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373Y1 -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 Google Patents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373Y1
KR200285373Y1 KR2020020016115U KR20020016115U KR200285373Y1 KR 200285373 Y1 KR200285373 Y1 KR 200285373Y1 KR 2020020016115 U KR2020020016115 U KR 2020020016115U KR 20020016115 U KR20020016115 U KR 20020016115U KR 200285373 Y1 KR200285373 Y1 KR 200285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inion
foam panel
plate port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텍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텍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텍비즈
Priority to KR2020020016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373Y1/ko

Link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폼패널의 하단부를 받쳐주면서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벨조정이 용이하고 그 위에 얹혀지는 폼패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기 위하여, 건물의 슬래브(s)에 고정되는 고정바(10), 상기 고정바(10)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조절되는 높이를 흡수하는 이동바(20), 상기 이동바(20)를 상부로 밀어 올리거나 하부로 끌어내리는 1쌍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을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관(30)과, 상기 가이드관(30)내에 들어가 상부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며 승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에 머리부(41)가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바(20)를 승하강시키는 랙봉(40)과, 상기 랙봉(40)의 톱니부(42)와 치합되며 정역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랙봉(40)을 승하강시키는 피니언(50)과, 상기 피니언(50)을 회전시키는 가동봉(60)과, 선단이 상기 피니언(50)의 이빨 사이에 끼워져 피니언(50)이 임의로 역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for Wall Foam Panel}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폼패널의 하단부를 받쳐주면서 수평상태를 유지시켜 시공의 정확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폼패널의 무게중심이 작용하는 직하부에 랙과 피니언이 조합된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레벨조정이 용이하고 그 위에 얹혀지는 폼패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이 동일평면의 반복적인 공사가 많은 현장에서는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치수의 크기로 미리 만든 폼패널을 슬래브 위에 조립한 후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벽체의 공사에서 건물의 벽체가 올라가는 슬래브는 일정한 수평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약간의 경사도를 갖게 마련이며, 이에 따라 그 위에 조립되는 폼패널의 정확한 수직 및 수평도를 맞추기 위한 수단과 폼패널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종래 벽체용 폼패널의 하단부를 받치면서 수직 및 수평도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도1의 도시와 같은 수평조절 받침대가 개시된 바 있다.
이 수평조절 받침대는, 건물의 슬래브(s)에 밀착·고정되며 수직한 웨브판부 (1a)가 콘크리트 타설면 쪽으로 위치되는 고정바(1)와, 벽체용 폼패널(p)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판부(2a)의 폭방향측 양단부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상·하측 수직판부(2b)(2c)를 가지며 하측 수직판부(2c)가 상기 고정바(1)의 웨브판부(1a)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위치 이동하면서 조절되는 높이를 흡수하여 상기 고정바(1)와 함께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차폐하는 이동바(2)와, 상기 고정바(1)의 길이방향측 양측변부에 각각 접합되어 외측방향으로 뻗어나간 1쌍의 받침다리(3)와, 상기 받침다리(3)들 위에서 이동바(2)에 접합되어 외측으로 뻗어나간 수평간(4)들과, 상기 받침다리(3)들에 그 하부가 접합되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간(4)들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수직볼트(5)들과, 상기 수평간(4)을 사이에 두고 수직볼트(5)에 나사결합되는 상·하측 너트(6a)(6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수평조절 받침대는, 우선 건물의 슬래브(s)에 벽체가 시공되어질 자리의 양측을 따라 먹선을 표시한 후, 먹선을 따라 고정바(1)의하단부를 맞추면서 배열하고, 받침다리(3)에 형성된 못구멍을 통해 콘크리트못(7)을 슬래브에 박아 고정시킨 다음, 상·하측 너트(6a)(6b)들을 수직볼트(5)상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이동바(2)들의 레벨을 맞춘 후, 이동바(2)들의 수평판부(2a) 위에 폼패널(p)들을 얹어가며 이동바(2)들과 폼패널(p)을 체결편 (8)과 웨지핀(9)으로 체결하는 작업을 통해 그 위에 설치되는 폼패널(p)을 고정시켜 주면서 정확한 수직 및 수평도를 맞추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평조절 받침대는 이동바(2)의 수평도를 맞추는 작업 및 해체하는 작업이 대단히 불편하며, 