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966Y1 -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966Y1
KR200281966Y1 KR2019980006515U KR19980006515U KR200281966Y1 KR 200281966 Y1 KR200281966 Y1 KR 200281966Y1 KR 2019980006515 U KR2019980006515 U KR 2019980006515U KR 19980006515 U KR19980006515 U KR 19980006515U KR 200281966 Y1 KR200281966 Y1 KR 200281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drum
coupling pin
adjuste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021U (ko
Inventor
병 주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06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966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966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슈의 웨브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져스터레버의 결합구조 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어져스터레버를 결합시키기 위해, 브레이크슈의 웨브에 고정되는 결합핀이 프레스가공을 통해, 그 단부가 측방으로 신장되게 성형됨으로써, 이 신장된 부분이 결합핀을 고정되게 하는 걸림부를 이루게 하였다. 따라서, 종래 결합핀을 고정방법에 적용되던 고정와셔를 끼우는 등의 제조 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결합핀의 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 브레이크
본 고안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슈의 웨브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져스터레버의 결합구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달리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기능을 하거나, 차량의 정지 및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브레이크는 디스크식 유압 브레이크와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 등이 있는데, 여기에서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의 내주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제동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드럼 브레이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앵커블럭에 일단부가 각각 접촉 지지되어 이를 중심으로 외향 작동되는 한 쌍의 반원형 브레이크슈와, 이 브레이크슈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제동시 휠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 내주면을 마찰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라이닝이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크슈는 휠실린더에 의해 외향 작동되는데, 휠실린더를 중심으로 드럼의 전진 회전방향 측에 마련된 리딩슈와, 그 반대측에 마련된 트레일링슈로 구분된다. 리딩슈와 트레일링슈의 일단부는 백플레이트에 고정된 앵커블럭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어 있고, 타단부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휠실린더의 양부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한편, 리딩슈와 트레일링슈 사이에는 계속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라이닝이 마모되어 드럼 내주면과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한 어져스터가 설치된다. 이 어져스터는 일단부가 리딩슈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트레일링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주차용 작동레버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딩슈에는 주차용 작동레버의 작동시 어져스터의 조절너트가 조작되어 어져스터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조절너트를 회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어져스터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 어져스터레버의 체결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드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1)는 라이닝(2)이 부착되는 림(3)과, 림(3)의 내주면 중심부에 결합되어 림(3)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휠실린더의 팽창력을 전달받아 림(3)을 드럼의 내주면 쪽으로 밀어주는 판 형상의 웨브(4)가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웨브(4)의 일측에 어져스터의 조절너트를 조작시키는 어져스터레버(5)가 결합된다. 이 때 브레이크슈의 웨브(4)에는 어져스트레버(5)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핀(6)이 마련된다. 즉, 결합핀(6)의 일단부에는 어져스트레버(5)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핀(6)의 타단부가 웨브(4)에 형성된 결합공(4a)에 고정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핀(6)은 중앙에 지지턱(6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구분이 되며, 그 중 일단부가 브레이크슈의 웨브(4)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 고정부분에는 결합핀(6)을 고정되도록 고정와셔(7)가 끼워지는 고정홈(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터레버(5)의 결합 구조는 브레이크슈(1)의 웨브(4)에 형성된 결합공(4a)에 어져스트레버(5)가 결합된 결합핀(6)이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공(4a)의 외측으로 나온 고정홈(6b)에 고정와셔(7)를 끼우면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결합핀(6)의 결합 구조는 결합핀(6)이 상기 결합공(4a)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홈(6b)에 고정와셔(7)를 끼워 고정시키게 되므로, 그 절차가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결합 방법은 결합핀(6)을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와셔(7)를 준비해야 하고, 또 결합핀(6)에는 고정와셔(7)가 끼워지는 고정홈(6b)이 형성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조립하는 작업 용이하지 않아 생산성 저하는 물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레이크슈의 웨브에 결합이 되는 결합핀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 시간 및 원가가 절감되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슈의 단면도로 결합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드럼 브레이크의 결합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슈의 단면도로 결합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핀의 고정상태를 보인 평면도로 걸림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드럼, 20: 백플레이트,
31,32: 브레이크슈, 31a,32a: 림,
31b,32b: 웨브, 31c,32c: 라이닝,
40: 휠실린더, 50: 앵커블럭,
60: 어져스터, 63: 조절너트,
64: 어져스터레버, 65: 작동스프링,
70: 주차용 작동레버, 80: 결합핀,
81: 지지턱, 82: 걸림부,
100: 지그, 200: 성형툴,
201: 돌출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휠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 작용을 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된 리딩슈 및 트레일링슈와, 상기 리딩슈와 상기 트레일링슈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라이닝의 과마모시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상기 라이닝사이의 간격을 보상해주도록 조절너트의 회전에 의해 신장되는 어져스터와, 상기 조절너트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리딩슈의 일측에 결합되는 어져스터레버와, 상기 어져스터레버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리딩슈의 일측에 고정이 되는 결합핀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고정이 용이하도록 그 단부가 확장성형이 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슈의 단면도로 결합핀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핀의 고정상태를 보인 평면도로 걸림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브레이크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10)의 내주면과 마찰을 하여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백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라이닝(31c,32c)이 부착된 반원형상의 브레이크슈(31,32)가 구성된다.
