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075Y1 - 자동차용 보조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075Y1
KR200284075Y1 KR2020020013394U KR20020013394U KR200284075Y1 KR 200284075 Y1 KR200284075 Y1 KR 200284075Y1 KR 2020020013394 U KR2020020013394 U KR 2020020013394U KR 20020013394 U KR20020013394 U KR 20020013394U KR 200284075 Y1 KR200284075 Y1 KR 200284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ivot
bodies
coupl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우
Original Assignee
권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우 filed Critical 권태우
Priority to KR2020020013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075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미러는 단순히 미러본체와 지지부가 피벗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어, 일점 위치에서만 미러본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미러본체의 각도를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과, 지지부와 미러본체를 피벗결합을 시켜주는 피벗홈과 피벗구의 위치가 흡착부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어 자동차용 보조미러를 전방에 부착시켰을 때, 운전자의 전방시야 확보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예시도 2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하측 회전바디(21)(22)와 상·하측 지지바디(23)(24)가 회전가능한 축결합을 이루는 절곡바디(20)를 이룸으로서, 미러본체(1)의 조정각도를 보다 더 확보할 수 있으며, 힌지축(25)에 끼워진 신축성을 지닌 부싱(29)에 의해 절곡바디(20)의 각도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절곡바디(20)에 의해 피벗결합 위치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보다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미러{Auxiliary mirror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브라켓과 피봇결합을 이루는 미러본체 사이에 절곡바디를 갖추게 하여 차실의 전면창이나 인스트루패널에 설치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설치하면서 사각지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보조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자동차 주변의 시야를 확보할 목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와 실외에 미러가 설치되는데, 실내에는 자동차의 후방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는 백미러가 설치되고, 실외에는 프론트도어의 상단 일측에 싸이드미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백미러와 싸이드미러에 의해 확보되지 않은 사각지대가 자동차의 양측 후방으로 일정각도 발생되며, 이로 인해 자동차 접촉사고나 인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 접촉사고나 인사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많은 운전자들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자동차의 실내와 실외에 보조미러를 설치하여 자동차 주변의 시야를 보다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자동차용 보조미러는 운전자들의 욕구에 의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설치위치와 설치방법에 따라 구분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하는 내장형과 자동차의 실외에 설치하는 외장형으로 구분되며, 상기 내장형은 승용차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자동차의 유리창에 흡착시키는 흡착형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시키는 부착형과, 자동차의 차체인 프론트 필라에 걸어서 설치하는 걸이형이 있다.
또한, 외장형은 백미러의 상단에 부착하거나 본네트의 양 싸이드에 부착하는 것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백미러 자체의 일부분에 부착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최근들어서 외장형은 설치하려는 위치에 단순히 접착테이프를 이용해 부착됨으로서, 분실 및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대형자동차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용 보조미러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그 중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미러본체(1)와 지지부(2)로 이루어져 지되, 상기 미러본체(1)는 미러케이스(3)와 미러(4)로 이루어지고, 미러케이스(3)의 상면에 미러(4)가 끼워지고, 하면에 피벗구(5)가 돌출 형성된 미러케이스(3)로 이루어지고, 지지부(2)는 중앙부분이 볼록한 원판형의 흡착부(6)와 피벗홈(7)을 갖춘 결합부(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미러는 지지부(2)의 흡착부(6)가 자동차의 실내 전면창에 흡착되어 지는데, 이때 전면창에 흡착되는 흡착부(6)의 위치는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확보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 즉 전면창의 하단 양측위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창에 흡착되는 흡착부(6)는 중앙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어 전면창에 흡착시키기 위해서 흡착부(6)에 압력을 가하면 흡착부(6)는 평면을 이루면서 전면창과 진공상태를 이루게 되어 흡착부(6)와 결합부(8)로 이루어진 지지부(2)는 자동차의 전면창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창에 고정된 지지부(2)의 결합부(8)에 미러본체(1)가 설치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착부(6)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피벗홈(7)을 갖춘 결합부(8)에 미러케이스(3)의 피벗구(5)가 강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미러본체(1)는 지지부(2)와 피벗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어 임의적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미러본체(1)의 피벗구(5)가 흡착부(6)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결합부(8)의 피벗홈(7)에 끼워져 피벗홈(7)내에서 피벗구(5)가 자유롭게 회전되고, 또한 각도도 조정됨으로서, 싸이드미러와 백미러 사이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미러본체()의 설치각도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조미러는 단순히 미러본체(1)와 지지부(2)가 피벗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어, 일점 위치에서만 미러본체(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미러본체(1)의 각도를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과, 지지부(2)와 미러본체(1)를 피벗결합을 시켜주는 