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395Y1 -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395Y1
KR200258395Y1 KR2019990012255U KR19990012255U KR200258395Y1 KR 200258395 Y1 KR200258395 Y1 KR 200258395Y1 KR 2019990012255 U KR2019990012255 U KR 2019990012255U KR 19990012255 U KR19990012255 U KR 19990012255U KR 200258395 Y1 KR200258395 Y1 KR 200258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discharged
discharge pat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188U (ko
Inventor
한오식
Original Assignee
한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오식 filed Critical 한오식
Priority to KR2019990012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3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395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칫솔모(11) 사이로 치약이 배출되도록 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칫솔머리(10)를 구비하여 된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머리(10)가 지지되며, 유입구(21)와 연결된 내부의 토출경로(22)를 통해 상기 토출구(12)로 치약이 공급되는 기다란 칫솔대(20); 상기 칫솔대(20)에 지지되는 기다란 손잡이프레임(31)과, 상기 칫솔대(2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프레임(31)을 감싸고 상기 치약이 내부에 수용 또는 충전되도록 신축성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 치약이 상기 칫솔대(20)의 토출경로(22)를 통해 상기 칫솔머리(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질튜브(32)를 포함하여 된 파지체(30); 상기 연질튜브(32)의 일측에 상기 손잡이프레임(3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치약을 연질튜브(32) 내로 투입시키기 위한 치약투입부(33); 및 상기 치약투입부(33)에 결합되는 마개(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치약을 칫솔몸체에 내장가능하게 하고,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로 치약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가정용 뿐만 아니라 여행용으로도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상 편리하게 사용되는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Toothbrush for toothpaste-extrusion}
본 고안은 별도로 치약을 준비하지 않고도 칫솔몸체에 내장된 치약이 칫솔모 부분으로 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치약의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된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이나 장기간의 출장시에는 세면도구의 휴대가 필수로서, 상기 세면도구 중에는 수건이나 속옷 등과 더불어 튜브부재 속에 담겨지는 치약과, 상기 치약을 통해 치아를 세척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는 칫솔을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치약과 칫솔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지만, 이는 분리형으로 사용되며, 상기 치약은 그 부피에 따라 여러가지 크기의 튜브부재 속에 담겨지는 것이고, 이와 더불어 칫솔도 휴대의 간편화를 위해 그 크기가 소형화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치약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여행중에는 이들 모두를 휴대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칫솔을 조립식으로 하고 치약을 소형화하여 휴대하게 된 소형 휴대세트가 활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두개의 물품을 휴대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휴대에 불편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칫솔에 치약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행이나 장기간의 출장시 치약과 칫솔의 휴대 간편화와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다양하게 도모할수 있도록 하는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을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칫솔머리 11... 칫솔모
12... 토출구 20... 칫솔대
21... 유입구 22... 토출경로
23... 회동밸브 23a... 콕
23b... 개폐구 30... 파지체
31... 손잡이프레임 32... 연질튜브
33... 치약투입부 33a... 치약투입구
34... 마개 41... 제1결합부
42... 결착돌기 43,53... 치약튜브
43a,53a... 유출부 43b... 걸림턱
44... 제1지지부 51... 제2결합부
52... 암나사부 53b... 수나사부
54... 제2지지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은 칫솔모 사이로 치약이 배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칫솔머리를 구비하여 된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머리가 지지되며, 유입구와 연결된 내부의 토출경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치약이 공급되는 기다란 칫솔대; 상기 칫솔대에 지지되는 기다란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칫솔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프레임을 감싸고 상기 치약이 내부에 수용 또는 충전되도록 신축성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 치약이 상기 칫솔대의 토출경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질튜브를 포함하여 된 파지체; 상기 연질튜브의 일측에 상기 손잡이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치약을 연질튜브 내로 투입시키기 위한 치약투입부; 및 상기 치약투입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출경로 상에 설치되어 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토출경로를개폐하는 회동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벨브의 몸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칫솔대의 일측에 치약이 내장된 치약튜브가 상기 칫솔대에 직접 지지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치약을 칫솔몸체에 내장가능하게 하고,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로 치약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가정용 뿐만 아니라 여행용으로도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상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은 칫솔모(11)가 식부되어 있는 칫솔머리(10)와, 상기 칫솔머리(10)를 지지하는 기다란 칫솔대(20)와, 상기 칫솔대(2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체(30)를 구비한다.
