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611B1 -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 Google Patents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611B1
KR101998611B1 KR1020180003844A KR20180003844A KR101998611B1 KR 101998611 B1 KR101998611 B1 KR 101998611B1 KR 1020180003844 A KR1020180003844 A KR 1020180003844A KR 20180003844 A KR20180003844 A KR 20180003844A KR 101998611 B1 KR101998611 B1 KR 10199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hose
toothbrush
main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진학
Original Assignee
염진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진학 filed Critical 염진학
Priority to KR102018000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34Means comprising a rachet mechanism or equivalent for advancing the piston step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약이 내장되어 있는,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은, 치약(500)이 주입되는 치약주입통(110)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칫솔 헤드(400)와 체결되는 체결부(200); 및 상기 치약주입통에 주입된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치약주입통에 삽입되는 흡입호스(310);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버튼(320); 상기 체결부(20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호스(330); 및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호스(310), 상기 버튼(320) 및 상기 배출호스(330)를 연결시키고, 상기 버튼(320)이 눌려지면 상기 흡입호스(310)로부터 흡입된 치약을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배출시키는 연결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은 상기 칫솔 헤드(400)에 삽입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으로부터 전송된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 배출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TOOTHBRUSH HAVING INTERDENTAL BRUSH WITH TOOTHPASTE}
본 발명은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칫솔과 치약을 따로 가지고 다니며, 칫솔의 브러쉬들에 치약을 발라 양치질을 한다.
가정 내의 화장실 등에는 칫솔과 치약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칫솔과 치약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도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여행 등을 위해 칫솔과 치약을 챙겨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칫솔과 치약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경험해야 한다.
또한, 치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는 양치질 후, 치간칫솔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남있는 치석과 세균막을 제거하고 있다.
이 경우 역시, 가정 내에서는, 칫솔과 치간칫솔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으나, 여행 등을 위해, 칫솔과 치간칫솔을 챙겨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어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은, 치약(500)이 주입되는 치약주입통(110)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칫솔 헤드(400)와 체결되는 체결부(200); 및 상기 치약주입통에 주입된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치약주입통에 삽입되는 흡입호스(310);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버튼(320); 상기 체결부(20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호스(330); 및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호스(310), 상기 버튼(320) 및 상기 배출호스(330)를 연결시키고, 상기 버튼(320)이 눌려지면 상기 흡입호스(310)로부터 흡입된 치약을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배출시키는 연결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은 상기 칫솔 헤드(400)에 삽입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으로부터 전송된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 배출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약이 칫솔 내부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편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간칫솔이 칫솔 내부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양치질 후 바로 치간칫솔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치아가 더욱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막혀있거나 청소가 필요한 배출호스 내부를 클린부에 의해 물 또는 공기를 통하여 뚫거나 막히지 않도록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500)이 주입되는 치약주입통(110)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칫솔 헤드(400)와 체결되는 체결부(200) 및 상기 치약주입통에 주입된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손에 잡혀질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치약(500)이 주입되는 치약주입통(11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치약주입통 커버(11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치약주입통 커버(111)를 개방한 후, 치약을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치약주입통 커버(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본체(10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치간칫솔(600)이 삽입되는 치간칫솔 삽입통(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치간칫솔(600)은 치아 사이에 남아 있는 치석과 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치간칫솔(600)의 일측에는 갈고리 형태의 바늘(6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브러쉬(61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치간칫솔(6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치간칫솔 삽입통 커버(12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치간칫솔 삽입통 커버(121)를 개방한 후, 치간칫솔을 상기 치간칫솔 삽입통(12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치간칫솔 삽입통 커버(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본체(10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칫솔 헤드(400)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본체(10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본체(10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호스(330)가 관통하는 배출호스 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200)의 외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 헤드(400)에 구비된 돌출부(411)가 삽입되는 오목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200)의 