는 하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하부 캡;
    상면에 증기공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과 하부 캡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9.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조리물이 얹혀지며 다수의 관통공을 가진 선반; 및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선반이 걸쳐지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10. (정정)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상면은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선반이 하부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KR1019990036153A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KR10034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114U KR200169252Y1 (ko)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및 이의 수납용기
KR1019990036153A KR100347691B1 (ko)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153A KR100347691B1 (ko)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114U Division KR200169252Y1 (ko)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및 이의 수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631A KR20010019631A (ko) 2001-03-15
KR100347691B1 true KR100347691B1 (ko) 2002-08-09

Family

ID=196091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153A KR100347691B1 (ko)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KR2019990018114U KR200169252Y1 (ko)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및 이의 수납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114U KR200169252Y1 (ko) 1999-08-28 1999-08-28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및 이의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7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94B1 (ko) * 1999-08-31 2002-08-09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증숙 기능을 갖는 가정용 중탕기 및 이를 이용한 홍삼엑스 제조방법
KR100420283B1 (ko) * 2000-01-05 2004-03-02 김형극 홍삼 엑기스 제조방법
KR100649510B1 (ko)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992A (ko) * 1993-03-18 1994-10-17 조용호 원심분리형 한약추출기의 약물추출회로 및 추출제어방법
KR19990074218A (ko) * 1998-03-07 1999-10-05 김용진 가정용 중탕기
KR19990079463A (ko) * 1998-04-06 1999-11-05 김용진 가정용 중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992A (ko) * 1993-03-18 1994-10-17 조용호 원심분리형 한약추출기의 약물추출회로 및 추출제어방법
KR19990074218A (ko) * 1998-03-07 1999-10-05 김용진 가정용 중탕기
KR19990079463A (ko) * 1998-04-06 1999-11-05 김용진 가정용 중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631A (ko) 2001-03-15
KR200169252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9726B2 (ja) 液体調製方法および装置
JP5361019B2 (ja) 食品及び漢薬材の自動蒸曝処理システム
CN111526762B (zh) 一种低温发酵式制作红参或黑参的设备及使用该制作设备制作红参或黑参的方法
WO201721627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cookers
JP2001120437A (ja) 蒸熟機能を有する家庭用湯煎器及びこれを用いた紅参エキス製造方法
KR100347691B1 (ko)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CN2276795Y (zh) 全密封式中草药提取器
KR102515661B1 (ko) 중탕용 탕정기
KR200198573Y1 (ko) 무압력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기
KR20100050200A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200254720Y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KR100474264B1 (ko) 약탕기 겸용 증류주기
KR200297235Y1 (ko) 가정용 홍삼중탕기
KR200289018Y1 (ko) 홍삼중탕기
KR100347694B1 (ko) 증숙 기능을 갖는 가정용 중탕기 및 이를 이용한 홍삼엑스 제조방법
KR200194725Y1 (ko) 무압력 한약 추출장치
KR102397548B1 (ko) 자연 압력분사식 성분추출장치
KR200182315Y1 (ko) 전기 압력밥솥의 보습구조
KR200342041Y1 (ko) 중탕기의 냉각장치
KR101125119B1 (ko) 다용도 찜통
KR200293897Y1 (ko) 증삼기 겸용 약탕기
KR100899715B1 (ko) 홍삼제조기 겸용 약탕기
CN111450570B (zh) 一种萃取本草液的方法
CN217959696U (zh) 一种食材的电加热蒸煮装置
KR200326280Y1 (ko) 홍삼탕기의 용기뚜껑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