상기 칫솔머리(10)는 다수의 칫솔모(11)가 바닥에 심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에는 치약이 배출되는 소정 지름의 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칫솔대(20)는 그 몸체에 상기 칫솔머리(10)가 지지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소정 직경으로 관통된 통로인 치약 토출경로(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의 일측단부에는 치약이 이 구멍을 통해 상기 토출경로(22)로 유입되는 유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경로(22)는 칫솔머리(10)의토출구(12)와 상기 유입구(21)가 상호 연통되는 통로를 가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토출경로(22) 상에는 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토출경로(22)를 개폐시키는 회동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치약을 칫솔머리(10)로 공급할 때에는 상기 회동밸브(23)를 회동시켜 그 몸체에 형성된 개폐구(23b)를 칫솔대(20)의 길이방향과 일치시키면 상기 개폐구(23b)는 상기 토출경로(22)와 일직선이 되어 통로를 열어주게 된다. 반대로, 양치질을 시작할 때에는 상기 회동밸브(23)를 회동시켜 개폐구(23b)를 칫솔대(2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토출경로(22)는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밸브(23)의 몸체는 상기 칫솔대(20)의 몸체에 삽입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몸체를 돌려주는 콕부분(23a)이 양측에 산모양으로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콕부분(23a)은 그 회전에 따라 개폐구(23b)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파지체(30)를 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파지체(30)는 칫솔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되는 기다란 손잡이프레임(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프레임(31)은 사용자의 파지력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체(30)는 칫솔대(20)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프레임(31) 전체를 감싸는 연질튜브(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질튜브(32)는 치약이 내부에 수용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신축성 있는 유연한 고무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 그 가압력에 의해 치약이 상기 칫솔대(20)의 유입구(21)를 통해 토출경로(22)를 지나 상기 칫솔머리(10)로 압출된다. 또한, 상기 연질튜브(32)의 타단은 상기 손잡이프레임(31)과 일체로 형성된 치약투입부(33)에 결합되는데, 상기 치약투입부(33)는 치약을 외부에서 연질튜브(32) 내로 투입시키기 위한 치약투입구(3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치약투입부(33)에는 상기 치약투입구(33a)를 막기 위한 마개(34)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은 우선, 칫솔대(20)의 몸체에 노출되어 있는 회동밸브(23)의 콕부분(23a)을 칫솔대(20)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도록 (a)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에, 회동밸브(23)의 개폐구(23b)는 토출경로(22)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어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파지체(30)의 연질튜브(32)는 사용자의 파지력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에, 상기 연질튜브(32)의 내부에는 치약튜브(미도시)로부터 치약투입구(33a)를 통해 투입된 치약이 소정량 수용되어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가 손잡이프레임(31)과 함께 연질튜브(32)를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연질튜브(32) 내부의 치약하중 및 사용자의 파지력은 손잡이프레임(31)에 의해 지지된다. 가압된 연질튜브(32)는 그 내부의 치약을 칫솔대(20)의 유입구(21)로 유입시킨다. 이렇게 유입된 치약은 가압력에 의해 회동밸브(23)의 개폐구(23b)를 통해 칫솔대(20) 내부의 토출경로(22)를 지나게 된다. 개폐구(23b)를 지난 상기 치약은 칫솔모(11)가 식부되어 있는 바닥의 토출구(12)로 소정량 압출되어 칫솔모(11)의 사이에 스며들게 된다. 한편, 원하는 만큼의 치약이 배출완료되면, 회동밸브(23)의 콕부분(23a)을 (b)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개폐구(23b)는 토출경로(22)와 수직되게 위치되어 토출경로(22)를 폐쇄시키게 된다. 즉, 치약의 진입을 저지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파지체(30)를 파지한 채 양치질을 하게 되고, 파지체(30)를 쥔 사용자의 손가락은콕부분(23a)에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일정기간이 지난 후, 연질튜브(32) 내의 치약은 감소되고, 연질튜브(32)는 진공압착되어 납작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치약의 재충전이 요구되어지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마개(34)를 열고, 치약투입구(33a)에 치약튜브의 유출부를 끼워 연질튜브(32) 내로 치약을 투입하여 재충전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을 여행이나 장기간의 출장시에 치약을 연질튜브(32) 내로 충전한 채 휴대하게 되면, 치약과 칫솔을 따로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과, 비위생적일 수 있는 일회용 칫솔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되어 위생적인 면에서도 잇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20)에 지지되며, 치약튜브(43)가 직접 체결되는 제1결합부(41)가 칫솔대(20)의 유입구(21)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41)는 치약튜브(43)의 유출부(43a)가 칫솔대(20)의 유입구(21)와 접촉되어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치약튜브(43) 유출부(43a)의 걸림턱(43b)에 결합지지되는 원터치(one-touch)식 결착홈(42)와, 상기 치약튜브(43)의 일부분이 끼워져 지지되는 제1지지부(4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44)는 치약튜브(43)의 