외부에는 상기 칫솔 헤드(400)에 구비된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돌출부(411)와 상기 오목부(220)는 상기 칫솔 헤드(400)를 상기 체결부(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200)와 상기 칫솔 헤드(400)는 상기 체결부(200)와 상기 칫솔 헤드(400)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들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칫솔 헤드(400)는, 상기 체결부(200)와 체결되는 칫솔 헤드 체결부(410),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420) 및 상기 연장부(420)와 연결되며, 복수의 브러쉬(440)들이 박혀있는 헤드부(43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는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410)를 통해 상기 체결부(200)와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410)는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장부(420)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430)와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42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헤드부(430)에는 복수의 브러쉬(440)들이 박혀있다.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 상기 연장부(420) 및 상기 헤드부(43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호스(330)가 삽입되는 배출호스 삽입홀(45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헤드부(430)에는 상기 배출호스 삽입홀(450)을 외부와 관통시키는 헤드부홀(4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홀(460)은 상기 헤드부(430)에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에 내장되어 있는 치약(500)을 상기 칫솔 헤드(400)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에 삽입되는 흡입호스(310),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버튼(320), 상기 체결부(20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호스(330) 및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호스(310), 상기 버튼(320) 및 상기 배출호스(330)를 연결시키고, 상기 버튼(320)이 눌려지면 상기 흡입호스(310)로부터 흡입된 치약을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배출시키는 연결부(34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흡입호스(310)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에 삽입되며, 상기 치약주입통(110)의 바닥면과 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배출호스(330)는 치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체결부(2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은 상기 칫솔 헤드(400)에 삽입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으로부터 전송된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 배출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약배출홀(331)은 상기 헤드부홀(46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 구비된다.
상기 치약배출홀(331)은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버튼(320)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치약이 상기 흡입호스(310)와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부(34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호스(310), 상기 버튼(320) 및 상기 배출호스(330)를 연결시키며, 상기 버튼(320)이 눌려지면 상기 흡입호스(310)로부터 흡입된 치약을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부(300)는, 현재, 샴프 용기 또는 화장품 용기 등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들의 내부에 있는 액체들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배출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340) 내부로 유입된 공기(A)는, 상기 연결부(34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버튼(320)이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연결부(340)에 구비된 공기주입부(341)를 통해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340) 중 상기 치약주입통(110)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공기주입부(3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부(3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연결부(340)에는 공기유입관이 구비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버튼(320)이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340)에 있던 공기(A)가 상기 공기주입부(341)를 통해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치약(500)을 누르게 되며, 상기 치약주입통(110)에 내장된 치약은 상기 공기(A)의 압력에 의해 상기 흡입호스(310)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호스(310)로 흡입된 치약(B)은 상기 연결부(340) 및 상기 배출호스(330)로 전달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 구비된 상기 치약배출홀(3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호스(330)가 상기 칫솔 헤드부(400)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치약배출홀(331)이 상기 헤드부홀(360)이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치약배출홀(331)을 통해 배출된 치약은, 상기 헤드부홀(360)을 통해 상기 브러쉬(440)들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브러쉬(440)들로 배출된 치약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500)이 주입되는 치약주입통(110)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칫솔 헤드(400)와 체결되는 체결부(200) 및 상기 치약주입통에 주입된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 상기 체결부(200) 및 상기 배출부(300)의 구성 및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에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112)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에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치약주입통(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112)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약주입통(110) 하단에는 공기 통과홀(114)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막(113)이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Z)는 상기 공기 통과홀(114)을 통해, 상기 차단막(113)과 상기 이송부(112) 사이의 내부 공간(115)으로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320)이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공기(A)가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에 담겨져 있던 치약이, 상기 흡입호스(310) 및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치약이 외부로 배출되었기 때문에, 상기 치약주입통(110) 내부의 압력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12)는, 외부로 배출된 치약이 차지하던 공간을 메우기 위해 상기 배출부(300) 방향으로 이동한다.