이동바(2)위에 얹혀지는 폼패널(p)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이동바(2)의 높이를 조절할 때 멍키스패너를 이용해 먼저 상측 너트(6a)를 충분히 상승시켜 이동바(2)가 위로 올라갈 공간을 여유있게 확보한 후 하측 너트(6b)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켜 이동바(2)의 높이를 조절하고 나서, 다시 위로 올라간 상측 너트(6a)를 하강시켜 고정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벽체의 콘크리트(c) 양생이 끝난 후 해체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폼패널(p)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볼트(5)가 폼패널(p)의 직하부에 위치하지 않고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동바(2)위에 설치된 폼패널(p)이 수직볼트 (5) 반대쪽(콘크리트 벽체 타설면 쪽)으로 기울어져서 수직도를 정확히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등 매우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폼패널의 하단부를 받쳐주면서 수평상태를 조절하여 유지시키는 종래의 수평조절 받침대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폼패널의 무게중심이 작용하는 직하부에 랙과 피니언이 조합된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레벨조정이 용이하고 그 위에 얹혀지는 폼패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를 나타낸 설치상태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 받침대의 요부사시도
도4는 도2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 받침대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절 받침대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바 11:웨브판부 13:하측 플랜지부
14:받침다리 15:못구멍 20:이동바
21:수평판부 21a:웨지핀 체결공 22:상측 수직판부
23:하측 수직판부 23a:보강띠 25:유동방지편
26:인장스프링 30:가이드관 31:개구부
40:랙봉 41:머리부 42:톱니부
50:피니언 60:가동봉 61:볼트머리
70:스토퍼 71:힌지핀 72:당김스프링
81:앵글형 브래킷 82:채널형 브래킷 91:콘크리트못
92:타이바 93:웨지핀 s:슬래브
p:폼패널 c:콘크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는, 건물의 슬래브에 밀착·고정되며 수직한 웨브판부가 콘크리트 타설면 쪽으로 위치되는 고정바; 벽체용 폼패널의 두께와 거의 같은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판부와 수평판부의 폭방향측 양단부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상·하측 수직판부를 가지며 하측 수직판부가 상기 고정바의 웨브판부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위치 이동하면서 조절되는 높이를 흡수하여 상기 고정바와 함께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차폐하는 이동바; 상기 고정바와 이동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를 상부로 밀어 올리거나 하부로 끌어내리는 1쌍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이동바의 수평판부 하면을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내에 들어가 상부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며 승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바의 수평판부 하면에 머리부가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바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개구부쪽에 위치하는 측면에 수평한 톱니부가 형성되는 랙봉과, 상기 가이드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랙봉의 톱니부와 치합되며 정역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랙봉을 승하강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중심부에 장착되며 그 후단에 형성된 볼트머리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가동봉과, 선단이 상기 피니언의 이빨 사이에 끼워져 피니언이 임의로 역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는 소켓렌치를 이용해 가동봉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리기만 하면,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랙봉을 밀어 올리거나 끌어내리고, 이에 따라 랙봉의 머리부 위에 얹혀진 이동바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되며, 또한 랙봉이 항상 폼패널의 직하부에 위치하면서 폼패널의 하중을 주도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바의 레벨조정이 용이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폼패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폼패널의 수평 및 수직도를 정확히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는, 건물의 슬래브(s)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바(10)와, 상하로 위치 이동하면서 고정바(10)와 함께 협동하면서 조절되는 높이를 흡수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차폐하며 그 위로 벽체용 폼패널(p)이 얹혀져 고정되는 이동바(20)와, 상기 이동바(20)를 상부로 밀어 올리거나 하부로 끌어내리는 1쌍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바(10)는 수직하게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면 쪽으로 위치되는 웨브판부(11)와, 웨브판부(1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직각절곡되는 하측 플랜지부(13)를 갖는다.
