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426Y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426Y1
KR200229426Y1 KR2019990003298U KR19990003298U KR200229426Y1 KR 200229426 Y1 KR200229426 Y1 KR 200229426Y1 KR 2019990003298 U KR2019990003298 U KR 2019990003298U KR 19990003298 U KR19990003298 U KR 19990003298U KR 200229426 Y1 KR200229426 Y1 KR 200229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head
handle
toothbrush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721U (ko
Inventor
동 원 최
최장수
Original Assignee
동 원 최
최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원 최, 최장수 filed Critical 동 원 최
Priority to KR2019990003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4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426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칫솔은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을 갖는 손잡이와,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의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헤드와, 헤드의 토출구의 주변에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들과, 손잡이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와, 치약저장용기의 후방을 가압하여 헤드의 토출구를 통하여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배출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헤드의 타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헤드의 개방부를 폐쇄하여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탄성을 갖는 커버가 설치되며, 커버의 변형에 의해 헤드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커버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추형의 핑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고안은 치아(齒牙)를 닦아 주기 위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치약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정량의 치약을 필요에 따라 섬모에 공급하도록 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칫솔은 사람의 치아를 닦아 잇몸질환과 충치질환의 주원인 물질인 음식물 찌꺼기, 플라그 및 유해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주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를 갖는다. 그리고 헤드의 일측면에는 치아를 닦아 주는 부드러운 섬모(纖毛)들이 심어져 있으며, 이 섬모들은 대개의 경우 나일론(nylon)을 소재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질을 할 때에는 보통 치약을 함께 사용하는데, 이러한 치약은 보통 신축변형이 가능한 튜브체 내에 저장되어 필요한 만큼 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불소와 연마제 등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구강내의 유해 박테리아 및 치아의 플라그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칫솔과 치약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칫솔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의 섬모에 소정량의 치약을 짜서 묻힌 후, 손잡이에 적당한 힘을 가해 치아에 섬모들을 접촉 및 마찰시키며 치아의 표면에 낀 플라그 및 음식물 찌꺼기를 닦아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짜서 섬모에 묻힌 다음, 칫솔질을 해야되므로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여행이나 출장시 칫솔과 치약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치약은 치아를 충분히 청소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량 만큼만 사용함이 바람직한 바, 종래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튜브체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짜서 사용하므로 치아 청소에 적당한 정량의 치약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치약 소비의 증가를 가져와 소비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섬모에 치약을 공급하는 기능을 일체로 갖는 칫솔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그 일례로서, 미국특허 제 5,584,593호 및 제 5,039,244호에서는 칫솔의 손잡이에 치약을 저장하면서 노브에 의해 그 용적이 증감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칫솔의 헤드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면서 헤드에 심어져 있는 섬모 사이로 토출구가 노출되는 연통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거나 회전하는 것에 의해 토출구로부터 치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칫솔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미국특허의 칫솔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종래에 비해 매우 큰 장점을 갖고 있으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조립이 매우 까다로워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노출시켰다. 즉, 상기 중공부의 치약을 소정압력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중공부에 스플라인을 설치하고, 이 스플라인에는 상기 스플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치약을 가압하는 피스톤을 설치하며, 헤드와 중공부를 잇는 연통구멍에는 이 연통구멍을 개폐하는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등 그 구성부품이 많고 복잡하여 조립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중대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칫솔의 가장 큰 문제점은 상기 헤드의 토출구로부터 치약이 계속해서 스며나와 치아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치약 및 이물질이 역류하여 중공부에 저장된 치약을 오염시키거나 딱딱하게 경화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치약을 칫솔에 저장하고 있으면서 정량의 치약을 필요에 따라 칫솔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치약용기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줌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치약공급기능을 일체로 갖는 칫솔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칫솔의 섬모에 필요한 만큼의 치약만 알맞게 공급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함과 아울러 칫솔의 헤드로 배출된 치약이 다시 배출구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되어 있는 치약이 오염되거나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의 헤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의 정면도,
도 7과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및 작동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그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칫솔 20,110: 손잡이
22,112: 수용공간 24: 안내로
24a: 멈춤홈 30,120: 헤드
32: 압력실 36: 실링막
36a: 절개부 40,130: 섬모
50,140: 치약저장용기 60,150: 피스톤
62: 노브 64: 작동홈
65: 스토퍼 70: 캡
160: 이송축 162: 노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특징은,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을 갖는 손잡이와,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의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헤드와, 헤드의 토출구의 주변에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들과, 손잡이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와, 치약저장용기의 후방을 가압하여 헤드의 토출구를 통하여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칫솔에 있어서, 헤드의 타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헤드의 개방부를 폐쇄하여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탄성을 갖는 커버가 설치되며, 커버의 변형에 의해 헤드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커버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추형의 핑거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의 헤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칫솔(10)은 크게 수용공간(22)을 갖는 손잡이(20)와, 손잡이(2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30)와, 상기 헤드(30)의일측면에 식모되는 섬모(40)들과,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50)와,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피스톤(60)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칫솔(10)의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간(22)은 통로(20a)에 의해 헤드(30)와 연통되며, 통로(20a)의 일단은 헤드(30)에 심어져 있는 섬모(40) 사이로 그 토출구(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20)의 측면에는 트인 후방으로부터 소정깊이 만큼 트인 안내로(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로(24)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멈춤홈(24a)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로(24)의 일측에는 눈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피스톤(60)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정량의 치약을 헤드(30)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한편, 손잡이(20)의 수용공간(22)에는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50)와, 이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피스톤(60)이 트인 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최종적으로 트인 후방에는 캡(70)이 씌워진다.