결합측 일부분이 끼워져 치약튜브(43)가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칫솔대(20)와 치약튜브(43)의 결합을 지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튜브(53)가 직접 체결되는 제2결합부(51)가칫솔대(20)의 유입구(21)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부(51)는 수나사부(53b)가 형성된 치약튜브(53)의 유출부(53a)가 칫솔대(20)의 유입구(21)와 접촉되어 연통되도록 상기 수나사부(53b)와 체결되어 지지되는 암나사부(52)와, 상기 치약튜브(53)의 일부분이 끼워져 칫솔대(20)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5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54)는 치약튜브(53)의 결합측 일부분이 끼워져 치약튜브(53)가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칫솔대(20)와 치약튜브(53)의 결합을 지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칫솔은 치약튜브(43,53)를 상기 결합부(41,51)에 장착하고, 치약튜브(43,53)를 가압하게 되면, 치약튜브(43,53) 내의 치약은 칫솔대(20)의 유입구(21) 및 토출경로(22)를 통해 칫솔모(11)로 압출된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은 치약을 칫솔몸체에 내장가능하게 하고,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로 치약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가정용 뿐만 아니라 여행용으로도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상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칫솔모(11) 사이로 치약이 배출되도록 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칫솔머리(10)를 구비하여 된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머리(10)가 지지되며 유입구(21)와 연결된 내부의 토출경로(22)를 통해 상기 토출구(12)로 치약이 공급되는 기다란 칫솔대(20);
    상기 칫솔대(20)에 지지되는 기다란 손잡이프레임(31)과, 상기 칫솔대(2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프레임(31)을 감싸고 상기 치약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신축성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 치약이 상기 칫솔대(20)의 토출경로(22)를 통해 상기 토출구(12)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질튜브(32)를 포함하여 된 파지체(30);
    상기 연질튜브(32)의 일측에 상기 손잡이프레임(3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치약을 연질튜브(32) 내로 투입시키기 위한 치약투입부(33); 및
    상기 치약투입부(33)에 결합되는 마개(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경로(22) 상에 설치되어 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토출경로(22)를 개폐하는 회동밸브(23)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벨브(23)의 몸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20)의 일측에는 치약이 내장된 치약튜브(43,53)가 상기 칫솔대(20)에 직접 지지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부(41,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KR2019990012255U 1999-06-30 1999-06-30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KR200258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55U KR200258395Y1 (ko) 1999-06-30 1999-06-30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55U KR200258395Y1 (ko) 1999-06-30 1999-06-30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88U KR19990037188U (ko) 1999-10-05
KR200258395Y1 true KR200258395Y1 (ko) 2001-12-28

Family

ID=5475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55U KR200258395Y1 (ko) 1999-06-30 1999-06-30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3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93A (ko) * 2002-02-25 2003-08-30 박준수 진공 펌프를 이용한 액상치약 공급 장치
KR101082088B1 (ko) 2009-01-07 2011-1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623A (ko) * 2001-10-31 2003-05-09 박선규 치약 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93A (ko) * 2002-02-25 2003-08-30 박준수 진공 펌프를 이용한 액상치약 공급 장치
KR101082088B1 (ko) 2009-01-07 2011-1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88U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96985T3 (es) Sistema de higiene buco-dental
US5044386A (en) Portable dental care unit
US5017036A (en) Toothbrush with absorbent pad
KR200258395Y1 (ko) 치약이 배출되는 칫솔
WO2012050312A2 (ko) 치약 토출 칫솔
KR20080113778A (ko) 자동치약칫솔
KR20080113777A (ko) 자동치약칫솔
KR200392848Y1 (ko) 헤어 브러쉬
KR20080113779A (ko) 자동치약칫솔
KR20080113776A (ko) 자동치약칫솔
CN205658566U (zh) 一种新型牙膏牙刷套装
KR20080058941A (ko) 치약이 나오는 칫솔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KR200417715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US6016853A (en) Toothpaste squeezer
CN208837200U (zh) 牙刷
KR200295230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KR100928340B1 (ko) 휴대용 칫솔의 칫솔뚜껑
CN214047879U (zh) 一种梳油头用的梳子套件
CN208837199U (zh) 牙刷
KR101951667B1 (ko) 치약용기가 수용가능한 칫솔
KR200255523Y1 (ko) 휴대용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