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824Y1 -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824Y1
KR200287824Y1 KR2020020015806U KR20020015806U KR200287824Y1 KR 200287824 Y1 KR200287824 Y1 KR 200287824Y1 KR 2020020015806 U KR2020020015806 U KR 2020020015806U KR 20020015806 U KR20020015806 U KR 20020015806U KR 200287824 Y1 KR200287824 Y1 KR 200287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eat
barbecue device
portab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직형
Original Assignee
한나라유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나라유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나라유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824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아울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기를 거치하기 위한 회전부(30)를 구비함과 동시에 숯받이통을 배치하여 숯받이통에 장입된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복사열에 의해 고기를 익히기 위한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외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30)의 일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30)를 수동식으로 회전시키 위한 회전핸들(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Portable Barbecue Burner using Charcoal Fire}
본 고안은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아울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이용한 바베큐장치는 내측에 숯불을 장입할 수 있는 숯받이통을 구비하고, 숯받이통 일측에 고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배치하여 상기 회전부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발화된 숯불로부터 발산되는 복사열을 통해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이 직접 복사열을 통해 익혀진 고기는 일반적인 후라이팬 또는 가열된 돌 위에서 익혀진 고기에 비하여 그 맛이 한층 더 낫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숯불을 이용한 종래의 바베큐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8215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체 내측에 1개의 숯받이통과 회전부를 구비하고 아울러 본체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를 반자동식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태엽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태엽구동장치는 상기 회전부 일측과 축방향 결합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된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축에 고정된 한쌍의 간헐구동판 및 이외에도 상기 태엽구동장치를 이루기 위한 다수의 조립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구조와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태엽구동장치를 구비한 바베큐장치는 생산시에 조립이 용이하지 않아 생산성을 저하시킴은 물론 제작비용 또한 저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복잡하게 이루어진 구조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시 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3836호에 게재된 종래의 바베큐장치는 회전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자동식인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전기구동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 경우 전기가 배전되지 않는 야외 등에서는 전혀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상기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전기구동부가 복잡하게 구성되고 그 무게 또한 무겁기 때문에 휴대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아울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장치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장치의 회전부에 결합되는 꼬치용 삼지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3: 덮개
15a-15d: 다리 17a,17b: 고정브라켓
20a,20b: 숯받이통 21a,21b: 걸림부
30: 회전부 31: 회전축
33a,33b: 지지편 35a-35d: 삽입구멍
37a-37d: 고정홈 40a,40b: 고기 안착부
41a,41b: 그릴 43a,43b: 고기 제거부
45a,45b: 기름유도홈 47a,47b: 배출구멍
50a-50d: 꼬치용 삼지창 51a-51d: 손잡이
60: 회전핸들 61: 손잡이
70: 고정볼트 80a,80b: 운반용 손잡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기를 거치하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숯받이통을 배치하여 숯받이통에 장입된 숯불로부터 발산되는 복사열에 의해 고기를 익히기 위한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의 일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수동식으로 회전시키 위한 회전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회전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전부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고장이 거의 없어 이로 인한 상품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콤팩트한 크기로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하다.
(실시예)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장치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장치의 회전부에 결합되는 꼬치용 삼지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상단 일측에 덮개(1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직 결합되는 4개의 다리(15a-15b)를 구비하며, 내부 양측벽으로는 도 2와 같이 하기에 설명되는 한쌍의 숯받이통(20a,20b)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7a,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 내측 하부에는 일측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오물수거 트레이(19)가 배치되어 하기에 설명되는 한쌍의 숯받이통(20a,20b) 및 회전부(30)로부터 낙하되는 재 또는 기름을 받아내도록 상기 숯받이통(20a,20b) 및 회전부(30) 하부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17a,17b)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숯받이통(20a,20b)은 숯불의 복사열을 회전부로 발산하기 위해 상부 및 일측이 개방되고, 상단에는 별도의 제거로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숯불에 의해 달구어져 있는 숯받이통(20a,20b)을 고정브라켓(17a,17b)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단에 상기 제거로드의 일단이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부(21a,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 익힌 고기를 식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한쌍의 숯받이통(20a,20b)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단 양측 외주연에 각각 거치된 고기 안착부(40a,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고기 안착부(40a,40b)는 상면에 그릴(41a,41b)이 안착되고 일측에는 각각 고기 제거편(43a,43b)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그릴(41a,41b) 위에 얹어 놓은 고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유도하기 위하 기름유도홈(45a,4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름유도홈(45a,45b)에는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멍(47a,47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배출구멍(47a,47b)은 고기 안착부(40a,40b)를 본체에 거치 시킨 상태에서 기름이 배출구멍(47a,47b)을 통해 상기 오물수거 트레이(19)로 수집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기 제거편(43a,43b)은 도 4와 같이 꼬치용 삼지창(50a-50d)의 창살에 대응하는 3개의 요홈(431a,431b)을 상단에 형성하여, 상기 삼지창(50a-50d)에 꿰어져 있는 고기 및 야채 등을 간단하게 삼지창(50a-50d)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2와 같이 상기 한쌍의 숯받이통(20a,20b) 사이에 위치 설정된 상기 회전부(30)는 본체(10)의 측벽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3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31) 양단에 각각 대응 형성된 한쌍의 십자형 지지편(33a,3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십자형 지지편(33a,33b)은 도 5와 같이 상기 꼬치용 삼지창(50a-50d)의 창살 선단과 타단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십자형 지지편(33a)에는 4개의 삽입구멍(35a-35d)이 형성되고 타측 지지편(33b)에는 상기 삽입구멍(35a-35b)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고정홈(37a-37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이 고정볼트(70)를 통해 상기 본체(10) 외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31) 일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핸들(60)은 타측에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손을 화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목재로 이루어진 구형상의 파지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꼬치용 삼치창(50a-50d)의 손잡이부(51a-51d)에 있어서도 회전핸들과 같이 단열효과를 거두기 위해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외부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운반용 손잡이(80a,80b)를 구비하여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의 고정브라켓(17a,17b)에 각각 삽입된 숯받이통(20a,20b)에 착화탄을 넣고 착화시킨 후 착화탄 주변으로 숯을 쌓아 숯을 발화시키거나 또는 발화된 숯을 숯이 미리 장입되어 있는 숯받이통(20a,20b)에 넣어 주변 숯에 인화되도록 한다.