브레이크슈(31,32)는 전방측에 위치되는 리딩슈(31)와, 후방측에 위치되는 트레일링슈(32)로 구분되는데, 이들의 하측 단부사이에는 앵커블럭(50)이 개재되어 이를 중심으로 외향 작동한다. 즉, 리딩슈(31)와 트레일링슈(32)의 각 일단부는 백플레이트(20)에 고정된 앵커블럭(50)의 양단부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이들의 타단부는 휠실린더(40)의 양부에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휠실린더(40)에 제동유압이 전달되면 리딩슈(31)와 트레일링슈(32)는 앵커블럭(50)과 접촉되어 있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외향 작동하여, 브레이크슈(31,32)의 라이닝(31c,32c)이 드럼(1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3은 제동유압의 해제시 리딩슈(31)와 트레일링슈(32)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이다.
브레이크슈(31,32)는 얇은 판상의 부재가 드럼(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벤딩이 되어 형성된 림(31a,32a)과, 림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림(31a,32a)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휠실린더(40)의 팽창력을 전달받아 림을 드럼(10)의 내주면쪽으로 밀어주는 웨브(31b,32b)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림(31a,32a)의 외주면에는 제동시 드럼(10)의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라이닝(31c,32c)이 부착된다.
그리고 리딩슈(31)와 트레일링슈(32) 사이에는 계속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라이닝이 마모되어 드럼(10) 내주면과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한 어져스터(60)가 설치된다. 이 어져스터(60)는 일단부가 리딩슈(31)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트레일링슈(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주차용 작동레버(70)와 결합된다.
어져스터(60)는 리딩슈(31)측에 결합이 되는 지지봉(61)과, 트레일링슈(32)측에 결합되며 조절너트(63)의 회전에 의해 지지봉(61)으로부터 빠져 나와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봉(62)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즉, 어져스터(60)는 조절너트(63)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길이가 조정이 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라이닝(31c,32c)이 마모되어 드럼(10)의 내주면과의 사이가 이격되면, 상기 조절너트(63)를 회동시켜 어져스터(60)의 길이를 조정해 주는 어져스터레버(64)가 구비된다.
이 어져스터레버(64)는 일측이 리딩슈의 웨브(3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조절너트(63)의 외주면에 걸리는 구조로 마련된다. 그리고 어져스터레버(64)의 일측에는 라이닝(31c,32c)의 마모로 어져스터(60)와 브레이크슈(31,32)의 웨브(31b,32b)사이에 유격이 커지게 되면, 어져스터레버(64)를 끌어당겨 조절너트(63)를 회전시키는 작동스프링(65)이 구비된다.
한편, 리딩슈의 웨브(31b)에는 상기 어져스터레버(64)가 결합되는 결합핀(80)이 마련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결합핀(80)은 일단부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성형이 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핀(80)의 고정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리딩슈의 웨브(31b)에는 결합핀(8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31d)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핀(80)은 중앙에 지지턱(81)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구분이 되며, 그 일단부에 상기 어져스터레버(64)가 끼워지고, 타단부가 상기 결합공(31d)에 끼워져 고정이 되게 된다.
