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198Y1 -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198Y1
KR200222198Y1 KR20000029924U KR20000029924U KR200222198Y1 KR 200222198 Y1 KR200222198 Y1 KR 200222198Y1 KR 20000029924 U KR20000029924 U KR 20000029924U KR 20000029924 U KR20000029924 U KR 20000029924U KR 200222198 Y1 KR200222198 Y1 KR 200222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outlet
supply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29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근
Original Assignee
박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근 filed Critical 박재근
Priority to KR20000029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토출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에 치약이 내장되어 칫솔모로 치약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에 있어서, 바닥면 저면 일측을 통해 관통공(12)이 구비되고 칫솔모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0)과; 상기 수납공간(10)에 설치되고, 치약이 내장된 손잡이부(40)와 연결되어 치약이 공급되는 치약입구(22)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에 대응하는 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치약출구(26)가 구비된 치약공급부(20)와; 상기 치약출구(26) 외주면을 감싸 연결되어 내부에 치약이 공급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내부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개방되고 그 역으로는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니플구조(32)로 형성된 단부를 구비한 치약토출구(30)로 구성되어; 칫솔 미사용시 치약의 누출과 공기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치약 토출구는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수분의 역류 및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the toothbrush having auto supplying of tooth powder}
본 고안은 자동치약공급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약토출구의 구조를 변경하여 치약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이지며 미 사용시 치약의 흘러내림 및 노출 공기에 의한 굳어짐 등이 방지되도록 하여 사용후 치약 공급부에 잔류치약을 없앰으로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위생을 위하여 양치질은 칫솔모에 치약을 묻허셔 사용하게 된다. 대개는 칫솔과 치약은 따로따로 제조되어 사용시 치약을 칫솔모에 묻혀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치약과 칫솔을 따로 따로 보관하게 됨에 따라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한다. 일예를 들어 여행 등을 다닐 경우 치약의 분실 등으로 양치질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약이 내장된 칫솔이 현재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치약이 내장된 칫솔은 별도의 치약을 소유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한 사용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약 내장형 칫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치약 내장형 칫솔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이 칫솔(1)의 손잡이부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그 내부를 통하여 치약공급로(2)가 형성되며 치약공급로(2)의 단부와 연결된 치약토출구(3)가 칫솔모(4)의 저면을 통하여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하에서 사용자가 칫솔(1)의 손잡이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내장된 치약은 공급로(2)를 따라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치약은 토출구(3)를 통해 칫솔모(4)로 유출되어 칫솔질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칫솔 구조중 치약토출구(3)의 구조를 도시한 도2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치약토출구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2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4)의 저면에 단순히 치약토출구(3)의 출구가 형성된 경우와, 도 2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4)의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토출구(3')를 형성하여 상기 토출구(3,3')를 통하여 치약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치약토출구(3)의 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칫솔질 도중에 칫솔모(4)에 존재하는 물기 또는 이물질이 함유되어 양치된 치약이 상기 치약토출구(3)의 단부를 통해 역류하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분 등은 치약공급로(2)를 따라 치약 내장부로 전달되어 전체 치약을 못쓰게 하거나 비 위생적으로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칫솔질 후, 대개의 사용자는 칫솔모(4)에 잔존하는 수분 등을 없애기 위하여 칫솔을 흔들어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격에 의하여 토출구(3)측에 존재하는 치약 또한 외부로 유출되어 칫솔모(4)측으로 전달되어 치약의 손실이 발생할 뿐 아니라 토출된 치약은 일정한 점성을 가지므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오히려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칫솔질 후, 다음 사용을 위하여 보관중에 대기중에 존재하는 공기가 토출구(3)의 단부에 존재하는 치약과 반응하여 굳게 되고, 이에 따라 토출구(3)의 단부가 막히게 된다. 따라서 다음 사용시 토출구(3)의 단부가 막힘에 의하여 치약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뿐 아니라 굳어진 치약이 칫솔모(4)에 공급되어 칫솔질을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약 토출구의 구조를 변경하여 칫솔 사용중에 수분 및 이물질이 함유된 치약이 칫솔모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치약토출구의 단부를 개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 사용시 치약 토출구에 존재하는 치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토출구 단부의 막힘 현상 및 외부 흘러내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치약 토출구가 칫솔모의 연동에 따라 함께 연동되도록 하며 부드러운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의 치약 자동공급 칫솔의 일부 단면도.