피벗홈(7)과 피벗구(5)의 위치가 흡착부(6)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어 운전자의 전방시야 확보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미러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지지브라켓과 미러본체 사이에 절곡바디를 갖추게 하여 전면창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또는 썬바이저에 설치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보조미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벗결합에 의해 미러본체의 각도와 회전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미러에 있어서, 접착판과 경사지지대로 이루어진 부착수단과, 상·하측 회전바디와 상·하측 지지바디가 힌지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절곡수단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의 접착판에는 절개부를 폭방향으로 형성하고, 밑면에 접착층과 이면층을 갖추게 하며, 경사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보강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측 회전바디의 상응하는 일측에 단차형의 힌지축을 형성하고, 상측 회전바디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하측 회전바디 사이에 피벗홈을 갖춘 피벗바디를 설치하며, 상기 힌지축에 신축성을 갖춘 부싱을 설치하여 상·하측 지지바디를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바디와 지지바디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을 이루는 절곡수단에 의해 미러본체의 조정각도를 보다 더 조정할 수 있으며, 힌지축에 끼워진 신축성을 지닌 부싱에 의해 절곡수단의 각도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절곡수단에 의해 피벗결합 위치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도 1 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보조미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전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 2 의 A - A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부착수단을 일예를들어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지브라켓, 12 - 접착판,
13 - 절개부, 14 - 경사지지대,
15 - 접착층, 16 - 이면층,
17 - 보강홈, 20 - 절곡바디,
21 - 상측 회전바디, 22 - 하측 회전바디,
23 - 상측 지지바디, 24 - 하측 지지바디
25 - 힌지축, 26 - 관통홀,
27 - 피벗홈, 28 - 피벗바디,
29 - 부싱, 30 - 연결부,
31 - 걸이홈, 32 - 횡방향 탄성부,
33 - 종방향 탄성부, 34 - "ㄴ"자형 걸이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전체사시도이고,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분해사시도이며, 예시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 2 의 A - 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피벗결합에 의해 미러본체의 각도와 회전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미러에 있어서, 접착판(12)과 경사지지대(14)로 이루어진 부착수단(10)과, 상·하측 회전바디(21)(22)와 상·하측 지지바디(23)(24)가 힌지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절곡수단(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10)의 접착판(12)에는 절개부(13)를 폭방향으로 형성하고, 밑면에 접착층(15)과 이면층(16)을 갖추게 하며, 경사지지대(14)의 길이방향으로 보강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측 회전바디(21)(22)는 일측으로 상응하는 단차형의 힌지축(25)을 형성하며, 상측 회전바디(21)에 관통홀(26)을 형성하여 상·하측 회전바디(21)(22) 사이에 피벗홈(27)을 갖춘 피벗바디(28)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축(25)에 신축성을 갖춘 부싱(29)을 설치하며, 상·하측 지지바디(23)(24)는 일측에 상응하는 연결부(30)를 형성하여 상·하측 회전바디(21)(22)의 힌지축(25)과 결합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착수단(10)은 호형을 이루는 횡방향 탄성부(32)가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종방향 탄성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 탄성부(33)의 단부에는 "ㄴ"자형 걸이부(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ㄴ"자형 걸이부(34)가 절곡수단(20)의 상측지지바디(23)에 형성된 걸이홀(31)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0은 상·하측 회전바디(21)(22)와 상·하측 지지바디(23)(24)를 결합시키는 보울트이고, 41은 보울트(40)가 끼워지는 결합돌부이며, 42는 경사지지대(14)에 형성된 결합홀이고, 43은 하측회전바디(22)의 내면에 형성되어 피벗바디(28)를 받쳐주는 원형의 받침부이며, 이하 본 고안의 설명중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미러와 동일한 구성부분은 종래기술에서 사용한 부호 및 명칭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하면에 피벗구(5)가 형성된 미러케이스(3)에 미러(4)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미러본체(1)는 절곡수단(20)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피벗바디(28)과 피벗결합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예시도 2 참조)
상기 절곡수단(20)은 보울트(40)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상·하측 회전바디(21)(22)와 상·하측 지지바디(23)(24)로 이루어져 있고, 상·하측 회전바디(21)(22)와 상·하측 지지바디(23)(24)는 회전가능 하도록 축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하측 회전바디(21)(22)에는 일측으로 단차형의 힌지축(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측 지지바디(23)(24)에는 힌지축(25)과 상응하는 위치에 연결부(30)가 형성되어 있어 힌지결합을 이루게 된다.(예시도 3 참조)
이때, 상·하측 회전바디(21)(22)의 힌지축(25)에는 신축성을 지닌 부싱(29)이 끼워지게 되어 상·하측 지지바디(23)(24)의 연결부(30) 내면과 부싱(29)의 외면이 접하게 됨으로서, 상기 상·하측 지지바디(23)(24)가 보울트(40)에 의해 일체를 이룰 때, 부싱(29)에 보울트(40)의 결합력이 가해짐으로 부싱(29)이 힌지축(25)을 잡아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예시도 4 참조)
