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200A -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200A
KR20100050200A KR1020080109373A KR20080109373A KR20100050200A KR 20100050200 A KR20100050200 A KR 20100050200A KR 1020080109373 A KR1020080109373 A KR 1020080109373A KR 20080109373 A KR20080109373 A KR 20080109373A KR 20100050200 A KR20100050200 A KR 20100050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steam
rice cooker
main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981B1 (ko
Inventor
이재원
한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to KR102008010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9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내솥 뚜껑에 조리 및 보온시 발생한 과포화 증기를 포집하여 보관하는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의 뚜껑부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된 내솥의 상부를 덮고, 관통공을 형성한 내솥 뚜껑부; 상기 내솥 뚜껑부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뚜껑부로부터 상기 내솥 뚜껑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내솥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유입공을 형성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솥 뚜껑부가 본체 뚜껑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의 증기 유입공과 치합하여 관통로를 형성하는 증기 유입공을 형성한 고정 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캡은 상기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한 물이 상기 내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리 및 보온시 발생된 과포화 증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물이 내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밥이 맛과 색상이 쉽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밥솥, 증기, 포집

Description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STEAM OF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의 내솥 뚜껑에 조리 및 보온시 발생한 과포화 증기를 포집하여 보관하는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밥솥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의 상부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고,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대상물,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된다.
이 전기밥솥은 밥을 보온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때, 밥의 맛이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밥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밥에 포함된 수분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특히, 전기밥솥의 밥을 보온 상태로 장기간 보관함과 더불어 좋은 밥맛을 오래 지속시키고자 할 경우, 단기 보온시 과포화증기에 의해 전기밥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물 맺힘 현상 및 백화 현상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야 하고, 장기 보온시 수분 부족으로 인해 전기밥솥의 내부에 발생하는 밥 마름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밥솥(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 의 전기밥솥에 적용된 증기 배출 구조를 구체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의 전기밥솥에서 내솥 뚜껑부(5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납되어 조리되는 내솥(30)이 설치되고, 내솥(30)의 주변에는 내솥(30)을 가열하는 하부 히터(31)가 설치되며, 본체(20)의 상부에는 뚜껑부(40)가 설치된다.
또한, 뚜껑부(40)의 내측에는 내솥(30)을 덮기 위한 내솥 뚜껑부(50)가 구비되고, 가열중에 발생된 과포화 증기는 내솥 뚜껑부(50)에 형성된 증기 유입공(51)으로 유입된 후 화살표와 같이 증기 배출부(60)에 설정된 관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최근에는 내솥 뚜껑부(50)가 뚜껑부(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가 제안되어 내솥 뚜껑부(50)의 상면이 불순물로 오염된 경우 내솥 뚜껑부(5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뚜껑부(40)의 탑 플레이트부(41)에는 보온시 내솥(30)의 상부에 열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 히터(42)와, 증기 유입공(51)으로 유입된 증기가 탑 플레이트부(4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부 히터(42)는 뚜껑부(40)에 설치된 증기 배출부(60)까지 균일하게 배치되지 못하여 열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조리시 발생된 과포화 증기가 증기 배출부(60)에서 응축되어 증기 배출부(60)의 저면 즉 내솥 뚜껑부(50)와 증기 배출부(60)의 사이에서 물 맺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기 배출부(60)의 종단에 설치된 압력추로 많은 열 손실이 발생하여 증기 배출부(60)가 상부 히터(42)에 의해 가열되는 주변의 뚜껑부(40) 온도보다 낮아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증기 배출부(60)의 저면에 물 맺힘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물 맺힘 현상으로 인해 내솥(30)이나 내솥 뚜껑부(50)에 맺힌 물이 밥으로 흘려 내려서 밥의 맛 또는 색상이 쉽게 변하게 되고, 백화 현상으로 인해 상기 내솥의 내부에 밥이 불어서 터진 백화가 다량 존재하게 되어 밥의 보존상태가 불량한 상태로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 보온시 수분 부족에 의한 밥 마름 현상으로 인해 내솥(30)에 존재하는 밥의 색깔이 변하고 밥의 강도가 딱딱해지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내솥 뚜껑에 조리시 발생한 과포화 증기를 포집하여 보관하는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로서, 본체의 뚜껑부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된 내솥의 상부를 덮고, 관통공을 형성한 내솥 뚜껑부; 상기 내솥 뚜껑부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뚜껑부로부터 상기 내솥 뚜껑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내솥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유입공을 