도 2 - 종래의 치약 자동공급 칫솔의 치약토출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의한 치약 자동공급 칫솔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의한 치약 자동공급 칫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공간 12 : 관통공
20 : 치약공급부 22 : 입구
24 : 홈 26 : 출구
30 : 치약토출구 32 : 니플
40 : 손잡이부
상기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부에 치약이 내장되어 칫솔모로 치약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에 있어서, 바닥면 저면 일측을 통해 관통공이 구비되고 칫솔모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치약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치약이 공급되는 치약입구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치약출구가 구비된 치약공급부와; 상기 치약출구 외주면을 감싸 연결되어 내부에 치약이 공급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내부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개방되고 그 역으로는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니플구조로 형성된 단부를 구비한 치약토출구로 구성되어;칫솔 미사용시 치약의 누출과 공기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치약 토출구는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칫솔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치약토출구가 구비된 칫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납공간(10), 치약공급부(20) 그리고 치약토출구(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부분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칫솔모판(4) 하부에는 일정한 수납공간(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20)의 일측을 통해 칫솔모판(4) 저면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2)은 후술하는 치약토출구(30)가 관통되어 칫솔모(4a)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칫솔모(4a)에 치약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수납공간(10)에는 치약공급부(20)가 위치된다. 상기 치약공급부(20)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전달되는 치약이 일시 저장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약공급부(20)의 후면은 개방된 입구(22)가 형성되고, 손잡이부(40)와 연결되어 손잡이부(40)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치약이 치약공급부(20)로 전달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치약공급부(20)의 전방 상면 일측을 통해 홈(24)이 형성되고, 상기 홈(24) 사이를 통해 상부로 돌출된 출구(26)가 형성된다. 상기 출구(26)는 원형 형태의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 내부를 통해 치약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 상기 관(26)외주면을 감싸면서 홈(24) 사이로 삽입되는 치약토출구(30)가 형성된다. 상기 치약토출구(3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람직하기로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치약토출구(30)의 단부는 칫솔모(4a)의 약 2/3 정도 위치에 오도록 한다. 이는 치약의 칫솔모(4a)측으로 원활한 공급과 부드러운 사용을 위해서이다. 즉, 치약토출구(30)가 칫솔모(4a)와 동일한 높이까지 형성될 경우 치약토출구(30)의 단부가 닳게 되고, 또한 경질일 경우 칫솔모(4a)의 유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칫솔질을 할 수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치약토출구(30)의 단부는 니플(32)구조로 이루어져 가해지는 힘의 존재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칫솔질을 위해 치약공급이 필요한 경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치약토출구(30)의 단부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치약은 칫솔모(4a)측으로 전달이 이루어진다. 치약공급이 이루어진 후,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니플(32) 자체의 탄성에 의해 치약토출구(30)의 단부가 폐쇄되므로 치약의 전달이 방지됨은 물론 칫솔모(4a)에 잔존하는 수분 등이 치약토출구(3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치약자동공급 칫솔이 사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칫솔의 손잡이부(40) 내부에는 일정한 양의 치약이 저장되어 있다. 칫솔질을 위해서 손잡이부(40)에 일정한 조작을 가할 경우 내부에 존재하는 치약은 손잡이부(40)에서 전방 칫솔모(4a)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치약은 치약공급부(20)의 입구(22)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치약은 출구(26)를 통해 치약토출구(30)측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치약토출구(30) 단부의 니플(32)은 자체 탄성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나,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방향으로 치약이 밀려옴에 따라 상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단부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치약이 치약토출구(30) 외부로 빠져 나와 칫솔모(4a)측으로 전달이 이루어진다. 