즉, 상기 부싱(29)은 힌지축(25)에 끼워짐으로 그 내면과 외면이 각각 힌지축(25)의 외면과 연결부(30)의 내면과 밀착되어 절곡바디(20)는 절곡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부싱(29)은 연결부(30)의 내부공간보다 약간 크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신축성과 흡착력(마찰력)이 좋은 고무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측 회전바디(21)(22)의 관통홀(26)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피벗바디(28)는 별도로 제작되어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때 외부에 노출된 피벗홈(27)에 미러본체(1)의 피벗구(5)가 끼워질 때, 피벗결합력을 보다 좋게 하기위해 관통홀(26)의 외부에는 원통형의 리브가 성형되어 있으며, 피벗바디(28)의 밑면이 접하는 하측 회전바디(22)의 내면에 받침부(43)가 형성되어 있어 피벗바디(28)는 상·하측 회전바디(21)(22)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곡수단(20)은 경사지지대(14)와 접착판(15)으로 이루어진 부착수단(10)과 일체를 이루게 되며, 상기 경사지지대(14)의 강성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보강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판(15)은 평면을 이루고 있으나 접착판(15)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13)에 의해 곡면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전면창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곡면부분에도 안정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예시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요부중 부착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부착수단(10)은 호형을 이루는 횡방향 탄성부(32)가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종방향 탄성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 탄성부(33)의 단부에는 "ㄴ"자형 걸이부(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ㄴ"자형 걸이부(34)가 절곡수단(20)의 상측지지바디(23)에 형성된 걸이홀(31)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부착수단(10)은 탄성력이 좋은 강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종방향 탄성부(33)의 단부에 형성된 "ㄴ"자형 걸이부(34)를 상측지지바디(23)의 걸이홀(31)에 끼우면, 횡방향 탄성부(32)에 의해 "ㄴ"자형 걸이부(34)는 걸이홀(31)과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은 썬바이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운전자의 전방시야는 물론 후방시야와 자동차의 실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하측 회전바디(21)(22)와 상·하측 지지바디(23)(24)가 회전가능한 축결합을 이루는 절곡바디(20)를 이룸으로서, 미러본체(1)의 조정각도를 보다 더 확보할 수 있으며, 힌지축(25)에 끼워진 신축성을 지닌 부싱(29)에 의해 절곡바디(20)의 각도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절곡바디(20)에 의해 피벗결합 위치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피벗결합에 의해 미러본체의 각도와 회전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미러에 있어서, 접착판(12)과 경사지지대(14)로 이루어진 부착수단(10)과, 상·하측 회전바디(21)(22)와 상·하측 지지바디(23)(24)가 힌지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절곡수단(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10)의 접착판(12)에는 절개부(13)를 폭방향으로 형성하고, 밑면에 접착층(15)과 이면층(16)을 갖추게 하며, 경사지지대(14)의 길이방향으로 보강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측 회전바디(21)(22)는 일측으로 상응하는 단차형의 힌지축(25)을 형성하고, 상측 회전바디(21)에 관통홀(26)을 형성하여 상·하측 회전바디(21)(22) 사이에 피벗홈(27)을 갖춘 피벗바디(28)를 설치하며, 상기 힌지축(25)에 신축성을 갖춘 부싱(29)을 설치하고, 상·하측 지지바디(23)(24)는 일측에 상응하는 연결부(30)를 형성하여 상·하측 회전바디(21)(22)의 힌지축(25)과 결합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수단(10)은 호형의 횡방향 탄성부(32)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동일한 형상의 종방향 탄성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 탄성부(33)의 단부에는 "ㄴ"자형 걸이부(34)가 형성되어 상측지지바디(23)의 걸이홀(31)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미러.
KR2020020013394U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보조미러 KR200284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94U KR200284075Y1 (ko)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보조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94U KR200284075Y1 (ko)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보조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075Y1 true KR200284075Y1 (ko) 2002-07-31

Family

ID=7307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394U KR200284075Y1 (ko)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보조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0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426A (ko) * 2017-02-23 2018-08-31 서기원 차량용 신호등 확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426A (ko) * 2017-02-23 2018-08-31 서기원 차량용 신호등 확인 장치
KR101995113B1 (ko) * 2017-02-23 2019-07-01 서기원 차량용 신호등 확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7308B2 (en) Visor mounting assembly
US5956833A (en) Windshield locating cam
KR200284075Y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US7914161B2 (en) Outer mirror structure for vehicle
US6409246B1 (en) Snap-in hinged visor extender
KR100341864B1 (ko) 선바이저 장착구조
US7726624B2 (en) Mounting system for vehicular mirror
KR100570400B1 (ko) 선바이저 어셈블리 체결 구조
KR100388619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고정장치
KR100328984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200372828Y1 (ko) 차량용 선바이져
KR200246979Y1 (ko) 자동차용 운전자 보호장치
KR100341863B1 (ko) 인사이드 미러 장착구조
KR100297801B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링크 구조
KR0145970B1 (ko) 차량의 룸 미러 설치구조
JPH0735785Y2 (ja) 自動車用回転式アシストグリップ
JPH0333523Y2 (ko)
KR0180446B1 (ko) 자동차용 전면 유리 지지 구조
KR200147196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230116194A (ko) 자동차의 어시스트핸들 장착용 고정 브래킷
KR200173420Y1 (ko) 자동차의 미러조립체
KR19980046720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체결구조
KR0142351B1 (ko) 상용차용 백밀러의 절첩장치
KR19990017146U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어셈블리
KR19980056639A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