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492Y1 -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492Y1
KR200281492Y1 KR2019990007454U KR19990007454U KR200281492Y1 KR 200281492 Y1 KR200281492 Y1 KR 200281492Y1 KR 2019990007454 U KR2019990007454 U KR 2019990007454U KR 19990007454 U KR19990007454 U KR 19990007454U KR 200281492 Y1 KR200281492 Y1 KR 200281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opening
head
storage space
portable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358U (ko
Inventor
정경훈
Original Assignee
문영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지 filed Critical 문영지
Priority to KR2019990007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492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492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일정양의 치약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 선단에 치모를 갖는 머리부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일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가압판을 전,후진시키는 나사봉이 길게 돌출되어 있는 회전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에는 몸체의 저장공간에서 압출되는 치약을 치모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홀과, 상기 이송홀과 연통하여 치모로 치약을 배출시키는 개구부에 십자형의 절개부를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칫솔에 있어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에는 십자형의 절개부가 형성된 채 상기 머리부의 개구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하단에 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개구부의 상,하 주연부에 견고하게 걸림되는 상,하단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개폐밸브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Portable toothbrush having a dental cream inside}
본 고안은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모가 심어진 머리부를 몸체에 나사로써 착탈가능하게 하고, 몸체 내부로 부터 압출되는 치약이 치모가 심어진 중간부분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이송홀을 머리부 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이송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실리콘 재질의 개폐밸브를 구성하므로서, 치약이 이송홀을 통해 치모로 유출된 후에는 개폐밸브가 닫히면서 이송홀에 존재하는 치약이 굳는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치모 부분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행객들이나 장시간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을 위해 치약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칫솔이 제공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휴대용 칫솔을 도시한 것으로서,
서로 형합되는 케이스(1)와 캡(2)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의 내측으로는 일측 끝단에 형성된 머리부(5)에 치모(6)가 심어져 있는 몸체(4)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의 내부에는 일정양의 치약이 충진될 수 있는 저장공간(3)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3)에 충진된 치약을 가압하여 밀어내기 위한 피스톤(8)이 몸체(4)와 케이스(1)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머리부(5)의 일측에는 치모(6)의 중간부분과 저장공간(3)을 연결하는배출공(7)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휴대용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고자 할 때, 몸체(4)를 케이스(1) 내부로 약간 밀어 넣으면 피스톤(8)이 저장공간(3) 내부를 압박하면서 저장공간(3) 내부에 압력이 가해져 치약이 배출공(7)을 통해 치모(6)의 중간부분으로 배출되므로서, 사용자가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휴대용 칫솔은 치약이 머리부(5)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7)을 통해 치모(6)의 중간부분으로 공급되므로서, 사용자가 칫솔질을 한 후 치모(6)를 씻어낼 때 배출공(7) 부분에 존재하는 치약이 계속해서 물에 의해 씻기면서 치모(6)에 묻게되어 치모(6)의 청결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짐은 물론 일정횟수 사용하여 치모(6)가 손상되면 제품 전체를 바꾸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2 는 종래의 또다른 휴대용 칫솔을 도시한 것으로서,
내부에 일정양의 치약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공간(11)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12) 일측에 치모(13)가 심어져있는 몸체(14)와, 상기 머리부(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저장공간(11)과 치모(13)의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배출공(15)과, 저장공간(11)으로 치약을 투입하기 위해 몸체(14)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투입구(16)와, 상기 몸체(14)의 일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중심에는 저장공간(11)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나사봉(17)이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손잡이(18)와, 상기 나사봉(17)이 회전할 때 이 나사봉(17)을 따라 전,후진하여 저장공간(11)에 저장된 치약을 밀어내는 가압판(19)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휴대용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고자 할 때, 회전 손잡이(18)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에 의해 가압판(19)이 전진하면서 저장공간(11)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밀어내게 되고, 이에의해 치약이 배출공(15)을 통해 치모(13)의 중간부분으로 공급되므로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칫솔질을 실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공간(11)에 충진되어 있는 치약을 모두 소진하여 새로운 치약을 저장공간(11)에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몸체(14) 상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16)를 통해 치약을 투입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휴대용 칫솔은 앞서 설명한 도 1 의 종래기술과 같이 치약이 배출공(15)을 통해 치모(13)의 중간부분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모(13)의 청결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몸체(14) 상에 투입구(16)를 제외한 다른 공기구멍이 없기 때문에 저장공간(11)에 새로운 치약을 투입할 때 저장공간(11)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저장공간(11) 내부에 치약이 완전히 충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치모가 심어진 머리부를 몸체에 나사로써 착탈가능하게 하고, 몸체 내부로 부터 압출되는 치약이 치모가 심어진 중간부분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이송홀을 머리부 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송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실리콘 재질의 개폐밸브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개폐밸브가 치약을 배출시킬 때에는 그 배출압에 의해 개폐밸브가 이탈되지 않게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치약을 치모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원하는 량의 치약을 유출시킨 후 치약의 배출압이 개폐밸브에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체의 