이어서, 숯불이 피워지는 시간 동안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4개의 꼬치용 삼지창(50a-50d)에 고기 또는 고기 및 야채를 번갈아 꿰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삼지창(50a-50d)의 선단을 상기 회전부 한쌍의 지지편(33a,33b)의 삽입구멍(35a-35d)에 삽입시키고 후단을 고정홈(37a-37d)에 각각 안착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회전핸들(60)의 파지부(61)를 잡고 회전시켜 한쌍의 숯받이통(50a,50b)의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복사열을 통해 삼지창(50a-50d)에 꿰어 있는고기를 익힐 수 있으며, 이때 고기로부터 베어나오는 기름은 오물수거 트레이(19)로 낙하됨에 따라 기름이 숯받이통으로 떨어져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베큐장치는 상기 회전부(30)를 구동하는 방식이 사용자가 직접 회전핸들(6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며, 이로 인해 종래의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바베큐장치에 비하여 고장 발생률이 극히 낮아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 사용방법 또한 매우 단순하다.
한편 상기 삼지창(50a-50d)의 고기가 다 익혀진 경우에는 상기 삼지창(50a-50d)을 회전부의 지지편(33a,33b)으로부터 분리시킨 뒤, 상기 고기제거편(43a,43b)을 통해 고기를 삼지창(50a-50d)으로부터 고기 안착부의 그릴(41a,41b)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을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삼지창을 여분으로 더 준비하여 미리 고기를 꿰어 놓고 대기해 놓고 있다가 먼저 사용하고 있는 삼지창(50a-50d)을 회전부(30)로부터 회수한 뒤 곧바로 대기해 놓은 삼지창을 상기 회전부(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릴(41a,41b) 위에 안착된 고기로부터 베어 나오는 기름은 기름유도홈(45a,45b)을 따라 배출구멍(47a,47b)을 통해 상기 오물수거 트레이(19)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바베큐장치를 사용한 후에는 다리(15a-15b) 및 운반손잡이(80)를 본체(1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본체(10) 내측에 모두 수납시킨 뒤 덮개(13)를 덮어콤팩트한 상태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회전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전부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고장이 거의 없어 이로 인한 상품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콤팩트한 크기로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본체(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기를 거치하기 위한 회전부(30)를 구비함과 동시에 숯받이통을 배치하여 숯받이통에 장입된 숯으로부터 발산되는 복사열에 의해 고기를 익히기 위한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외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30)의 일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30)를 수동식으로 회전시키 위한 회전핸들(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KR2020020015806U 2002-05-23 2002-05-23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KR200287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06U KR200287824Y1 (ko) 2002-05-23 2002-05-23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06U KR200287824Y1 (ko) 2002-05-23 2002-05-23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824Y1 true KR200287824Y1 (ko) 2002-09-05

Family

ID=7307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806U KR200287824Y1 (ko) 2002-05-23 2002-05-23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8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37B1 (ko) * 2013-11-14 2014-03-25 염인택 휴대용 오븐
KR20160039840A (ko) 2014-10-02 2016-04-12 권대운 캠핑용 그릴 구조
KR20210101724A (ko) 2020-02-11 2021-08-19 김건현 비전기식 로스터 키트형 그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37B1 (ko) * 2013-11-14 2014-03-25 염인택 휴대용 오븐
KR20160039840A (ko) 2014-10-02 2016-04-12 권대운 캠핑용 그릴 구조
KR20210101724A (ko) 2020-02-11 2021-08-19 김건현 비전기식 로스터 키트형 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442A (en) Outdoor grill
KR100493601B1 (ko) 바비큐 그릴 스핏 어셈블리
US9993109B2 (en) Rotisserie rod and adaptor
US6439109B1 (en) Barbeque with a plurality of skewers
JP7204262B2 (ja) 携帯性及び取扱性の容易な携帯用炭火焼き器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9990004099U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US20050268794A1 (en) Spool rotisserie system
KR200287824Y1 (ko)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KR20070047541A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101618604B1 (ko) 바베큐 장치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EP0069187A1 (en) Vertical grill cooking device
KR100317047B1 (ko) 고기구이기
KR101241174B1 (ko) 바비큐 구이기
KR100916587B1 (ko)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100282154B1 (ko) 숯불 바베큐 구이기
WO2004008927A1 (en) Smoke-free meat roaster with internal heat isolation structure
GB2434741A (en) Barbecue
KR102392511B1 (ko) 회전구이통을 갖는 세로구이기
KR20120004627U (ko) 휴대용 그릴
KR200249190Y1 (ko) 석쇠구이 겸용 꼬치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