치약저장용기(50)는 도 1에서와 같이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고 신축변형이 가능한 벨로우즈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52)는 상기 치약저장용기(50)를 수용공간(22)에 삽입하였을 때, 통로(20a)에 소정깊이로 끼워져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치약저장용기(50)는 일회용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출구(5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치약을 공급받아 영구히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치약저정용기(50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배출시키기 위한 치약배출수단인 피스톤(60)은 치약저장용기(50)의 후방에서 상기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것으로, 그 용적을 감소시켜 치약을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스톤(60)은 일측에 노브(62)를 갖는다. 이 노브(62)는 상기 피스톤(60)을 수용공간(22)에 삽입하였을 때, 안내로(24)를 통하여 외면으로 돌출되면서 이 안내로(24)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6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아울러 노브(62)에는 상기 피스톤(60)을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피스톤 정지수단이 설치된다. 즉, 노브(62)의 일측면에는 작동홈(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동홈(64)에는 스토퍼(65)가 끼워진다. 스토퍼(65)는 소정각도로 굽어져 있으면서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이며, 상기 작동홈(64)에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65)는 피스톤(60)이 수용공간(22)에 삽입되고, 노브(62)가 안내로(24)를 따라 이동할 때, 작동홈(64)에서 출몰하면서 안내로(24)의 멈춤홈(24a)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노브(62)가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었을 때에 안내로(24)의 멈춤홈(24a)에 삽입되어 피스톤(6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피스톤(60)을 이동시키고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노브(62)를 손잡이(20)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65)는 안내로(24)를 따라 작동홈(64)으로부터 출몰을 반복하며 전, 후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60)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한편, 개방된 손잡이(20)의 후방은 캡(70)을 씌워 피스톤(60)의 이탈을 막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손잡이(20)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30)는 수지, 예를 들어 에이비에스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를 소재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다수의 식모공(3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식모공(31)들에는 섬모(40)들이 식모된다. 섬모(40)는 나일론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지 않고, 치아간의 틈새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도록 부드럽고 가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20)의 통로(20a)와 이어지는 압력실(32)이 형성되도록 커버(33)가 설치되며, 이 압력실(32)로부터 외측으로 즉, 섬모(50)들 사이로는 토출구(35)가 형성된다. 이 토출구(35)는 손잡이(20)의 통로(20a)와 헤드(30)의 압력실(32)을 지난 치약의 최종 배출구가 된다. 이러한 토출구(35)는 도 4에서와 같이 치약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헤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헤드(30)의 압력실(32)에는 토출구(35)로 배출된 치약이 역류하여 압력실(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이 설치된다. 이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은 헤드(30)의 압력실(32)의 일측 즉, 토출구(35)가 형성된 측벽을 덮는 실링막(36)을 갖는다. 이 실링막(36)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러버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토출구(35)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36a)는 치약의 배출통로이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끝부분이 토출구(35)를 향하여 항상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말단으로 갈수록 얇게 구성된다. 이는 치약의 배출은 쉽게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역류는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치약은 손잡이(20)의 통로(20a)와 압력실(32)을 지나 실링막(36)을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토출구(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실링막(36)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역류가 방지되어 치약의 오염이나 경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6내지 도 8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 및 그 작동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의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토출구(35)가 원추형 구멍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실링막(36)을 대신하여 커버(38)가 상기 원추형 구멍 형상의 토출구(3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헤드(30)의 일측에는 원추형 구멍 형상의 토출구(35)가 형성되며, 헤드(30)의 타측에는 개방부(34)가 형성된다. 