적정량의 치약이 토출된 이후, 가해지는 힘을 제거함에 따라 치약토출구(30)의 단부는 자체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어 더 이상 치약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칫솔질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치약토출구(30)는 연질의 실리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칫솔모(4a)의 유동과 같이 유동되므로 부드러운 칫솔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와 달리 칫솔질 수행중에도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치약토출구(30) 측으로 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칫솔질이 모두 이루어진 후, 칫솔의 세척시에도 역시 치약토출구(30) 단부가 막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분의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물기제거를 위하여 흔들 경우에 종래와 달리 치약토출구(30) 단부가 막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치약토출구(30)측에서 치약의 외부유출이 방지될 수 있어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보관중에도 역시 치약토출구(30)의 단부가 막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공기가 치약토출구(30) 내부와 치약공급부(20)에 존재하는 치약과의 접촉이 방지되어 굳어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치약토출구의 단부가 니플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칫솔모에 치약공급시를 제외하고는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분침투 및 공기와의 노출 방지 그리고 치약의 외부누출 등이 방지되어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치약토출구가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부드러운 칫솔질이 가능해지는 다른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손잡이부에 치약이 내장되어 칫솔모로 치약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에 있어서,
    바닥면 저면 일측을 통해 관통공이 구비되고 칫솔모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치약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치약이 공급되는 치약입구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치약출구가 구비된 치약공급부와;
    상기 치약출구 외주면을 감싸 연결되어 내부에 치약이 공급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내부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개방되고 그 역으로는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니플구조로 형성된 단부를 구비한 치약토출구로 구성되어;
    칫솔 미사용시 치약의 누출과 공기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토출구는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동공급 칫솔.
KR20000029924U 2000-10-26 2000-10-26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KR200222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9924U KR200222198Y1 (ko) 2000-10-26 2000-10-26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9924U KR200222198Y1 (ko) 2000-10-26 2000-10-26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198Y1 true KR200222198Y1 (ko) 2001-05-02

Family

ID=4115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29924U KR200222198Y1 (ko) 2000-10-26 2000-10-26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1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398A1 (en) * 2007-11-07 2009-05-14 Gary Berg Brush with an internal compartment
KR20190116775A (ko) * 2018-04-05 2019-10-15 이선호 의료용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398A1 (en) * 2007-11-07 2009-05-14 Gary Berg Brush with an internal compartment
KR20190116775A (ko) * 2018-04-05 2019-10-15 이선호 의료용 칫솔
KR102065624B1 (ko) 2018-04-05 2020-01-13 이선호 의료용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205B1 (ko) 칫솔
ES2496985T3 (es) Sistema de higiene buco-dental
RU2526291C2 (ru) Систем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5023675B2 (ja) 口腔洗浄器
US6932603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11140972B2 (en) Oral care implement
JP6361991B2 (ja) 携帯用歯間ブラシ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RU2623911C2 (ru)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730218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KR200222198Y1 (ko) 자동치약공급 칫솔의 치약 토출구 구조
KR101268236B1 (ko) 플로스 저장 용량을 갖는 구강 위생장치
KR101645283B1 (ko) 휴대용 치간 칫솔
KR101998611B1 (ko)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KR200354570Y1 (ko) 칫솔대
KR20022219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20210154391A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KR200295230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101688366B1 (ko) 휴대용 치간 칫솔
WO2001013816A1 (en) Dental floss dispenser
KR200331100Y1 (ko) 양치질액이 수용된 칫솔
KR20000008547U (ko) 액상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170077675A (ko) 치약튜브 홀딩기능을 갖는 칫솔
KR200255523Y1 (ko) 휴대용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