탄력으로 폐쇄되어 치약이 불필요하게 유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 이송홀에 존재하는 치약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내부에 일정양의 치약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 선단에 치모를 갖는 머리부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일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가압판을 전,후진시키는 나사봉이 길게 돌출되어 있는 회전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에는 몸체의 저장공간에서 압출되는 치약을 치모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홀과, 상기 이송홀과 연통하여 치모로 치약을 배출시키는 개구부에 십자형의 절개부를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칫솔에 있어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에는 십자형의 절개부가 형성된 채 상기 머리부의 개구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하단에 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개구부의 상,하 주연부에 견고하게 걸림되는 상,하단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개폐밸브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휴대용 칫솔을 보인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휴대용 칫솔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A-A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개폐밸브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치약 충진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몸체 22: 저장공간
23: 치모 24: 머리부
25: 가압판 26: 나사봉
27: 회전손잡이 28: 안내돌기
30: 결합홀 31: 결합부
32: 이송홀 33: 개구부
34: 개폐밸브 35: 몸체36,37: 상,하단 플랜지 38: 절개부
39: 통공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 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칫솔 몸체(21)의 내부에 일정양의 치약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공간(22)을 형성하고, 이 몸체(21)의 앞쪽 중간부분에 머리부(24)의 결합 및 치약을 저장공간(22)으로 투입하기 위한 결합홀(30)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21)의 일측 끝단에는 회전손잡이(27)를 회전가능하게 형성하였는데, 이 회전손잡이(27)의 중심에는 나사봉(26)을 길게 돌출시켜 이 나사봉(26)이저장공간(22) 내부를 가로질러 존재하도록 하였으며, 나사봉(26)에는 이 나사봉(26)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하여 저장공간(22)에 충진되어 있는 치약을 밀어내기 위한 가압판(25)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몸체(21)의 내부 상면에는 축방향으로 안내돌기(28)를 돌출 형성하고, 가압판(25)에는 상기 안내돌기(28)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29)을 형성하므로서, 나사봉(26)이 회전할 때 상기 가압판(25)은 삽입홈(29)에 삽입된 안내돌기(28)에 의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치모(23)가 심어진 머리부(24)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홀(30)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1)를 돌출 형성하여 이 머리부(24)가 몸체(21)에 나사로써 착탈되도록 하였으며, 머리부(24) 내부에는 몸체 내부로 부터 압출된 치약이 치모(23)가 심어진 중간부분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송홀(32)을 형성하였다.
이송홀(32)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일단이 결합부(31)를 관통하고 그 타단은 치모(23)가 심어진 머리부(24)의 선단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머리부(24)가 몸체(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27)를 회전시켜 치약을 몸체(21) 밖으로 밀어내면, 치약이 이송홀(32)을 통해 이동하여 치모(23)의 중앙부분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홀(32)의 개구부(33)에는 치약이 배출될때 그 배출압에 의해 개폐되는 실리콘 재질의 개폐밸브(34)를 설치하는데, 이 개폐밸브(34)는 개구부(33)에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조립 후 치약 배출압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개구부(33)에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33) 내주면에 밀착상태로 끼이는 원통부(35)와, 그 원통부 상,하단에 개구부(33)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상,하단 플랜지(36)(37)이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개폐밸브(34) 상면에는 치약 배출압이 작용될 때에는 탄력적으로 개방되고 치약 배출압이 작용되지 않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폐쇄되는 절개부(38)가 십자형으로 절개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상기 이송홀(32)의 개구부(33)를 통해 치약이 배출될때 치약의 배출압에 의해 절개부(35)가 도 5 의 점선부분과 같이 벌어지면서 개방되고,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치약이 소진되면 개구부(33)가 자체 탄성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이송홀(32)의 개구부(33)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머리부(24)가 몸체(21)에 착탈될 수 있도록 하면 필요에 따라 머리부(24)만 교체해주면 되므로 몸체(21) 부분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송홀(32)의 개구부(33) 상에 형성된 개폐밸브(34)에 의해 치약의 유출이 차단되므로 치모(23)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30)의 크기는 일정규격으로 설정되어 있는 치약튜브(40)의 나사부(41)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저장공간(22) 내부로 치약을 충진하고자 할 때 머리부(24)를 결합홀(30)로 부터 분리하고, 상기 결합홀(30)에 치약튜브(40)의 나사부(41)를 나사결합시킨 후 저장공간(22) 내부로 치약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손잡이(27)가 형성된 몸체(21)의 일측 끝단부에는 별도의 통공(36)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홀(30)을 통해 치약이 투입될때 저장공간(22) 내부의 공기가 이 통공(36)을 통해 배출되면서 치약이 저장공간(22) 내부에 완전히 충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몸체(21) 내부의 저장공간(22)에 치약이 충진된 상태에서 머리부(24)의 결합부(31)를 결합홀(30)에 나사결합하여 머리부(24)가 몸체(21)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회전손잡이(27)를 회전시켜 가압판(25)을 전진시키면, 가압판(25)이 전진함에 따라 치약이 압출되어 이송홀(32)을 통해 이동하게 되고, 이송홀(32)을 따라 이동한 치약이 개폐밸브(34)에 다다르면 개폐밸브(34)의 상면에 형성된 절개부(38)가 치약의 배출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치약이 치모(23)가 심어져있는 머리부(24)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인데, 이때 개폐밸브(34) 자체는 개구부(33)의 상,하측 주연부에 결착된 상,하단 플랜지(36)(37)에 의하여 치약의 배출압을 이기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서 이송홀(32)로 이송된 치약은 개폐밸브(34)의 상면에 형성된 절개부(38)를 탄력적으로 벌려주면서 치모(23)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게되면, 머리부(24) 상측으로 배출된 치약이 소진되면서 개폐밸브(34)의 절개부(35)가 자연스럽게 닫히면서 더이상 치약은 배출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밸브(34) 밖으로 치약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치모(23)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21) 내부로 치약을 충진하고자 할 때에는, 머리부(24)를 몸체(21)로 부터 이탈시킨 후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홀(30)에 치약튜브(40)의 나사부(4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치약튜브(40)를 눌러 치약을 저장공간(22)에 충진시킨다.