특히, 상기 차단막(113)에 형성된 상기 공기 통과홀(114)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115)으로 주입되어, 상기 이송부(112)를 눌러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송부(112)는 상기 치약이 배출된 만큼 상기 배출부(300) 방향, 즉, 상기 차단막(113)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4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유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440)들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치약 배출홀(3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서, 상기 배출호스의 내부 방향으로 움푹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치약 배출홀(331)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호스(331)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배출호스 삽입홀(4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 상기 연장부(420) 및 상기 헤드부(4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출호스 삽입홀(4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칫솔 헤드(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형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500)이 주입되는 치약주입통(110)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칫솔 헤드(400)와 체결되는 체결부(200) 및 상기 치약주입통에 주입된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 상기 체결부(200) 및 상기 배출부(300)의 구성 및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에는, 상기 배출호스(330)로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클린부(70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호스(330)는 얇은 관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상기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이 사용되지 않으면, 상기 배출호스(330)에 남아있던 치약이 굳어져 상기 배출호스(330)가 막힐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배출호스(330)로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배출호스(330)의 막힌 부분을 뚫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린부(7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740) 또는 물(750)이 내장되는 내장부(710), 상기 내장부에 내장되는 공기 또는 물을 상기 연결부(340) 내부로 이송시키키는 연결호스(720) 및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부(340) 내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40) 내부에서, 상기 연결호스(720) 또는 상기 흡입호스(310)를 상기 배출호스(330)와 연결시키는 스위칭 버튼(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공기(740)를 상기 배출호스(330)로 주입하는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을 나타내며, 도 4는 물(750)을 상기 배출호스(330)로 주입하는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치약이 배출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상기 스위칭 버튼(730)은 상기 연결호스(720)를 차단하고 상기 흡입호스(310)를 상기 배출호스(330)와 연결시키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 경우,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치약을 상기 칫솔 헤드부(400)의 브러쉬(440)들로 배출시켜, 양치질을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호스(330)가 막혀있거나, 또는 상기 배출호스(330)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위칭 버튼(730)을 조절하여, 도 3 및 도 4의 확대된 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호스(310)를 차단하고, 상기 연결호스(720)를 상기 배출호스(33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장부(710)에 담겨져 있던 공기(또는 물)(D)은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막혀있던 상기 배출호스(330)는 상기 공기(또는 물)(D)에 의해 정상적으로 뚫릴 수 있다.
상기 내장부(710)에서 공기(740) 또는 물(750)이 상기 연결호스(720)를 통해 상기 배출호스(330)로 배출되는 원리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에 담겨져 있던 치약(500)이 상기 흡입호스(310)와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원리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320)이 눌려지면, 상기 내장부(720)로 주입된 공기(C)의 압력에 의해, 상기 내장부(720)에 담겨져 있던 공기(740) 또는 물(750)은 상기 연결호스(720)와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칭 버튼(730)은 상기 연결호스(720) 또는 상기 흡입호스(310)를 상기 배출호스(330)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공기(740), 물(750) 또는 치약(500)을 배출시키는 압력은 상기 버튼(42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클린부(7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200: 체결부
300: 배출부 400: 칫솔 헤드부
500: 치약 600: 치간칫솔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치약(500)이 주입되는 치약주입통(110)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칫솔 헤드(400)와 체결되는 체결부(200); 및
    상기 치약주입통에 주입된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치약주입통에 삽입되는 흡입호스(310);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버튼(320);