고정바(10)의 길이방향측 양측변부와 중간부에는 하측 플랜지부(13)에 접합되어 외측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받침다리(14)들이 설치된다. 이 받침다리(14)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못구멍(15)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바(20)는 벽체용 폼패널(p)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판부(21)와, 수평판부(21)의 폭방향측 양단부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직각절곡되는 상·하측 수직판부(22)(23)를 갖는다.
수평판부(21)에는 다수의 웨지핀 체결공(2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동바(20)의 하측 수직판부(23)의 중간부에는 원호형 단면으로 굽혀지는 보강띠(23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보강띠(23a)는 하측 수직판부(23)의 강도를 보강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측 수직판부(23)의 수평면을 유지시키는 데 유효하게 작용하여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강판재를 써서 이동바(20)를 제작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에는 상기 고정바(10)의 웨브판부(11)를 이동바(20)의 하측 수직판부(23)에 밀착시키는 2개의 유동방지편(25)이 부착된다.
고정바(10)와 이동바(20)의 상하 사이에는 그것들을 연결하면서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26)이 적어도 2개이상 설치된다. 이 인장스프링(26)은 고정바(10)와 이동바(20)를 하나로 묶어주면서 이동바(20)를 고정바(10) 쪽으로 잡아당겨 안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을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 개구부(31)가 형성되는 가이드관(30)과, 상기 가이드관 (30)내에 들어가 상부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며 승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바 (20)의 수평판부(21) 하면에 머리부(41)가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바(20)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개구부(31)쪽에 위치하는 측면에 수평한 톱니부(42)가 형성되는 랙봉 (40)과, 상기 가이드관(30)의 개구부(31)를 통해 상기 랙봉(40)의 톱니부(42)와 치합되며 정역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랙봉(40)을 승하강시키는 피니언(50)과, 상기 피니언(50)의 중심부에 장착되며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피니언(50)을 회전시키는 가동봉(60)과, 선단이 상기 피니언(50)의 이빨 사이에 끼워져 피니언(50)이 임의로 역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관(30)의 하단 및 가동봉(60)의 중간부를 붙잡아 주는 앵글형 브래킷(81)과, 상기 피니언(50)과 스토퍼(7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채널형 브래킷(82)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가이드관(30)은 원통형 중공관이 사용되며, 그 하단이 앵글형 브래킷(81)의 바닥플레이트 윗면에 부착된다.
상기 랙봉(40)은 원형봉을 사용해서 그 일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반복하는 수평한 톱니부(42)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머리부(41)가 핀결합에 의해 회동하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과 유연하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50)은 상기 채널형 브래킷(82)의 양측 플랜지 사이에 들어가 앵글형 브래킷(81)의 수직 플레이트와 채널형 브래킷(82)의 양측 플랜지를 연통하는 가동봉(60)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위치 고정된다.
상기 가동봉(60)은 그 후단에 볼트머리(61)가 구비되어서 소켓렌치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중간부가 힌지핀(71)에 의해 채널형 브래킷(82)에 고정되어 정역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이 당김스프링(72)에 의해 고정된다.
이 스토퍼(70)는 당김스프링(72)의 인장력을 통해 상기 피니언(50)의 이빨사이에 끼워진 선단이 항상 피니언(50)을 상부로 미는 힘을 가하면서 피니언(50)을 구속하게 되며, 가동봉(60)을 강제로 회전시킴에 따라 피니언(50)의 이빨이 당김스프링(72)의 인장력을 이기고 스토퍼(70)의 선단을 제치면서 구속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평조절 받침대를 이용한 수평조절과 벽체용 폼패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수평조절 받침대를 설치하기에 앞서 건물의 슬래브(s)에 벽체가 시공되어질 자리의 양측을 따라 먹선을 표시한다.