치약이 저장공간(22) 내부로 투입될 때 저장공간(22)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통공(36)을 통해 몸체(21) 외부로 배출되므로 저장공간(22) 내부에 치약을 완전히 충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치모가 심어진 머리부를 몸체에 나사로써 착탈가능하게 하고, 몸체 내부로 부터 압출되는 치약이 치모가 심어진 중간부분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이송홀을 머리부 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이송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실리콘 재질의 개폐밸브를 구성하므로서, 치약이 이송홀을 통해 치모로 유출된 후에는 개폐밸브가 닫히면서 이송홀에 존재하는 치약이 굳는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치모 부분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이다.

Claims (3)

  1. 내부에 일정양의 치약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2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 선단에 치모(23)를 갖는 머리부(24)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1)의 일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가압판(25)을 전,후진시키는 나사봉(26)이 길게 돌출되어 있는 회전손잡이(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24)에는 몸체(21)의 저장공간(22)에서 압출되는 치약을 치모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홀(32)과, 상기 이송홀과 연통하여 치모측으로 치약을 배출시키는 개구부(33)에 십자형의 절개부(38)를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칫솔에 있어서,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에는 십자형의 절개부(38)가 형성된 채 상기 머리부(24)의 개구부(33)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원통부(35)와, 상기 원통부의 상,하단에 개구부(33)의 직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개구부의 상,하 주연부에 견고하게 걸림되는 상,하단 플랜지(36)(37)가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개폐밸브(3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2. 삭제
  3. 삭제
KR2019990007454U 1999-05-04 1999-05-04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200281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454U KR200281492Y1 (ko) 1999-05-04 1999-05-04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454U KR200281492Y1 (ko) 1999-05-04 1999-05-04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58U KR20000020358U (ko) 2000-12-05
KR200281492Y1 true KR200281492Y1 (ko) 2002-07-19

Family

ID=5476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454U KR200281492Y1 (ko) 1999-05-04 1999-05-04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4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39B1 (ko) * 2015-03-09 2016-03-14 이승민 석션 및 세정 기능을 갖는 칫솔
US11000352B2 (en) 2015-03-09 2021-05-11 Bluereo Inc. Toothbrush and oral cleaner with suctioning and cleaning fun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942Y1 (ko) * 2004-09-07 2004-12-14 미관특수건설 주식회사 치약이 내장된 칫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39B1 (ko) * 2015-03-09 2016-03-14 이승민 석션 및 세정 기능을 갖는 칫솔
WO2016143974A1 (ko) * 2015-03-09 2016-09-15 이승민 석션 및 세정 기능을 갖는 칫솔
US10080632B2 (en) 2015-03-09 2018-09-25 Bluereo Inc. Toothbrush with suctioning and cleaning functions
US11000352B2 (en) 2015-03-09 2021-05-11 Bluereo Inc. Toothbrush and oral cleaner with suctioning and cleaning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58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7193A (en) Hair grooming device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WO2012050312A2 (ko) 치약 토출 칫솔
KR20035456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KR102036779B1 (ko) 구강세척이 가능한 샤워헤드
KR200354570Y1 (ko) 칫솔대
KR200222198Y1 (ko)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KR100297942B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200229426Y1 (ko) 칫솔
KR100800988B1 (ko)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KR200258395Y1 (ko)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KR200255523Y1 (ko) 휴대용 치솔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400899Y1 (ko) 칫솔을 결합한 절약형 치약 케이스
KR20022219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KR200234841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295230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200247899Y1 (ko) 액상치약이내장된칫솔
JP2004242985A (ja) 携帯用歯ブラシ
KR200244804Y1 (ko) 치약 내장형 칫솔
KR200225416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172546Y1 (ko) 칫솔
KR200354571Y1 (ko) 치약 저장팩
KR200246953Y1 (ko) 치약 압출식 치솔
KR20000010636U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