이들의 결합 구조를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먼저 결합핀(80)의 일단부는 어져스터레버(64)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을 지지해주는 지그(100)의 지지홈(101)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지그(100)의 상부에 리딩슈의 웨브(31b)가 놓여지게 되면, 결합핀(80)의 타단부는 웨브의 결합공(31d)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결합핀(80)의 일부는 웨브(31b)의 상면으로 약간 노출이 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의 성형툴(200)이 하강을 하여 결합핀(80)의 노출된 단부를 눌러주게 되면, 결합핀(80)의 단부가 성형이 되어 측방으로 확장이 되게 되고, 이 확장된 부분이 결합핀(80)을 고정되게 하는 걸림부(82)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상기 걸림부(8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80)의 단부가 전체적으로 성형이 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면 모서리부의 복수개소에 국부적으로 성형압이 가해져, 복수의 걸림부(8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성형툴(200)의 단면 테두리부에는 이와 같은 걸림부(82)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돌출턱(2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레스의 작동압이 복수의 개소에 집중되어 결합핀(80)을 부분적으로 성형시킴으로써, 이를 성형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작동압을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이 적용된 드럼 브레이크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유압이 휠실린더(40)로 전달되어, 휠실린더(40)의 피스톤(미도시)이 양측으로 밀리게 된다. 즉, 휠실린더(40)의 피스톤이 브레이크슈(31,32)를 바깥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슈(31,32)의 외주면에 부착된 라이닝(31c,32c)이 드럼(10)의 내주면과 밀착이 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동작용으로 인해 리딩슈(31)가 외측으로 밀릴 때, 어져스터레버(64)의 일단부가 작동스프링(65)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회전을 하려고 하는데, 라이닝(31c,32c)의 마모가 적게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회전각도가 아주 작아 조절너트(63)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반복적인 제동 작용에 따라 라이닝(31c,32c)이 과 마모된 경우에는 리딩슈(31)가 많이 밀리게 되고, 어져스터레버(64)의 회전각도 역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어져스터레버(64)의 타단부가 회전하면서 어져스터(60)의 조절너트(63)를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회전된 만큼 어져스터(6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드럼(10)의 내주면과 라이닝(31c,32c)의 간격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어져스터레버를 결합시키기 위해, 브레이크슈의 웨브에 고정되는 결합핀이 프레스가공을 통해, 그 단부가 측방으로 신장되게 성형됨으로써, 이 신장된 부분이 결합핀을 고정되게 하는 걸림부를 이루게 하였다. 따라서, 종래 결합핀을 고정방법에 적용되던 고정와셔를 끼우는 등의 제조 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결합핀의 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휠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 작용을 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된 리딩슈 및 트레일링슈와, 상기 리딩슈와 상기 트레일링슈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라이닝의 과마모시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상기 라이닝사이의 간격을 보상해주도록 조절너트의 회전에 의해 신장되는 어져스터와, 상기 조절너트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리딩슈의 일측에 결합되는 어져스터레버와, 상기 어져스터레버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리딩슈의 일측에 고정이 되는 결합핀을 구비하는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고정이 용이하도록 그 단부가 확장성형이 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성형에 소요되는 작동압을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개선을 위해, 상기 결합핀 모서리부의 복수 개소에 국부적으로 성형압이 가해져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KR2019980006515U 1998-04-23 1998-04-23 드럼 브레이크 KR200281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15U KR200281966Y1 (ko) 1998-04-23 1998-04-23 드럼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15U KR200281966Y1 (ko) 1998-04-23 1998-04-23 드럼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21U KR19990040021U (ko) 1999-11-25
KR200281966Y1 true KR200281966Y1 (ko) 2002-09-19

Family

ID=6951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515U KR200281966Y1 (ko) 1998-04-23 1998-04-23 드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9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21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9692U (ja) 自転車用ブレーキ装置
KR200281966Y1 (ko) 드럼 브레이크
KR200281990Y1 (ko) 드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
JPH0138349Y2 (ko)
JPS5829308Y2 (ja) 二輪車用デイスクブレ−キにおける固定摩擦パツドの取付装置
KR20070069632A (ko) 드럼 브레이크
JPS632670Y2 (ko)
KR100435195B1 (ko) 드럼브레이크
JPS6021567Y2 (ja) 自動車用ドラムブレ−キ装置
KR100349541B1 (ko) 드럼 브레이크
JPS6347299Y2 (ko)
JPH066297Y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付き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
KR100217986B1 (ko) 브레이크 라이닝의 작동궤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KR200276250Y1 (ko) 드럼 브레이크의 주차용 작동레버
KR200278156Y1 (ko) 드럼 브레이크슈우
KR20050122324A (ko)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JPH0650680Y2 (ja) 調整装置付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100457215B1 (ko) 드럼식 브레이크의 마찰 구조
JPS6224117Y2 (ko)
KR200296182Y1 (ko) 드럼브레이크의수동간극조절기
KR200200276Y1 (ko) 드럼브레이크의어저스터
KR200281976Y1 (ko) 드럼브레이크의 작동레버
KR100779462B1 (ko)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KR20030031606A (ko) 브레이크슈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
KR19980032788U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의 제동력향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