    상기 체결부(20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호스(330); 및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호스(310), 상기 버튼(320) 및 상기 배출호스(330)를 연결시키고, 상기 버튼(320)이 눌려지면 상기 흡입호스(310)로부터 흡입된 치약을 상기 배출호스(330)를 통해 배출시키는 연결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은 상기 칫솔 헤드(400)에 삽입되며, 상기 배출호스(330)의 끝단에는 상기 치약주입통(110)으로부터 전송된 치약을 배출시키는 치약 배출홀(331)이 형성되고,
    상기 칫솔 헤드(400)는,
    상기 체결부(200)와 체결되는 칫솔 헤드 체결부(410);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420); 및
    상기 연장부(420)와 연결되며, 복수의 브러쉬(440)들이 박혀있는 헤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 상기 연장부(420) 및 상기 헤드부(43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호스(330)가 삽입되는 배출호스 삽입홀(450)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430)에는 상기 배출호스 삽입홀(450)을 외부와 관통시키는 헤드부홀(46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호스(330)가 관통하는 배출호스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00)의 외부에는 상기 칫솔 헤드 체결부(410)에 구비된 돌출부(411)가 삽입되는 오목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호스(330)로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클린부(700)가 구비되되,
    상기 클린부(7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740) 또는 물(750)이 내장되는 내장부(710);
    상기 내장부에 내장되는 공기 또는 물을 상기 연결부(340) 내부로 이송시키키는 연결호스(720); 및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부(340) 내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40) 내부에서, 상기 연결호스(720) 또는 상기 흡입호스(310)를 상기 배출호스(330)와 연결시키는 스위칭 버튼(730)을 포함하는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5. 삭제
KR1020180003844A 2018-01-11 2018-01-11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KR10199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44A KR101998611B1 (ko) 2018-01-11 2018-01-11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44A KR101998611B1 (ko) 2018-01-11 2018-01-11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611B1 true KR101998611B1 (ko) 2019-07-10

Family

ID=6725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844A KR101998611B1 (ko) 2018-01-11 2018-01-11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631B1 (ko) * 2019-11-28 2021-05-10 염진학 치아 관리용 스마트 칫솔
KR20240015356A (ko) 2022-07-27 2024-02-05 안희매 기능성 올인원 칫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024U (ko) * 1995-07-13 1997-02-19 윤문대 치약 내장형 칫솔
US6027273A (en) * 1998-10-22 2000-02-22 Li; Yu Cheng Toothbrush with pressurized toothpaste dispenser
KR20090015429A (ko) * 2007-08-08 2009-02-12 김종윤 다용도 칫솔
KR200456258Y1 (ko) * 2009-03-27 2011-10-20 조윤선 치약이 구비된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024U (ko) * 1995-07-13 1997-02-19 윤문대 치약 내장형 칫솔
US6027273A (en) * 1998-10-22 2000-02-22 Li; Yu Cheng Toothbrush with pressurized toothpaste dispenser
KR20090015429A (ko) * 2007-08-08 2009-02-12 김종윤 다용도 칫솔
KR200456258Y1 (ko) * 2009-03-27 2011-10-20 조윤선 치약이 구비된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631B1 (ko) * 2019-11-28 2021-05-10 염진학 치아 관리용 스마트 칫솔
KR20240015356A (ko) 2022-07-27 2024-02-05 안희매 기능성 올인원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195A (en) Oral hygiene system
RU2525808C2 (ru) Систем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9561092B2 (en) Attachment for an oral hygiene device
RU2666095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6361991B2 (ja) 携帯用歯間ブラシ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US9610147B2 (en) Brush head
KR101998611B1 (ko) 치간칫솔 및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
TW201626921A (zh) 具有多組件握柄之口腔保健用具(二)
US20150074926A1 (en) Portable toothbrush
WO2022170813A1 (zh) 一种带冲洗功能的清洁器
US9814301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20130266361A1 (en) Disposable Toothbrush Having an Internal Toothpaste Cartridge
KR20070096476A (ko) 치아 세척기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WO2007146974A2 (en) Dentifrice-dispensing toothbrush
KR101358421B1 (ko) 휴대용 구강 클리너
KR101995573B1 (ko) 구강 세정기
KR200331100Y1 (ko) 양치질액이 수용된 칫솔
KR200295230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200494424Y1 (ko) 구강 관리용 용기
KR200472528Y1 (ko) 휴대용 칫솔
KR102594383B1 (ko) 세정제 일체형 치간 칫솔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230038921A (ko) 치약 나오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