헤드(30)의 타측에는 개방부(34)를 폐쇄하여 압력실(32)을 형성하도록 탄성을 갖는 커버(38)가 설치된다. 토출구(35)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도록 구성되며, 커버(38)의 일측에는 커버(38)의 변형에 의해 헤드(30)의 토출구(35)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다수의 핑거(38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핑거(38a)의 끝부분은 원추형 구멍 형상의 토출구(35)에 밀착되도록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핑거(38a)가 토출구(35)의 끼워져 밀착되었을 때, 그 끝부분이 상기 토출구(3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토출구(35) 주위에 존재하는 치약을 완전히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치약이 손잡이(20)의 통로(20a)를 통과하여 압력실(32)로 유입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치약의 배출압력에 의해 커버(38)는 외부로 부풀면서 변형되어 압력실(32)의 용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커버(38)의 핑거(38a)는 헤드(30)의 토출구(35)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토출구(35)를 개방하게 되며, 토출구(35)와 핑거(38a)의 사이에는 치약이 유입되어 충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38)에 외력을 가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커버(38)는 압축되며, 압력실(32)의 용적은 감소된다. 이때, 핑거(38a)는 상기 토출구(35)와 핑거(38a)사이에 충전되어 있던 치약을 가압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결국, 핑거(38a)는 토출구(35)에 밀착되어 이 토출구(35)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칫솔의 일실시예의 작동 및 효과를 도 2와 도 3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르면, 도 2는 칫솔의 사용전의 상태로서, 칫솔(10)의 손잡이(20)에는 내부에 치약이 충만한 치약저장용기(50)와 피스톤(6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트인 후방에는 캡(70)이 결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칫솔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칫솔의 손잡이(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스톤(60)의 노브(6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노브(62)와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60)은 손잡이(2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게 되며, 치약저장용기(50)는 그 용적이 감소되면서 치약을 통로(20a)로 배출한다. 그리고 통로(20a)를 통과한 치약은 헤드(30)의 압력실(32)로 유입되면서 동시에 토출구(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치약은 치약 역류 방지수단의 실링막(36) 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커버(38)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에서 노브(62)를 놓으면, 노브(62)의 스토퍼(65)는 작동홈(64)에서 탄성변형되면서 안내로(24)의 멈춤홈(24a)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피스톤(6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노브(62)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조절함으로써, 치아 청소에 필요한 정량의 치약을 헤드(30)의 섬모(40)에 알맞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손잡이(2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로(24)의 일측에는 눈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눈금(25)을 기준으로하여 노브(62)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헤드(30)의 섬모(40)에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매번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9내지 도 1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그 작동도이다. 이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의 칫솔(100)은 크게 수용공간(112)을 갖는 손잡이(110)와, 손잡이(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120)와, 상기 헤드(120)의 일측면에 식모되는 섬모(130)들과,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140) 및 치약저장용기(140)를 가압하는 피스톤(150)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손잡이(110)에는 피스톤(150)을 이동시키는 이송축(160) 및 이송축(160)을 회전시키는 노브(162)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칫솔(100)의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간(112)은 통로(110a)에 의해 헤드(120)와 연통되며, 통로(110a)의 일단은 헤드(120)에 심어져 있는 섬모(130)들 사이로 그 토출구(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공간(112)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안내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110)의 일단 즉, 트인 후방의 외면둘레에는 눈금(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노브(162)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톤(150)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정량의 치약을 헤드(120)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한편, 손잡이(110)의 수용공간(112)에는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140)와, 이 치약저장용기(140)를 가압하는 피스톤(150) 및 노브(162)를 일체로 갖는 이송축(160)이 차례로 삽입된다.