형성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솥 뚜껑부가 본체 뚜껑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의 증기 유입공과 치합하여 관통로를 형성하는 증기 유입공을 형성한 고정 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캡은 상기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한 물이 상기 내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 캡은 저면이 상기 내솥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응축된 후 발생된 물이 수납되도록 수납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는 조리 및 보온시 발생된 과포화 증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물이 내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밥의 맛과 색상이 쉽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는 조리시 발생된 증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물로 인해 내솥의 내부에 밥이 불어서 터진 백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밥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는 응축된 물을 보관하면서 전기밥솥의 상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전기밥솥의 내부에서 증발되므로 장기 보관시 수분 부족에 따른 밥의 마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가 적용된 전기밥솥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가 적용된 전기밥솥의 뚜껑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포집부(100)는 본체의 뚜껑부(40)에 설치되는 고정부(110)와, 전기밥솥(10)의 본체(20) 내부에 수납되는 내솥(30)을 덮는 내솥 뚜껑부(120)와, 내솥 뚜껑부(120)가 본체의 뚜껑부(40)에 고정되도록 하고, 응축된 물이 수납되도록 하는 고정 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은 본체(20)의 내부에는 내솥(30)을 가열하기 위한 하부 히터(31)가 설치되고, 본체의 뚜껑부(40)에 구비된 탑 플레이트(41)에는 내솥(30)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히터(42)가 설치되며, 이들 하부 히터(31)와 상부 히터(4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10)는 본체의 뚜껑부(40)에 설치된 탑플레이트(41)로부터 내솥(30)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뚜껑부(40)에 설치된 증기 배출부(60)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고정부(110)는 내솥 뚜껑부(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을 관통하고, 외주연에 결합용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111)와, 내솥(30)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증기 배출부(6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11)의 외주연을 따라 장공의 증기 유입공(1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내솥 뚜껑부(120)는 본체의 뚜껑부(40) 저면에 결합되어 본체(20)에 수납된 내솥(30)의 상부를 덮고, 고정부(110)가 끼워지는 관통공(121)이 내솥 뚜껑부(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관통공(121)은 바람직하게 고정부(110)가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 캡(130)은 고정부(110)와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내솥 뚜껑부(120)가 본체의 뚜껑부(40)에 고정되도록 하며, 고정부(110)의 증기 유입공(112)과 치합하여 관통로를 형성하도록 증기 유입공(131)이 구성된다.
즉 고정 캡(130)의 내주연에는 고정부의 가이드부(111)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용 돌기와 치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 캡(130)의 증기 유입공(131)은 고정부(110)에 형성된 증기 유입공(112)과 관통되도록 다수 형성되고, 장공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 캡(130)은 증기 배출부(60)로 배출되기 위하여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한 물이 내솥(30)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오목 형상의 수납공간이 고정 캡(13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부(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조리물이 수납된 내솥(30)이 가열되면서 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발생된 과포화 증기는 고정 캡(130)에 형성된 증기 유입공(131)과, 고정부(110)에 형성된 증기 유입공(112)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증기는 화살표와 같이 이동하여 증기 배출부(60)를 통해 전기밥솥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내솥(30)을 가열하기 위한 하부 히터(31)와 함께 상부 히터(42)가 동작하여 내솥 뚜껑부(120)에는 증기의 응축에 의한 물 맺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후 조리가 종료되면, 상부 히터(42)의 동작이 종료되어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고, 과포화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 특히 증기 배출부(60)의 하부에는 냉각에 따른 증기의 응축이 발생하여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물(200)은 고정 캡(130)의 내부에 수납되어 내솥(3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고정 캡(130)에 수납된 물(200)은 수분 공급을 위해 상부 히터(42)가 동작하면서 가열되고, 이 때 가열된 물(200)이 증발하며 조리시 증기가 유입되는 경로와 반대의 경로를 따라 내솥(30)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기밥솥의 보온시 수분 부족으로 인한 밥의 마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 캡(130)은 일정 기간 사용 후 분리하여 세척한 후 결합함으로써, 고정 캡(130)이 위생적으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전기밥솥에 적용된 증기 배출 구조를 구체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전기밥솥으로부터 내솥 뚜껑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4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가 적용된 전기밥솥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4에 따른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가 적용된 전기밥솥의 뚜껑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100: 증기 포집부 110: 고정부
111: 가이드 부 112: 증기 유입공
120: 내솥 뚜껑부 121: 관통공
130: 고정 캡 131: 증기 유입공
200: 물