이후, 슬래브에 표시한 먹선을 따라 고정바(10)의 하단부를 맞추면서 배열하고, 받침다리(14)에 형성된 못구멍(15)을 통해 콘크리트못(91)을 슬래브에 박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가동봉(60)의 볼트머리(61)에 소켓렌치를 끼우고 회전시켜 피니언 (50)을 정역회전시켜 가면서 랙봉(40)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바(20)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한다.
이때, 인장스프링(26)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바(20)를 고정바 (10)측으로 잡아당기면서 이동바(2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아래에 부착되어 있는 유동방지편(25)에 의해 이동바(20)의 측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이동바(20)의 수평을 전체적으로 맞춘 다음에는 이동바(20)들의 수평판부 (21) 위에 폼패널(p)들을 얹어가며 타이바(92)로 양측의 폼패널(p)들을 연결하여 조립하는 한편,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에 형성된 웨지핀 체결공(21a)과 폼패널 (p)들을 웨지핀(93)으로 체결하는 작업을 통해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폼패널(p)의 수직 및 수평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며, 랙봉(40)이 폼패널(p)의 직하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폼패널(p)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하단의 간격유지재(92)가 양측의 폼패널(p)들과 이동바(20)들을 관통하면서 지지하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강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 폼패널(p)의 설치가 끝나면 양측으로 설치된 폼패널 (p)의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존치시킨다.
타설된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되면 본 고안의 수평조절 받침대를 먼저 견출하고 나서 폼패널(p)을 해체하는 작업을 시행하는데, 본 고안에 의한 수평조절 받침대의 견출작업은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
우선 폼패널(p)들의 하단과 이동바(20)를 체결하고 있는 웨지핀(73)을 제거한다.
이후, 가동봉(60)을 회전시켜 피니언(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랙봉(40)이 가이드관(30)을 타고 아래로 이동하면서 머리부(41)를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다음으로, 받침다리(14)를 슬래브(s)에 고정하고 있는 콘크리트못(91)을 뽑아낸다.
이후, 공구를 이용해 받침다리(14), 고정바(10) 이동바(20) 등을 흔들면서 벽체 콘크리트(c)에 붙어 있는 본 고안의 받침대를 완전히 떼어낸다.
본 고안의 수평조절 받침대는 이상과 같은 작업을 통해 견출하는 작업을 마치며, 다음으로 폼패널(p)을 해체하고 추후 시행되는 벽체의 콘크리트 공사에 투입하여 반복적으로 재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벽체용 폼패널의 수병조절 받침대에 의하면, 먹선을 따라 수평조절 받침대를 고정하고 수평레벨을 조절한 다음 차례로 폼패널을 얹어가며 고정하기만 하면 폼패널의 설치가 간단히 완료되므로, 작업이 단순하고 속도가 빠르며, 반복작업으로 숙련도가 높고, 해체하기가 쉬우며 생산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고안은 폼패널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받쳐줌으로써, 벽체의 층고 수평레벨과 직선성이 정확하며 패널변형을 최소화하여 준다.