치약저장용기(140)는 도 9에서와 같이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고 신축변형이 가능한 벨로우즈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삽입홈(142)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구(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144)는 상기 치약저장용기(140)를 수용공간(112)에 삽입하였을 때, 통로(110a)에 소정깊이로 끼워져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치약저장용기(140)는 일회용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치약을 공급받아 영구히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치약배출수단인 피스톤(150)은 치약저장용기(140)의 후방에서 상기 치약저장용기(140)를 가압하는 것으로, 그 용적을 감소시켜 치약을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스톤(150)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12)의 안내홈(114)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안내돌기(1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돌기(152)는 수용공간(112)에서 피스톤(15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용공간(112)을 따라 자연스러럽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피스톤(150)의 중앙에 안내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구멍(15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구멍(152)에는 후술하는 이송축(160)이 나사결합되며, 이 이송축(160)이 회전에 의해 피스톤(150)은 수용공간(112)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송축(160)은 상기 피스톤(1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스톤(150)의 안내구멍(154)과 나사결합되도록 외면 둘레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노브(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브(162)는 외부에서 상기 이송축(16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역할을 함과 동시에 손잡이(110)의 수용공간(112)을 폐쇄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이송축(160)은 손잡이(110)의 트인 후방으로부터 끼워져 피스톤(150)의 안내구멍(154)과 나사결합하고, 치약저장용기(140)의 삽입홈(142)에 끼워져 수용공간(112)을 따라 뻗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노브(162)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송축(160)도 회전되고, 이송축(160)이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150)이 이동되어 치약저장용기(140)를 소정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한편, 통로(110a)에 의해 이어진 손잡이(110)와 헤드(120)의 결합구조 및 헤드(120)와 토출구(125)와의 결합구조는 앞서 설명한 칫솔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끝으로, 도 10과 도 11을 참고로하여 상술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르면, 도 10은 칫솔의 사용전의 상태로서, 칫솔(100)의 손잡이(110)에는 내부에 치약이 충만한 치약저장용기(140)와피스톤(150)과 이송축(16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트인 후방에는 이송축(160)과 일체로 된 노브(16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칫솔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칫솔(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노브(16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노브(162)와 일체로 형성된 이송축(160)이 회전하게되고, 이 이송축(160)이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150)도 이동되어 치약저장용기(140)를 소정압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치약저장용기(140)는 그 용적이 감소되면서 치약을 통로(110a)로 배출한다. 그리고 통로(110a)를 통과한 치약은 헤드(120)로 유입되면서 소정의 압력으로 동시에 토출구(35)(3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치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약 역류 방지수단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에서 노브(162)를 놓으면, 노브(162)는 회전을 멈추게 되고, 동시에 이송축(160)도 회전을 멈추게 되어 피스톤(150)의 가압작용은 정지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노브(162)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정확히 조절함으로써, 치아 청소에 필요한 정량의 치약을 헤드(120)의 섬모(130)에 알맞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손잡이(110)의 둘레에는 눈금(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눈금(116)을 기준으로하여 노브(162)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헤드(120)의 섬모(130)에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매번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치약용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정량의 치약을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섬모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치아청소를 최대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별도의 치약용기를 구비 및 휴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칫솔의 섬모에 치약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최대한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정량의 치약을 필요에 따라 칫솔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덜어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치약공급기능을 일체로 갖는 칫솔의 구성을 종래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정량의 치약만 알맞게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토출구를 통하여 압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장되어 있는 치약이 오염과 경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을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손잡이의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토출구의 주변에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들과, 상기 손잡이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와, 상기 치약저장용기의 후방을 가압하여 상기 헤드의 토출구를 통하여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타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개방부를 폐쇄하여 압력실을 형성하도록 탄성을 갖는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변형에 의해 상기 헤드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추형의 핑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19990003298U 1999-03-03 1999-03-03 칫솔 KR200229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98U KR200229426Y1 (ko) 1999-03-03 1999-03-03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98U KR200229426Y1 (ko) 1999-03-03 1999-03-03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21U KR20000017721U (ko) 2000-10-05
KR200229426Y1 true KR200229426Y1 (ko) 2001-07-03

Family

ID=54759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298U KR200229426Y1 (ko) 1999-03-03 1999-03-03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4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5890A2 (en) * 2013-03-15 2014-09-18 Water Pik, Inc. Mechanically driven, sonic toothbrush and water flosser
CN108308839A (zh) * 2018-04-16 2018-07-24 广东企盟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21U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310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7699608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7244073B2 (en) Travel toothbrush assembly
US6142694A (en) Toothbrush with reservoir for dentifrice
US20030056307A1 (en) Powered toothbrush with associated oral solution dispenser mechanism
US6009886A (en) Dentifrice and floss dispensing toothbrush
US7806689B2 (en) Disposable dental prophylaxis instrument capable of discharging dentifrice material
US2090144A (en) Tooth brush
EP0193299B1 (en) Brush for applying material in liquid or emulsion form
US6817803B1 (en) Toothbrush structure
KR200229426Y1 (ko) 칫솔
WO2012050312A2 (ko) 치약 토출 칫솔
KR101434099B1 (ko) 치약 토출 칫솔
US11019917B2 (en) Oral/facial care brush with dispenser
KR200172546Y1 (ko) 칫솔
US20200352315A1 (en) Personal Care Brush with Single Dose Dispenser
JPH02152405A (ja) 歯磨剤内蔵歯ブラシ
KR200234841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100267035B1 (ko) 공기압방식 치약압출장치를 갖는 치솔
EP3169188B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KR101437278B1 (ko) 니플 및 이를 이용한 치약 토출 칫솔
KR20220109852A (ko) 휴대용 칫솔
KR200417715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230038921A (ko) 치약 나오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