Claims (2)

  1.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로서,
    본체의 뚜껑부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된 내솥의 상부를 덮고, 관통공을 형성한 내솥 뚜껑부;
    상기 내솥 뚜껑부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뚜껑부로부터 상기 내솥 뚜껑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내솥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 유입공을 형성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솥 뚜껑부가 본체 뚜껑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의 증기 유입공과 치합하여 관통로를 형성하는 증기 유입공을 형성한 고정 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캡은 상기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한 물이 상기 내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은 저면이 상기 내솥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응축된 후 발생된 물이 수납되도록 수납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1020080109373A 2008-11-05 2008-11-05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10144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373A KR101440981B1 (ko) 2008-11-05 2008-11-05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373A KR101440981B1 (ko) 2008-11-05 2008-11-05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200A true KR20100050200A (ko) 2010-05-13
KR101440981B1 KR101440981B1 (ko) 2014-09-17

Family

ID=4227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373A KR101440981B1 (ko) 2008-11-05 2008-11-05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755A (zh) * 2017-01-03 2017-05-31 罗江祺 一种电热锅
JP2017148225A (ja) * 2016-02-24 2017-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WO2024100542A1 (zh) * 2022-11-08 2024-05-1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618A (ja) 2001-04-03 2002-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0442116Y1 (ko) * 2007-02-22 2008-10-1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8225A (ja) * 2016-02-24 2017-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CN106724755A (zh) * 2017-01-03 2017-05-31 罗江祺 一种电热锅
WO2024100542A1 (zh) * 2022-11-08 2024-05-1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981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046B1 (en) Convection steamer
EP2187130B1 (en) Vapor cooker
JP5197857B2 (ja) 加熱調理器
JP2008178719A (ja) 炊飯器
CN106714639B (zh) 用于厨用机器的可加热容器的蒸制附件
US1129785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apidly cooking food
JP2022520208A (ja) 湿潤調理モードを有する調理装置
KR20100050200A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2009285231A (ja) 炊飯器
RU2643972C2 (ru) Паровой гла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JP5103258B2 (ja) 炊飯器
JP4203995B2 (ja) 炊飯器
JP2012143341A (ja) 炊飯器
KR101083388B1 (ko) 전기밥솥의 증기 응축 및 공급 장치
CN110139585A (zh) 电饭锅
JP4961387B2 (ja) 炊飯器
JP2015221118A (ja) 炊飯器
CN116997750A (zh) 家用蒸汽烹饪器具和用于排出水汽的方法
KR20100050199A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KR200442117Y1 (ko) 압력밥솥
JP5103280B2 (ja) 炊飯器
JP6601563B2 (ja) 加熱調理器
KR200182315Y1 (ko) 전기 압력밥솥의 보습구조
KR20190129632A (ko) 조리 장치
KR100347691B1 (ko) 찜기능을 가진 가정용 홍삼중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