특히, 본 고안은 폼패널의 무게중심이 작용하는 직하부에 랙과 피니언으로 조합된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레벨조정이 용이하고 그 위에 얹혀지는 폼패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준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폼패널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고, 우수한 품질의 벽체를 얻을 수 있게 하며, 매우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건물의 슬래브(s)에 밀착·고정되며 수직한 웨브판부(11)가 콘크리트 타설면 쪽으로 위치되는 고정바(10); 벽체용 폼패널(p)의 두께와 거의 같은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판부(21)와 수평판부(21)의 폭방향측 양단부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상·하측 수직판부(22)(23)를 가지며 하측 수직판부(23)가 상기 고정바(10)의 웨브판부(11)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위치 이동하면서 조절되는 높이를 흡수하여 상기 고정바(10)와 함께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차폐하는 이동바(20); 상기 고정바(10)와 이동바(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20)를 상부로 밀어 올리거나 하부로 끌어내리는 1쌍의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을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 개구부(31)가 형성되는 가이드관(30)과, 상기 가이드관(30)내에 들어가 상부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며 승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에 머리부(41)가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바(20)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개구부(31)쪽에 위치하는 측면에 수평한 톱니부(42)가 형성되는 랙봉(40)과, 상기 가이드관(30)의 개구부(31)를 통해 상기 랙봉(40)의 톱니부(42)와 치합되며 정역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랙봉(40)을 승하강시키는 피니언(50)과, 상기 피니언(50)의 중심부에 장착되며 그 후단에 형성된 볼트머리(61)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피니언(50)을 회전시키는 가동봉(60)과, 선단이 상기 피니언(50)의 이빨 사이에 끼워져 피니언(50)이 임의로 역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20)의 하측 수직판부(23)의 중간부에는 원호형 단면으로 굽혀지는 보강띠(23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20)의 수평판부(21) 하면에는 상기 고정바(10)의 웨브판부(11)를 이동바(20)의 하측 수직판부(23)에 밀착시키는 유동방지편(25)이 적어도 2개이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0)와 이동바(20)의 상하 사이에는 그것들을 연결하면서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26)이 적어도 2개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70)는 중간부가 힌지핀(71)에 의해 고정되어 정역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후단이 당김스프링(72)에 의해 고정되어져 상기 피니언 (50)의 이빨사이에 끼워진 선단이 항상 상부로 미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피니언 (50)을 구속하게 되며, 가동봉(60)을 강제로 회전시킴에 따라 피니언(50)의 이빨이스토퍼(70)의 선단을 제치면서 구속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KR2020020016115U 2002-05-27 2002-05-27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KR200285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5U KR200285373Y1 (ko) 2002-05-27 2002-05-27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5U KR200285373Y1 (ko) 2002-05-27 2002-05-27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373Y1 true KR200285373Y1 (ko) 2002-08-13

Family

ID=7312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15U KR200285373Y1 (ko) 2002-05-27 2002-05-27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3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580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이격 장치
KR102363074B1 (ko) * 2021-06-18 2022-02-1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인명구조 소방설비
CN117329626A (zh) * 2023-11-14 2024-01-02 安徽珍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高效率风管负压平衡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580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이격 장치
KR102058926B1 (ko) 2018-04-24 2019-12-24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이격 장치
KR102363074B1 (ko) * 2021-06-18 2022-02-1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인명구조 소방설비
CN117329626A (zh) * 2023-11-14 2024-01-02 安徽珍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高效率风管负压平衡系统
CN117329626B (zh) * 2023-11-14 2024-03-15 安徽珍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高效率风管负压平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JP4732915B2 (ja) 基礎の構築方法と装置及び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US20170037653A1 (en) Clamps for panel-type fences
US4202149A (en) Construction device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200285373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KR200285372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KR20050075266A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JP2602413Y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KR200285374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KR101909178B1 (ko) 앵커볼트 설치용 받침대
US4176831A (en) Template for supporting a door frame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JP2911419B2 (ja) 仮設構造物における連結構造
JP2002276167A (ja) 傾斜構造物設置工法用サポート及び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JP6815248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保装置
JP3029324B2 (ja) 仮囲い及び仮囲い用基礎
JP4276126B2 (ja) 基礎用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KR200300525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절첩식 수평조절 받침대
JP4440687B2 (ja) 柱脚用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KR200347316Y1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JP3025638B2 (ja) 布基礎の構築用型枠装置
JP3000796U (ja) 仮設フェンス
EP1651826B1 (en) Formwork fixing and method
JP3875910B2 (ja) 基礎用鉄筋・鉄骨芯材ユニット及び基礎用鉄筋・鉄骨芯材ユニット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